KR100449998B1 -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998B1
KR100449998B1 KR1019970064970A KR19970064970A KR100449998B1 KR 100449998 B1 KR100449998 B1 KR 100449998B1 KR 1019970064970 A KR1019970064970 A KR 1019970064970A KR 19970064970 A KR19970064970 A KR 19970064970A KR 100449998 B1 KR100449998 B1 KR 10044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gence cup
cup
electron gun
convergenc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3923A (ko
Inventor
심종보
권혁우
Original Assignee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6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99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2Measurement or testing during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8Assembling together the component parts of electrod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H01J9/48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with automatic transfer of workpieces between operat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electric field only

Abstract

본 발명은 벌브스페이서와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에의 컨버젼스컵의 로딩을 위한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를 제공한다.
그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는, 리니어피더(13)로부터 하나의 컨버젼스컵(2)이 배출되도록 그 리니어피더(13)의 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왕복운동하는 플런저(402); 상기 플런저(402)의 전진시 하나의 컨버젼스컵(2)이 그 전단에 접촉하여 이동하고 그 이동위치에서 그 컨버젼스컵(2)을 회전시키도록 컨버젼스컵(2)에 접촉하는 구동롤러(404)와 피동롤러(405); 그리고 그 컨버젼스컵(2)이 회전하는 동안, 양단의 전자빔통과공(4)의 위치를 확인하여 각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광센서(4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도 부품의 마모 등으로 인한 오동작없이 리니어피더로부터 공급되는 컨버젼스컵의 각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에 착오없이 로딩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에 있어서,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에 컨버젼스컵을 로딩시킬 때, 자동으로 위치를 결정하여 로딩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전방 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 조립체(1)가 부착되며, 그 컨버젼스컵(2)의 바닥에는 인라인 전자총의 경우 일직선상에 3개의 전자빔관통공(4)이 형성되고, 그 측벽부에는 벌브스페이서(3)가 다수 통상 3 내지 4개 부착되며, 그 벌브스페서(3)가 벌브의 네크부 전방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전자총의 전방이 네크부의 원형단면의 중앙에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그 전자총을 조립하기 전에 통상 컨버젼스컵(2)에 벌브스페이서(3)가 소정의 각 위치에 용접에 의해 조립되고, 그 벌브스페이서(3)가 용접조립된 컨버젼스컵(2)을 다른 전극들과 부품들이 함께 조립되어 전자총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컨버젼스컵 및 벌브스페이서 조립체(1)는 컨버젼스컵(2)을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을 따라 트랜스퍼링시키면서 용접 스테이션에서 다른 일측에서 공급되는 벌브스페이서(3)를 통상 레이저 용접에 의해 조립한 후에 검사스테이션에 트랜스퍼링되며, 그 검사 스테이션에서는 통상적으로 그 조립체(1)의 벌브스페이서(3)의 상대적인 높이를 측정하여 검사하고, 그 결과 양,볼에 따라 분리하여 언로딩 즉 이젝트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에 컨버젼스컵(2)을 로딩할 때, 그 컨버젼스컵(2)의 전자빔통과공(4)의 위치를 확인하여 로딩 로버트에 의해 그 컨버젼스컵(2)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포지셔너에 로딩시킴으로써 복잡한 구조의 로버트가 필요하였으며, 운동연결부분의 마모로 인하여 그 정밀도가 저하되는 때에는 컨버젼스컵(2)의 로딩이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잇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니어피더로부터 공급되는 컨버젼스컵의 각위치를 결정하여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에 로딩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간격과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스테이션에 각각 하나의 포지셔너를 구비하고, 그 다수의 포지셔너가 업된 때에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이 그 상단에 배치되어 용접 내지 검사공정을 수행하고 다운된 때에 트랜스퍼수단에 의해 한 스텝씩 트랜스퍼링시키며, 그 포지셔너에 리니어피더로부터 컨버젼스컵의 위치를 결정하여 로딩시키는 로케이션 및 로딩장치를 지니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에 있어서: 그 로케이션 및 로딩장치가 리니어피더로부터 하나의 컨버젼스컵이 배출되도록 그 리니어피더의 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왕복운동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전진시 하나의 컨버젼스컵이 그 전단에 접촉하여 이동하고 그 이동위치에서 그 컨버젼스컵을 회전시키도록 컨버젼스컵에 접촉하는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그리고 그 컨버젼스컵이 회전하는 동안, 양단의 전자빔통과공의 위치를 확인하여 각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각위치가 결정된 때에 구동롤러의 회전을 정지하고 상기 플런저를 후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플런저의 전단에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롤러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각위치가 결정된 때에 컨버젼스컵을 로딩장치의 흡착바에 의해 흡착하여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에 로딩시키도록 상기 제어장치에 의에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의 전체 개략 평면도에서 컨버젼스컵(2)이 보충장치(11), 보울피더(12), 리니어피더(13) 및 로케이션과 로딩장치(14)를 개재하여 최초 포지셔너(540: 도 4 및 도 6에 도시됨)가 업된 동안에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최초의 스테이션(ST1)에 로딩되며, 그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각 스테이션(ST1 내지 ST9)을 따라 컨버젼스컵(2)이 한 스테이션의 포지셔너(540)가 다운된 동안에 트랜스퍼링되어 해당 스테이션(ST1 내지 ST9)의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벌브스페이서(3)는 보울피더(16), 리니어피더(17), 회전장치(18), 픽업 및 트랜스퍼장치(19)를 개재하여 용접 스테이션(ST5)에 공급되고 푸셔장치(30)에 의해 컨버젼스컵(2)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된 상태에서 용접장치(20)에 의해 레이저 용접되며, 이를 벌브스페이서(3)의 필요갯수만큼 반복수행한 후, 각종 검사공정을 거쳐 이젝트슈트(21)를 통해 양,볼에 따라 분리, 이젝트된다.
도 2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에서 수행되는 공정도가 도시된다. 도 2에서 컨버젼스컵(2: 도 2 및 도 19에서 C/C로 표기됨)과 벌브스페이서(3: 도 2 및 도 19에서 B/S로 표기됨)가 가공되어 준비되고 각각 단계 S1과 단계 S21에서 보울피더(12,16)에 투입되어 보울피딩되며 그 보울피더(12,16)에 연결된 리니어피더(13,17)에 의해 단계 S2와 단계 S22에서 리니어피딩된다. 이와 같이 보울피더(12,16)와 리니어피더(13,17)는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3에서 보울(200,601)과 진동수단(201,602)에 의해 수납된 컨버젼스컵(2)과 벌브스페이서(3)가 하나씩 배출되면, 유사하게 진동수단(301,702)과 리니어피더 플레이트(300,701)로 구성된 리니어피더(13,17)에 의해 일렬로 연속하여 유동되게 된다. 컨버젼스컵(2)의 경우, 크기가 커서 벌브스페이서(3)에 비해 보울(200)에 수납할 수 있는 수량이 제한되므로 도 8과 도 10에서 별도의 보충장치(11)를 구비할 수 있다. 그 보충장치(11)는, 대량의 컨버젼스컵(2)을 수납할 수 있는 호퍼(100)와, 그 호퍼(100)의 하단으로 연통된 컨버젼스컵(2)의 유동 안내대(102)와, 진동수단(10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타치바아(204)와 타치센서(203)에 의해 보울(200)의 바닥상에 컨버젼스컵(2)이 없을 때 그 감지신호에 의해 진동수단(101)이 동작하여 컨버젼스컵(2)을 유동 안내대(102)를 통해 유동시키게 된다. 그 유동 안내대(101)에로 호퍼(100)로부터 컨버젼스컵(2)이 지나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넘침방지판(103)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안내대(10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리니어피딩단계(단계S2와 단계S22)를 거쳐 컨버젼스컵(2)의 경우 로케이셔닝단계(단계S3)에서는 컨버젼스컵(2)이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포지셔너(540)에서 그 전자빔통과공(4)를 통해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먼저 컨버젼스컵(2)의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또, 단계S4에서는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최초 포지셔너(540)에의 로딩단계가 수행된다.
즉, 도 9 및 도 9의 우측면도인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리니어피더(13)로부터 연속하여 일렬로 피딩되는 컨버젼스컵(2)은 그 출구에서 에어실린더(401)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플런저(402)의 전진에 의해서 하나씩 구동롤러(404)와 피동롤러(405)의 사이에 맞물려 구동롤러(404)의 회전시에 함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다른 컨버젼스컵(2)은 리니어피더(13)의 출구에서 대기상태에 있게 되고, 상기 플런저(402)가 후진하는 때에 출구가 개방되어 하나의 컨버젼스컵(2)이 배출될 수 있게 되고, 상술한 동작이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동안, 광센서(406)에 의해 전자빔통과공(4)의 위치를 확인하면, 그 확인신호에 의해 즉시 상기 구동롤러(404)가 정지하고, 상부에 대기중인 흡착바(410)가 에어실린더(408)의 전진으로 컨버젼스컵(2)에 삽입되고 진공호스(411)를 통해 진공상태로 되면, 컨버젼스컵(2)이 흡착바(410)에 부착되게 되며, 그 뒤, 에어실린더(408)가 후진하고 에어실린더(407)가 후진함으로써 컨버젼스컵(2)이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최초의 스테이션(ST1)의 포지셔너(540)의 상부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에어실린더(408)를 전진시키고 동시에 진공호스(411)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면, 컨버젼스컵(2)은 그 포지셔너(540)의 상단에 돌출한 위치 결정핀이 컨버젼스컵(2)의 전자빔통과공(4)에 삽입되면서 로딩되게 된다. 연결고정대(408)는 에어실린더(408)를 에어실린더(407)의 연결봉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이다.
이와 같이하여 로딩동작이 완료된 컨버젼스컵(2)은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을 통해 한 스텝씩 트랜스퍼링되면서 각각의 스테이션(ST1 내지 ST9)에서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고 배출되게 된다.
그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에 있어서는 각 스테이션(ST1 내지 ST9)에 각각 포지셔너(540)가 배치되고 그 다수의 포지셔너(540)를 공정수행 시간동안에는 업되어, 그 상승위치에서 유지되고, 그 뒤, 다운 상태에서는 트랜스퍼링 시간동안 다운상태(단계S5)를 유지하여 다음의 스테이션(ST1 내지 ST9)으로의 트랜스퍼링이 수행되게 된다. 일예로 도 2에서는 컨버젼스컵(2)이 로딩된 후, 포지셔너(540)가 하강되고(단계S5) 단계S6에서 용접스테이션(ST5)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도 3도 이하에서는 용접스테이션(S75)과 로딩스테이션(ST1)사이에 3단계를 개재시키고 있어, 다른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컨버젼스컵(2) 자체의 검사 내지 대기의 공정을 들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포지셔너(540) 및 그 업다운장치와 트랜스퍼 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는 도 6에 도시된 트랜스퍼바(551)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되고 도 5에서는 제거된 상태로 도시된다. 도 4 및 도 5에서 각 스테이션(ST1 내지 ST8)에는 포지셔너(540)가 배치되고 그 포지셔너(540)는 하부에 설치되는 업다운 캠(532 내지 535)에 의해 업다운 연결봉(511)을 개재하여 상하로 소정의 캠선도를 따라 업다운하게 된다. 최종의 스테이션(ST9)에는 직전 스테이션(ST8)의 포지셔너(540)에 고정되어 함께 업다운하는 녹아우트 바(knockout-bar)(540')가 설치되어 트랜스퍼링 후에 업되는 때에 스테이션(ST9)으로 이송된 조립되고 검사된 컨버젼스컵 및 벌브스페이서 조립체(1)를 트랜스퍼 수단으로부터 이젝트슈트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업다운 캠(532 내지 535)의 캠선도는 일예로서 도 19에 도시된다. 도 19에서 컨버젼스컵(2)의 업다운 캠선도(C/C UP/DOWN)는 컨버젼스컵(2)의 트랜스퍼 선도(C/C TRAHSFER)에서 컨버젼스컵(2)의 트랜스퍼(T)시에 다운되어 있어야 하고(일예로
Figure pat00020
9로부터 360도사이), 복귀를 위한 언트랜스퍼(UT)시에 업되어 있어야 한다(
Figure pat00021
1과
Figure pat00022
5사이). 이와 같은 조건이외에 각 스테이션(ST1 내지 ST9)에서의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동안 업상태를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Figure pat00023
1과
Figure pat00024
8사이).
이러한 업상태는 예를 들면, 용접 스테이션(ST5)에서는 다수의 벌브 스페이서(3)의 트랜스퍼링 및 푸싱과 용접시간동안 요구된다. 즉, 그 용접 스테이션(ST5)에서는 포지셔너(54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550)를 개재하여 업다운 연결봉(511)에 연결되고, 도 19에서 C/C ROTATING 및 R/S TRAHSFER, PUSHING, WELDING선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포지셔너(540)가 업되어 미리 정해진 회전각마다로 간헐적으로 회전하며 각 회전각위치에서 벌브스페이서(3)를 각각 용접하도록 구성되며 전 벌브스페이서(3)를 용접한 후에 다운되게 된다. 스테이션(ST6 내지 ST7)에서는 검사공정에 필요한 시간동안
Figure pat00025
1과
Figure pat00026
8사이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공정의 특성에 따라 변화되는 캠선도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스테이션(ST2 내지 ST4)을 하나의 업다운 캠(533)의 캠선도에 따르도록 2개이상의 업다운 연결봉을 고정시켜 업다운시키는 고정판(512)이 설치되며, 스테이션(ST6 내지 ST8)에서도 유사하게 고정판(512,513) 이 설치된다.
한편, 각 연결봉(511)은 하단부에서 종동롤러(531)를 개재하여 업다운 캠(532 내지 535)의 캠면에 접촉함으로써 롤링운동을 통해 저항을 저감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업다운 캠(532 내지 535)의 작용시점을 조정하기 위해 그 업다운 캠(532 내지 535)의 축(530)에 핸들(22)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캠의 작용시점이 다른 동작들과 상위한 때에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캠의 작용시점이 상위한 때에는 상기 업다운 캠(532 내지 535)이 각각 축(530)에 볼트(532' 내지 535')에 의해 조립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그 상호관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 행정시에는 자중이외에 인장 스프링(522,524)에 의해 그 다운행정이 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업행정시에는 관성에 의한 과도한 상승이 방지되도록 압축 스프링(521,523)이 고정플레이트(501)에 고정된 가이드블럭(502,503)과 연결봉(511)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트랜스퍼 수단이 도시된다. 그 트랜스퍼 수단은 포지셔너(540)가 업다운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트랜스퍼 바(551)가 왕복블럭(553)에 의해 고정되게 되고, 안내블럭(554)에 의에 안내되면서 한 스테이션 사이의 간격만큼 왕복운동하여 컨버젼스컵(2)을 트랜스퍼링하게 된다. 그 트랜스퍼 바(551)에는 서로 내측으로 컨버젼스컵 안착홈(552)이 형성되어 업다운 캠(532 내지 535)에 의해 포지셔너(540)가 다운된 때에 컨버젼스컵(2)이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그 안착홈(55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컨버젼스컵(2)이 안착홈(552)에 안착된 상태에서 트랜스퍼링되고 트랜스퍼링된 위치에서 다시 포지셔너(540)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서 업되어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에는 캠과 스프링을 이용한 트랜스퍼 바(551) 및 왕복블럭(553)의 왕복운동 기구가 일예로서 도시된다. 그 왕복블럭(553)의 일단에는 인장 스프링(555)이 설치되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다른 일단에는 체인(556) 및 안내 스프로켓(557)을 개재하여 종동레버(558)의 일단에 연결되며, 그 종동레버(558)의 타단은 축(559)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고, 중간에서 축(561)과 함께 회전하는 트랜스퍼 캠(560)이 그 하면에서 종동레버(558)와 접촉하여 종동레버(558)를 그 캠선도에 따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체인(556)을 개재하여 왕복블럭(553)이 상기 인장 스프링(55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좌측으로 운동시키게 된다. 트랜스퍼 수단은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업다운 캠의 축(530)과 동일한 축이거나 그 축(530)과 동일한 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일예로서 도 19의 캠선도(C/C TRAHSFER)에 의해 캠곡선이 결정되며, 이러한 구조이외에도 통상의 에어실린더가 트랜스퍼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벌브스페이서(3)는 단계 S22에서 리니어피더(17)로부터 연속정렬상태로 피딩된 후, 도 12 및 도 13에서 리니어피더 플레이트(701)의 단부에서 회전장치(18)의 벌브스페이서 로테이터(801)로 유동되게 되고, 하나이상이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솔레노이드(703)와 스토퍼(704)가 작동하여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피더 플레이트(701)의 단부로부터의 벌브스페이서(3)의 유동을 정지시킨다. 그 뒤, 단계 S23에서 로타리 실린더(802)가 회전하면 로테이터(801)가 함께 회전하여 벌브스페이서(3)를 직립상태로 90도 회전시키고 이때 대기중인 픽업 핑거(810)가 에어척(811)의 작동으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상태의 벌브스페이서(3)를 파지한다(단계 S24).
이와 같이 픽업 핑거(810)에 파지된 후, 로테이터(801)가 원상태로 복귀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척(811)이 위치(811') 즉,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에서 용접 스테이션(ST5)으로 도시가 생략된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이송된다(단계 S25). 이와 같이 이동함으로써 픽업 핑거(810)에 파지된 직립상태의 벌브스페이서(3)는 도 12에서 그 용접 스테이션(ST5)의 업상태의 포지셔너(540)상에 위치한 컨버젼스컵(2)의 소정의 각위치의 측벽면에 인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장치(30)에 의해 벌브스페이서(3)는 컨버젼스컵(2)측으로 가압되게 되고 에어척(811)이 해제됨으로써 벌브스페이서(3)가 픽업 핑거(810)로부터 이탈하여 더욱 컨버젼스컵(2)에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픽업 핑거(810)가 에어척(811)과 함께 원위치로 복귀하고 다음 벌브스페이서(3)를 픽업하기 위해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단계 S7'). 이와 같은 고정단계(단계 S7')는 픽업 핑거(810)의 이탈과 원위치로의 복귀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왕복이동수단이의에 그 왕복이동에 대해 직각방향의 왕복이동을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시가 생략된 왕복이등수단은 에어 실린더 등과 같은 통상의 왕복운동수단일 수도 있으며,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트랜스퍼 캠(559) 및 스프링(555)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벌브스페이서(3)가 컨버젼스컵(2)에 푸싱된 고정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스테이션(ST5)에서는 포지셔너(540)의 업상태를 유지한 채, 용접장치(20)에 의해 레이저를 발사하여 벌브스페이서(3)를 컨버젼스컵(2)에 용접시키고(도 2의 단계 S8), 용접완료시 벌브스페이서(3)의 고정을 해제하며(단계 S8'), 스텝모터(550)에 의해 소정의 각변위만큼 회전한 다음(단계 S9), 단계 S10에서 전 벌브스페이서(3)가 용접되었는지 카운트하여 판별하고는 전 벌브스페이서(3)가 용접되지 아니하였으면 다시 단계 S7'로 돌아가 단계 S7' 내지 단계 S10을 되플이한다. 따라서, 벌브스페이서(3)를 공급하기 위한 단계 S21 내지 단계 S25는 컨버젼스컵(2)을 트랜스퍼링하여 포지셔너(540)상에 위치시키고 그 포지셔너(540)를 업시키는 동안에 소정의 필요한 수의 벌브스페이서(3)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9에서 B/S TRAHSFER, PUSHING, WELDING선도 및 C/C ROTATING선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C/C UP/DOWN선도의 업되는 시간동안(
Figure pat00027
1 내지
Figure pat00028
8)에 벌브스페이서(3)의 트랜스퍼, 푸싱(고정) 및 용접과 컨버젼스컵(2)의 소정의 각위치로의 회전이 하나의 컨버젼스컵(2)에 N개의 벌브스페이서(3)를 부착시키는 경우, N회 반복되며, 또한, 에어척(811)과 함에 벌브스페이서(3)의 트랜스퍼링(T)이 완료된 시점에서 푸셔장치(30)에 의한 푸싱이 이루어지고 에어척(811)의 복귀, 즉 언트랜스퍼링(UT)이 수행되며, 상기 푸싱이 완료된 시점에서 용접(W1 내지 WN)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타이밍 챠트를 고려하여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를 수행하거나, 벌브스페이서(3)의 용접 스테이션으로의 이송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트랜스퍼 캠(559) 및 스프링(555)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그 트랜스퍼 캠의 캠면곡선 내지 캠선도가 도 19의 B/S TRANSFER 선도를 일예로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9의 C/C ROTATING 선도에서는 먼저 소정의 회전 각위치로 회전하는 것으로 구성되지만, 컨버젼스컵(2)의 트랜스퍼링되는 위치에서 바로 벌브스페이서(3)를 용접할 수 있는 경우에는 먼저 컨버젼스컵(2)을 회전(R1)시킬 필요가 없으며, 또, 최종의 회전(RN)으로 원상태로 컨버젼스컵(2)과 포지셔너(540)가 복귀하지 아니한 각위치에서 벌브스페이서(3)가 용접되는 때에는 컨버젼스컵(2)의 다운 개시시점(
Figure pat00029
8)이전에 원상태로 컨버젼스컵(2)과 포지셔너(540)를 복귀시키는 단계가 요구될 것이다.
도 2에서 단계 S10에서 전 벌브스페이서(3)의 용접이 완료되어 단계 S11에서 포지셔너(540)가 하강하고 트랜스퍼 바(551)의 안착홈(552)에 컨버젼스컵(2)이 위치한 후, 컨버젼스컵(2)이 트랜스퍼 캠(560)의 회전과 인장 스프링(555)의 작용으로 검사스테이션(ST6 및 ST7)으로 이송된다(단계 S12). 그 검사 스테이션(ST6 및 ST7)에서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검사장치(40)와 경사각검사장치(50)에 의해 벌브스폐이서(3)의 컨버젼스컵(2)에의 용접조립 상태를 검사한다(단계 S13). 도 17에서 트랜스퍼 바(551)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업다운 캠(535)의 회전에 의해 포지셔너(540)가 업되면, 각 벌브스페이서(3)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촉블럭(41)이 위치하고 그 접촉블럭(41)에의 접촉에 의해 틈새센서(42)에 의해 벌브스페이서(3)의 높이의 양,볼을 판정하게 된다. 도 18에서는 경사각검사장치(50)가 삽입블럭(51)과 불량감지센서(52)로 구성되고 그 삽입블럭(51)에는 벌브스페이서(3)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삽입홈(51')이 형성되어 있어 포지셔너(540)의 업시 그 벌브스페이서(3)가 그 삽입홈(51')에 삽입되지 아니하는 경우, 불량감지센서(52)에서 불량으로 처리하게 된다. 한편, 포지셔너(540)가 업된 후에 높이검사장치(40)와 경사각검사장치(50)가 도 17 및 도 18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여 검사한 후에 상승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검사공정이 완료되면, 다시 컨버젼스컵(2)이 이송의고 단계 S14에서 언로딩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스테이션(ST8)에서 일차 대기한 후에 스테이션(ST9)으로 이송되면서, 이젝트 바(540')예 의해 이젝트슈트(21)로 배출되게 된다.
그 이젝트슈트(21)에서는 구체적인 도시가 생략되지만, 양,볼에 따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공지된 회동 도어 장치가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왕복운동하는 플런저(402), 구동롤러(404)와 피동롤러(405) 및 광센서(406)의 간단한 구성으로 부품의 마모 등으로 인한 오동작없이 리니어피더로부터 공급되는 컨버젼스컵의 각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에 착오없이 로딩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가 적용된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컨버젼스컵을 로딩하여 벌브스페이서를 용접조립한 후, 검사하고 언로딩하기 위한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캠수단을 이용한 트랜스퍼 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좌측 이동을 위한 스프링수단을 제거한 상태의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3에서 보울피더(bowl feeder)에 컨버젼스컵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장치의 단면도,
도 9는 컨버젼스컵의 로케이션장치와 상기 도 4의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에의 로딩을 위한 로딩장치와 함께 도 3에서 컨버젼스컵을 공급하기 위한 보울피더와 리니어피더(linear feeder)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보충장치와의 관계와 함께 도 9의 보울피더와 리니어피더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측면도,
도 12는 벌브스페이서의 픽업 및 트랜스퍼장치와 함께 벌브스페이서의 공급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2와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좌측면도,
도 15는 도 13에서의 벌브스페이서의 스토퍼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픽업 및 트랜스퍼장치에 의해 용접스테이션으로 이송된 벌브스페이서를 컨버젼스컵에 접촉시키기 위한 푸셔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높이검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8은 경사각검사장치의 구성도,
도 19는 컨버젼스컵의 업다운 캠과 트랜스퍼 캠의 캠선도 및 벌브스페이서의 트랜스퍼, 푸싱, 용접 및 컨버젼스컵의 회전 동작의 타임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컨버젼스컵 및 벌브스페이서 조립체 2: 컨버젼스컵
3: 벌브스페이서 4: 전자빔통과공
10: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 11: 컨버젼스컵 보충장치(11)
12,16: 보울피더 13,17: 리니어피더
14: 로케이션 및 로딩장치 15: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
18: 벌브스페이서 회전장치 19: 픽업 및 트랜스퍼장치
20: 용접장치 21: 이젝트슈트
30: 푸셔장치 31: 고정대
32: 에어실린더 33: 푸셔
40: 높이검사장치 41: 접촉블럭
42: 틈새센서 50: 경사각검사장치
51: 벌브스페이서 삽입블럭 51': 삽입홈
52: 불량감지센서 100: 호퍼
101,201,301,602,702: 진동수단 102: 안내대
103: 넘침방지판 200,601: 보울(bowl)
203: 타치센서 204: 타치바아
300,701: 리니어피더 플레이트 401: 에어실린더
402: 플런저 404: 구동롤러
405: 피동롤러 406: 광센서
407: 에어실린더 408: 연결고정대
409: 에어실린더 410: 흡착바
411: 진공호스 501: 고정플레이트
502,503: 가이드 블럭 511: 업다운 연결봉
512,513 : 고정판 521 내지 524: 스프링
531: 종동 롤러 532 내지 535: 업다운 캠
540: 포지셔너 540': 녹아우트 바(knockout-bar)
550: 스텝모터 551: 트랜스퍼 바
552: 컨버젼스컵 안착홈 553: 왕복블럭
554: 안내블럭 555: 스프링
556: 체인 557: 안내 스프로켓
558: 종동레버 559,561: 축
560: 트랜스퍼 캠 703: 솔레노이드
704: 스토퍼 801: 벌브스페이서 로테이터
802: 로타리 실린더 810: 픽업 핑거
811:에어척

Claims (4)

  1.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간격과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스테이션(ST1 내지 ST9)에 각각 하나의 포지셔너(540)를 구비하고, 그 다수의 포지셔너(540)가 업된 때에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2)이 그 상단에 배치되어 용접 내지 검사공정을 수행하고 다운된 때에 트랜스퍼수단에 의에 한 스텝씩 트랜스퍼링시키며, 그 포지셔너(540)에 리니어피더(13)로부터 컨버젼스컵(2)의 위치를 결정하여 로딩시키는 로케이션 및 로딩장치를 지니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2)과 벌브스페이서(3)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에 있어서:
    그 로케이션 및 로딩장치가 리니어피더(13)로부터 하나의 컨버젼스컵(2)이 배출되도록 그 리니어피더(13)의 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왕복운동하는 플런저(402);
    상기 플런저(402)의 전진시 하나의 컨버젼스컵(2)이 그 전단에 접촉하여 이동하고 그 이동위치에서 그 컨버젼스컵(2)을 회전시키도록 컨버젼스컵(2)에 접촉하는 구동롤러(404)와 피동롤러(405); 그리고
    그 컨버젼스컵(2)이 회전하는 동안, 양단의 전자빔통과공(4)의 위치를 확인하여 각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광센서(4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406)에 의해 각위치가 결정된 때에 구동롤러(404)의 회전을 정지하고 상기 플런저(402)를 후진시키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402)의 전단에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롤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위치가 결정된 때에 컨버젼스컵(2)을 흡착바(410)에 의해 흡착하여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에 로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KR1019970064970A 1997-11-29 1997-11-29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KR10044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970A KR100449998B1 (ko) 1997-11-29 1997-11-29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970A KR100449998B1 (ko) 1997-11-29 1997-11-29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923A KR19990043923A (ko) 1999-06-15
KR100449998B1 true KR100449998B1 (ko) 2005-09-26

Family

ID=3730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970A KR100449998B1 (ko) 1997-11-29 1997-11-29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9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189U (ko) * 1993-06-08 1995-01-04 컨버전스컵의 자동공급장치
KR960006823U (ko) * 1994-08-19 1996-03-13 신규호 매직테이프에 의한 의류착탈 장치
KR960008912A (ko) * 1994-08-26 1996-03-22 엄길용 콘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 및 검사장치
KR200157142Y1 (ko) * 1993-12-31 1999-09-15 김영남 전자총의 벌브 스페이서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189U (ko) * 1993-06-08 1995-01-04 컨버전스컵의 자동공급장치
KR200157142Y1 (ko) * 1993-12-31 1999-09-15 김영남 전자총의 벌브 스페이서 검사장치
KR960006823U (ko) * 1994-08-19 1996-03-13 신규호 매직테이프에 의한 의류착탈 장치
KR960008912A (ko) * 1994-08-26 1996-03-22 엄길용 콘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 및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923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0595A (en) Linear carrier sender and receiver
US55070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lacing lids on component packages
US4905370A (en) Electronic parts automatic mounting apparatus
TW200847878A (en) An improved ball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US6293408B1 (en) Inspection handler apparatus and method
US5970818A (en) Notch alignment apparatus and adjustment jig for the same
KR900000287Y1 (ko) 전자 부품 공급 및 이송장치
KR100449998B1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 자동위치 결정장치
CN110757160A (zh) 棘轮组件自动组装机
KR100341495B1 (ko) 트레이 반송장치 및 방법
KR19990043926A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 조립체의 높이검 사장치
KR19990043924A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의 컨버젼스컵 트랜스퍼장치
KR19990043922A (ko) 보올피더에의 피공급물 보충장치
KR19990043921A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
KR19990043925A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의 벌브스페이서 회전 및 이송장치
KR19990043927A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 조립체의 경사각 검사장치
KR100332608B1 (ko) 범프 본딩 장치
CN112025234A (zh) 一种用于轴承单元组装的转盘输送装置和方法
KR19980028745A (ko) 솔더볼 범핑장비
JPS586832A (ja) マガジン移送装置
KR100604097B1 (ko) 반도체 제조공정용 플립퍼링장치
JP2797895B2 (ja) ピストンリングの組付け検査装置
JP2512261Y2 (ja) チップ状回路部品供給装置
KR101971424B1 (ko)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의 연속 자동화 제조 시스템
US3616509A (en) In-line unit carrier 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