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481B1 -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481B1
KR100445481B1 KR10-2002-0011422A KR20020011422A KR100445481B1 KR 100445481 B1 KR100445481 B1 KR 100445481B1 KR 20020011422 A KR20020011422 A KR 20020011422A KR 100445481 B1 KR100445481 B1 KR 100445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oading
contact
tape
fun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954A (ko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48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로딩장치에서는 구동모터(50)의 구동력을 기어열(53)을 통해 펑션플레이트(60)로 전달한다. 상기 펑션플레이트(60)는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한 것이다. 상기 펑션플레이트(60)에는 구동기어부(64)가 형성되어 섹터기어(70)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동기어부(64)의 적어도 하나에는 접촉스컷트(66)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스컷트(66)는 섹터기어(70)의 연결기어부(72)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금속 파단면에 의한 섹터기어(70)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구동기어부(64)에 인접한 펑션플레이트(60) 상에는 로딩동작 말기에 섹터기어(70)의 비기어부(73)와 밀착되는 비기어부(68)가 형성된다. 상기 비기어부(68)에도 접촉스컷트(69)가 형성되어 섹터기어(70)의 비기어부(73)가 금속 파단면에 의해 마모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섹터기어(70)에는 제1 및 제2로딩기어(80,82) 및 제1,2로딩링크(84,84')(86,86')가 차례로 연결되어 슬랜트베이스(90,90')를 로딩위치와 언로딩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A tape loading device for VCR}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프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접촉스커트를 구비한 기어를 사용한 테이프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샤시(C)의 일측에 테이프카세트(도시되지 않음)의 공급릴과 권취릴(도시되지 않음)을 구동하기 위한 공급릴구동구(1)와 권취릴구동구(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C)상에는 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개의 포스트와 롤러 등이 설치된다. 먼저, 주행되는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포스트(3)가 텐션암(4)에 설치된다. 상기 텐션암(4)은 축핀(2)을 중심으로 상기 테이프(T)의 텐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된다. 상기 텐션암(4)은 스프링(5)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상기 텐션포스트(3)를 지나온 테이프(T)는 안내포스트(6)에 의해 안내되어 전폭소거헤드(7)로 전달된다. 상기 전폭소거헤드(7)는 기록모드에서 테이프(T)에 기록된 신호를 미리 소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폭소거헤드(7)를 지난 위치에는 관성롤러(Inertia Roller)(8)가 설치되어 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한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프(T)는 회전헤드드럼(9)의 양측을 따라 형성된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하는 공급 및 권취측 안내포스트(10,11)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안내포스트(10,11)는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표시된 위치인 테이프카세트 내부에서부터 테이프(T)를 끌어 헤드드럼(9)에 감아져 주행되게 한다. 이와 같은 안내포스트(10,11)의 옆에는 각각 회전헤드드럼(9) 쪽으로 각각 공급 및 권취측 슬랜트포스트(12,13)가 구비되어 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한다. 상기 안내포스트(10,11)와 슬랜트포스트(12,13)는 각각 공급 및 권취측 슬랜트베이스(14,15) 상에 설치되어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된다.
한편, 헤드드럼(9)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T)가 감겨져 주행되는 부분으로, 테이프(T)에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거나 신호를 기록하는 회전헤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헤드드럼(9)을 거쳐 권취측 슬랜트포스트(13)와 안내포스트(11)를 통과한 테이프(T)는 오디오콘트롤헤드(16)를 지나게 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6)는 오디오 신호의 삭제, 기록, 재생과 콘트롤신호의 기록,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6)를 지난 위치에는 테이프(T)의 주행높이를 규제하는 안내포스트(17)가 상기 메인샤시(C)상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포스트(17)를 지난 위치에는 테이프(T)에 주행력을 제공하는 캡스턴축(18)이 설치된다. 상기 캡스턴축(18)은 상기 메인샤시(C)의 반대면에 설치된 캡스턴모터(도시되지 않음)의 출력축으로, 캡스턴모터(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테이프(T)의 주행방향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캡스턴축(18)과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테이프(T)를 당겨주는 힘을 제공하는 핀치롤러(19)가 구비된다. 상기 핀치롤러(19)와 캡스턴축(18)을 지난 위치에는 권취포스트(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권취포스트(20)는 별도의 권취암(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이동된다.
한편, 상기 공급릴구동구(1)와 권취릴구동구(21)의 사이에는 상기 캡스턴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급릴이나 권취릴에 감겨져 있는 테이프(T)의 양에 상관없이 일정한 토크로 상기 공급릴이나 권취릴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조립체(2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조립체(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공급릴구동구(1)나 권취릴구동구(2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아이들러기어(24)가 상기 클러치조립체(22)와 동축으로 설치된 아이들러아암(25)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급릴구동구(1)에 감겨지고 그 양단이 상기 텐션암(4)에 각각 고정되게 텐션브레이크(27)가 설치된다. 상기 텐션브레이크(27)는 상기 텐션암(4)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공급릴구동구(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테이프(T)의 텐션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 및 권취측 슬랜트포스트(12,13)를 테이프(T)의 로딩 및 언로딩 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트와 다른 세트에 사용되는 것이나 대응되는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메인샤시(C)의 일측에는 로딩모터(30)가 설치된다. 상기 로딩모터(30)는 테이프카세트의 로딩 및 언로딩, 테이프(T)의 로딩 및 언로딩, 모드의 변경 그리고 브레이크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로딩모터(30)의 출력축에는 구동워엄기어(32)가 설치되어 로딩모터(30)의 동력을 기어열(33)로 전달한다. 상기 기어열(33)은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되는 것으로 펑션플레이트(35)를 구동한다.
상기 펑션플레이트(35)에는 기어열(3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연결기어부(36)가 구비되고, 상기 슬랜트포스트(12,13)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부(37)가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부(37)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비기어부(38)가 일정 길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부(37)와 일측 기어부가 맞물리게 섹터기어(40)가 상기 메인샤시(C)상에 설치된다. 상기 섹터기어(40)는 몰드물로 기어부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섹터기어(40)와 맞물리게 제1로딩기어(42)가 구비되고, 상기 제1로딩기어(42)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도록 제2로딩기어(43)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로딩기어(42,43)와 각각 연동되게 제1로딩링크(45,45')가 구비되고, 상기 제1로딩링크(45,45')와 연동되게 제2로딩링크(46,46')가 구비된다. 상기 제2로딩링크(46,46')는 그 일단부에 슬랜트베이스(48,48')가 연결된다. 따라서 슬랜트포스트(12,13)가 구비된 상기 슬랜트베이스(48,48')는 상기 제1 및 제2 로딩기어(42,43)의 회전에 의해 헤드드럼(9)의 양단에 형성된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로딩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슬랜트베이스(48,48')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에서 슬랜트포스트(12,13)가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가 로딩위치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가 언로딩위치이다. 그리고 도 2는 로딩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상기 로딩모터(30)의 동력은 기어열(33)을 통해 펑션플레이트(35)로 전달되고, 상기 펑션플레이트(35)의 구동기어부(37)와 섹터기어(40)의 연동에 의해 상기 제1로딩기어(42)와 제2로딩기어(43)가 순차적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기어(42,43)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로딩링크(45,45')(46,46')가 구동되어 상기 슬랜트베이스(48,48')가 로딩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슬랜트베이스(48,48')가 로딩위치에 견고하고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로딩말기에 상기 슬랜트베이스(48,48')의 일측이 메인샤시(C)의 일측에 밀착된다. 이때에는 상기 섹터기어(40)의 기어부 일단이 상기펑션플레이트(35)의 비기어부(38)에 접촉되어 상기 슬랜트베이스(48,48')가 밀리지 않도록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펑션플레이트(35)는 그 강도 측면을 고려하여 금속재질의 판을 프레스가공하여 만든다. 따라서 상기 펑션플레이트(35)에 형성되는 기어부(37) 및 비기어부(38)의 형상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즉, 상기 기어부(37) 및 비기어부(38)의 선단(37',38')은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고 금속이 절단된 날카로운 파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몰드물로 만들어진 상기 섹터기어(40)의 기어부가 상기 기어부(37) 및 비기어부(38)와 치합되어 연동되면 섹터기어(40)가 상기 날카로운 파단면에 의해 쉽게 마모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로딩동작의 말기에서 슬랜트베이스(48,48')가 메인샤시(C)에 밀착되도록 하고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비기어부(38)와 섹터기어(40)가 접촉됨에 의해 섹터기어(40)의 마모 및 파손이 더 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맞물리는 기어부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킨 금속판을 프레스작업하여 형성한 기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전달을 위한 구성요소의 마모와 파손을 최소화한 테이프로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에서 테이프를 테이프 주행계에 로딩시키기 위한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펑션플레이트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a,b는 각 도 3의 A-A'선,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로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펑션플레이트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7a,b는 도 6의 A-A'선,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섹터기어와 펑션플레이트가 치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펑션플레이트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로딩모터 52: 구동워엄기어
53: 기어열 60: 펑션플레이트
62: 연결기어부 64: 구동기어부
66: 접촉스컷트 68: 비기어부
69: 접촉스컷트 70: 섹터기어
72: 연결기어부 73: 비기어부
74: 구동기어부 80: 제1로딩기어
82: 제2로딩기어 84,84': 제1로딩링크
86,86': 제2로딩링크 90,90': 슬랜트베이스
92,92': 슬랜트포스트 94,94': 안내포스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몰드물인 기어와 금속재질인 기어가 상호 접촉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금속재질인 기어의 기어치의 선단을 둘러 몰드물인 기어와 직접 접촉되는 접촉스컷트를 절곡 형성한다.
상기 기어치와 접촉스컷트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촉스컷트는 기어치의 일면에 직교하게 반대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역회전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어 테이프의 로딩과 언로딩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동력의 전달을 위한 구동기어부의 일단을 연장절곡하여 접촉스컷트가 형성된 기어치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금속재질로 된 펑션플레이트와, 상기 펑션플레이트의 구동기어부와 치합되어 회전되고 몰드물인 섹터기어와, 상기 섹터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테이프를 로딩 및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슬랜트포스트를 구비하는 한쌍의 슬랜트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펑션플레이트의 구동기어부와 치합되는 섹터기어의 연결기어부에 인접하여서는 비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스컷트가 형성된 기어치에 인접하여서는 로딩동작완료시에 상기 섹터기어의 비기어부와 밀착되는 비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비기어부의 선단에는 상기 비기어부의 선단과 접촉되는 접촉스컷트가 형성된다.
상기 펑션플레이트의 기어치와 접촉스컷트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촉스컷트는 기어치의 일면에 직교하게 반대면에서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몰드물과 프레스물인 기어치가 서로 맞물려 동작되더라도 몰드물인 기어의 마모와 손상이 최소화되므로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샤시의 일측에 로딩모터(50)가 설치된다. 상기 로딩모터(50)의 출력축에는 구동워엄기어(52)가 설치된다. 상기 로딩모터(50)는 테이프카세트의 로딩 및 언로딩, 테이프의 로딩 및 언로딩 그리고 각종 모드의 전환 및 릴브레이크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로딩모터(50)의 구동력은 다수개의 기어가 구비된 기어열(53)을 통해 전달된다. 물론 상기 로딩모터(50)의 동력을 반드시 기어를 사용하여 전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벨트 등의 다른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기어열(53)을 통해 로딩모터(50)의 구동력은 펑션플레이트(60)로 전달된다. 상기 펑션플레이트(6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테이프의 로딩 및 언로딩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고, 그 자체에 형성된 캠 등에 의해 모드의 변환이나 릴브레이크 구동을 수행한다.
상기 펑션플레이트(60)의 일측에는 연결기어부(6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기어부(62)는 상기 기어열(53)의 마지막 기어와 연결되어 로딩모터(50)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펑션플레이트(60)의 타측에는 구동기어부(64)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부(64)는 아래에서 설명될 섹터기어(70)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동기어부(64)를 구성하는 기어치중 일단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치의 선단에는 접촉스컷트(66)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스컷트(66)는 상기 기어치의 선단에 기어치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스컷트(66)는 상기 구동기어부(64)가 치합되는 섹터기어(70)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상기 접촉스컷트(66)는 구동기어부(64)의 전체 기어치에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동기어부(64)와 섹터기어(70)가 치합되어 연동되는 부분중 이들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만 형성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기어부(64)중 일단부, 즉 로딩말기에 섹터기어(70)와 밀착되는 기어치에만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동기어부(64)의 일단, 즉 상기 접촉스컷트(66)가 형성된 부분에 인접하여서는 비기어부(68)가 형성된다. 상기 비기어부(68)는 로딩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섹터기어(70)의 비기어부(73)와 밀착된다. 상기 비기어부(68)에도 접촉스컷트(69)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스컷트(69)는 상기 비기어부(73)의 선단에 비기어부(73)의 연장방향에 직교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스컷트(69)는 섹터기어(70)의 비기어부(73)와 로딩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밀착된다.
섹터기어(70)는 상기 펑션플레이트(6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그 가장자리 일정 구간에 연결기어부(72)와 구동기어부(74)가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기어부(72)는 펑션플레이트(60)의 구동기어부(64)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연결기어부(72)의 일단에는 펑션플레이트(60)의 비기어부(68)와 대응되는 위치에 비기어부(73)가 형성된다.
상기 섹터기어(70)의 구동기어부(74)와 치합되어 제1로딩기어(8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로딩기어(80)와 치합되게 제2로딩기어(82)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섹터기어(70)의 회전력은 상기 제1로딩기어(80)에서 제2로딩기어(82)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로딩기어(80,82)와 연동되게 각각 제1로딩링크(84,84')가 설치된다. 상기 제1로딩링크(84,84')의 선단에는 각각 제2로딩링크(86,86')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로딩링크(86,86')의 선단에는 각각 슬랜트베이스(90,90')가 연결된다. 상기 슬랜트베이스(90,90')는 메인샤시의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슬랜트베이스(90,90')에는 테이프를 안내하는 슬랜트포스트(92,92')와 안내포스트(94,94')가 각각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테이프가 로딩되는 것을 설명한다. 테이프카세트가 메인샤시에 안착되면 테이프의 내측에 상기 슬랜트포스트(92,92')와 안내포스트(94,94')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모터(50)의 구동에 의해 테이프가 로딩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로딩모터(50)의 구동력은 구동워엄기어(52)를 통해 기어열(53)로 전달되고, 상기 기어열(53)을 지나 펑션플레이트(60)로 전달된다. 상기 펑션플레이트(60)는 기어열(53)의 마지막 기어와 상기 연결기어부(62)가 치합되어구동된다. 상기 펑션플레이트(60)는 도면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로딩시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펑션플레이트(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펑션플레이트(60)의 구동기어부(64)와 연결기어부(72)가 치합된 섹터기어(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섹터기어(70)의 회전에 의해 제1로딩기어(80)가 회전되고, 상기 제1로딩기어(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로딩기어(82)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로딩기어(80)와 제2로딩기어(82)의 회전에 의해 각각 제1로딩링크(84,84')가 구동되고, 이에 연동되어 제2로딩링크(86,86')도 각각 구동되어 상기 슬랜트베이스(90,90')가 로딩패스를 따라 헤드드럼의 양단 위치로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은 슬랜트베이스(90,90')의 이동에 의해 테이프가 로딩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로딩동작의 말기에는 상기 펑션플레이트(60)의 비기어부(68)와 상기 섹터기어(70)의 비기어부(73)가 접촉된다. 물론 펑션플레이트(60)의 구동기어부(64)중 상기 비기어부(68)와 인접한 기어치(접촉스컷트(66)가 형성된)와 섹터기어(70)의 비기어부(73)와 인접한 연결기어부(72)의 기어치는 상기 펑션플레이트(60)의 반대방향 이동에 의해 쉽게 물릴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펑션플레이트(60)의 비기어부(68)와 섹터기어(70)의 비기어부(73) 사이의 접촉은 상기 슬랜트베이스(90,90')가 로딩패스의 끝단에서 메인샤시에 압착되게 하고, 상기 슬랜트베이스(90,90') 측에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섹터기어(7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언로딩동작은 상기 펑션플레이트(60)가 반대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로딩모터(50)를 구동시켜 주면 된다.
여기서, 펑션플레이트(60)에 구비되는 구동기어부(64) 및 비기어부(68)에 접촉스컷트(66,69)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스컷트(66,69)가 형성될 부분을 포함하여 금속판을 프레스기에서 소정 형상으로 절단한다. 이때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 다시 말해 접촉스컷트(66,69)가 될 부분을 남겨놓고 프레스 작업으로 절단한다.
다음으로 상기 접촉스컷트(66,69)가 상기 구동기어부(64)의 기어치와 비기어부(68)의 연장방향에 직교되게 프레스 작업으로 가공한다. 물론 금형 및 펀치의 설계에 따라서는 금속판의 절단과 접촉스컷트(66,69)의 형상을 단번에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접촉스컷트(66,69)는 상기 기어열(53)의 마지막 기어를 몰드물로 형성할 경우에 상기 연결기어부(62)에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펑션플레이트(60)의 구동기어부(64) 전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몰드물인 기어와 프레스물인 기어의 치합시에 몰드물과 접촉되는 프레스물 기어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어 몰드물 기어의 마모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테이프로딩장치에서는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 펑션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동기어부에 접촉스컷트를 형성하여 구동기어부와 치합되는 몰드물인 섹터기어와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하고 금속의 파단면이 몰드물인 섹터기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섹터기어의 비기어부에 대응되는펑션플레이트의 비기어부에도 접촉스컷트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몰드물인 섹터기어와 프레스물인 금속재질의 펑션플레이트가 연동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섹터기어의 마모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테이프로딩장치의 내구성과 동작신뢰성이 좋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몰드물인 기어와 금속재질인 기어가 상호 접촉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금속재질인 기어의 기어치의 선단을 둘러 몰드물인 기어와 직접 접촉되는 접촉스컷트를 절곡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치와 접촉스컷트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촉스컷트는 기어치의 일면에 직교하게 반대면에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3. 정역회전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어 테이프의 로딩과 언로딩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동력의 전달을 위한 구동기어부의 일단을 연장절곡하여 접촉스컷트가 형성된 기어치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금속재질로 된 펑션플레이트와,
    상기 펑션플레이트의 구동기어부와 치합되어 회전되고 몰드물인 섹터기어와,
    상기 섹터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테이프를 로딩 및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슬랜트포스트를 구비하는 한쌍의 슬랜트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플레이트의 구동기어부와 치합되는 섹터기어의연결기어부에 인접하여서는 비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스컷트가 형성된 기어치에 인접하여서는 로딩동작완료시에 상기 섹터기어의 비기어부와 밀착되는 비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비기어부의 선단에는 상기 비기어부의 선단과 접촉되는 접촉스컷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플레이트의 기어치와 접촉스컷트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촉스컷트는 기어치의 일면에 직교하게 반대면에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KR10-2002-0011422A 2002-03-04 2002-03-04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KR100445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422A KR100445481B1 (ko) 2002-03-04 2002-03-04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422A KR100445481B1 (ko) 2002-03-04 2002-03-04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954A KR20030071954A (ko) 2003-09-13
KR100445481B1 true KR100445481B1 (ko) 2004-08-21

Family

ID=3222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422A KR100445481B1 (ko) 2002-03-04 2002-03-04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4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0269A (ja) * 1984-09-12 1986-04-11 Nippon Poripenko Kk 芯金入りナイロン歯車
JPS63235765A (ja) * 1987-03-24 1988-09-30 Mazda Motor Corp 低騒音歯車
KR950009762U (ko) * 1993-09-09 1995-04-21 드럼구동모터
KR960024828U (ko) * 1994-12-13 1996-07-22 테이프 레코더의 아이들러 장치
US5563857A (en) * 1993-08-31 1996-10-08 Daewoo Electronics Co., Ltd. Disc changer having a single driving motor for both a tray and a roulet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0269A (ja) * 1984-09-12 1986-04-11 Nippon Poripenko Kk 芯金入りナイロン歯車
JPS63235765A (ja) * 1987-03-24 1988-09-30 Mazda Motor Corp 低騒音歯車
US5563857A (en) * 1993-08-31 1996-10-08 Daewoo Electronics Co., Ltd. Disc changer having a single driving motor for both a tray and a roulette
KR950009762U (ko) * 1993-09-09 1995-04-21 드럼구동모터
KR960024828U (ko) * 1994-12-13 1996-07-22 테이프 레코더의 아이들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954A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381A (en)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for a simplified video cassette recorder apparatus
KR100445481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로딩장치
GB2224876A (en) A magnetic tape cassette recorder/player drive system
KR100533261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로딩구동부
KR10037775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클러치장치
KR97000505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주행계 구동장치
US5729402A (en) Logic controlled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60016361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브레이크장치
EP0345739B1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KR100424562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캡스턴모터 브레이크장치
KR10041293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헤드조립체
EP0613132B1 (en) Tape guiding in tape recorders
KR100424563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로딩기어 조립체
KR100407302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기어 조립체
EP0944062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KR10042457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슬랜트베이스 가이드구조
KR0176894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데크메커니즘
KR100377757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텐션조절장치
JPH0255857B2 (ko)
KR100241420B1 (ko) 브이씨알의 아이들러 구동장치
KR200214363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클러치장치
KR20060029487A (ko) 자기기록재생기용 테이프로딩장치
JP3010724U (ja) テープ再生装置
JP3572688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KR870000442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