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762B1 -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762B1
KR100448762B1 KR10-2001-0040654A KR20010040654A KR100448762B1 KR 100448762 B1 KR100448762 B1 KR 100448762B1 KR 20010040654 A KR20010040654 A KR 20010040654A KR 100448762 B1 KR100448762 B1 KR 100448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eat belt
pretensioner
webbing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904A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7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4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04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for producing gas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리트랙터와 분리시켜 프리텐셔너만을 교체하여 비용 절감은 물론 웨빙을 겹쳐지게 감어 감김량을 늘이면서도 빠르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유회전 되는 다수의 로드로 이루어진 제1권취수단(40)에 의해 시트벨트의 웨빙(S)이 다단계로 감기면서 유입되는 고정바디(10)와, 이 고정바디(10)에 동일선 상으로 연결되어 자유회전 되는 다수의 로드로 이루어진 제2권취수단(50)에 의해 시트벨트의 웨빙(S)이 다단계로 감기면서 인출되는 이동바디(20) 및 폭발력에 의해 상기 이동바디(20)를 이동시켜 시트벨트의 웨빙(S)을 감으면서 탑승자를 구속하도록 상기 고정바디(10)의 양 측면으로 구비된 한 쌍의 점화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The free tensioner of an automotive safety bel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시 웨빙을 빠르고 많이 감으면서도 자체만을 별도로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벨트는 자동차가 충돌되는 경우 탑승자를 본래의 위치에 억제시켜 상해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안전장치로서, 허리를 구속하는 랩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를 조합한 3점식 시트벨트가 널리 이용되어 진다.
이러한, 시트벨트에는 통상, 충돌 시 벨트 착용자에 대한 시트벨트의 압박정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리텐셔너가 설치되는데, 이 프리텐셔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센서매스(1)가 이동되어 록킹핀(2)을 해제시키면, 상기 센서매스(1) 상부에 위치한 압축된 압축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4)이 이동되고 시트벨트 버클과 연결된 와이어(5)를 당기게 되어 벨트 착용자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프리텐셔너는 차량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매스와 시트벨트 버클과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피스톤 및 스프링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프리텐셔너의 부피가 크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의 상승과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프리텐셔너는 통상, 리트랙터 일체형으로 되어 웨빙의 감김 길이가 그리 길지 않고 감김작용도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감김 시간이 길고 또한, 프리텐셔너의 고장이나 시트벨트의 교체시에 고가의 프리텐셔너를 함께 교체해야만 되어 비용상승은 물론 자원 낭비적인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리트랙터와 분리시켜 프리텐셔너만을 교체하여 비용 절감은 물론 웨빙을 겹쳐지게 감어 감김량을 늘이면서도 빠르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유회전 되는 다수의 로드로 이루어진 제1권취수단에 의해 시트벨트의 웨빙이 다단계로 감기면서 유입되는 고정바디와, 이 고정바디에 동일선 상으로 연결되어 자유회전 되는 다수의 로드로 이루어진 제2권취수단에 의해 시트벨트의 웨빙이 다단계로 감기면서 인출되는 이동바디 및 폭발력에 의해 상기 이동바디를 이동시켜 시트벨트의 웨빙을 감으면서 탑승자를 구속하도록 상기 고정바디의 양 측면으로 구비된 한 쌍의 점화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고정바디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이동바디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에 구비된 웨빙의 배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가 B 필라부위에 장착된 장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서매스 2 : 록킹핀
3 : 압축스프링 4 : 피스톤
5 : 와이어 10 : 고정바디
11,21 : 하부케이스 11a,12a,21a : 베이스
11a',12a' : 돌출턱 11b,21b,22b : 안착단
11c,21c : 결합단 11d : 개구홀
11e : 부착단 12 :상부케이스
12b : 삽입단 13,13',23,23' : 서포터
13a,23a' : 요홈 13a',23a : 돌출단
13b,13b',13c,13c',13d,13d', 23b,23b',23c,23c',23d,23d': 반구홈
20 : 이동바디 24 : 이동로드
30 : 점화수단 31 : 케이스
32 : 챔버 32a : 신호홀
33 : 인플레이터 33a : 신호선
40 : 제1권취수단
41,42,43,51,52,53 : 제1,2,3로드
41a,42a,43a,51a,52a,53a : 지지단 50 : 제2권취수단
60 : 고정부재
a,a' : 갭 B : B필라
D : 링 S : 웨빙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자유회전 되는 다수의 로드로 이루어진 제1권취수단(40)에 의해 시트벨트의 웨빙(S)이 다단계로 감기면서 유입되는 고정바디(10)와, 이 고정바디(10)에 동일선 상으로 연결되어 자유회전 되는 다수의 로드로 이루어진 제2권취수단(50)에 의해 시트벨트의 웨빙(S)이 다단계로 감기면서 인출되는 이동바디(20) 및, 폭발력에 의해 상기 이동바디(20)를 이동시켜 시트벨트의 웨빙(S)을 감으면서 탑승자를 구속하도록 상기 고정바디(10)의 양 측면으로 구비된 한 쌍의 점화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디(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베이스(11a)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턱(11a')에서 이어져 이동바디(20)의 안착공간을 제외하고 양 측면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그 중앙 부위에 빈 공간이 형성된 안착단(11b)이 구비된 하부케이스(11)와, 일단에 돌출턱(12a')을 형성한 베이스(12a)의 양 측면으로 삽입단(12b)을 돌출 시켜 상기 하부케이스(11)의 안착단(11b)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2), 상기 하부케이스(11)의 안착단(11b)측면으로 폭발력을 발생하는 점화수단(30) 및 상기 상·하부케이스(12,11)의 안착단(11b)과 삽입단(12b)사이에 자유 회전되면서 웨빙(S)을 다단계로 감는 제1권취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1)의 안착단(11b)은 일단의 외측면 부위로 절단되어 점화수단(30)이 결합되면서 이 점화수단(30)의 폭발력을 이동수단(20)에 전달하는 개구홀(11d)과 연통되는 부착단(11e)과,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삽입단(12b)이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결합단(11c) 및, 이 결합단(11c)에 함몰되어 제1권취수단(40)이 자유회전되도록 얹혀지는 서포터(13)가 형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13)는 함몰된 요홈(13a)의 중앙부위와 양 측면으로 각각 제1권취수단(40)이 얹혀지는 반구홈(13b,13c,13d)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안착단(12b)은 하부케이스(11)의 결합단(11c)에 안착되면서 제1권취수단(40)이 자유회전되도록 얹혀지는 서포터(13)와 대응되도록 돌출된 서포터(13')가 형성되되, 이 서포터(13')는 돌출된 돌출단(13a')의 중앙부위와 양 측면으로 각각 제1권취수단(40)이 얹혀지는 반구홈(13b',13c',13d')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반구홈(13b,13c,13d,13b',13c',13d')들은 웨빙(S)의 감김성과 감김량을 높이도록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즉, 중앙의 반구홈(13b,13b')을 기준으로 한쪽의 반구홈(13c,13c')이 높이(L)를 형성하는 반면 이와 반대쪽의 반구홈(13d,13d')이 상대적으로 낮도록 함몰된 높이(L1)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11,12)와 점화수단(30)은 각각 스크류와 보올트와 같은 고정부재(60)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어짐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점화수단(30)은 하부케이스(11)의 부착단(11e)에 고정부재(60)를 매개로 결합되는 케이스(31)와, 이 케이스(31)의 일측면으로 개구되어 안착단(11b)에 형성된 개구홀(11d)과 연통됨과 더불어 외부의 신호선이 연결되도록 신호홀(32a)이 반대쪽으로 연통되는 챔버(32)와, 이 챔버(32)에 수용되어 상기 신호홀(32a)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신호선(33a)의 신호에 의해 폭발력을 발생하는 인플레이터(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인플레이터(33)는 신호선(33a)으로 전송된 전류 신호에 의해 폭발되는 화약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신호선(33a)은 차량의 전방부위나 측면등 충돌이 발생될 수 있는 부위에 구비된 충돌 센서의 신호를 받아 처리하는 ECU에서 제어를 받거나 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 신호 발생시 배터리의 전원을 직접 공급하는 충돌 센서의 신호를 직접 받아 작동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11,12)의 서포터(13,13')에 안착되어 웨빙(S)을다단계로 감도록 자유회전되는 제1권취수단(40)은 상기 서포터(13,13')의 반구홈(13b,13b',13c,13c',13d',13d')에 얹혀지도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지지단(41a,42a,43a)을 일체로 형성한 긴 제1,2,3로드(41,42,43)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3로드(41,42,43)는 그 회전 저항을 저감하도록 서포터(13,13')에 안착되는 지지단(41a,42a,43a)에 베어링이 구비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디(10)의 하부케이스(11)를 이루는 베이스(11a)의 일 측에 장착되어 그 축간거리를 변화시키는 이동바디(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베이스(21a)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턱(21a')에서 이어져 양 측면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그 중앙 부위에 빈 공간이 형성된 안착단(21b)이 구비된 하부케이스(21)와, 일단에 돌출턱(22a')을 형성한 베이스(22a)의 양 측면으로 삽입단(22b)을 돌출 시켜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안착단(21b)부위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22), 상기 상부케이스(22)의 삽입단(22b)측면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1)의 개구홀(11d)을 통해 점화수단(30)부위로 이어지는 이동로드(24) 및, 상기 상·하부케이스(21,22)의 안착단(21b)과 삽입단(22b)사이에 자유 회전되도록 안착되어 웨빙(S)을 다단계로 감는 제2권취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안착단(21b)은 일 단의 외측 면 부위로 절단되어 상기 상부케이스(22)의 삽입단(22b)이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결합단(21c)과, 이 결합단(21c)에 함몰되어 제2권취수단(50)이 자유회전 되도록 얹혀지는 서포터(23)가 형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23)는 돌출된 돌출단(23a)의 중앙부위와 양 측면으로 각각 제2권취수단(50)이 얹혀지는 반구홈(23b,23c,23d)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22)의 안착단(22b)은 하부케이스(21)의 결합단(21c)에 안착되면서 제2권취수단(50)이 자유회전 되도록 얹혀지는 서포터(23)와 대응되도록 함몰된 서포터(23')가 형성되되, 이 서포터(23')는 함몰된 요홈(23a')의 중앙부위와 양 측면으로 각각 제2권취수단(40)이 얹혀지는 반구홈(23b',23c',23d')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반구홈(23b,23c,23d,23b',23c',23d')들은 웨빙(S)의 감김성과 감김량을 높이도록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즉, 중앙의 반구홈(23b,23b')을 기준으로 한 쪽의 반구홈(23c,23c')이 높이(L')를 형성하는 반면 이와 반대쪽의 반구홈(23d,23d')이 상대적으로 낮도록 함몰된 높이(L1')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21,22)는 각각 스크류와 보올트와 같은 고정부재(60)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어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케이스(21,22)의 서포터(23,23')에 안착되어 웨빙(S)을 다단계로 감도록 자유회전되는 제2권취수단(50)은 상기 서포터(23,23')의 반구홈(23b,23b',23c,23c',23d',23d')에 얹혀지도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지지단(51a,52a,53a)을 일체로 형성한 긴 제1,2,3로드(51,52,53)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3로드(51,52,53)는 그 회전 저항을 저감하도록 서포터(23,23')에 안착되는 지지단(51a,52a,53a)에 베어링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리텐셔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의 웨빙(S)은 고정바디(10)의 제1권취수단(40)과 이동바디(20)의 제2권취수단(50)에 서로 엇갈리면서 겹쳐지게 되는데 즉, 상기 고정바디(10)의 상하부케이스(11,12)에 형성된 갭(a)을 통해 유입된 웨빙(S)은 제1권취수단(40)을 이루는 제1로드(41)에서 이동바디(20)의 제2권취수단(50)을 이루는 제2로드(52)에 걸쳐진 후, 상기 제1권취수단(40)의 제3로드(43)에서 제2권취수단(50)의 제1로드(51)에 감겨진 다음, 상기 제1권취수단(40)의 제2로드(42)에서 제2권취수단(50)의 제3로드(53)에 지지되면서 이동바디(20)의 상하부케이스(21,22)에 형성된 갭(a')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리텐셔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B필라(B)부위에 링(D)을 매개로 고정되어 리트랙터(R)로부터 인출되는 시트벨트의 웨빙(S)사이에 구비되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의 충돌시 이를 감지하는 충돌센서나 또는 이 신호를 처리하는 ECU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프리텐셔너를 이루는 점화수단(30)의 케이스(31)에 형성된 챔버(32)내에 구비된 인플레이터(33)가 외부로 연결된 신호선(33a)을 매개로 인가된 전류에 의해 폭발하면서 상기 챔버(32)내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점화수단(30)의 챔버(32)에서 발생된 고압의 가스는 고정바디(10)의 하부케이스(11)에 형성된 개구홀(11d)로 삽입되어 상기 챔버(32)에 이어진 이동바디(20)의 이동로드(24)에 큰 압력을 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이동로드(24)가 하부케이스(11)의 개구홀(11d)로부터 밀려 이동바디(20)를 고정바디(10)와 분리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바디(20)가 고정바디(10)에서 분리되어 이동하게 되면 웨빙(S)이 제1·2권취수단(40,50)에 감겨지게 되는데, 즉 상기 이동바디(20)의 제2권취수단(50)이 이동되면서 고정바디(10)의 제1권취수단(40)에 감겨진 웨빙(S)을 잡아끌게 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권취수단(50)에 감겨진 웨빙(S)이 고정바디(10)의 제1권취수단(40)에 감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바디(20)와 고정바디(10) 사이의 이동된 간격 만큼 이동바디(20)부위의 웨빙(S)이 유입되면서 전체적인 웨빙(S)의 길이를 줄여 탑승자를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웨빙(S)의 감김량은 고정바디(10)와 이동바디(20) 사이의 축간 이동거리에 상기 제1·2권취수단(40,50)을 이루는 로드(41,42,43,51,52,53)에 감겨진 웨빙(S) 겹수에 의하는데 즉, 예를 들어 상기 고정바디(10)와 이동바디(20) 사이의 축간 이동거리가 30mm인 경우 상기 제1·2권취수단(40,50)이 각각 3개의 로드(41,42,43,51,52,53)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따른 웨빙(S)의 겹수는 5개로 되어 결국, 웨빙(S)의 총 감김량은 이동거리인 30mm에다 웨빙(S)겹수인 5를 곱한 150mm 길이를 감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리텐셔너는 이동바디(20)의 이동거리와 제1·2권취수단(40,50)의 로드(41,42,43,51,52,53) 수를 늘이게 되면 웨빙(S)의 감김량도 함께 증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텐셔너는 시트벨트의 웨빙(S)이 감겨진 고정바디(10)와 이동바디(20)가 각각 상·하부케이스(11,12,21,22)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보올트나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60)를 매개로 분해·조립되므로 교체시, 상기 프리텐셔너 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유회전되는 로드를 매개로 시트벨트의 웨빙을 다수 겹으로 감아주면서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할 수 있게 되어 부피를 소형화하면서도 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원가의 저감과 미려한 미관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벨크의 리트랙터와 분리되어 프리텐셔너의 고장이나 시트벨트의 교체시에 고가의 프리텐셔너를 함께 교체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할 수 있어 교체에 따른 비용상승은 물론 자원 낭비를 방지하는 한편, 시트벨트의 웨빙의 감김 길이가 웨빙을 감고 있는 로드의 수를 증가시킴에 의해 함께 증가될 수 있어 웨빙의 감김량의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직선이동에 의해 감김 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져 감김 시간이 상대적으로 감김시간이 짧은 효과가 있게 됨은 물론이다.

Claims (26)

  1. 베이스(11a)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턱(11a')에서 이어져 상기 이동바디(20)의 안착공간을 제외하고 양측면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그 중앙 부위에 빈 공간이 형성된 안착단(11b)을 갖춘 하부케이스(11)와, 일단에 돌출턱(12a')을 형성한 베이스(12a)의 양측면으로 삽입단(12b)을 돌출시켜 상기 하부케이스(11)의 안착단(11b)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2), 상기 하부케이스(11)의 안착단(11b)측면으로 폭발력을 발생하는 점화수단(30) 및, 상기 상·하부케이스(12,11)의 안착단(11b)과 삽입단(12b) 사이에 자유 회전되는 다수의 로드를 갖추고서 웨빙(S)을 다단계로 감는 제1권취수단(40)을 갖춘 고정바디(10)와;
    베이스(21a)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턱(21a')에서 이어져 양측면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그 중앙 부위에 빈 공간이 형성된 안착단(21b)이 구비된 하부케이스(21)와, 일단에 돌출턱(22a')을 형성한 베이스(22a)의 양 측면으로 삽입단(22b)을 돌출 시켜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안착단(21b)부위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22) 및, 상기 상·하부케이스(21,22)의 안착단(21b)과 삽입단(22b) 사이에 자유 회전되는 다수의 로드를 갖추고서 웨빙(S)을 다단계로 감는 제2권취수단(50)을 갖추고서, 상기 고정바디(10)의 하부케이스(11)를 이루는 베이스(11a)의 일 측에 측간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장착된 이동바디(20) 및;
    상기 하부케이스(11)의 부착단(11e)에 고정부재(60)를 매개로 결합되는 케이스(31)와, 이 케이스(31)의 일측면으로 개구되어 안착단(11b)에 형성된 개구홀(11d)과 연통됨과 더불어 외부의 신호선이 연결되도록 신호홀(32a)이 반대쪽으로 연통되는 챔버(32) 및, 이 챔버(32)에 수용되어 상기 신호홀(32a)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신호선(33a)의 신호에 의해 폭발력을 발생하는 인플레이터(33)를 갖추고서, 상기 인플레이터(33)의 폭발력에 의해 상기 이동바디(2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고정바디(10)의 양측으로 구비된 한 쌍의 점화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10)와 이동바디(20) 및 점화수단(30)은 각각 고정부재(60)를 매개로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의 안착단(11b)은 일 단의 외측 면 부위로 절단되어 점화수단(30)이 결합되면서 이 점화수단(30)의 폭발력을 이동수단(20)에 전달하는 개구홀(11d)과 연통되는 부착단(11e)과,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삽입단(12b)이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결합단(11c)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케이스(12,11)의 안착단(12b)과 결합단(11c)에는 웨빙(S)을 감는 제1권취수단(40)이 자유회전 되도록 지지되도록 각각 서포터(13,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13,13')는 결합 시 서로 일치되면서 제1권취수단(40)을 감싸 지지하도록 함몰된 요홈(13a)과 돌출된 돌출단(13a')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요홈(13a)과 돌출단(13a')에는 그 중앙부위와 양 측면으로 각각 제1권취수단(40)이 얹혀져 감싸지는 반구홈(13b,13c,13d,13b',13c',13d')이 형성되고, 상기 반구홈(13b,13c,13d,13b',13c',13d')들은 웨빙(S)의 감김성과 감김량을 높이도록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9. 삭제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홈은 중앙의 반구홈(13b,13b')을 기준으로 한 쪽의 반구홈(13c,13c')이 갖는 높이(L)에 대해 반대쪽의 반구홈(13d,13d')이 상대적으로 낮도록 함몰된 높이(L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2)의 삽입단(22b)측면에는 고정바디(10)의 하부케이스(11)에 형성된 개구홀(11d)을 통해 점화수단(30)부위로 이어지도록 길게 형성된 이동로드(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안착단(21b)은 일단의 외측면 부위로 절단되어 상기 상부케이스(22)의 삽입단(22b)이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결합단(23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케이스(21,22)의 안착단(22b)과 결합단(21c)에는 웨빙(S)을 감는 제2권취수단(50)이 자유회전 되도록 지지되도록 각각 서포터(23,23')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23,23')는 결합 시 서로 일치되면서 제2권취수단(50)을 감싸 지지하도록 함몰된 요홈(23a')과 돌출된 돌출단(23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17. 삭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23a')과 돌출단(23a)에는 그 중앙부위와 양 측면으로 각각 제2권취수단(50)이 얹혀져 감싸지는 반구홈(23b,23c,23d,23b',23c',23d')이 형성되고, 상기 반구홈(23b,23c,23d,23b',23c',23d')들은 웨빙(S)의 감김성과 감김량을 높이도록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19. 삭제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홈은 중앙의 반구홈(23b,23b')을 기준으로 한 쪽의 반구홈(23c,23c')이 갖는 높이(L')에 대해 반대쪽의 반구홈(13d,13d')이 상대적으로 낮도록 함몰된 높이(L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권취수단(40,50)은 상기 서포터(13,13',23,23')의 반구홈에 얹혀지도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지지단(41a,42a,43a,51a,52a,53a)을 일체로 형성한 긴 제1,2,3로드(41,42,43,51,52,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41a,42a,43a,51a,52a,53a)에 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KR10-2001-0040654A 2001-07-07 2001-07-07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KR100448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654A KR100448762B1 (ko) 2001-07-07 2001-07-07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654A KR100448762B1 (ko) 2001-07-07 2001-07-07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904A KR20030004904A (ko) 2003-01-15
KR100448762B1 true KR100448762B1 (ko) 2004-09-16

Family

ID=2771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654A KR100448762B1 (ko) 2001-07-07 2001-07-07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7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904A (ko)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414B2 (en) Gas generator assembly mounting mechanism
EP0984875B1 (en) Buckle pretensioner
US20020043796A1 (en) Seat restraint tensioner
US9162647B2 (en) Pretensioner
WO1999058377A1 (en) Pretensioner
JP2002527281A (ja) シート・ベルト・プレテンショナ
US8840138B2 (en) Pressurized gas release mechanism
US9126555B2 (en) Reduced width linear pretensioner for motor vehicle seatbelt restraint systems
US11766991B2 (en) Seat belt system
JPH0924797A (ja) プリローダ装置
KR100448762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JP2021079918A5 (ko)
KR101316354B1 (ko)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US6017060A (en) Pressure relief plug
CN111114487A (zh) 一种预紧式二级限力卷收器及安全带装置
US6679446B2 (en) Seat belt pretensioner
EP2253518B1 (en) Pre-tensioner arrangement
JP2018001770A (ja) プリテンショナ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CN211642111U (zh) 一种预紧式二级限力卷收器及安全带装置
JP6725341B2 (ja) プリテンショナ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US9994188B1 (en) Gas generating system
JPH0924796A (ja) バックル支持装置
US20180297552A1 (en) Webbing take-up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221192B1 (ko) 시트 벨트용 프리텐셔너
CN210554667U (zh) 安全带预紧器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