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611B1 - 고착수단에 자성물질을 적용한 유아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고착수단에 자성물질을 적용한 유아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611B1
KR100447611B1 KR10-2001-0076577A KR20010076577A KR100447611B1 KR 100447611 B1 KR100447611 B1 KR 100447611B1 KR 20010076577 A KR20010076577 A KR 20010076577A KR 100447611 B1 KR100447611 B1 KR 100447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waist region
magnetic material
diap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142A (ko
Inventor
김상경
정대붕
윤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1-007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6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기저귀의 체결수단에 자성물질을 적용하여 이를 수회에 반복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아용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접착식 체결수단에 비하여 재탈착이 용이하고 쉽게 오염되지 않으며, 또한 종래의 루프나 후크의 구조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에 비하여 소음이 없고 반복고착이 용이한, 고착수단에 자성물질이 적용된 유아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착수단에 자성물질을 적용한 유아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of fastening closure system with magnetic material}
본 발명은 유아용 기저귀 제품에 있어서 체결시스템의 고착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보다 탈착과 부착이 쉬우며 재사용 시에도 고착력에 영향이 없도록 고착수단에 자성물질이 적용된 유아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기저귀은 보통 30개월 이하의 유아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하는 체액을 흡수하는 제품, 즉 오줌, 대변을 흡수하는 제품으로 보호자가 유아에게 착용하는 것을 말한다.
유아용 기저귀, 특히 일회용 기저귀의 구성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이들 사이에 개제하여 착용자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제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필수적으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데 착용자의 허벅지 부분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배설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최종적으로 막아주며, 외관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응가밴드(Barrier cuff), 또한 옆샘을 방지하기 위해 다리탄성체(Leg elastic), 허리부분의 착용감 향상을 위한 허리밴드(Waist band)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착용자의 체형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시스템(Closure system)으로 구성된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는 유아용 기저귀에 의해 흡수된 체액이 흡수제 밑으로 새어나와 착용자의 의복이나 주변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폴리에틸렌 필름을 주로 사용하고, 폴리에틸렌 필름에 부직포를 접착하여 소재의 부드러움성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액체투과성 상부시트는 체액이 흡수체로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합성 부직포 또는 구멍이 형성된 필름이 사용된다. 합성 부직포는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을 빨리 전달하기 위하여 통상 소수성 섬유에 친수성처리를 하여 사용한다.
유아용 기저귀의 흡수체는 통상적으로 솜털 펄프(Fluff pulp),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 및 티슈(Tissue)등으로 이루어지며, 액체 불투과성 상부시트(Top sheet)를 통과하는 배설물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고 흡수된 배설물이 다시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된 배설물을 보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흡수체에는 탈취제와 같은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보호를 위한 통상의 피부 보호제 등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아용 기저귀는, 신체에 착용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 및 전면 체결수단(Landing zone)으로 구성된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 소재들은 고온 용융 접착제, 열 융착 또는 다른 접착방법에 의해접착 고정시킨다.
유아용 기저귀의 기술은 생리적 작용에 분사되는 체액을 흡수 속도 및 흡수력의 관점에서의 기본성능에 관해서 사용자의 불편함이 없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유아용 기저귀은 기본 성능 충족을 위해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기술발전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흡수체를 보다 얇게 만든 초박형의 유아용 기저귀이 나타나게 되었다. 초박형 유아용 기저귀을 만들 수 있는 쉬운 방법으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솜털 펄프의 양을 적게 사용하고, 고흡수성 수지(SAP)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유아용 기저귀에서 체결수단으로서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이었다. 이 접착테이프는 사용시 유아용 기저귀이 착용자가 쉽게 고착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사용하는 도중 테이프 탭상에 위치한 접착제와 접촉하는 오일 및 베이비 파우다(Baby powder)등과 같은 분말에 의해 쉽게 오염되어 접착제가 효과적으로 체결되기에 충분한 강도로 흡수 제품에 고착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일회용 흡수체를 사용하면서 배설되었는지를 확인하거나, 처음에 제대로 고착을 시키지 않았을 때 올바른 위치를 찾기 위해 몇번의 탈착을 반복하거나 제1고착부재가 제2고착부재(Landing zone)에 고착되지 않고 그 외부 즉,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에 접착되었을 경우 배면 시트를 떨어지게 하거나 찢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면 시트에 구멍이 생기게 할 수 있고 일회용 제품을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만들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화가 되어 고착능력이 떨어져 체결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오일 및 분말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으며, 재고착시키기에 보다 간편하고, 흡수제품 또는 고착 시스템을 떼어낸 후에 수회의 반복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고착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유아용 기저귀에 체결시스템으로 사용되었던 접착테이프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그동안 여러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면 후크(hook) 및 루프(loop) 형태의 기계적 고착재는 통상적으로 오일 및 베이비파우다 등의 분말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으며 접착테이프 시스템에 비해 재고착시키기에 보다 간편한 고착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후크(hook) 및 루프(loop)형태의 기계적 고착재는 재탈착을 반복하면 고분자(Polymer) 부직포 혹은 직포로 구성된 루프의 화이버(Fiber)가 후크에 붙어서 엉겨져 나와 보푸라기를 발생시킨다든지 후크를 루프에 고착시킬 때에도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다 큰 문제는 탈착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해 유아인 착용자가 놀라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고착 수단의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쉽게 오염이 되지 않으며, 재고착이 간편하여 고착 수단을 떼어낸 후에 수회의 반복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고착수단에 자성물질이 적용된 유아용 기저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기저귀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저귀를 뒤 부분에서 착용전에 본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저귀의 착용모양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고착부재의 다른 응용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고착부재의 다른 응용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고착부재의 또 다른 응용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착부재의 표면처리에 관한 응용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흡수체 2 : 부직포
3 : 방수필름 4 : 배면시트
5 : 응가밴드 6 : 솜털펄프
7 : 고흡수성 수지 8 : 상부시트
9 : 응가밴드 탄성체 10 : 티슈
11 : 다리밴드 12 : 앞 허리밴드
13 : 뒤 허리밴드
14 : 테이프 탭 혹은 제1고착부재 캐리어
15 : 제1고착부재 16 : 제2고착부재
17 : 손잡이 탭 18 : 종방향 가장자리
19 : 제 1 허리영역 말단 가장자리
20 : 제 2 허리영역 말단 가장자리
21 : 제 1 허리영역 22 : 제 2 허리영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착 수단으로 서로 다른 비대칭의 위치에 있으며 착용 시 착용자의 전면에서 서로 체결되어 위치하게 되는 2개 이상의 제1고착부재와 한개 이상의 제2고착부재에 자성물질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유아용 기저귀은 본 발명의 마그네트 성분이 포함된 제2고착부재(Landing zone, 16)가 있는 제2허리영역(22)과 가랑이 부분, 그리고 마그네트 재질로 구성된 제1의 고착부재(15)가 설치되는 제1허리영역(21)으로 구분된 모래시계 형태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가랑이 부분에서 I-I'선으로 절단한 단면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유아용 기저귀를 뒤 부분에서 본 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뒤부분 제2허리영역(22)에 제2고착부재(16)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유아용 기저귀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제1고착부재(15)와 제2고착부재(16)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5도는 제1도의 유아용 기저귀에 적용된 제1고착부재(15)에 대한 새로운 응용을 보여주고 있다.
제6도 및 제7도는 제3도에서 보여주고 있는 제2고착부재(16)에 대한 새로운 응용을 보여주고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유아용 기저귀의 제1고착부재와 제2고착부재에 적용될 수 있는 표면 처리 형태의 한 응용을 보여주고 있다. 제1고착부재는 볼록 형태이며 제2고착부재는 오목 형태로 구성되어 두 부분이 맞물려 고착되게 된다.
본 발명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이 배면시트는 일반적으로 부직포(2)와 방수필름(3)으로 구성된다)와 액체투과성 상부시트(7) 사이에 흡수체(1)를 삽입시켜 고온 용융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며, 흡수체(1) 외측의 좌우측에 샘방지 수단으로 응가밴드(4)를 형성하여 흡수체(1)로부터 이탈되는 체액을 일차적으로 가두는 포켓(Pocket)을 형성한다.
그러나 흡수체(1) 및 응가밴드(4)를 이탈한 체액은 샘 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리밴드(19)에 의한 이차적인 포켓(Pocket)을 형성하여, 유아용 기저귀를 아기 체형에 보다 더 밀착시켜 샘 발생 가능성을 억제하기도 한다.
유아용 기저귀은 아기 몸에 착용시킨 후 착용시킨 흡수제품이 아기 몸에서 일정형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과 허리밴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유아용 기저귀은 체결수단에 마그네트(Magnet)재질을 적용한 것으로 기존에 적용되었던 접착테이프나 후크와 루프를 사용하는 기계적 고착 수단의 단점을 더욱 개선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그네트(자석, Magnet)는 1820년 경에 인공 마그네트가 만들어진 이후로 급속하게 개발되어 졌다. 1800년대 중반에 페러데이가 전자 유도의 법칙을 발견한 이래, 마그네트는 방위를 알기 위한 도구에 머물지 않고 전자 에너지, 운동에너지의 발생근원이 된다는 것을 알고, 이후 마그네트의 유용성이 인정된 것이다. 마그네트 재료도 크롬강철, 텅스텐 강철등이 사용되게 되고, 마침내 1916년 일본 혼다 고타로 박사들에 의해 KS강철이 발명되었다. 그 이후에 MK강철, NKS강철이 연이어 개발되었고 가토여고로, 타케이타케이시양 박사에 의해 개발된 OP마그네트는 금속의 산화물의 가루를 도자기와 같이 구어 만든 마그네트였다. 이것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는 페라이트 마그네트의 기초가 되었다고 한다.
마그네트에는 아르니코마그네트, 페라이트 마그네트, 회토류 마그네트, 고무 마그네트, 프라스틱 마그네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아용 기저귀에는 여러 마그네트가 그 유용성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재료의 자기적 성질은 재료내의 전하에 의해 결정되는데, 재료내의 전하가 외부에서 전압을 인가시 재료내에서 자기쌍극자(Magnetic-dipole)를 이루면서 자기적 성질을 갖게 된다. 또한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이들 자기 쌍극자가 외부 자기장에 따라 배열되고 이 외부자기장을 제거한 후에도 특성이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재료특성을 가지는 것을 강자성체라고 하며, 다른 말로는 영구자석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유아용 기저귀의 고착 수단에는 영구자석을 기본으로 마그네트 응용물질을 적용한다.
마그네트의 일반적인 성질은 N극과 S극이 있고 서로 다른 극끼리는 끌어당기며, 같은 극끼리는 당기는 성질이 있고, 또한 마그네트는 그 크기를 줄여도 반드시 N극과 S극이 항상 존재하게 되며 마그네트 외에도 자성체의 금속(철(Fe), 니켈(Ni), 코발트(Co))등이 붙는 성질이 있다. 마그네트는 자극으로부터 자력선이 나오고 있고 이 자력선은 아무리 사용해도 기본적으로는 감소하지 않으며, 자력선은 비자성체를 투과하게 된다.
유아용 기저귀의 고착수단은 주로 유아용 기저귀의 앞부분 즉 제2허리영역(22)에 한개 이상의 제2고착부재(16)를 형성하며, 이 제2고착부재를 랜딩부재(Landing member)라 한다. 그리고 유아용 기저귀의 제1허리영역에 제2고착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두개 이상의 제1고착부재(15)를 형성하여 흡수제품이 옆부분에서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제1고착부재(15)는 스스로 지지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테이프 탭(14)에 지탱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테이프 탭(14)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일정 수치 이상의 탭 스스로의 유지력이 있어야 하며, 고분자 화이버(Polymer fiber)로 구성된 부직포로 되어 있는 재질 표면에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혹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라미네이트 (Laminate)시킨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만으로 이루어진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부드러운 느낌은 사용자가 덜 받지만 공정상 단순화 혹은 원재료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체는 제1고착부재(15)에 마그네트를 부착하고, 또한 제2고착부재에도 제1고착부재(15)를 고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제1고착부재(15)에 마그네트 성분을 부여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자성 성분을 가진 물질을 스프레이(Spray)방식으로 분사시켜 접착시키거나 고무마그네트와 같은 형태로 제1고착부재 역할을 수행할 만큼의 면적으로 판넬(Pannel)방식으로 전면 접착하는 방식이 있다.
고무마그네트는 탄성력과 유연성이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성형이 가능하고 무게도 가벼울 뿐만 아니라 원재료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고무마그네트는 페라이트(Ferrite)마그네트의 일종으로 주원료인 산화철에 고무 원료를 섞어 성형을 하면 고무마그네트가 된다. 이때 플라스틱 원료를 섞으면 플라스틱(Plastic)마그네트가 된다. 고무마그네트를 자력을 나타낼 수 있는 만큼의 두께로 고온 용융접착제 혹은 용액접착제를 이용해 부착한다. 그리고 테이프 탭(14)끝 부분에 10mm이내로 손잡이 탭(Finger tab, 17)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체결 혹은 탈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제2고착부재(16)도 제1고착부재(15)에 서로 상용성(Compatibility)이 있도록 자성을 가진 물질을 적용한다. 제2고착부재(16)도 자성성분을 가진 물질을 스프레이(Spray)방식으로 분사시켜 접착시키거나 고무마그네트와 같은 형태로 제2고착부재(16) 역할을 수행할 만큼의 면적으로 판넬(Panel)방식으로 전면 접착하는 방식이 있다. 이때 제2고착부재는 상대적으로 제1고착부재보다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전면으로 자성성분을 부착하기도 하지만 블록(Block)형태로 부착시켜도 무방하다.
이 때, 제1고착부재(15)와 제2고착부재(16)에 판넬(Panel)형태로 적용된 마그네트는 매끄러운 상태로 적용될 수도 있지만 옆으로 당김힘(Shearing Strength)을 강화시키고 표면적을 넓혀서 고착성을 강화하기 위해 요철상태로 적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하나의 본 발명의 유아용 기저귀에 마그네트 체결 시스템 적용방법으로는 자성의 물질을 인쇄하는 방법이다. 자성물질에 인쇄를 하기 용이하도록 기타 물질을 첨가하여 인쇄를 시키는 방법이다. 본 방법은 마그네트 성질과 인쇄모양을 한꺼번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제2고착부재(16)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고착부재(15)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리밴드는 유아용 기저귀의 제1허리영역(21)과 제2허리영역(22) 말단에 탄성체를 접착하여 형성하며, 길이는 두 부분이 같을 수도 있고 기능의 특성상 제1허리영역 부분이 더 길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허리밴드는 주로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 foam),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폴리에틸렌 필름(Polyethylene film)으로 구성되어지는데, 또다른 방식은 허리밴드는 폴리우레탄 탄성체 혹은 탄성실이 사용되며, 탄성실에는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Natural rubber)를 사용한다. 탄성실은 일정 평량 이상의 부직포 재질에 의한 고착재 위에 고온 용융 접착제등으로 접착되어지며 탄성 판넬(Panel)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흡수체, 체결수단 및 착용감을 주기위한 탄성체 부위를 포함한 통상의 유아용 기저귀에 있어서 제2허리영역(22)에는 허리밴드로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재질을 사용하여 흡수제품의 중앙부위에서 유아용 기저귀의 종측 중심선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적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종류의 마그네트 중에서 가공성이 용이한 고무마그네트를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제1고착부재(고무마그네트, 13mm)가 부착되어 있는 폭이(통상적으로 종방향 중심선에서 수직) 70mm의 테이프 탭(13)을 20mm는 유아용 기저귀 종방향 가장자리에 20mm정도 겹쳐지도록 설치한다. 테이프 탭(13)의 길이(통상 종방행 중심선에서 평행)는 40mm로 설정한다. 물론 테이프 탭(14)위에 부착되어 있는 제1고착부재의 길이도 40mm이다. 이때 손잡이 탭(Finger tab)은 7mm가 형성된다.
테이프 탭은 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라미네이트 되어 있는 재질로 제1고착부재(15)가 고온 용융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으며 손잡이 탭(17) 부분이 형성되도록 한다. 테이프 탭(14)은 일반적인 테이프 제조회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형태 유지를 위한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이때 테이프 탭은 일반적으로 탄성이 없으나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탄성이 부여되기도 한다.
그리고 제2허리영역(22)에 제2고착부재(16)인 랜딩 부재(Landing member)가 부착되어 있다. 이 제2고착부재(16)는 제1고착부재(15)와의 상용성 (Compatibility)이 있도록 고무마그네트를 부착하여 접착과 탈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제2고착부재(16)는 길이(통상적으로 종방향에 중심선에서 평행)는 50mm이고폭(통상적으로 종방향 중심선에서 수직)은 200mm이다.
<비교예 1>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흡수체, 체결수단 및 착용감을 주기 위한 탄성체 부위를 포함한 통상의 유아용 기저귀에 있어서 제1허리영역과 제2허리영역에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유아용 기저귀에 있어서 제1허리영역과 제2허리영역에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허리밴드를 설치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고착부재를 접착식 고착 수단으로 설치한다. 그러므로 제1고착부재는 점착제가 적용되며, 따라서 제2고착부재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으로 되어 있는 실리콘으로 코팅이 되어 있는 비닐 타입을 사용한다. 나머지 재질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유아용 기저귀의 실제 착용 만족도 조사는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소비자 실사용 평가
(1) 평가기준 : 허리부분의 사용만족도(고착능력)를 3점 검정법에 의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유아용 기저귀를 사용해 보니 사용 만족도가 아주 좋다.
(±) : 유아용 기저귀를 사용해 보니 사용 만족도가 좋다.
(-) : 유아용 기저귀를 사용해보니 사용만족도가 좋지 않다.
(2) 평가방법: 소비자들이 실제 사용해 보고 유아용 기저귀의 고착에 대한 편리성 및 고착능력에 대한 정도를 평가하였다. 본 평가에서는 아기의 몸무게가 10 내지 15Kg인 아기만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3) 판정은 (+)가 90%이상인 경우를 "아주 우수"로, 80%이상인 경우를 "우수"로, 70%이상인 경우를 "보통"으로 하여 판정하였다.
구분 사용만족도 판정
±
비교예1 73 10 17 보통
실시예1 90 2 8 아주우수
상기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품과 통상적인 공지의 유아용 기저귀인 비교예 1에 대하여 실제 소비자 테스트에서도 본 발명의 유아용 기저귀 실시예 1의 제품이 공지의 유아용 기저귀인 비교예 1보다 사용 만족도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기저귀는, 사용자가 기저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기존 고착 수단이 가지고 있던 고착능력, 반복 고착력, 소음(noise)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존의 고착 수단에 사용되지 않는 새로운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외관 및 기능상 개선에 더욱더 효과적이며 실제 유용효과가 뛰어난 유아용 기저귀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효과로는 마그네트(Magnet)가 N, S의 자기를 가지고 있고 다른 물질을 흡인하는 힘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건강증진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상기 상부시트 및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제1허리영역과 제2허리영역이 있으며;
    필수적으로 탄성체를 포함하며;
    또한 제1허리영역에 흡수제품을 폐쇄시키기 위한 2개 이상의 제1고착부재를 포함하는 고착수단을 포함하고 제2허리영역에 제1고착부재와 결합하고자 하는 한개 이상의 제2고착부재인 랜딩부재(Landing member)를 적용하며;
    제1고착부재와 제2고착부재에 자성을 지닌 물질을 적용하여 제1고착부재와 제2고착부재가 자력을 통해 착용시 착용자의 전면에 위치되어 고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기저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착부재의 자성물질이 판넬(Panel) 형태이거나, 또는 분말상의 자성물질을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아용 기저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착부재의 자성물질이 판넬(Panel)형태이거나 스프레이(Spray)방식,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판넬(Panel)형태로 분포되어 블록(Block)형태로 적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아용 기저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착부재와 제2고착부재가 자성인쇄 형태로 적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아용 기저귀.
  5.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상기 상부시트 및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제1허리영역과 제2허리영역이 있으며;
    필수적으로 탄성체를 포함하며;
    또한 제1허리영역에 흡수제품을 폐쇄시키기 위한 2개 이상의 제1고착부재를 포함하는 고착수단을 포함하고 제2허리영역에 제1고착부재와 결합하고자 하는 한개 이상의 제2고착부재인 랜딩부재(Landing member)를 적용하며;
    제1고착부재에 자성의 물질을 적용하면 제2고착부재는 자성의 물질에 부착되는 물질이 적용하여 제1고착부재와 제2고착부재가 자력을 통해 착용시 착용자의 전면에 위치되어 고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기저귀.
  6.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상기 상부시트 및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제1허리영역과 제2허리영역이 있으며;
    필수적으로 탄성체를 포함하며;
    또한 제1허리영역에 흡수제품을 폐쇄시키기 위한 2개 이상의 제1고착부재를 포함하는 고착수단을 포함하고 제2허리영역에 제1고착부재와 결합하고자 하는 한개 이상의 제2고착부재인 랜딩부재(Landing member)를 적용하며;
    제2고착부재에 자성의 물질을 적용하면 제1고착부재는 자성의 물질에 부착되는 물질이 적용하여 제1고착부재와 제2고착부재가 자력을 통해 착용시 착용자의 전면에 위치되어 고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기저귀.
KR10-2001-0076577A 2001-12-05 2001-12-05 고착수단에 자성물질을 적용한 유아용 기저귀 KR10044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577A KR100447611B1 (ko) 2001-12-05 2001-12-05 고착수단에 자성물질을 적용한 유아용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577A KR100447611B1 (ko) 2001-12-05 2001-12-05 고착수단에 자성물질을 적용한 유아용 기저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142A KR20030046142A (ko) 2003-06-12
KR100447611B1 true KR100447611B1 (ko) 2004-09-07

Family

ID=2957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577A KR100447611B1 (ko) 2001-12-05 2001-12-05 고착수단에 자성물질을 적용한 유아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6876B2 (en) 2005-06-21 2013-10-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articles of commerce comprising a magnetic memb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507U (ja) * 1993-03-16 1994-09-27 あさ乃 北岡 磁力嵌着ホック
US5545157A (en) * 1994-04-20 1996-08-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anty shield
KR19990077692A (ko) * 1998-03-09 1999-10-25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일회용 기저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507U (ja) * 1993-03-16 1994-09-27 あさ乃 北岡 磁力嵌着ホック
US5545157A (en) * 1994-04-20 1996-08-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anty shield
KR19990077692A (ko) * 1998-03-09 1999-10-25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일회용 기저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142A (ko)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11576B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unitary leg gathers
JP4685160B2 (ja) 改善された引き裂き抵抗及び柔軟性を有する吸収性物品
AU702072B2 (en) Process for making an absorbent article having inflected barrier leg cuff
EP2376046B1 (en) Two-piec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JP2672866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US20020151858A1 (en) Absorbent articles for various torso sizes
CZ289461B6 (cs) Jednorázový absorpční výrobek
PL201897B1 (pl) Wyrób chłonny
US6235011B1 (en) Three-piece tape landing zone for diapers
US5558662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ttachment mechanism and a method of attaching
JP7422259B2 (ja) 吸収性物品
US6645188B2 (en) Absorbent article
EP1142547A1 (en) Absorbent articles for various torso sizes
KR100447611B1 (ko) 고착수단에 자성물질을 적용한 유아용 기저귀
US20020091369A1 (en) Absorbent article
JP3565995B2 (ja) 使い捨ておむつ
EP1317235B1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waist belt
EP1274380B1 (en)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y-shaped means
JPH1028703A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6096847A (ja) 吸収性物品
JPH1028704A (ja) 使い捨ておむつ
JPH1057414A (ja) 使い捨ておむつ
JP6913131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0258021B1 (ko) 휨 탄성 부재를 삽입한 일회용 흡수제품
KR100416417B1 (ko) 허리밴드를 확장시킨 체결구조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