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202B1 - 콤퓨레셔 및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콤퓨레셔 및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202B1
KR100445202B1 KR10-2001-0035353A KR20010035353A KR100445202B1 KR 100445202 B1 KR100445202 B1 KR 100445202B1 KR 20010035353 A KR20010035353 A KR 20010035353A KR 100445202 B1 KR100445202 B1 KR 100445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mpressor
link
ai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7422A (ko
Inventor
박세환
김보용
Original Assignee
김보용
박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용, 박세환 filed Critical 김보용
Priority to KR10-2001-003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202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1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H01F7/1615Armatures or 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having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크기를 매우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소음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콤퓨레셔를 제공한다. 이 콤퓨레셔는 압축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 실린더, 한쌍의 블록, 슬라이딩 어셈블리, 마그네트 어셈블리, 배기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실린더는 길이 방향의 중공을 갖고 양측단부에는 각각 블록이 결합된다. 각 블록에는 실린더의 중공과 탱크를 연결하는 공기유출구와 외부로부터 실린더의 중공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블록들 사이에서 실린더 중공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을 구비한다. 마그네트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마그네트를 온/오프시키므로써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블록사이에서 왕복운동되도록 한다. 배기방지수단은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작동시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실린더내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지 않도록 한다. 이 콤퓨레셔를 사용한 구동장치는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를 구비한다. 제 1 링크는 피스톤로드에 결합되어 피스톤을 따라 왕복운동하고, 제 2 링크는 제 1 링크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작업공구를 사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콤퓨레셔 및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COMPRESSOR AND DRIVING APPARATUS USING THE COMPRESSOR}
본 발명은 콤퓨레셔 및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공기를 필요로 하는 레져장비, 가정용 식기세척기, 타이어, 진공청소기 등에 사용하기 위한 소형의 콤퓨레셔 및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퓨레셔(compressor)는 산업분야뿐만아니라 압축공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부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다. 특히, 가정용 식기세척기, 타이어, 진공청소기 등의 생활편의를 위한 기기들 및 야외활동을 위한 각종 레져장비들에 있어서는 그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콤퓨레셔 중 대부분의 마그네트를 응용한 전기식 소형 콤퓨레셔는 전자석의 주파수에 따른 진동으로 발생되는 진폭의 위치변위를 공기펌프의 작동으로 연결시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소형 콤퓨레셔는 보다 고효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전압을 높여 주거나, 마그네트와 전자석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공기량과 높은 압력을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소형 콤퓨레셔는 그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그 용량에 비하여 크기가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음에 있어서도 실내에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그 크기에 있어서 매우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소음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콤퓨레셔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공기를 형성할뿐만아니라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콤퓨레셔를 제공하고, 이 콤퓨레셔를 사용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퓨레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퓨레셔와 이를 사용한 구동장치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콤퓨레셔와 구동장치의 주요 부분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콤퓨레셔 20 : 탱크
24 : 공기량 조절밸브 26 : 커플링
30 : 실린더 40 : 블록
42 : 공기 유출구 44 : 공기 유입구
46 : 큐션블록 52 : 피스톤
54 : 피스톤로드 56 : 압축스프링
72 : 마그네트 74 : 콘트롤러
76 : 센서 90 : 배기방지수단(첵크밸브)
200 : 제 1 링크(랙크) 210 : 제 2 링크
212 : 링크바 214 : 피니언
216 : 래칫 230 : 지지구
240 : 작업공구(복스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그 크기를 매우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소음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콤퓨레셔를 제공한다. 이 콤퓨레셔는 압축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 실린더, 한쌍의 블록, 슬라이딩 어셈블리, 마그네트 어셈블리, 배기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실린더는 길이 방향의 중공을 갖고 양측단부에는 각각 블록이 결합된다. 각 블록에는 상기 실린더의 중공과 상기 탱크를 연결하는 공기유출구와 외부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중공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블록들 사이에서 상기 실린더 중공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을 구비한다. 마그네트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마그네트를 온/오프시키므로써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상기 블록사이에서 왕복운동되도록 한다. 배기방지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작동시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내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콤퓨레셔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방지수단은 첵크 밸브일 수 있다. 또, 상기 탱크는 압축된 공기가 외부로 흐르도록 상기 탱크에 연결되는 라인 및 상기 라인의 끝단에 연결되어 외부기기와 결합 및 분리가능한 커플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인상에서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콤퓨레셔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마그네트 어셈블리는 상기 한쌍의 블록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전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콤퓨레셔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피스톤에 일단이 연결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측의 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탱크로 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쿠션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부에는 설치되는 압축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탱크, 실린더, 블록들, 피스톤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피스톤로드를 갖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마그네트 어셈블리, 배기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콤퓨레셔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이 콤퓨레셔를 사용한 구동장치는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를 구비한다. 제 1 링크는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을 따라 왕복운동하고, 제 2 링크는 상기 제 1 링크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작업공구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콤퓨레셔를 사용한 구동장치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링크는 랙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랙크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과, 일단이 상기 피니언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작업공구에 결합되는 링크바 및 상기 링크바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바는 상기 피니언과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바의 회전방향을 바꾸기 위한 래칫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작업공구는 렌치소켓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콤퓨레셔는 공압실린더와 마그네트(전자석)를 응용한 새로운 개념의 공기배압 및 발생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 콤퓨레셔는 공압실린더의 다양한 기술적 구성과 마그네트의 원리를 조합하여 탱크에 공기를 압축하는 개념을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이 콤퓨레셔에는 공압실린더에 부가되고 있거나 개발될 각종 기술(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큐션장치, 밀폐기술, 이송기술 등)과 마그네트와 관련된 각종 기술들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콤퓨레셔에 사용되는 전원은 차량용 전원이나 가정용 전원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콤퓨레셔는 마그네트에 전원을 공급하면 자력을 발생하여 물체를 끌어당기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반복적인 마그네트의 상호 교환작용으로 피스톤이 왕복직선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압축시 발생되는 공기를 모아서 공기를 필요로 하는 기구 및 장치에 사용할 수 있으며, 회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구 또는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콤퓨레셔 및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주 요소들의 연결, 결합, 고정을 위한 배관라인, 각종 체결구(피팅), 볼트 및 나사, 홀, 와셔, 너트, 등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일반적인 콤퓨레셔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기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 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퓨레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콤퓨레셔(10)는 탱크(20), 실린더(30), 한쌍의 블록(40), 슬라이딩 어셈블리, 마그네트 어셈블리, 배기방지수단(90) 등으로 이루어진다. 탱크(20)는 실린더(30)로부터 압축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탱크(20)는 일반적인 콤퓨레셔(10)에서 사용되는 탱크의 기술적 구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탱크(20)에는 압축된 공기를 외부 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인(22)이 연결된다. 물론, 상기 라인(22)은 다수의 분기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콤퓨레셔(10)가 적용되는 기기의 연결구(도시 않음)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실린더(30)는 길이 방향의 중공(32; 도3 참조)을 갖는다. 이 실린더(30)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블록(40)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피스톤(52)이 위치된다. 이와 같은 실린더(30)의 구성은 일반적인 공압실린더의 구성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블록(40)과 피스톤(52)의 기술적 구성 및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공압실린더만큼 그 범위를 다양하게 가질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블록(40)에는 상기 실린더의 중공(32)과 탱크(20)를 연결하는 공기유출구(42)와 외부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중공(32)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4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구(44)에는 배기방지수단(90)이 설치된다. 이 배기방지수단(90)은 상기 피스톤(52)의 작동시 상기 공기유입구(44)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30)내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구(44)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지 않도록 한다. 이 배기방지수단(9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첵크 밸브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피스톤(52), 피스톤로드(54; 도2 및 도3 참조) 및 피스톤(52)의 왕복시 공기밀폐를 위한 기술적 구성 등을 총칭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공기밀폐를 위한 기술적 구성은 일반적인 공압실린더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피스톤(52)은 상기 블록(40)들 사이에서 상기 실린더 중공(32)의 내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피스톤(52)은 마그네트 어셈블리에 의해서 왕복운동된다. 이 마그네트 어셈블리는 마그네트(전자석)(72), 콘트롤러(74), (위치)센서(76) 등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마그네트(72)를 온/오프시키므로써 상기 슬라이딩어셈블리(피스톤)가 상기 블록(40)들 사이에서 왕복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마그네트 어셈블리는 차량용 전원이나 가정용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76)는 상기 실린더(30)내에서 왕복운동되는 피스톤(52)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피스톤(52)이 상기 블록(4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센서(76)와 관련된 기술적 내용은 일반적인 공압실린더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퓨레셔와 그를 이용한 구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퓨레셔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탱크(20), 실린더(30), 한쌍의 블록(40), 슬라이딩 어셈블리, 마그네트 어셈블리, 첵크 밸브(9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탱크(20)의 라인(22)상에는 공기량 조절밸브(24) 및 커플링(26)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량 조절밸브(24)는 상기 라인(22)을 흐르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공기량 조절밸브(24)는 일반적인 공압 부품에서 스피드 콘트롤러(speed controller)로 불린다. 상기 라인(22)의 끝단에 설치되는 커플링(26)은 분사기(300)과 같은 사용하고자 하는 장치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26)은 일반적으로 공압기기에서 사용되는 원터치식 커플러가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마그네트 어셈블리는 상기 한쌍의 블록(40)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전자석(72)을 포함한다. 이 전자석(72)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온/오프되어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왕복운동되도록 한다.이 전자석(72)들의 교번작동은 상기 실린더(3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센서(76)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 센서(76)들은 상기 실린더(30)의 외주면에서 양측 블록(40)들의 근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이 센서(76)들은 상기 피스톤(52)의 위치를 감지하므로써 상기 전자석(72)들이 교번작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일반적인 공압실린더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피스톤(52)에 일단이 연결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측의 블록(40)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로드(5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스톤로드(54)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스톤(5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예컨대, 이와 같은 구성은 양측 공압실린더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것이다. 이 피스톤로드(54)는 상기 블록(40)들과 전자석(마그네트)(72)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슬라이딩운동된다. 따라서, 상기 블록(40)들에는 상기 실린더 중공(32)내와 외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구(48)가 각각 설치된다. 이 밀폐구(48)는 일반적인 공압실린더에 적용되는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피스톤로드(54)의 외부 끝단에는 지지판(544)과 고정돌기(54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72)과 지지판(544) 사이에는 상기 고정돌기(542)에 결합되는 압축스프링(56)이 설치된다. 이 압축스프링(56)은 상기 전자석(마그네트)(72)의 코일이 파손 또는 다른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는 두개의 마그네트와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한쪽 마그네트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콤퓨레셔를 제공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722는 상기 전자석(72)에 형성되는 홈으로 상기 스프링(56)이 재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콤퓨레셔에는 피스톤(52)의 왕복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큐션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큐션장치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는 상기 공기 유출구(42)를 통해 상기 탱크(20)로 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피스톤(52)의 왕복운동시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쿠션장치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 쿠션장치는 상기 블록(72)들에 각각 설치되는 큐션블록(46)과 상기 피스톤바(54)들에 각각 설치되는 큐션바(546)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큐션장치는 일반적인 공압실린더에 설치되는 방법을 적용하므로써 부가적인 다른 구성의 추가없이 간단하게 소음을 줄이는 방법이다.
한편, 상술한 콤퓨레셔는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운동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동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구동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왕복직선운동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왕복직선운동을 회전운동 또는 각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왕복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경시켜서 원동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보여준다. 이 구동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피스톤로드(54)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52)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 1 링크(200)와 이 제 1 링크(200)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작업공구(240)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링크(210)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링크(200)는 랙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링크(210)는 상기 랙크(200)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214), 일단이 상기 피니언(214)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작업공구(240)에 결합되는 링크바(212), 상기 링크바(212)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230)으로 이루어진다. 이 지지구(230)에는 베어링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바(212)는 상기 피니언(214)과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바(212)의 회전방향을 바꾸기 위한 래칫(ratchet)(216)을 구비하고, 상기 상기 작업공구(6)는 복스알과 같은 렌치소켓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는 자동차의 바퀴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작업공구(6)에는 복스셋트외에도 드라이버, 탭핸들, 드릴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설명 부호 100은 상기 구동장치의 케이스일 수 있다. 이 케이스(100)는 구동장치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각종 디자인적인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퓨레셔는 두개의 마그네트(전자석)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자력을 발생시켜) 피스톤이 왕복직선운동하므로써 압축공기를 발생한다. 이때, 피스톤의 왕복직선운동을 랙크와 피니언 등을 이용하여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서 각종 작업공구(일례로, 차량용 리프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퓨레셔와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콤퓨레셔는 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휴대 및 수송이 간편하여 장소의 구애를 덜 받으면서 타이어, 식기세척기, 풍선, 레져기구, 싱크대 등 공기주입을 필요로 하는 모든 것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음이 작고 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정 등의 실내에서 사용되는 기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용량을 적게 할 경우에는 그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공기를 필요로하는 소형기기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압축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와;
    길이 방향의 중공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양측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의 중공과 상기 탱크를 연결하는 공기유출구와 외부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중공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가 각각 형성된 한쌍의 블록과;
    상기 블록들 사이에서 상기 실린더 중공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마그네트를 온/오프시키므로써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상기 블록사이에서 왕복운동되도록 하기 위한 마그네트 어셈블리 및;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실린더내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배기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콤퓨레셔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압축된 공기가 외부로 흐를 수 있도록 탱크에 연결되는 라인 및 라인의 끝단에 연결되어 외부기기와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 커플링이 구비되며,
    상기 블록은 공기유출구를 통해 탱크로 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쿠션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퓨레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탱크, 실린더, 블록들, 피스톤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피스톤로드를 갖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마그네트 어셈블리, 배기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콤퓨레셔를 사용한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 1 링크 및;
    상기 제 1 링크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작업공구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퓨레셔를 사용한 구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는 랙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랙크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과;
    일단이 상기 피니언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작업공구에 결합되는 링크바 및;
    상기 링크바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퓨레셔를 사용한 구동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는 상기 피니언과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바의 회전방향을 바꾸기 위한 래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퓨레셔를 사용한 구동장치.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구는 렌치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퓨레셔를 사용한 구동장치.
KR10-2001-0035353A 2001-06-21 2001-06-21 콤퓨레셔 및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 KR100445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353A KR100445202B1 (ko) 2001-06-21 2001-06-21 콤퓨레셔 및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353A KR100445202B1 (ko) 2001-06-21 2001-06-21 콤퓨레셔 및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620U Division KR200248500Y1 (ko) 2001-06-21 2001-06-21 콤퓨레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22A KR20020097422A (ko) 2002-12-31
KR100445202B1 true KR100445202B1 (ko) 2004-08-21

Family

ID=2771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353A KR100445202B1 (ko) 2001-06-21 2001-06-21 콤퓨레셔 및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2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22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79769A (zh) 使用在用于处理岩石和混凝土的设备中的液压冲击机构
KR100445202B1 (ko) 콤퓨레셔 및 그를 사용한 구동장치
KR200248500Y1 (ko) 콤퓨레셔
US8671822B2 (en) Fluid driven reciprocating linear motor
JP3966818B2 (ja) スライドバルブ
US3544239A (en) Vacuum operated compound double-acting piston pump or compressor
JP6705731B2 (ja) コンプレッサおよびエア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WO2006127033A2 (en) Percussion tool
JP2005518950A5 (ko)
CA2491298A1 (en) Pneumatic reciprocating motor
CN103273462A (zh) 电动撞击器
JP6715499B2 (ja) シリンダー型エアーコンプレッサー
CN101890710A (zh) 晶片吸附式传输机械手
JP3936961B1 (ja) 負圧増圧発生装置
KR100762999B1 (ko) 에어콤프레셔
JP6962648B2 (ja) 作動媒体を圧縮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243199A (en) Water-motor.
EP2279349A1 (en) Drive system for a pressure wave generator
KR100893335B1 (ko) 왕복엔진을 이용한 발전기
KR200331804Y1 (ko) 진공 청소기를 이용한 진공 펌프
KR200257501Y1 (ko) 에어콤프레셔
KR100904864B1 (ko) 밸브 구동용 액추에이터
KR20080017214A (ko) 밀폐형 압축기
KR200225155Y1 (ko) 왕복운동식 진공펌프
EP0186606A1 (en) Fluid actuator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