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936B1 -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936B1
KR100446936B1 KR10-2002-0014568A KR20020014568A KR100446936B1 KR 100446936 B1 KR100446936 B1 KR 100446936B1 KR 20020014568 A KR20020014568 A KR 20020014568A KR 100446936 B1 KR100446936 B1 KR 100446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rtial
variable
information
variabl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722A (ko
Inventor
안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힐
Priority to JP200257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4534433A/ja
Priority to EP02707323A priority patent/EP1374590A1/en
Priority to US10/472,682 priority patent/US20040117854A1/en
Priority to PCT/KR2002/000511 priority patent/WO2002078344A1/en
Priority to CNA028072510A priority patent/CN1500352A/zh
Publication of KR2002007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다르게 재생되는 가변 영상을 제작하는 가변 영상 제작 모듈과, 상기 가변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제공하는 가변 영상 전송 모듈과,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상이한 부분 영상을 재생하는 가변 영상 재생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이 가변되도록 하여 재생되는 영상에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고, 가변 영상을 사용자의 e-메일, PDA,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발신자의 의사전달을 보다 흥미롭고 재미있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Processing method for moving picture responding to the user's action}
본 발명은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제작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이를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재생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영상처리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현재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해 종래에는 불가능했던 대용량 사이즈의 동영상 데이타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멀티미디어적 요소를 포함한 데이타를 효과적으로 제작, 전송 및 재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경쟁적으로 수없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동영상 관련 기술은 영상 캡춰수단에 의해 캡춰된 영상을 소정의 방식에 따라 압축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이를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스트림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하면,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동영상 재생 소프트웨어가 이를 압축해제하여 재생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종래의 동영상 관련기술은 상기 압축방식, 전송방식, 재생방식 및 동영상 제공방식 등의 차이에 따라 그 기술이 조금씩 상이하였으나, 고정된 방식의 동영상, 즉, 동영상을 제공받는 각 사용자의 행동에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재생되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고정된 방식의 동영상 기술과 달리 최근 소설이나 영화의 줄거리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단계별로 상황전개나 등장인물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구성이나 결말이 달라지는 디지털 영화 또는 소설이 인터넷 환경에서 등장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영화나 소설은 이야기의 진행이나 제작자의 편의에 따라 단계가 구분되고, 특정 단계에 이르면 반드시 다음 단계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성이나 결말이 달라지는 다양성을 가지나, 이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 TV와 같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반영한 시스템의 경우에 방송되는 프로그램내에서 특정 대상물과 연계된 특정 컨텐츠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 사용자 마다 다르게 제공되는 기술도 있으나, 이 역시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방송내용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었다.
한편, 실제 상황을 모의하여 점검하거나 교육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각종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경우엔 사용자의 행동을 사전에 고려하여 사용자의 행동 양식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하도록 프로그램함으로써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동작의 다양성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사용자의 행동 양식에 따른 동작의 다양성에 대한 원리를 동영상 처리 기술에 접목하여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상이하게 재생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다양한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동영상의 제작, 전송 및 재생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재생되는 영상에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e-메일, PDA,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를 통해 가변 영상을 전송하여 수신자인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발신자의 의사전달을 보다 흥미롭고 재미있게 구현할 수 있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은 영상 수신자의 예상되는 행동을 분석하는 예상 행동 분석단계와; 상기 예상 행동 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된 예상 행동 종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부분 영상을 생성하는 부분 영상 생성단계와; 상기 부분 영상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각 부분 영상의 재생 정보를 설정하는 재생 정보 설정단계와; 상기 부분 영상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부분 영상과 재생 정보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재생 정보를 조합하여 가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성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영상 제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은 상기 가변 영상 제작 모듈이 상기 부분 영상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각 부분 영상에 소정의 콘텐츠를 합성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컨텐츠 합성 정보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합성단계가 상기 컨텐츠 합성 정보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 합성정보를 더 조합하여 가변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가변 영상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가변 영상 선택정보 수신단계와; 상기 가변 영상 선택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선택된 가변 영상의 각 부분 영상에 합성될 컨텐츠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선택정보 수신단계와; 상기 해당 가변 영상의 각 부분 영상에 상기 컨텐츠 선택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단계와; 상기 영상 합성단계에 의해 합성된 영상 또는 이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영상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은 상기 가변 영상 전송 모듈이 가변 영상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는 가변 영상 수신자 정보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은 가변 영상으로부터 각 부분 영상과 각 부분 영상에 대한 재생 정보를 분리하는 영상 분리단계와; 상기 영상 분리단계에 의해 분리된 재생 정보에 포함된 최초 재생될 부분 영상을 재생하는 제 1 재생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소정 행동이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재생 정보로부터 해당 행동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행동 비교 단계와; 상기 행동 비교 단계에 의해 해당 행동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이 존재한다 판단될 경우 해당 부분 영상을 재생하는 제 2 재생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영상 재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은 상기 가변 영상 재생 모듈이 서버로부터 가변 영상 또는 이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는 가변 영상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의 가변 영상 제작 모듈에 대한 흐름도
도 2 는 도 1 의 제작 모듈에 의해 제작된 가변 영상의 구성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의 가변 영상 전송 모듈에 대한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의 가변 영상 재생 모듈에 대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의 가변 영상 제작 모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의 가변 영상 제작 모듈은 예상 행동 분석단계(S110)와, 부분 영상 생성단계(S120)와, 재생 정보 설정단계(S130)와, 컨텐츠 합성 정보 설정단계(S140)와, 영상 합성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예상 행동 분석단계(S110)는 영상 수신자의 예상되는 행동을 분석한다. 영상의 종류에 따라 이를 재생하여 시청하는 사용자의 행동은 상이하다. 따라서, 예상 행동 분석단계(S110)는 각 영상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행할 수 있는 예상 행동들을 분석한다.
상기 부분 영상 생성단계(S120)는 상기 예상 행동 분석단계(S110)에 의해 분석된 예상 행동 종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부분 영상을 생성한다. 즉, 이 부분 영상 생성단계(S120)는 영상의 종류에 따라 분석된 다수의 예상 행동 각각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각 부분 영상은 계획된 하나의 영상을 사용자의 행동이나 전체 영상의 진행을 고려하여 분할한 일종의 장면이다. 이러한 부분 영상은 영상 캡춰 수단에 의해 캡춰된 실제 영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행동을 고려한 전체 실제 영상을 모두 제작하는 것이 현실적으로는 상당히 많은 작업을 요하므로 대안적으로 영상 캡춰 수단에 의해 캡춰된 실제 영상의 일부분을 또 다른 실제 영상으로 합성한 영상이나 영상 캡춰 수단에 의해 캡춰된 실제 영상의 일부분을 그래픽 영상으로 합성한 영상 또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재생 정보 설정단계(S130)는 상기 부분 영상 생성단계(S120)에 의해 생성된 각 부분 영상의 재생 정보를 설정한다. 이 재생 정보 설정단계(S130)는 수신자의 행동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부분 영상을 선택적으로 재생하도록 설정한다. 즉, 이 재생 정보 설정단계(S130)에 의해 설정되는 재생 정보는 사용자의 행동에 대응하여 어떠한 부분 영상이 재생될 것인가에 대한 설정을 포함하며, 각 부분 영상중 최초로 재생되어야할 영상에 대한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합성 정보 설정단계(S140)는 부가적인 단계로, 상기 부분 영상 생성단계(S120)에 의해 생성된 각 부분 영상에 소정의 콘텐츠를 합성하는 정보를 설정한다. 즉, 상기 각 부분 영상에는 부분 음향, 부분 향기, 부분 텍스트, 부분 그래픽 등과 같은 각종 컨텐츠가 합성될 수 있어 부분 영상 재생시 특정 향기, 특정 음향, 특정 메시지, 특정 그림이 동시에 재생되도록 한다. 상기 부분 음향은 부분 영상에 합성되는 음향 데이타이고, 상기 부분 향기는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된 향기 발생 장치의 향기 제어 정보로 상기 부분 영상에 합성되며, 상기 부분 텍스트는 부분 영상에 합성되는 텍스트이고, 부분 그래픽은 부분 영상에 합성되는 그래픽 이미지이다.
상기 영상 합성단계(S150)는 상기 부분 영상 생성단계(S120)에 의해 생성된 부분 영상과 재생 정보 설정단계(S130)에 의해 설정된 재생 정보를 조합하거나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컨텐츠 합성 정보 설정단계(S140)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 합성정보를 더 조합하여 가변 영상을 생성한다.
도 2 는 상기 도 1 의 제작 모듈에 의해 제작된 가변 영상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하나의 가변 영상은 다수의 부분 영상(1, 2, 3 ... n)을 포함하며, 각 부분 영상을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재생되도록 하는 각 부분 영상에 대한 제어정보(1a, 2a, 3a ... (n-1)a)를 포함하는 재생 정보를 포함하고, 각 부분 영상에 합성되어 재생될 다수의 컨텐츠(1b, 2b, 3b ... nb)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각 컨텐츠가 각 부분 영상에 합성되는 제어정보(1c, 2c, 3c ... nc)를 포함하는 컨텐츠 합성정보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 합성단계(S150)에 의해 각 부분 영상과 재생정보 및 컨텐츠 합성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도 2 에 도시한 바와같은 최종의 가변 영상이 완성되며, 이 가변 영상은 CD 등의 저장매체 또는 통신매체를 통해 온/오프 라인상에서 사용자에게 배포된다. 이 가변 영상 재생시 사용자의 특정 행동에 따라 가변적으로 각 부분 영상이 재생되므로 사용자는 현실감을 느끼게 되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의 가변 영상 전송 모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의 가변 영상 전송 모듈은 가변 영상 선택정보 수신단계(S210)와, 가변 영상 수신자 정보 수신단계(S220)와, 컨텐츠 선택정보 수신단계(S230)와, 영상 합성단계(S240)와, 영상 전송단계(S2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변 영상 전송 모듈은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상에서 제공되며, 소정의 인증절차를 걸쳐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요청에 따라 가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가변 영상 선택정보 수신단계(S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가변 영상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한다. 즉, 가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다양한 종류의 가변 영상을 제공하며,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쳐 이 가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이용해 전송하길 원하는 가변 영상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가변 영상 선택정보 수신단계(S21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가변 영상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가변 영상 수신자 정보 수신단계(S220)는 가변 영상 수신자 정보를 수신한다. 이 단계는 부가적인 단계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가변 영상을 수신할 수신자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는 가변 영상을 자신 또는 제 3 자에게 전송 가능하다.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컴퓨터로 전송할 경우에는 특별히 가변 영상 수신자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가변 영상을 자신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수신하여 재생 가능하다. 그러나, 제 3 자에게 전송할 경우에는 가변 영상을 수신할 제 3 자에 대한 가변 영상 수신자 정보가 필요하며 상기 가변 영상 수신자 정보 수신단계(S220)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영상 수신자 정보를 서버가 수신한다.
상기 영상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의 e-메일 주소, 수신자 PDA의 IP 주소,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IP 주소, 수신자 컴퓨터의 IP 주소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따라서 제 3 자인 수신자는 자신의 e-메일, PDA,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를 이용해 가변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재생하여 시청하게 된다.
상기 컨텐츠 선택정보 수신단계(S230)는 상기 가변 영상 선택정보 수신단계(S220)에 의해 선택된 가변 영상의 각 부분 영상에 합성될 컨텐츠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한다. 즉,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이용해 자신이 선택한 가변 영상의 각 부분 영상에 합성될 컨텐츠를 선택하고, 서버는 이 선택정보를 컨텐츠 선택정보 수신단계(S230)를 통해 수신한다. 물론, 상기 가변 영상에 컨텐츠를 합성하지않고 가변 영상 자체만 전송해도 무방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한편, 상기 컨텐츠는 부분 음향, 부분 향기, 부분 텍스트, 부분 그래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가변 영상 재생시 재생되는 해당 부분 영상에 특정 향기, 특정 음향, 특정 메시지, 특정 그림이 동시에 재생되게 된다.
상기 영상 합성단계(S240)는 상기 해당 가변 영상의 각 부분 영상에 상기 컨텐츠 선택정보 수신단계(S230)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합성한다. 즉, 이 영상 합성 단계(S240)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선택된 가변 영상을 이루는 각 부분 영상 각각에 컨텐츠를 합성하여 전송될 최종의 가변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영상 전송단계(S250)는 상기 영상 합성단계(S240)에 의해 합성된 영상 또는 이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서버는 이 영상 전송단계(S250)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선택된 가변 영상 또는 컨텐츠가 합성된 가변 영상 또는 이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수신자의 e-메일 주소, 수신자 PDA의 IP 주소,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IP 주소, 수신자 컴퓨터의 IP 주소 중 어느하나로 전송한다.
따라서, 위와같이 가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가변 영상을 선택하여 수신자인 사용자의 e-메일, PDA,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로 가변 영상을 전송하여 수신자인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가변 영상이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발신자의 의사전달을 보다 흥미롭고 재미있게 구현할 수 있게된다.
상기 가변 영상은 전송시 소정의 엔코딩 절차를 통해 영상 압축되어 전송되며, 사용자측에서 재생시 이 압축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재생하게된다. 이러한 영상 엔코딩 및 디코딩 기술은 이 출원 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영상 전송단계(250)에서 합성된 영상에 대한 액세스 정보가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되었을 경우, 이후 수신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액세스 정보에 포함된 가변 영상을 서버로부터 해당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이 경우는 사용자에게 가변 영상을 전송하기 보다는 e-메일을 이용하여 해당 e-메일 내에 해당 가변 영상을 링크하는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사이즈가 큰 영상 데이타를 사용자측으로 전송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할 경우 액세스 정보를 이용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가변 영상을 전송받아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타 전송에 따른 시간 및 경비소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의 가변 영상 재생 모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의 가변 영상 재생 모듈은 가변 영상 수신단계(S310)와, 영상 분리단계(S320)와, 제 1 재생단계(S330)와, 행동 비교 단계(S340)와, 제 2 재생단계(S350)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 영상 수신단계(S310)는 부가적인 단계로, 가변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가변 영상 또는 이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수신한다.
이 실시에에 따른 가변 영상 재생 모듈은 사용자의 컴퓨터의 CD 또는 HDD 등에 저장된 가변 영상을 재생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가변 영상을 제공받아 재생하는 2가지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 영상 수신단계(S310)는 인터넷을 통해 가변 영상을 제공받아 재생할 경우 가변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가변 영상 또는 이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액세스 정보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서버에 저장된 가변 영상을 링크하도록 한 링크정보이다.
한편, 이 가변 영상 수신단계(S310)는 가변 영상에 대한 액세스 정보 수신시, 해당 액세스 정보에 포함된 가변 영상을 서버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상기 영상 분리단계(S320)는 가변 영상으로부터 각 부분 영상과 각 부분 영상에 대한 재생 정보를 분리한다. 즉, 이 영상 분리단계(S320)는 도 1 에 도시한 가변 영상 제작 모듈의 영상 합성단계(S150) 또는 도 3 에 도시한 가변 영상 전송 모듈의 영상 합성단계(S240)에 의해 합성된 가변 영상으로부터 해당 가변 영상에포함되는 각 부분 영상과 재생 정보를 분리한다.
상기 제 1 재생단계(S330)는 상기 영상 분리단계(S320)에 의해 분리된 재생 정보에 포함된 최초 재생될 부분 영상을 재생한다. 상기 영상 분리단계(S320)에 의해 분리된 재생 정보는 최초 재생될 부분 영상에 대한 설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재생단계(S330)는 이러한 설정에 따라 최초 재생될 부분 영상을 재생한다.
동영상 재생에 관련된 기술은 이미 이 출원 이전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상기 행동 비교 단계(S34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행동이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재생 정보로부터 해당 행동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가변 영상에 포함된 각 부분 영상은 재생되는 재생 조건을 가지며, 이 재생 조건은 해당 가변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행동을 예측하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가변 영상을 재생하는 사용자가 음성을 내거나 또는 마우스로 화면의 소정 부위를 선택하는 등의 소정 행동을 취했을 경우 상기 행동 비교 단계(S340)는 이러한 사용자로부터 소정 행동 입력이 각 부분 영상의 재생 조건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재생단계(S350)는 상기 행동 비교 단계(S340)에 의해 해당 행동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이 존재한다 판단될 경우 해당 부분 영상을 재생한다.
즉, 상기 행동 비교 단계(S340)에 의해 사용자가 취한 행동에 대응하는 재생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 영상이 존재한다 판단되면, 이 제 2 재생단계(S350)를 통해 해당 부분 영상을 재생한다.
동영상 재생에 관련된 기술은 이미 이 출원 이전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따라서, 위와같이 함에 의해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이 상이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현실감을 제공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부가적으로 상기 가변 영상 재생 모듈의 영상 분리단계(S320)가 각 부분 영상에 합성된 컨텐츠 및 컨텐츠 합성 정보를 분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재생단계(S330) 및 제 2 재생단계(S350)가 해당 부분 영상 재생시 상기 컨텐츠 합성 정보에 따라 해당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합성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부분 음향, 부분 향기, 부분 텍스트, 부분 그래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따라서,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가변 영상 재생시 재생되는 해당 부분 영상에 특정 향기, 특정 음향, 특정 메시지, 특정 그림이 동시에 재생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은 상기 가변 영상 제작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다르게 재생되는 가변 영상을 제작하고, 이를 상기 가변 영상 재생 모듈을 통해 재생함으로써 재생되는 영상에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가변 영상 전송 모듈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해 가변 영상을 수신자의 e-메일, PDA,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로 전송하여 수신자인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발신자의 의사전달을 보다 흥미롭고 재미있게 구현할 수 있게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한다.
예컨데, 생일축하 케익에 대한 가변 영상을 연인에게 e-메일을 통해 전송한다고 가정하자.
먼저, 발신자는 가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케익을 선택한다. 이 케익이 수신자에게 전송될 가변 영상이다.
이 케익은 각 부분 영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편의상 케익에 촐불이 켜진 상태의 제 1 부분 영상과, 촛불이 켜져있다 꺼지는 제 2 부분 영상과, 촛불이 꺼진 상태로 유지되는 제 3 부분 영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정하자.
발신자는 재생 설정시 최초 제 1 부분 영상이 재생되도록 하고, 수신자 컴퓨터의 마이크 등과같은 음성 입력 수단으로부터 소정 음향 예컨데, "훅"하는 입바람소리가 입력되면 제 2 부분 영상이 실행되고 소정의 생일축하 음악이 재생되도록 하고, 이후 사용자로부터 종료버튼 입력이 있을 때까지 제 3 부분 영상을 재생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재생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는 상기 케익에 생일 축하 문구나 꽃 그림 등의 각종 컨텐츠를 합성하도록 컨텐츠 합성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발신자의 입력 설정에 따라 서버는 수신자에게 발송될 최종의 가변 영상을 제작하게되고, 발신자가 입력한 수신자의 e-메일 주소로 이 가변 영상을 첨부파일 형태나 또는 가변 영상을 링크하는 액세스 정보를 가진 텍스트 형태로 포함하는 e-메일을 전송한다.
상기 e-메일을 수신한 수신자인 사용자는 상기 첨부파일을 실행하여 가변 영상을 재생하거나 상기 액세스 정보에 따라 서버로부터 가변 영상을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한다.
최초 상기 제 1 부분 영상인 촐불이 켜진 상태의 케익 영상이 재생되며, 사용자가 "훅" 소리를 내었을 경우 제 2 부분 영상인 촛불이 켜져있다 꺼지는 케익 영상이 재생되는 동시에 생일 축하 노래가 출력되고, 이후 사용자로부터 종료버튼 입력이 있을 때까지 제 3 부분 영상인 촛불이 꺼진 상태로 유지되는 케익 영상이 재생된다.
따라서, 위와같이 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은 상기 가변 영상 제작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다르게 재생되는 가변 영상을 제작하고 이를 상기 가변 영상 재생 모듈을 통해 재생함으로써 재생되는 영상에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가변 영상 전송 모듈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해 가변 영상을 수신자의 e-메일, PDA,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로 전송하여 수신자인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발신자의 의사전달을 보다 흥미롭고 재미있게 구현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20)

  1. 분석된 영상 수신자의 예상 행동 종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부분 영상을 생성하는 부분 영상 생성단계와;
    상기 부분 영상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각 부분 영상의 재생 정보를 설정하는 재생 정보 설정단계와;
    상기 부분 영상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부분 영상과 재생 정보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재생 정보를 조합하여 가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성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영상 제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영상 제작 모듈이:
    상기 부분 영상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각 부분 영상에 소정의 콘텐츠를 합성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컨텐츠 합성 정보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합성단계가 상기 컨텐츠 합성 정보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 합성정보를 더 조합하여 가변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부분 음향, 부분 향기, 부분 텍스트, 부분 그래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영상 제작 모듈의 상기 재생 정보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되는 재생 정보가 각 부분 영상중 최초로 재생되어야할 영상에 대한 설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영상 제작 모듈의 상기 재생 정보 설정단계가 수신자의 행동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부분 영상을 선택적으로 재생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분 영상은 영상 캡춰 수단에 의해 캡춰된 실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분 영상은 영상 캡춰 수단에 의해 캡춰된 실제 영상의 일부분을또 다른 실제 영상으로 합성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분 영상은 영상 캡춰 수단에 의해 캡춰된 실제 영상의 일부분을 그래픽 영상으로 합성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9.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가변 영상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가변 영상 선택정보 수신단계와;
    상기 가변 영상 선택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선택된 가변 영상의 각 부분 영상에 합성될 컨텐츠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선택정보 수신단계와;
    상기 해당 가변 영상의 각 부분 영상에 상기 컨텐츠 선택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단계와;
    상기 영상 합성단계에 의해 합성된 영상 또는 이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영상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영상 전송 모듈이 가변 영상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는 가변 영상 수신자 정보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자 정보가 수신자의 e-메일 주소, 수신자 PDA의 IP 주소,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IP 주소, 수신자 컴퓨터의 IP 주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부분 음향, 부분 향기, 부분 텍스트, 부분 그래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단계에서 합성된 영상에 대한 액세스 정보가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되었을 경우, 이후 수신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액세스 정보에 포함된 가변 영상을 해당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단계에서 합성된 영상에 대한 액세스 정보가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되었을 경우, 이후 수신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액세스 정보에 포함된 가변 영상을 해당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15. 가변 영상으로부터 각 부분 영상과 각 부분 영상에 대한 재생 정보를 분리하는 영상 분리단계와;
    상기 영상 분리단계에 의해 분리된 재생 정보에 포함된 최초 재생될 부분 영상을 재생하는 제 1 재생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소정 행동이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재생 정보로부터 해당 행동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행동 비교 단계와;
    상기 행동 비교 단계에 의해 해당 행동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이 존재한다 판단될 경우 해당 부분 영상을 재생하는 제 2 재생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영상 재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영상 재생 모듈이 서버로부터 가변 영상 또는 이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는 가변 영상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영상 수신단계가 가변 영상에 대한 액세스 정보 수신시, 해당 액세스 정보에 포함된 가변 영상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영상 재생 모듈의 영상 분리단계가 각 부분 영상에 합성된 컨텐츠 및 컨텐츠 합성 정보를 분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재생단계 및 제 2 재생단계가 해당 부분 영상 재생시 상기 컨텐츠 합성 정보에 따라 해당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합성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19. 제 15 항 내지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부분 음향, 부분 향기, 부분 텍스트, 부분 그래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부분 음향, 부분 향기, 부분 텍스트, 부분 그래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KR10-2002-0014568A 2001-03-26 2002-03-18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KR100446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576437A JP2004534433A (ja) 2001-03-26 2002-03-25 使用者の行動を反映した映像処理方法
EP02707323A EP1374590A1 (en) 2001-03-26 2002-03-25 Method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s responding to user's action
US10/472,682 US20040117854A1 (en) 2001-03-26 2002-03-25 Method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s responding to user's action
PCT/KR2002/000511 WO2002078344A1 (en) 2001-03-26 2002-03-25 Method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s responding to user's action
CNA028072510A CN1500352A (zh) 2001-03-26 2002-03-25 响应用户动作处理运动图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799 2001-03-26
KR20010015799 2001-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722A KR20020075722A (ko) 2002-10-05
KR100446936B1 true KR100446936B1 (ko) 2004-09-01

Family

ID=2769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568A KR100446936B1 (ko) 2001-03-26 2002-03-18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848B1 (ko) 2011-04-22 201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객체 탐색 장치, 비디오 객체 변형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1257A (ja) * 1995-03-07 1996-09-17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転送方法
JPH1097534A (ja) * 1996-09-24 1998-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対話管理方法
JP2000339322A (ja) * 1999-05-25 2000-12-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ユーザ属性特定方法、ユーザ属性特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01015052A1 (en) * 1999-08-26 2001-03-01 Memetrics Inc. Managing the delivery of content to us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1257A (ja) * 1995-03-07 1996-09-17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転送方法
JPH1097534A (ja) * 1996-09-24 1998-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対話管理方法
JP2000339322A (ja) * 1999-05-25 2000-12-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ユーザ属性特定方法、ユーザ属性特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01015052A1 (en) * 1999-08-26 2001-03-01 Memetrics Inc. Managing the delivery of content to u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722A (ko) 200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48274B2 (en) Intelligent collaborative media
US8789121B2 (en) System architecture and method for composing and directing participant experiences
US20110214141A1 (en) Content playing device
WO1996019779A9 (en) Authoring tools for multimedia application development and network delivery
WO1996019779A1 (en) Authoring tools for multimedia application development and network delivery
JP2000126463A (ja) コンピュ―タゲ―ム装置
KR20030003085A (ko) 콘텐츠 전송 시스템 및 전송 방법
US20060088220A1 (en) Graphics to video encoder
JPH08503584A (ja) 対話式マルチメディア娯楽システム
JP2003153254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0446936B1 (ko) 사용자 행동을 반영한 영상처리방법
KR100973654B1 (ko) 리치미디어 서버와 리치미디어 전송 시스템 및 리치미디어전송 방법
US9088747B2 (en) Video display system, video display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WO2001045411A1 (fr) Systeme et technique de transmission d&#39;un produit audio/visuel par un serveur/client
WO2021131343A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JP2004534433A (ja) 使用者の行動を反映した映像処理方法
WO2021049048A1 (ja) 映像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57970A (ja) 動画再生装置および動画処理装置
JP5111422B2 (ja) コンテンツ制作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制作プログラム
WO2024047816A1 (ja) 映像関連音再生方法、映像関連音再生装置及び映像関連音再生プログラム
KR100679745B1 (ko)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만화 애니메이션 구현방법
KR100455362B1 (ko) 노래반주기의 화면 디스플레이용 영상 콘텐츠 제공시스템및 그 방법
JP4791906B2 (ja) 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コンテンツ提示装置、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示プログラム
KR100945649B1 (ko) 단말장치와 리치미디어 서버와 리치미디어 전송 시스템 및리치미디어 전송 방법
CN114567810A (zh) 投屏交互方法、装置、投屏器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