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926B1 -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926B1
KR100448926B1 KR10-2001-0050219A KR20010050219A KR100448926B1 KR 100448926 B1 KR100448926 B1 KR 100448926B1 KR 20010050219 A KR20010050219 A KR 20010050219A KR 100448926 B1 KR100448926 B1 KR 100448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vinegar
ascorbic acid
weight
disinfectant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580A (ko
Inventor
최형규
한승완
Original Assignee
최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규 filed Critical 최형규
Priority to KR10-2001-005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92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을 처리하여 제조된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액상 소독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통상의 목초액에 아스코르빈산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6개월간 숙성시켜 제조된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액상 소독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THE COMPOSITION OF LIQUID DISINFECTANT INCLUDING THE STABILIZED WOOD VINEGAR TREATED WITH ASCORBIC ACID}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을 처리하여 제조된 안정화 목초액(stabilized wood vinegar) 및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disinfectant composition)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통상의 목초액에 아스코르빈산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6개월간 숙성시켜 제조된 안정화 목초액 및 이와 같이 제조된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은 비타민의 일종으로서 1928년 Szent Gyoryi에 의하여 양배추, 오렌지 등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Haworth 와 Vargha등에 의하여 구조식이 밝혀졌다. 아스코르빈산은 많은 식물류에 다양한 양으로 존재하며 항산화제(antioxident) 역할을 수행한다. 아스코르빈산은 여러 종류의 야채에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과일에는 많은 양이 존재하는데 이는 과일의 pH가 산성이어서 파괴되지 않고 안정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목초액이란 일반적으로 흑탄이나 백탄 등의 목탄 제조시에 얻어지는 것 및 톱밥, 폐목제, 나무껍질, 왕겨 등을 건류하여 얻어지는 통상의 정제 목초액을 말한다.
목초액은 그 자체가 소독약이 아니나 초산(ace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낙산(lactic acid), 개미산(formic acid) 등 천연 유기산과 포름알데히드, 글리옥살, 아세톤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살균 및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나무가 탄화할 때 발생되는 연기(재래식 숯가마의 경우 배연온도 80℃∼150℃, 기계식의 경우 연기채취온도 150℃ 이하)를 냉각시켜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고 얻은 액체를 조목초액(crude wood vinegar)이라 하며, 이 조목초액을 적어도 2∼3일간 정치하여 2층 또는 3층으로 분리한 후 2층으로 분리된 경우는 상층부, 3층으로 분리된 경우는 중간층의 적갈색 수용성액을 3개월 이상 숙성(ageing)시킨 후 흡착(adsorption), 여과(filtration) 등의 탈타르처리를 하여 얻은 액체나, 조목초액을 필터 등으로 여과하거나 증류 등의 방법으로 목초액 중에 불안정한 성분을 제거시켜 획득한 맑고 투명한 적갈색, 담적갈색 및 담황색 수용성 액체를 정제 목초액(refined wood vinegar)이라 한다(임업연구원 고시 제1999-35호 제6조참조).
또한 목초액은 토양소독제, 병충해구제, 방부제, 퇴비, 탈취제, 응고제, 염색조제, 도료용, 의약, 농약, 식품, 가공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향료, 화학 원료, 비료 및 식품 첨가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0212472호).
목초액의 특성으로는 산성 성분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시간이 지나면 계속해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타르 등 침전물을 형성하기 쉬우며, 조금씩 탁한 색으로 변하게 된다.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류가 페놀성분과 화합하여 수지가 되어 용기의 표층에 뜨거나 하층에 가라앉는다. 이러한 타르 등의 화합물은 제거하여도 미량씩 녹아있는 성분들이 또다시 시간이 지나면서 화합하게 된다. 증류한 목초액에 미량의 타르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목초액은 목초액 성분 자체가 갖고 있는 안정성이 불안정하다는 특성 때문에 장기간 보관시나 유통과정중 침전물 형성, 색상 및 pH의 변화등을 초래하여 최초의 목초액 규격과 달라져서 소비자불만(클레임)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으며 목초액이 가지고 있는 자극성 냄새로 인하여 취급자의 불편함이 있다.
가축을 사육하다보면 다양한 질병에 감염되어 커다란 경제적 피해를 유발시키며, 질병의 발생은 안전한 축산물의 생산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구제역(foot and mouse disease)이나 광우병(mad cow disease) 역시 축산업에 엄청난 피해를 주고 있는 질병이며 O157 대장균(E. coli) 또한 축산물에 오염되어 인류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가축이나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병원체인 세균(bacteria),바이러스(virus), 곰팡이(fungus)등과 같은 유해 미생물에 기인한다. 이러한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소독약(disinfectant)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독약은 유해한 미생물을 사멸시켜 질병 감염의 위험성을 줄여주며 질병 전파를 차단해주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주요 소독약제로서는 페놀화합물계 소독약, 할로겐 화합물계 소독약, 알데히드 화합물계 소독약, 4급 암모늄계 소독약 등이 있다.
페놀 화합물계 소독약은 크레졸, 페놀, 또는 올소 디클로로벤젠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크레졸이나 페놀은 세균에만 효과가 있을 뿐 아포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력은 거의 없고, 올소 디클로로벤젠은 그람음성세균, 곰팡이, 원충, 충란에 대한 살균력을 갖고 있지만 바이러스에는 거의 작용을 하지 못하고, 또한 광선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햇빛이 드는 곳에서는 소독효과가 빠르게 감소하며 유기물내에 숨어있는 병원체에 대하여 소독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할로겐화합물계 소독약은 소독성분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안정화 이산화염소(stabilized chlorine dioxide), 요오드화합물(iodine compounds)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대부분 할로겐화합물의 강력한 산화능력에 의하여 병원체의 단백질을 변성시킴으로서 살균력을 발휘하는데, 염소나 요오드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독약은 세균, 바이러스, 아포세균, 곰팡이, 조류 등의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하여 살균력을 가지고 있으나 피막형성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력은 미약하고, 온도가 상승하면 소독력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알칼리성에서는 거의 소독력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병원 내부나 가축의 축사내부의 소독에는 부적합하다. 알데히드화합물계소독약은 소독성분으로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글리옥시살(glyoxysal), 글루탈알데히드(glutaraldehyde)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세균, 바이러스, 원충 등 광범위한 소독력을 나타내고 있는데, 포름알데히드는 독성이 강하고 곰팡이나 유기물내 소독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고, 글루탈알데히드는 포름알데히드에 비하여 소독력은 우수하나 피부나 눈 등의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4급 암모늄화합물계 소독약은 소독성분으로 염화벤잘코늄(benzalconium chloride), 메틸도데실 벤질트리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metyldodecyl benzyltrimetyl ammonium chloride), 메틸도데실크실렌 트리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metyldodecylxylene trimetyl ammonium chloride), 옥틸데실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octyldecyldimetyl ammonium chloride), 디덱실 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didecyldimetyl ammonium chloride) 등의 4급 암모늄 화합물(역성비누 또는 양성(陽性)비누라고도 함)이 사용되는 것으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원충, 조류 등 광범위한 소독력을 갖고 있으나,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철 이온 등이 존재하는 경수에서는 살균력이 저하되고, 또한 종래의 4급 암모늄화합물계 소독약은 유기물에 침투효과가 미약하여 유기물이나 단백질 존재시 소독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소독약제의 소독 기전은 소독약을 물에 희석하여 살포시 소독약 입자가 병원체 미생물과 접촉을 하여 미생물의 균체막을 파괴하거나 균체단백질의 변성을 초래하여 소독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때 병원이나 농장에 오염되어 있는 병원 미생물은 주로 먼지덩어리, 분변, 오줌, 사료 또는 음식 찌꺼기, 기름때 등과 같은 유기물에 서식하는데 이는 유기물이 병원미생물의 좋은 서식처가 되기 때문이다.이러한 병원미생물은 유기물내에 숨어서 햇빛이나 외부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수일 또는 수년동안 생존하여 차량, 사람, 조류, 쥐 또는 공기를 타고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어 질병을 유발 또는 확산 시키게 된다. 따라서 유기물내 서식하고 있는 병원체를 사멸시키는 것은 소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종래 소독약제들은 유기물내 침투력이 미약하고 유기물과 접촉시 소독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효과적으로 유기물 속에 숨어있는 병원체를 사멸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218093호에 예시된 바에 따르면 기존의 소독약의 문제점인 유기물내 침투효과 및 악취제거효과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유카추출액(Yucca extract)을 함유한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유카추출액은 한정된 지역(주로 남미지역)에서만 서식하는 유카 시디게라(Yucca schidigera)라는 식물을 압착하여 추출하기 때문에 품질이 불균일하고, 구입에 용이치 못하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 소독약에 적용시 소독약품의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목초액에 아스코르빈산을 첨가하여 처리하므로써 안정성이 향상된 목초액과, 본 목초액을 소독약과 복합 조성함으로써 기존 소독약제의 취약점인 유기물에 대한 소독력 저하문제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소독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스코르빈산의 화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식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의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을 처리하여 제조된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액상 소독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통상의 목초액에 아스코르빈산을 1∼20중량% 첨가, 용해시켜 실온에서 6개월간 숙성시킨 후 필터로 여과하여 제조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 2~30중량%와, 4급 암모늄 화합물로 구성된 소독약 성분 3~20중량%와, 정제수 50~9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소독용, 축산농기계 소독용 혹은 축체소독용으로 사용되는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액상 소독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목초액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목초액을 숙성전 단계에서 목초액의 1∼20중량%의 아스코르빈산을 첨가, 용해시켜 실온에서 6개월간 숙성시킨 후 필터로 여과하여 제조한다. 상기에서 아스코르빈산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목초액의 안정성 개선효과가 미흡하고,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여량 만큼의 개선효과가 없어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소독약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과 소독약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독약 성분은 종래의 소독약 성분인 페놀화합물, 할로겐화합물, 알데히드 화합물 또는 4급 암모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가지 이상의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급 암모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독약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임상적 관점에서 볼 때 페놀화합물일 경우에는 30∼90중량%, 할로겐 화합물일 경우에는 5∼20중량%, 알데히드화합물일 경우에는 5∼20중량%, 4급 암모늄화합물일 경우에는 3∼2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4급 암모늄 화합물은 디덱실 디메칠 암모늄클로라이드(DDAC)가 특히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함유하는 액상 소독약 조성물은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 2∼30중량%와 DDAC 3∼20중량%를 복합 조성하여 제조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아스코르빈산 목초액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소독력 개선효과가 미흡하고,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기물내 소독효과가 우수하지만 장기간 고온(30℃이상)에서 보관시 침전물이 형성되어 안정성 문제가 초래된다. 또한 DDAC의 함량이 3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소독효과가 미흡하고 20중량% 이상시에는 소독효과는 우수하지만 고농도에 따른 자극성 냄새로 인하여 소독약 살포시 소독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그리고, 상기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액상 소독약 조성물은 축사 소독용 또는 축사농기계 소독용, 축체소독용 등 가축용 소독약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작용기전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아스코르빈산은 목초액을 안정화(stabilization)시키고 활성화(activation) 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며, 목초액 숙성시 목초액의 1∼20중량%를 첨가함으로서 목초액의 안정성(stability)과 효능(efficacy)을 증강시킬 수 있다. 이는 아스코르빈산이 전자수송체계(electron transport system)에 관여하여 산소의 산화(oxidation)능력을 비활성화시켜 목초액의 산화를 방지하며, 아스코르빈산이 목초액속에 잔류해 있는 중금속들과 결합함으로써 목초액의 순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에는 초산, 낙산, 개미산 등 유기산과 에탄올 및 메탄올 등 알코올류가 함유되어 있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힘이 매우 우수하다. 각종 용제의 원료에 목초액이 쓰이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다.
또한 DDAC는 양이온 계면활성제(cationic detergent)의 일종으로 유화, 침투, 세척, 분산, 기포특성과 살균작용이 있으며 물에 녹일 경우 플러스(+) 전기를 띠고 있어 마이너스(-)전기를 띠고 있는 병원체에 쉽게 접근하여 병원체의 세포벽 파괴나 세포질을 변성시켜 병원체를 사멸시킨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과 DDAC를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은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과 DDAC가 복합 조성된 소독약 입자가 강력한 브라운 운동 및 전기적 흡인력에 의하여 병원체에 보다 빠르고 쉽게 접근하여 병원체의 세포벽에 침투하고 세포벽의 지질 단백질 복합체에 작용하여 세포막내 단백질을 해리시켜 세포질 내에서 저분자 물질의 유출을 일으키고 단백질과 핵산의 변성을 일으켜 병원체를 사멸시킨다. 또한 유기물이 병원체를 감싸고 있을 경우,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과 DDAC가 복합 조성된 소독약제의 유기물 분해성분에 의하여 병원체를 감싸고 있는 유기물을 신속하게 분해하여 효과적으로 소독약성분이 병원체에 도달하여 병원체를 사멸시킨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고,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3차에 걸쳐 여과로를 통과하여 타르를 제거한 정제 목초액(다나안 목초액, 주식회사 대승, 대한민국)의 온도를 20℃ 내외로 유지시키면서 목초액의 0.5중량%에 해당하는 아스코르빈산(VitanimC, F.Hoffman-La Roche, Switzerland))을 첨가하여 10분간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킨다. 아스코르빈산이 침전되지 않고 용해가완료되면 숙성탱크에 옮기고 10∼15℃ 온도에서 햇볕이 들지 않도록 하여 6개월간 숙성시킨 후 200메쉬 필터에 여과하여 아스코르빈산이 처리된 목초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스코르빈산을 1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아스코르빈산을 5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아스코르빈산을 10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아스코르빈산을 20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아스코르빈산을 30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적당량의 정제수에 5중량%의 DDAC(Bardac2280, Lonza Inc, USA)를 가하여 5분정도 교반하여 전체액이 균일된 색상을 띄도록 한다. 만약, 상층액과 하층액의 색상이 다를 때에는 다시 3분정도 교반하면 균일된 색상의 액체를 만들 수 있다. 여기에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1중량% 투입하여 10분정도 교반한 후 적당량의 안정제(stabilizer)와 소포제(deforming agent)를 첨가하고 전체의 양이 100중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가한다음 10분정도 교반하여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 함유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2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 함유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5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 함유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10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 함유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20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 함유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30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 함유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3차에 걸쳐 여과로를 통과하여 타르를 제거한 정제 목초액(다나안목초액, 주식회사 대승, 대한민국)을 숙성탱크에 옮기고 10∼15℃ 온도에서 햇볕이 들지 않도록 하여 6개월간 숙성시킨 후 200메쉬(mesh) 필터에 여과하여 아스코르빈산이 처리되지 않은 단순 목초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적당량의 정제수에 5중량%의 DDAC를 가하여 5분정도 교반하고, 여기에 전체의 양이 100중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가한후 10분정도 교반하여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함유하지 않는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적당량의 정제수에 5중량%의 DDAC를 가하여 5분정도 교반하고, 여기에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목초액(아스코르빈산을 처리하지 않은 단순 목초액)을 5중량% 되도록 투입하여 다시 10분간 교반한후 적당량의 안정제와 소포제를 첨가하고 전체의 양이 100중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가한 다음 10분정도 교반하여 목초액 함유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목초액을 10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목초액 함유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목초액을 20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목초액 함유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목초액의 안정성 비교시험
1.실험방법
목초액의 안정성 개선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산림청 임업연구원고시 제 1999-3호 제8조에서 개시하고 있는 목초액의 품질기준인 비중, 산도, pH, 용해타르, 색 및 탁도와 냄새의 변화를 측정 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및 비교예 1을 5리터용 멸균된 플라스틱 용기에 각각 4.5리터씩 투입하여 햇빛이 들지 않는 실내의 실온에서 보관하여 3개월 내지 6개월 단위로 12개월 동안 동일조건하에서 목초액의 품질기준 항목들을 측정하였다. 비중, 산도, pH, 용해타르, 색 및 탁도는 임업연구원고시에서 개시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냄새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실험결과
1)비중의 변화
전체적으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비중이 약간씩 증가하였으나 아스코르빈산을 처리한 목초액이 처리하지 않은 목초액에 비하여 변화 정도가 훨씬 낮았다. 아스코르빈산이 처리 되지 않은 목초액인 비교예 1은 실험개시시 비중이 1.018이었으나 12개월 후에 1.039로 0.016이 증가되었다. 반면에 실시예 1은 12개월 후에 0.0120, 실시예 2는 0.007, 실시예 3과 4는 0.004, 실시예 5와 6은 0.003이 각각증가하여 비교예 1에 비하여 매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실험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구분 개시시 3개월 후 6개월 후 9개월 후 12개월 후
실시예 1실시예 2실시예 3실시예 4실시예 5실시예 6비교예 1 1.0201.0211.0341.0521.0841.1151.018 1.0241.0231.0351.0541.0851.1161.023 1.0291.0251.0361.0541.0861.1161.027 1.0311.0271.0381.0551.0861.1181.030 1.0321.0281.0381.0561.0871.1181.034
2) 산도의 변화
산도(%)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전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감소하였으나 아스코르반산이 처리된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감소정도가 낮았다. 비교예는 산도가 실험개시시 2.53%에서 12개월 후 2.33%로 0.2%가 감소하였다. 아스코르빈산이 0.5% 처리된 목초액인 실시예 1 역시 비교예 1과 동일하게 0.2%가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2는 0.06%, 실시예 3, 4, 5는 0.05%, 실시예 6은 0.06%가 각각 감소하여 비교예 1에 비하여 훨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실험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구분 개시시 3개월 후 6개월 후 9개월 후 12개월 후
실시예 1실시예 2실시예 3실시예 4실시예 5실시예 6비교예 1 2.622.783.765.858.4710.802.53 2.592.783.765.848.4610.782.46 2.502.763.745.858.4610.752.40 2.462.743.725.818.4410.762.35 2.422.723.715.808.4210.742.33
3) pH의 변화
시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pH가 조금씩 증가하였으나 아스코르빈산이 처리된 목초액이 처리되지 않은 목초액에 비하여 변화의 정도가 낮았다. 비교예는 실험개시시 pH가 3.18이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금씩 증가되어 12개월 후에는 3.34로 0.16이 증가하였다. 실시예 1은 0.14가 증가하여 비교예에 비하여 만족할만한 개선효과가 없었으나 실시예 2는 0.06, 실시예 3과 5는 0.03, 실시예 4와 6은 0.02가 증가하여 비교예나 실시예 1에 비하여 훨씬 안정된 상태를 보였다. 실험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구분 개시시 3개월후 6개월후 9개월후 12개월후
실시예 1실시예 2실시예 3실시예 4실시예 5실시예 6비교예 1 3.093.012.842.582.322.123.18 3.113.032.842.572.322.123.20 3.153.042.852.592.332.123.26 3.193.052.862.592.332.133.31 3.233.072.872.602.352.143.34
4) 용해타르함량(%)의 변화
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용해타르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아스코르빈산을 처리하여 제조된 목초액이 아스코르빈산을 처리하지 않고 제조된 목초액에 비하여 용해타르의 함량이 훨씬 적었다. 아스코르빈산을 처리하지 않고 제조된 목초액중의 용해타르함량은 0.29%이었으나 아스코르빈산을 0.5중량%, 1중량%, 5중량%, 10중량%, 20중량%, 30중량% 처리하여 제조된 목초액중의 용해타르함량은 각각 0.23%, 0.15%, 0.07%, 0.06%, 0.05%, 0.05%로서 아스코르빈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용해타르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실험결과는 아래 표 4와같다.
구분 개시시 3개월후 6개월후 9개월후 12개월후
실시예 1실시예 2실시예 3실시예 4실시예 5실시예 6비교예 1 0.230.150.070.060.050.050.29 0.230.150.070.060.060.050.30 0.220.160.070.050.050.050.29 0.230.150.060.060.050.040.29 0.230.150.060.050.050.040.29
5) 색 및 탁도의 변화
비교예 1은 실험개시시 담적갈색의 투명한 액체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진해지고 탁해져서 12개월 후에는 진한 적갈색의 약간 불투명한 액체로 변화 되었다. 실시예 1 역시 비교예 1에 비해서는 변화의 정도가 약간 적었으나 12개월 후에 적갈색의 약간 불투명한 액체로 변화되어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었다. 실시예 2는 6개월 경과까지는 육안적인 색깔 및 탁도의 변화가 없었으나 12개월 경과시 색깔이 약간 진하게 바뀌었다. 그러나 실시예 3, 4, 5, 6은 12개월 후에도 육안적인 색깔이나 탁도의 변화가 없었다. 실험결과는 아래 표 5와 같다.
구분 개시시 6개월후 12개월후
실시예 1실시예 2실시예 3실시예 4실시예 5실시예 6비교예 1 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 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적갈색, 투명 적갈색, 약간 불투명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담적갈색, 투명진한 적갈색,약간 불투명
6) 냄새의 변화
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냄새변화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아스코르빈산을 처리하여 제조된 목초액이 아스코르빈산을 처리하지 않고 제조된 목초액에 비하여 스모크향의 자극성 냄새가 훨씬 낮았다. 아스코르빈산을 처리하지 않고 제조된 목초액은 강한 스모크향의 자극성 냄새를 보였으나, 아스코르빈산을 0.5중량% 처리하여 제조된 실시예 1은 보통의 스모크향 자극성 냄새를 보였다. 아스코르빈산을 1중량%, 5중량%, 10중량% 처리하여 제조된 실시예 2, 3, 4는 약한 상태의 스모크향 자극성 냄새를 보였으며, 아스코르빈산을 20중량%, 30중량% 처리하여 제조된 목초액은 아주 약한 스모크향 냄새를 보였다. 실험결과는 아래 표 6과 같다.
구분 개시시 6개월후 12개월후
실시예 1실시예 2실시예 3실시예 4실시예 5실시예 6비교예 1 +++++--+++ +++++--+++ ++++---+++
(주)
1. 강한 스모크향의 자극성냄새 : +++
2. 보통의 스모크향 자극성냄새 : ++
3. 약한 스모크향의 자극성냄새 : +
4. 아주 약한 스모크향의 자극성냄새 : -따라서, 상기 <실험예1>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목초액의 안정성 비교실험에 있어서는 비중과 산도 및 pH의 변화는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이 안정하게 나타났고, 용해타르함량(%)은 감소했으며, 색 및 탁도의 변화와 냄새는 비교예와 비교했을 때 거의 없거나 약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그러므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은 일반 목초액에 비해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항균력 비교시험 1.
1. 실험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 7, 8, 9, 10, 11, 12와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소독약제 조성물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MIC측정법(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을 사용하였다. Nutrient Agar에 공시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을 접종하여 36℃로 조정된 배양기 속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위에 직경 8mm, 두께 1.5mm 시험편(paper disk)을 올려놓고 시험액으로서 상기 실시예 7, 8, 9, 10, 11, 1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소독약 각각의 원액과 증류수로 희석한 10% 희석액을 각각의 시험편에 50㎛씩 접종하고 다시 배양기에 넣고 36℃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배지상 세균의 생육이 억제된 세균 저지대의 지름(D)을 측정하여 수학식 1에 의해 세균저지대의 크기(W)를 계산하였다. 세균 저지대의 크기(W)가 클수록 항균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즉, 세균저지대의 크기(W)가 클수록 소독력이 우수하다.
상기 수학식 1에서, W는 세균 저지대의 폭(mm), D는 배지상의 세균의 생육이 억제된 세균저지대의 지름(mm)을 나타낸다.
2. 실험결과
아스코르빈산 목초액이 2중량%이상 함유된 소독약 조성물인 실시예 8, 9, 10, 11, 12가 비교예에 비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실시예 7의 경우 종래의 소독약제인 비교예 2에 비하여 소독력 향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았다. 실험결과는 아래 표 7과 같다.
세균 저지대의 크기(mm)
원액 10% 희석액
실시예 7 4.6 3.0
실시예 8 5.2 3.5
실시예 9 5.9 3.9
실시예 10 6.4 4.3
실시예 11 6.7 4.5
실시예 12 6.9 4.6
비교예 2 4.5 3.0
즉, 상기 표 7에서 나타난 바에 의하면,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이 1중량%보다는 적어도 2중량% 이상이 함유된 것이 소독력에도 우수하다.<실험예 3>
항균력 비교시험 2
1.실험방법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실시예 9, 10, 11 소독약제 조성물과 단순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인 비교예 2, 3, 4, 5의 유기물 존재하에서 항균력을 측정, 비교평가 하기 위하여 Carrier Test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BHI(Brain Heart Infusion)배지에 공시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을 실험 하루전에 접종하여 항온기에 넣고 36℃에서 24시간 배양한후 OD 600nm에서 약 0.9가 되도록 조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양균주를 스테인레스 Carrier에 오염시킨 후. 약 30분 동안 실온에서 건조시킨 다음 시험액으로서 상기 실시예 9, 10, 11 및 비교예 2, 3, 4, 5에서 제조된 소독약 조성물을 각각 100배(1:100), 200배(1:200), 400배(1:400), 800배(1:800), 1600배(1:1600), 3200배(1:3200)희석액을 시험관에 각각 20㎖씩 분주하고 5% 되도록 토끼 혈청(Rabbitserum)을 첨가한 후 오염된 Carrier를 10분 동안 투입하여 살균여부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세균 검출유무에서 검출이 안된 것이 항균력이 있음을 나타낸다. 즉, 높은 희석농도에서도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는 것이 소독력이 우수하다.
2. 실험결과
본 실험결과, 아스코르빈산이 처방된 목초액을 5%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인 실시예 9는 종래의 소독약인 비교예 2에 비하여 유기물(혈청) 존재 하에서도 소독력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단순 목초액을 5%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인 비교예 3에 비해서도 소독력이 향상되었다. 아스코르빈산이 처리된 목초액을 10%, 20% 각각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인 실시예 10과 11은 단순 목초액을 10%, 20% 각각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인 비교예 4와 5에 비하여 소독력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단순 목초액보다 아스코르빈산 목초액을 함유한 소독약 조성물이 유기물 존재하에서 더욱 우수한 소독력을 발휘함을 알 수 있다. 실험결과는 아래 표 8과 같다.
세균 검출유무
1:100 1:200 1:400 1:800 1:1600 1:3200
실시예 9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검출 검출
실시예 10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검출
실시예 11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검출
비교예 2 미검출 미검출 검출 검출 검출 검출
비교예 3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검출 검출 검출
비교예 4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검출 검출 검출
비교예 5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검출 검출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를 가지고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까지의 결과를 보면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을 아스코르빈산 1~20중량% 첨가시켜 용해시켜 제조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처리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은 2~30중량%와, 4급 암모늄 화합물 3~20중량%와, 정제수 50~95%를 함유한 액상 소독약제 조성물이 비중, 산도 및 pH에 안정하고 항균력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목초액에 아스코르빈산을 처리하므로써 안정화되고 활성화된 목초액을 얻을 수 있었으며, 안정화 목초액을기존 소독약에 복합 조성시 기존 소독약에 비하여 유기물내에서의 살균효과가 개선되었다.

Claims (4)

  1. 통상의 목초액에 아스코르빈산을 1∼20중량% 첨가, 용해시켜 실온에서 6개월간 숙성시킨 후 필터로 여과하여 제조된 아스코르빈산 처리 목초액 2~30중량%와, 4급 암모늄 화합물로 구성된 소독약 성분 3~20중량%와, 정제수 50~9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소독용, 축산농기계 소독용 혹은 축체소독용으로 사용되는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액상 소독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급 암모늄 화합물은 디덱실 디메칠 암모늄클로라이드(DDAC) 3∼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리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액상 소독약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KR10-2001-0050219A 2001-08-21 2001-08-21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 KR100448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219A KR100448926B1 (ko) 2001-08-21 2001-08-21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219A KR100448926B1 (ko) 2001-08-21 2001-08-21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580A KR20030016580A (ko) 2003-03-03
KR100448926B1 true KR100448926B1 (ko) 2004-09-18

Family

ID=2771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219A KR100448926B1 (ko) 2001-08-21 2001-08-21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298A (ko) * 2001-09-05 2003-03-15 최형규 동물용 면역증진 및 정장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217A (ja) * 1993-08-04 1995-02-21 Matsukaade:Kk 抗菌剤
KR19990030815A (ko) * 1997-10-06 1999-05-06 이기영 키틴, 키토산 및 목초액을 함유하는 액상복합비료
KR20000032420A (ko) * 1998-11-14 2000-06-15 한형수 환경친화형 식물 생육향상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217A (ja) * 1993-08-04 1995-02-21 Matsukaade:Kk 抗菌剤
KR19990030815A (ko) * 1997-10-06 1999-05-06 이기영 키틴, 키토산 및 목초액을 함유하는 액상복합비료
KR20000032420A (ko) * 1998-11-14 2000-06-15 한형수 환경친화형 식물 생육향상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580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5944A (en) Antimicrobial grapefruit extract
US9743675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JP2000136140A (ja) 腐植土抽出物質含有水性液
CN1907500A (zh) 二氧化氯消毒剂
US20060075922A1 (en) Controlled-acidity composition
CN113795149B (zh) 官能化二氧化钛的纳米颗粒化合物的各种用途
WO2020180269A1 (en) A multi-purpose antimicrobial composition
JP2004509636A (ja) 食品用水性殺菌/消毒剤
US20020114730A1 (en) Lemon extract and treatment methods
KR100448926B1 (ko)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
JPH08164192A (ja) 植物性の消臭剤
JPH09249886A (ja) 竹酢・木酢液の処理方法
CN1366817A (zh) 竹醋液消毒、杀菌、除臭剂
DE10139162A1 (de) Konservierte Futtermitt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0218093B1 (ko)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
KR20100012713A (ko) 은나노입자와 키토산이 함유된 목재방미제 및 그 제조방법
DE102007037772A1 (de) Antioxidantenkomplex auf Grape Vital Basis (Citrus- und/oder Traubenkern und/oder Flavonoidbasis)
JP2729349B2 (ja) 木酢液の液性安定化方法
KR102577680B1 (ko) 장기안정성이 향상된 이산화염소수의 제조와 이를 이용한 친환경 살균소독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4607B1 (ko) 양어장용 천연 소독제
WO2010084052A2 (en) Use of cationic surfactants as acaricidal agents
Tatenuma et al. A New Iodine-Based Functional Material for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Germicidal Properti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KR20220023274A (ko) 친환경 살균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RU2169012C2 (ru) Способ дезинфекции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объектов
GB2618005A (en) Disinfecting and sanitising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use of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