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062B1 -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062B1
KR101075062B1 KR1020090054281A KR20090054281A KR101075062B1 KR 101075062 B1 KR101075062 B1 KR 101075062B1 KR 1020090054281 A KR1020090054281 A KR 1020090054281A KR 20090054281 A KR20090054281 A KR 20090054281A KR 101075062 B1 KR101075062 B1 KR 10107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tank body
present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0299A (ko
Inventor
김재만
최인두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US12/494,214 priority Critical patent/US8057665B2/en
Priority to ES09164126.6T priority patent/ES2647459T3/es
Priority to EP09164126.6A priority patent/EP2204506B1/en
Publication of KR2010008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수탱크는 탱크본체(200);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본체(200)에 구비되는 입수관(300); 상기 탱크본체(2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본체(200)에 구비되며 상부에 공기배출구멍(410)이 형성된 출수관(400); 및 상기 공기배출구멍(410)의 높이까지 상기 탱크본체(200)의 물이 차오르는 경우 상기 공기배출구멍(410)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출수관(4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로팅부재(5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출수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을 통해 탱크본체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출수관으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탱크본체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만을 공급할 수 있다.
수처리장치, 냉수탱크

Description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COLD WATER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수탱크는 냉각수단과 연결되거나 냉각수단이 구비되어 이에 유입된 물을 냉각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수탱크는 도1a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탱크본체(20)와, 탱크본체(20)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에 구비되는 입수관(30)과, 탱크본체(2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에 구비되며 상부에 공기배출구멍(41)이 형성된 출수관(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1a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30)은 탱크본체(20)로의 물의 유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의 상부에 그 일측 단부가 위치되게 탱크본체(20)에 구비된다. 그리고, 출수관(40)은 탱크본체(20)의 하부에 존재하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의 하부에 그 일측 단부가 위치되게 탱크본체(20)에 구비된다. 또한, 탱크본체(20)의 둘레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단으로 냉매유동관(60)이 감기어 있어서, 탱크본체(20) 에 유입된 물을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 즉, 입수관(30)을 통해 탱크본체(20)에 유입된 물은 냉매유동관(60)을 유동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냉각된 물은 출수관(40)을 통해 탱크본체(2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입수관(30)을 통해 탱크본체(20)에 물이 유입되는 동안, 탱크본체(20)에 존재하는 공기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관(40)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41)을 통과하여 출수관(40)을 통해 탱크본체(2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에 물이 유입되어 가득차게 되면, 탱크본체(20) 내에 존재하던 공기는 공기배출구멍(41)을 통과하여 출수관(40)을 통해 모두 배출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냉각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탱크본체(2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을 출수관(40)을 통해 배출하면,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도 공기배출구멍(41)을 통과하여 출수관(40)으로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과 하부에 존재하는 물은 그 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탱크본체(20)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은 탱크본체(2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보다 그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도1b에 도시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공기배출구멍(41)을 통과하여 출수관(40)으로 배출되는 경우, 서로 온도가 다른 탱크본체(20)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과 탱크본체(2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이 섞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탱크본체(20)의 하부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과 섞이어서, 탱크본체(20)의 상부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높 은 온도의 물까지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냉수탱크(10)를 구비하는 정수기 또는 이온수기 등의 수처리장치 또한 전술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출수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을 통해 탱크본체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출수관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탱크본체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냉수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플로팅부재를 사용하여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출수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냉수탱크는 탱크본체;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입수관; 탱크본체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에 구비되며 상부에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된 출수관; 및 공기배출구멍의 높이까지 탱크본체의 물이 차오르는 경우 공기배출구멍을 막을 수 있도록 출수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로팅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수관에는 일정 높이 이하로 플로팅부재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에는 플로팅부재가 상승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공기배출구멍은 안착부와 같은 높이의 출수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에는 차단부재가 구비되고, 차단부재에는 다른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관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탱크본체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수관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 중 최후단에 위치하는 정수필터의 출구에 직접 연결되며, 상기 탱크본체의 물은 최후단에 위치하는 정수필터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출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및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물공급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상기 설명된 냉수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공급원과 냉수탱크의 사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더 포함하며, 냉수탱크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 중 최후단에 위치하는 정수필터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출수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을 통해 탱크본체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출수관으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탱크본체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만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 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플로팅부재를 사용하여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출수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2a 내지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냉수탱크는 탱크본체(200)와 입수관(300)과 출수관(400) 및 플로팅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탱크본체(200)는 입수관(300)을 통해 수도꼭지 등과 같은 물공급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입수관(300)을 통해 정수기 또는 이온수기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탱크본체(200)의 둘레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단으로 냉매유동관(600)이 감기어 있어서, 탱크본체(200)에 유입된 물을 냉각할 수 있다. 즉, 냉매유동관(600)을 유동하는 냉매와 탱크본체(200)에 유입된 물의 열교환에 의해서 탱크본체(200)에 유입된 물을 냉각할 수 있다. 그러나, 탱크본체(200)에 유입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수단은 본 실시예와 같이 냉매유동관(600)에 한정되지 않고, 탱크본체(200)에 유입된 물을 냉각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입수관(300)은 도2a 내지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입수관(3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 등과 같은 물공급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입수관(300)은 수처리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처리 장치(700)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필터(710)에서 여과된 물이 탱크본체(20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입수관(300)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 중 최후단에 위치하는 정수필터(710)의 출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즉, 입수관(300)과 연결되는 수처리장치(700)는 정수필터(71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저장탱크가 없는 직수형 정수기일 수 있다. 이 경우, 탱크본체(200)의 물은 최후단에 위치하는 정수필터(710)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출수관(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입수관(300)에 연결되는 수처리장치(700)는 도5에 도시된 직수형 정수기에 한정되지 않고, 정수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 탱크형 정수기 또는 이온수기 등도 될 수 있다. 또한, 수처리장치(700)는 이외에도 입수관(300)과 연결되어 탱크본체(200)에 물을 유입시키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입수관(300)은 도2a 내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0)의 상부에 그 일측 단부가 위치되게 탱크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출수관(400)은 도2a 내지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에 유입되어 냉각된 물이 탱크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출수관(400)은 탱크본체(200)에서 냉각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파우셋(720)이나 또는 이외에 콕크(도시되지 않음)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탱크본체(200)에 유입되어 냉각된 물은 출수관(400)을 통해 배출되어서 출수관(400)에 연결된 파우셋(720)이나 콕크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2a 내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관(400)은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존재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그 일측 단부가 위치되게 탱크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2a 내지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출수관(400)의 상부에는 공기배출구멍(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입수관(300)을 통해서 탱크본체(200)에 유입될 때, 탱크본체(200)에 존재하는 공기가 이러한 공기배출구멍(410)을 통과하여 출수관(400)을 통해 탱크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출수관(400)에는 도2a 내지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플로팅부재(50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로팅부재(500)는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의 높이에 따라 출수관(400)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2b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에 물이 유입되어 출수관(400)의 공기배출구멍(410)의 높이까지 차오르는 경우, 플로팅부재(500)가 수면과 함께 출수관(400)을 따라 상승하여 공기배출구멍(410)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탱크본체(200)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출수관(400)의 공기배출구멍(410)을 통과하여 출수관(40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출수관(400)에는 도2a 내지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토퍼(510)가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510)에 의해서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의 수면이 낮아져서 플로팅부재(500)가 하강할 때, 일정 높이 이하로 플로팅부재(500) 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3a와 도3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에는 플로팅부재(500)가 상승되어 안착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배출구멍(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10)와 같은 높이의 출수관(400)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10)는 도3a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로, 즉 도면에서 보아 높이에 관계없이 너비가 일정한 형태로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안착부(210)는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태로, 즉 도면에서 보아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너비가 줄어드는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로팅부재(500)도 안착부(21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안착부(210)와 플로팅부재(500)의 형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안착부(210)에 플로팅부재(500)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으면서 공기배출구멍(410)을 막을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4a와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안착부(210)에는 차단부재(4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부재(420)에는 또 하나의 공기배출구멍(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4b와 같이 탱크본체(200)에 물이 차오르면, 플로팅부재(500)는 차단부재(420)에 의해서 그 상승이 차단되면서, 차단부재(42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410')을 막게 된다. 이에 따라, 탱크본체(200)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2개의 공기배출구멍(410,410')을 통과하여 출수관(40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의 일실시예를 구비하는 수처리장 치(700)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과,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물공급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전술된 냉수탱크(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물공급원은 전술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 등이 될 수 있고 냉수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 구비된 입수관(300)이 수도꼭지 등과 같은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도꼭지 등과 같은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입수관(300)을 통해 냉수탱크(10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냉수탱크(100)에 유입된 물은 냉수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 구비된 냉매유동관(600)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수탱크(100)에 유입되어 냉각된 물은 물공급원의 공급압력에 의해서 냉수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 구비된 출수관(4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의 일실시예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700)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과 냉수탱크(100)의 사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700)의 일실시예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과,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 및, 전술된 냉수탱크(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냉수탱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 중 최후단에 위치하는 정수필터(710)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처리장치(700)는 정수필터(710)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저장탱크가 없고, 수처리장치(700)에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물이 정수필터(710)를 유동하면서 여과되는 직수형 정수기를 예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의 일실시예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700)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정수저장탱크가 있는 탱크형 정수기나 또는 이온수기 등도 될 수 있다.
정수필터(710)는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700)에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 중 최후단에 위치하는 정수필터(710)의 출구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 즉 냉수탱크(100)의 입수관(30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은 입수관(300)을 통해 냉수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탱크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탱크본체(200)에 구비된 전술된 냉매유동관(600)을 유동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의 출수관(400)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파우셋(7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 유입되어 냉각된 물은 출수관(4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출수관(400)에 연결된 파우셋(72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7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700)의 일실시예에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수처리장치(7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은 도2a 내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 구비된 입수관(300)을 통해 탱크본체(200)에 유입되게 된다. 탱크본체(200)에 물이 유입되면, 탱크본체(200)에 존재하던 공기는 도2a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에 구비된 출수관(40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410)을 통과하여 출수관(400)을 통해 탱크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4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차단부재(42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410')과 출수관(40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410)을 통과하여 탱크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출수관(400)에는 플로팅부재(50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본체(200)에 물이 유입되어 탱크본체(200)의 수면이 높아지면, 이와 함께 플로팅부재(500)도 출수관(40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수면이 높아짐과 함께 상승하는 플로팅부재(500)는 탱크본체(200)에 물이 가득차게 되면, 도3a와 도3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출수관(400)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410)을 막게 된다. 그리고,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차단부재(42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410')을 막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냉수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 유입된 물의 압력에 의해서 탱크본체(200)에서 냉각된 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이때, 플로팅부재(500)는 도2b와 도3b의 경우에는 공기배출구멍(410)을 막고 도4b의 경우에는 공기배출구멍(410')을 막고 있게 된다. 따라서, 탱크본체(200)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출수관(400)의 공기배출구멍(410,410')을 통과하여 출수관(400)으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탱크본체(200)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과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이 서로 섞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만이 출수관(400)과 도5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파우셋(72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물만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2b와 도3b의 경우에는 출수관(400)을 유동하여 배출되는 물이 출수관(400)의 공기배출구멍(410)을 통과하여 이를 막고 있는 플로팅부재(5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플로팅부재(500)가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로팅부재(500)와 공기배출구멍(410)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틈을 통하여 출수관(400)을 유동하여 배출되는 물이 탱크본체(200) 내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도4b의 경우에는 차단부재(420)에 의해서 플로팅부재(500)의 상승이 차단된 상태에서 플로팅부재(500)가 공기배출구멍(410')을 막고 있다. 따라서, 출수관(400)을 유동하여 배출되는 물이 공기배출구멍(410)을 통과한다고 하더라도, 플로팅부재(500)에 직접 압력을 가할 수 없게 된다. 즉, 출수관(400)의 공기배출구멍(410)을 통과한 물은 안착부(210)를 채운 후에 공기배출구멍(410')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출수관(400)을 유동하는 물의 압력이 직접 플로팅부재(500)에 가해지지 않게 되어 플로팅부재(500)와 공기배출구멍(410')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출수관(400)을 유동하여 배출되는 물이 공기배출구멍(410,410') 을 통과하여 탱크본체(200) 내로 다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700)를 사용하면, 냉수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 구비되는 출수관(40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410)을 통해 탱크본체(200)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출수관(400)으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탱크본체(200)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만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기의 냉수탱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a는 종래의 냉수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1b는 종래의 냉수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물이 가득찬 경우를 나타낸다.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물이 가득찬 경우를 나타낸다.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물이 가득찬 경우를 나타낸다.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또 다른 실시예로 안착부의 형태가 다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물이 가득차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냉수탱크의 탱크본체에 물이 가득찬 경우를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3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일실시예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 냉수탱크 20, 200 : 탱크본체
210 : 안착부 30, 300 : 입수관
40, 400 : 출수관 41, 410, 410' : 공기배출구멍
420 : 차단부재 500 : 플로팅부재
510 : 스토퍼 60, 600 : 냉매유동관
700 : 수처리장치 710 : 정수필터
720 : 파우셋

Claims (8)

  1. 탱크본체(200);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본체(200)에 구비되는 입수관(300);
    상기 탱크본체(2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본체(200)에 구비되며 상부에 공기배출구멍(410)이 형성된 출수관(400); 및
    상기 공기배출구멍(410)의 높이까지 상기 탱크본체(200)의 물이 차오르는 경우 상기 공기배출구멍(410)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출수관(4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로팅부재(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수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관(400)에는 일정 높이 이하로 상기 플로팅부재(50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5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200)에는 상기 플로팅부재(500)가 상승되어 안착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멍(410)은 상기 안착부(210)와 같은 높이의 상기 출수관(40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10)에는 차단부재(420)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재(420)에는 다른 공기배출구멍(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300)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700)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필터(710)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탱크본체(200)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300)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 중 최후단에 위치하는 정수필터(710)의 출구에 직접 연결되며,
    상기 탱크본체(200)의 물은 최후단에 위치하는 상기 정수필터(710)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출수관(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7.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및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물공급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냉수탱크(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과 상기 냉수탱크(100)의 사이에 연결되는 하 나 이상의 정수필터(7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수탱크(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710) 중 최후단에 위치하는 정수필터(710)의 출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KR1020090054281A 2008-12-30 2009-06-18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KR101075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94,214 US8057665B2 (en) 2008-12-30 2009-06-29 Cold water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ES09164126.6T ES2647459T3 (es) 2008-12-30 2009-06-30 Tanque de agua fría y aparato de tratamiento de agua que lo contiene
EP09164126.6A EP2204506B1 (en) 2008-12-30 2009-06-30 Cold water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733 2008-12-30
KR20080136733 2008-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299A KR20100080299A (ko) 2010-07-08
KR101075062B1 true KR101075062B1 (ko) 2011-10-21

Family

ID=4264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281A KR101075062B1 (ko) 2008-12-30 2009-06-18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75062B1 (ko)
ES (1) ES264745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181B1 (ko) * 2014-07-08 2016-10-11 주식회사 동양매직 열전냉각모듈을 이용한 냉각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505Y1 (ko) 2001-01-09 2001-06-1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직선형 정수유입관을 구비한 냉온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505Y1 (ko) 2001-01-09 2001-06-1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직선형 정수유입관을 구비한 냉온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47459T3 (es) 2017-12-21
KR20100080299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7665B2 (en) Cold water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01101B1 (ko) 냉수탱크
KR101394795B1 (ko) 연료전지 시스템용 이온필터의 기포제거장치
EP2505728A2 (en) Water storage tank and bidet having the same
KR101075062B1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US20060208370A1 (en) Fluid mixing device for tub and bath fluid mixing apparatus
KR20110008627A (ko) 냉정수기
KR101642344B1 (ko) 냉각효율 향상용 냉각장치가 구비된 냉수기
KR20130014114A (ko)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저장탱크
KR20110047407A (ko) 안전주입탱크
KR20120017153A (ko) 물탱크
KR100770410B1 (ko) 열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 시스템
KR102670628B1 (ko) 냉수기
KR20100118231A (ko) 냉온 정수기
KR20130008760A (ko) 노즐 막힘을 방지하는 제빙 유닛
JP6763839B2 (ja) 二酸化炭素施用装置
KR102495957B1 (ko) 수처리장치
US10488076B2 (en) Fluid circulation type heating apparatus
KR20150134753A (ko) 정수기
KR200419584Y1 (ko) 냉온수기용 워터 가이드
KR101693803B1 (ko) 열전형 정수기용 냉각 탱크
JP2006308189A (ja) 蒸気減温装置
KR102451971B1 (ko) 탄산수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276786Y1 (ko) 온수 역류방지장치
KR20120000871A (ko) 공기 방출 피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