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166B1 -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166B1
KR100446166B1 KR10-2001-0049578A KR20010049578A KR100446166B1 KR 100446166 B1 KR100446166 B1 KR 100446166B1 KR 20010049578 A KR20010049578 A KR 20010049578A KR 100446166 B1 KR100446166 B1 KR 100446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lat
screen cloth
pull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697A (ko
Inventor
이지선
Original Assignee
(주) 이노시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노시뮬레이션 filed Critical (주) 이노시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1-004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1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평면 스크린에서 인접하는 두 평면 스크린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한 스크린 천을 팽팽하게 하여 굴곡이 없는 화면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일체화된 다수의 평면 스크린 지지대의 전면을 1개의 스크린 천으로 커버하는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에서, 상기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후면에 설치되되, 두 평면 스크린이 접하는 부위에 고정되게 설치된 당김수단 고정대; 및 상기 당김부재 고정대에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두 평면 스크린이 접하는 부위의 스크린 천을 감아 당기는 당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인접하는 두 평면 스크린의 경계부의 스크린 천이 밀착될 정도로 팽팽하게 해 주어 경계부의 간격을 최소화시키고, 그로 인해 서로 다른 두 평면 스크린의 경계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다 자연스럽게 볼 수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An apparatus for handling boundary part of multi channel plane screen system}
본 발명은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터(projector)로부터 투사되는 광빔에 근거한 화면을 표시하는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에서 인접하는 두 평면 스크린 사이의 경계부에 있는 스크린 천을 팽팽하게 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표시장치에는 CRT장치로 대표되는 직시형 화상표시장치, 및 LCD장치로 대표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가 있다.
그 CRT장치는 R/G/B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되어 형광패널상에 투영되는 컬러 비임(color beam)의 유동거리에 의해 그 화면치수에 대한 제약이 따르게 되어 화면의 대형화가 곤란하게 되고, LCD장치는 컬러 화상신호에 의해 액정의 배열상태를 가변시켜서 편광시킴에 의해 화상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어서 그 화면에 대한 경박대형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그 LCD장치에서는 편광패널에 대한 광손실이 발생되어 선명한 화상의 제공이 어렵다.
따라서, 현재에는 CRT장치 및 LCD장치에서 발생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컬러 화상신호를 R/G/B 컬러 성분으로 분리하고 그 분리된 R/G/B신호를 컬러 화상의 컬러 성분을 통해 광로조절한 이후에 투사 렌즈에 의해 확대되는 상태로 스크린상에 화면표시하여 대형화면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터(projector)라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가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투사형 프로젝터에서는 그 투사 렌즈로부터 스크린상에 투사되는 화상의 중심이 대체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데, 그 경우에는 스크린상에 형성되는 화면의 중심축으로부터 화상의 상측과 하측간의 투사거리가 균등하게 되어 그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의 길이가 대체로 균등한 정상적인 화상이 스크린상에 투사된다.
현재, 이와 같은 투사형 프로젝터와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영화관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방 투사 방식의 1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 프로젝터 TV에서 주로 사용하는 후방 투사 방식의 1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 기하학적인 구조상 대부분의 경우에 전방 투사 방식을 사용하는 원통형(cylindrical) 스크린 시스템 및 구형(spherical) 스크린 시스템이 있다. 그리고, 사각형의 판으로 된 스크린 지지대를 채널수만큼 여러개 좌우로 소정 각도로 고정시키고 그 각 채널의 스크린 지지대에 사각형의 스크린 천을 부착하여 스크린을 형성하는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이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 및 구형 스크린 시스템은 스크린 천을 원통형 또는 구형의 스크린 판에 설치할 때 풀,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스크린 천을 해당 스크린 판의 전면에 붙이게 된다. 이 경우, 스크린의 일부에 공기가 들어가서 울퉁불퉁해지거나 장시간 경과후에 접착력이 약해져서 스크린 천이 느슨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물론, 스크린 천을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 프레임에다 스프레이또는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칠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칠을 한번 하고 나면 재조정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칠을 하기 위해서는 스크린의 평면이 매끄러워야 하는데 매끄럽게 처리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우에는 스크린이 여러개이므로 평면 스크린과 평면 스크린사이의 경계부에 대한 처리가 문제이다. 다시 말해서,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은 평면 스크린을 형성하는 채널을 각기 분리하여 이동시키거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평면 스크린을 분리하기 때문에 일체형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평면 스크린과 평면 스크린 사이의 이음매 부분(경계부)을 매끄럽게 연결하기 어렵다. 특히, 두 평면 스크린사이의 경계부의 처리가 매끄럽게 되지 못할 경우에는 그 경계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만족스럽지 못한 화면이 된다.
결국,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다채널 평면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시청자의 시청 만족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채널 평면 스크린에서 인접하는 두 평면 스크린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한 스크린 천을 팽팽하게 하여 굴곡이 없는 화면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 평면 스크린간의 인접부위에 설치된 경계부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당김부재가 당겨진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크린 지지대 16 : 당김수단 고정대
18 : 전산(全山) 볼트 20 : 당김부재
22 : 봉 24 : 스크린 천
26 : 스크린 천 고정대 28 : 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는, 소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일체화된 다수의 평면 스크린 지지대의 전면을 1개의 스크린 천으로 커버하는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후면에 설치되되, 두 평면 스크린이 접하는 부위에 고정되게 설치된 당김수단 고정대; 및 상기 당김수단 고정대에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두 평면 스크린이 접하는 부위의 스크린 천을 감아 당기는 당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로서, 본 발명의 경계부 처리장치는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후면중에서 평면 스크린이 상호 인접하는 부위에 설치된다.
여기서,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평면 스크린으로 구획되되 각각의 평면 스크린은 인접하는 평면 스크린과 상호 소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일체화된 스크린 지지대(10) 및 그 스크린 지지대(10)의 전면을 커버하는 1개의 스크린 천(2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에서 평면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 천(24)이 팽팽하게 설치되는 영역으로서, 도 1의 경우에는 3개이다.
그에 따라, 도 1은 3개 채널로 된 평면 스크린 시스템에 본 발명의 경계부 처리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된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은 스크린 천(24)을 접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크린 지지대(10)에 고리를 이용하여 거는 형태를 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 평면 스크린간의 인접부위에 설치된 경계부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는, 상기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후면 즉, 일체화된 스크린 지지대(10)의 후면중 두 개의 평면 스크린이 접하는 부위에 세로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소정 길이의 당김수단 고정대(16); 및 상기 당김수단 고정대(16)에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두 평면 스크린이 인접하는 부위의 스크린 천(24)을 감아 당기는 당김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스크린 지지대(10)의 후면중 상기 두 평면 스크린이 접하는 부위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천(24)이 감아 돌려진 봉(22); 상기 스크린 천(24)이 감아 돌려진 봉(22)을 감쌀 수 있도록 개구(開口)된 원형 홈을 갖추고, 수평이동을 하면서 상기 봉(22)을 당기는 당김부재(20); 상기 고정대(16)에 형성시킨 구멍을 가로로 관통하되 일단이 상기 당김부재(2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전산(全山) 볼트(18); 및 상기 당김수단 고정대(16)의 구멍에서 상기 당김부재(20)의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로 돌출되는 상기 전산 볼트(18)의 타단에 체결되는 너트(2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산 볼트(18)와 너트(28)는 상기 당김부재(20)의 수평이동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재가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천(24)과 상기 당김부재(20) 사이에는 스크린 천 고정대(26)가 설치되는데, 그 스크린 천 고정대(26)는 상기 스크린 천(24)이 봉(22)에 직접적으로 감아 돌려질 때 좀 더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인접하는 스크린 천과의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상기 스크린 천 고정대(26)는 상기 봉(22)에 감겨 돌려지는 스크린 천(24)을 눌러주게 되므로 상기 스크린 천(24)을 팽팽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에서 두 평면 스크린간의 인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스크린 천(24)을 팽팽하게 하기 위해서, 운용자(또는 사용자)가 도 3의 너트(28)를 조이게 되면 그 너트(28)에 체결된 전산 볼트(18) 및 그 전산 볼트(18)의 일단과 일체화된 당김부재(2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당김부재(2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봉(22)이 그 당김부재(20)와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두 평면 스크린의 경계부에 있는 스크린 천(24)이 이전 상태에비해 더욱 팽팽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스크린 천 고정대(26)의 간극을 보면 상기 스크린 천(24)이 상호 맞닿을 수 없을 정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렇게 도시한 것이다. 실제로는 상기 스크린 천(24)이 거의 맞닿을 정도의 간극을 유지한다. 그에 따라, 상기 너트(28)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상기 봉(22)에 감겨지게 되는 스크린 천(24)을 맞닿게 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하면 두 개의 평면 스크린의 스크린 천(24)이 맞닿게 되어 그 두 개의 평면 스크린 사이의 경계부의 간격이 최소화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하는 두 평면 스크린의 경계부의 스크린 천이 밀착될 정도로 팽팽하게 해 주어 경계부의 간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두 평면 스크린의 경계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다 자연스럽게 볼 수 있다. 그로 인해, 시청자의 시청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스크린 천이 느슨해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너트를 좀 더 조이면 스크린 천을 손쉽게 다시 팽팽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4)

  1. 소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일체화된 다수의 평면 스크린 지지대의 전면을 1개의 스크린 천으로 커버하는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후면에 설치되되, 두 평면 스크린이 접하는 부위에 고정되게 설치된 당김수단 고정대; 및
    상기 당김수단 고정대에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두 평면 스크린이 접하는 부위의 스크린 천을 감아 당기는 당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두 평면 스크린의 인접 부위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천이 감아 돌려진 봉; 수평이동을 하면서 상기 봉을 당기는 당김부재; 및 상기 당김수단 고정대와 연결되고 그 당김수단 고정대의 지지에 의해 상기 당김부재의 수평이동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정부재는, 상기 당김수단 고정대에 형성시킨 구멍을 가로로 관통하되 일측이 상기 당김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볼트; 및 상기 당김수단 고정대에 형성시킨 구멍에서 상기 당김부재의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로 돌출되는 상기 볼트의 타측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천과 상기 당김수단 사이에는 상기 스크린 천을 고정시키고 인접한 스크린 천과의 밀착을 도와주는 스크린 천 고정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
KR10-2001-0049578A 2001-08-17 2001-08-17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 KR100446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578A KR100446166B1 (ko) 2001-08-17 2001-08-17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578A KR100446166B1 (ko) 2001-08-17 2001-08-17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697A KR20030015697A (ko) 2003-02-25
KR100446166B1 true KR100446166B1 (ko) 2004-08-30

Family

ID=2771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578A KR100446166B1 (ko) 2001-08-17 2001-08-17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1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4262A (ja) * 1995-01-18 1996-07-3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ィルム、シート類の展張支持治具
JPH08201921A (ja) * 1995-01-25 1996-08-0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ィルム、シート類の展張支持治具
JPH09160129A (ja) * 1995-12-05 1997-06-2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スクリーン装置
KR20000048337A (ko) * 1998-12-22 2000-07-25 에반스 콘솔스, 인코포레이티드 이음매 없는 하나 이상의 배면투사 스크린을 지지하는장치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4262A (ja) * 1995-01-18 1996-07-3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ィルム、シート類の展張支持治具
JPH08201921A (ja) * 1995-01-25 1996-08-0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ィルム、シート類の展張支持治具
JPH09160129A (ja) * 1995-12-05 1997-06-2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スクリーン装置
KR20000048337A (ko) * 1998-12-22 2000-07-25 에반스 콘솔스, 인코포레이티드 이음매 없는 하나 이상의 배면투사 스크린을 지지하는장치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697A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6406A (en) Projection system having multiple screens
US7710646B2 (en) Anti-bulging projection screen structure
KR100246264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크린 부착 구조체
US20140063469A1 (en) Projector driven teleprompter
US5402263A (en) Rear projector having an angled screen mounting frame
US20070040992A1 (en) Proj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46166B1 (ko) 다채널 평면 스크린 시스템의 경계부 처리장치
US5959701A (e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US5179399A (en) Theatre in the round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257436Y1 (ko) 후면투사형 다채널 평면 스크린 장치
KR101777856B1 (ko) 프로젝터용 스크린
JPH09211724A (ja) 投写型液晶表示装置
US5631751A (en) Rear-projection display with auxiliary mirror between 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H0764187A (ja) 大型映像装置
JP2002244209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US7259919B2 (en) Thin-profile projection system
KR940006726B1 (ko) 배면투사형 lcd 프로젝터 광학계
KR100325518B1 (ko) 프로젝션텔레비젼의강유전성액정디스플레이유닛고정장치
US20070103653A1 (en) Light masking for a segmented display system
KR100510648B1 (ko) 프로젝션 티브이용 스크린
KR20240076307A (ko) 미디어아트용 프로젝터 투사범위 조정 장치
JPH05260424A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H1195322A (ja) 投写型表示装置
KR0176376B1 (ko) 와이드 액정프로젝터의 광학장치
JP2647019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