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793B1 - 온수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온수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793B1
KR100446793B1 KR10-2002-0008835A KR20020008835A KR100446793B1 KR 100446793 B1 KR100446793 B1 KR 100446793B1 KR 20020008835 A KR20020008835 A KR 20020008835A KR 100446793 B1 KR100446793 B1 KR 10044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ischarge member
hot water
suppor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982A (ko
Inventor
윤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02-000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79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react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가열된 온수에서 발생된 공기는 탱크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온수의 배출은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온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온수 역류방지장치는, 유체가 담긴 탱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지지되어 탱크내의 압력에 의하여 승강 이동하면서 유체의 배출은 차단하고 탱크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와, 상기 지지부 및 배출부재를 수용한 상태에서 배출부재와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고정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온수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부재는 지지대에 형성된 안내홀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과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탱크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승강 이동하면서 탱크 내부의 공기는 배출하고 탱크에 담긴 유체는 배출을 방지하는 개폐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수 역류방지장치{HOT-WATER COUNTERFLOW PREVENTING DEVICE}
본 발명은 온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된 온수에서 발생된 공기는 탱크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온수의 배출은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온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필요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체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거나 또는 냉각하는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것의 대표적인 예로서 정수기가 알려져 있다.
이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여러 개의 필터를 통과시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수돗물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정화된 물을 소정온도로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대부분의 정수기는 본체 내부에 급수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복수개의 필터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저장탱크와, 상기 정수저장탱크의 정수를 각각 공급받는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로 구성된다.
상기 온수탱크에는 그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냉수탱크의 외측에는 냉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소정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중에서 온수탱크의 물은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가열장치가 작동되고, 물이 가열되어 정해진 온도가 되면 가열장치가 정지되도록 이루어져 온수탱크의 물은 항상 일정한 온도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온수탱크의 상부에는 공기 배출관이 형성되어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기포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 배출관은 기포뿐만 아니라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대류작용에 의하여 가열된 물도 같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열된 물이 온수탱크 외부로 배출되면 배출된 량만큼 상온의 물이 유입되므로 가열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에 따라서 승강되는 개폐부재에 의하여 유체를 가열할 때 발생된 공기의 배출은 허용하고 가열된 유체의 배출은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온수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유체가 담긴 탱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지지되어 탱크내의 압력에 의하여 승강 이동하면서 유체의 배출은 차단하고 탱크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와, 상기 지지부 및 배출부재를 수용한 상태에서 배출부재와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고정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온수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부재는 지지대에 형성된 안내홀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과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탱크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승강 이동하면서 탱크 내부의 공기는 배출하고 탱크에 담긴 유체는 배출을 방지하는 개폐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역류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역류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역류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온수 역류방지장치는, 유체가 담긴 탱크에 고정되는 고정부(2)와, 이 고정부(2)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지부(4)와, 이 지지부(4)에 지지되어 탱크내의 압력에 의하여 승강 이동하면서 유체의 배출은 차단하고 탱크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6)와, 상기 지지부(4) 및 배출부재(6)를 수용한 상태에서 배출부재(6)와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고정부(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8)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2)는 탱크(100)에서 연장된 배출관(200)에 고정되는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에서 연장되는 연결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와 연결부(12)는 중앙부가 관통된 공간으로 구성되어 탱크(100)와 통하도록 이루어지고, 베이스(10)의 내주면에는 나사부(14)가 형성되어 고정부(2)를 배출관(200)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연결부(12)의 외주면에는 다른 나사부(16)가 형성되어 캡(8)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4)는 고정부(2)의 상부에 삽입 지지될 수 있도록 외주연부는 플랜지부(18)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관통된 공간부(20)로 형성되며, 이 공간부(20)를 가로질러 지지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대(22)의 중앙부에는 배출부재(6)의 승강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홀 (24)이 형성되어, 배출부재(6)가 탱크(100) 내부의 공기압력에 의하여 안내홀(24)을 따라서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부재(6)는 지지대(22)에 형성된 안내홀(24)에 승강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지지축(26)과, 이 지지축(26)과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탱크(100)내부의 공기압력에 의하여 승강 이동하면서 탱크(100) 내부의 공기는 배출하고 탱크(100)에 담긴 유체의 배출은 방지하는 개폐판(28)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판(28)의 상부 중앙부는 돔형의 돌출부(30)로 이루어지며, 이 돌출부(30)에는 탱크(100) 내부에서 발생된 공기가 탱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홀(32)이 뚫려있다.
상기 홀(32)은 미세한 크기로 이루어져 유체의 배출은 차단하면서 공기만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이러한 홀(32)은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만 형성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캡(8)은 그 내부에 지지부(4) 및 배출부재(6)를 수용한 상태로 고정부(2)의 나사부(16)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며, 캡(8)의 중앙부에는 구멍(34)이 뚫려져 이 구멍(34)으로 배출부재(6)의 홀(32)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온수 역류방지장치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구멍(34)의 내경은 개폐판(28)의 돌출부(3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공기압력에 의하여 배출부재(6)가 상승할 경우 돌출부(30)는 구멍(34)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배출부재(6)의 개폐판(28)은 캡(8)의 내측 상부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온수 역류방지장치는 탱크(100)내부에 압력이 발생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배출부재(6)는 그 하중에 의하여 지지부(4)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이때 캡(8)에 형성된 구멍(34)은 배출부재(6)의 개폐판(28)과 소정의 거리를 띄운 상태로 위치되어 오픈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탱크(100)에 담긴 물이 가열되면, 물이 대류작용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탱크(100)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여 탱크(100) 내부의 압력이 상승된다.
그러면, 탱크(100)내부의 공기는 배출관(200)을 통하여 공기 배출밸브로 유입되고, 이러한 공기 압력에 의하여 배출부재(6)의 지지축(26)이 지지부(4)의 안내홀(24)을 따라서 상승하게되며, 탱크(100)의 압력이 더욱 높아지면 도 3에서와 같이 배출부재(6)의 지지축(26)은 지지부재(4)의 안내홀(24)을 따라서 캡(8)에 접촉될 때까지 상승한다.
이때 배출부재(6)의 돌출부(30)는 캡(8)의 구멍(34) 내측에 위치하여 그 위치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므로 배출부재(6)는 캡(8)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된다.
배출부재(6)의 상승으로 배출부재(6)의 개폐판(28)이 캡(8)의 구멍(34)을 차단하게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탱크(100) 내의 공기는 배출관(200)을 통하여 지지부(4)의 공간부(20)와 배출부재(6)의 홀(32)을 거쳐 캡(8)의 구멍(3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때 탱크(100) 내부의 유체는 개폐판(28)이 캡(8)의 구멍(34)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탱크(100)의 공기가 배출되어 탱크(100) 내부압력이 낮아지면 상승되었던 배출부재(6)는 자체하중에 의하여 지지부(4)의 안내홈(24)을 따라서 하강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수 역류방지장치는, 유체가 가열되면서 발생된 탱크 내부압력에 의하여 배출부재가 승강 이동하면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면서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차단하여 온수의 가열효율이 증대된다.

Claims (3)

  1. (정정) 유체가 담긴 탱크의 내부와 통하도록 그 내부가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탱크에 열결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고정부의 공간과 통하도록 이루어진 공간부를 갖추며 이 공간부를 가로질러 안내홀이 형성된 지지대로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안내홀에 승강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과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탱크내부의 공기압력에 의하여 승강 이동하면서 탱크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홀이 형성되고 유체의 배출은 방지하도록 하는 개폐판으로 이루어진 배출부재와; 상기 지지부 및 배출부재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부는 고정부에 가압고정하고 배출부재는 상승을 제한하여 유체의 배출을 차단하면서 상기 홀로 배출되는 공기는 탱크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멍으로 이루어진 캡을 포함하는 온수 역류방지장치.
  2. 삭제
  3. (정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가 공기의 압력으로 상승했을 경우 그 위치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배출부재에 형성된 개폐판의 상부 중앙부는 캡의 구멍 내측에 위치하는 돔형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역류방지장치.
KR10-2002-0008835A 2002-02-19 2002-02-19 온수 역류방지장치 KR100446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35A KR100446793B1 (ko) 2002-02-19 2002-02-19 온수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35A KR100446793B1 (ko) 2002-02-19 2002-02-19 온수 역류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903U Division KR200276786Y1 (ko) 2002-02-19 2002-02-19 온수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982A KR20030068982A (ko) 2003-08-25
KR100446793B1 true KR100446793B1 (ko) 2004-09-07

Family

ID=3222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835A KR100446793B1 (ko) 2002-02-19 2002-02-19 온수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481A2 (ko) * 2010-10-25 2012-05-03 Park Hoo Bong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 및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용 역류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784Y1 (ko) * 1989-06-27 1991-08-03 이종봉 조명등의 소켓 연결구
JPH10299922A (ja) * 1997-04-21 1998-11-13 Akebono Brake Ind Co Ltd 逆止弁
JPH1122573A (ja) * 1997-06-30 1999-01-26 Piolax Inc カットバルブ
JP2000199574A (ja) * 1999-01-08 2000-07-18 Rhythm Corp チェックバル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784Y1 (ko) * 1989-06-27 1991-08-03 이종봉 조명등의 소켓 연결구
JPH10299922A (ja) * 1997-04-21 1998-11-13 Akebono Brake Ind Co Ltd 逆止弁
JPH1122573A (ja) * 1997-06-30 1999-01-26 Piolax Inc カットバルブ
JP2000199574A (ja) * 1999-01-08 2000-07-18 Rhythm Corp チェックバル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481A2 (ko) * 2010-10-25 2012-05-03 Park Hoo Bong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 및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용 역류방지장치
WO2012057481A3 (ko) * 2010-10-25 2012-07-26 Park Hoo Bong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 및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용 역류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982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1825B (fi) Anordning foer avluftning och/eller avgasning av ledningssystem
US6200471B1 (en) Bottle specialty water filters
JP5476096B2 (ja) 給水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水の冷却及び浄水方法
US5565065A (en) Distilled water supply device
EP2204506B1 (en) Cold water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446793B1 (ko) 온수 역류방지장치
KR100487872B1 (ko) 냉온 정수기 구조
KR200276786Y1 (ko) 온수 역류방지장치
KR200275515Y1 (ko) 냉온 정수기 구조
KR101890055B1 (ko) 정수기용 밀폐형 냉각탱크의 압력 상승 방지장치
KR100619159B1 (ko)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KR101902386B1 (ko) 직수형 정수기의 살균 출수 유닛
ES2131613T3 (es) Caldera de alto rendimiento para el calentamiento y el almacenamiento de agua potable y agua de calefaccion.
ES2220343T3 (es) Respiradero de flotador.
US848618A (en) Apparatus for cooling liquids.
KR101075062B1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KR200309814Y1 (ko) 냉온수기
KR200275516Y1 (ko) 정수기용 유체 조절장치
KR102438606B1 (ko) 정수기용 익스펜션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0487873B1 (ko) 정수기용 유체 조절장치
KR200422614Y1 (ko) 냉수의 열성층화 방지기능을 갖는 정수기
SU16118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эрировани жидкости
KR200270766Y1 (ko) 액체흐름제어용 밸브
KR19980053406A (ko) 정수냉각장치
KR20030080889A (ko) 무동력 수위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