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167B1 -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167B1
KR100445167B1 KR1020030040910A KR20030040910A KR100445167B1 KR 100445167 B1 KR100445167 B1 KR 100445167B1 KR 1020030040910 A KR1020030040910 A KR 1020030040910A KR 20030040910 A KR20030040910 A KR 20030040910A KR 100445167 B1 KR100445167 B1 KR 100445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tored
digital signal
storing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맥스
Priority to KR1020030040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5Lifting beam permitting to depose a load through an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은,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서큘러 파일과 리니어 파일에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된 각 파일에 대한 소정의 정보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파일에 대한 소정의 정보값에서 클러스터에 대한 주소값을 변경하여 기 저장된 클러스터의 특성을 변경하는 마이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를 이용한 타임 쉬프트 상태의 녹화를 보다 안정적이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file system of broadcasting receiver storing digital signal and wor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 및 그 이전에 임시 저장되는 신호를 포함하여 녹화하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이하 HDD)를 이용한 개인용 비디오 저장장치(Personal Video Recorder, 이하 PVR)의 보급에 따라 TV 등을 통해 수신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저장 장치인 상기 저장매체에 녹화 및 재생을 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방송 시청의 붐을 가져 왔다.
상기 PVR은 마그네틱 테이프에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종래의 VCR과는 달리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여 재생하는 신개념의 디지털 녹화기로서, 셋톱박스나 TV 본체에 내장된 HDD를 통해 VCR 없이도 용량에 따라 일정시간 분량의 방송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는 차세대 녹화기기이다.
상기 PVR의 기본적인 기능은 방송국에서 내보내는 프로그램을 저장하였다가 본다는 점에서 기존의 VCR과 큰 차이가 없지만,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여 컴퓨터와 같은 파일 재생방식으로 재생하고, 재생을 위한 중앙처리장치(CPU)와 운영체제와 재생소프트웨어 등을 담은 메모리칩, 그리고, HDD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즉, 이는 텔레비전 튜너, 저장 및 재생 소프트웨어, 모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컴퓨터에 사용되는 하드 드라이브를 결합시킴으로써 TV 프로그램을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고 재생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에 저장한다는 의미는 보편적으로 버퍼링(buffering)과 레코딩(recording)인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고려할 수 있다.
버퍼링은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는 동안 재생되고 있는 채널의 영상 신호인 A/V 스트림 형태를 저장매체에 자동적으로 저장하는 것이고, 레코딩은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그 일부분을 직접 혹은 예약 녹화의 방법에 의해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링를 위해 저장된 영상 신호 A/V 스트림은 일정시간이 지나는 등의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저장매체 즉, 하드 디스크에서 삭제되는 데이터이고, 상기 레코딩을 위한 영상 신호 A/V 스트림은 사용자가 인식하여 지우기 전까지는 삭제되지 않는 것이다.
즉, 상기 버퍼링을 위한 영상 신호 A/V 스트림은 하드 디스크의 서큘러 파일(Circular File)에 저장되는 것으로, 이는 특정 크기의 파일을 생성해 놓고 그보다 더 커지지 않고 계속 서큘러하게 돌아가면서 사용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오래된 것부터 지워져나가고, 지원진 곳에 새로 버퍼링된 A/V 스트림이 저장되는 형태의 파일을 말하는 것이며, 레코딩을 위한 영상 신호 A/V 스트림은 하드 디스크의 리니어 파일(Linear File)에 저장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레코딩 파일과 같이 사용자가 지우기 전에는 삭제되지 않는 형태의 파일을 말하는 것이다.
PVR에서는 일반적으로 타임 쉬프트 녹화(Time Shift Record, 이하 TSR)용 파일로 서큘러 파일을 사용한다. 이러한 서큘러 파일의 특성은 일반 녹화용 리니어파일과 다르기 때문에 서큘러 파일을 사용하여 이전 내용을 보고 있을 때(일례로 사용자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중에 잠시 볼 일이 있어 일시정지 등의 기능을 사용했을 때, 사용자는 다시 돌아와 재시청 하는 경우) 사용자가 즉시 녹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새로운 레코드용 리니어 파일을 만들어 새롭게 저장하게 된다. 즉, 현재 수신되는 영상 신호 A/V 스트림이 저장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리니어 파일에 저장하게 되어, 부득이 현재 수신하는 방송 신호와 사용자가 시청하는 방송 신호와의 시간적 간격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저장할 수 없게 되어 사용자는 해당 시간의 방송을 시청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기존에 저장된 서큘러 파일의 내용을 리니어 파일로 복사하는 방식을 구현하였으나, 복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사하면서 동시에 다른 작업을 하는 것은 시스템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어, 방송 신호가 끊기는 등의 부작용이 유발되었으며, 어플리케이션도 복잡해 지는 여러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타임 쉬프트 상태에서 녹화를 시작한 경우, 상기 타임 쉬프트 상태가 저장된 서큘러 파일의 해당분을 현재 녹화가 시작된 리니어 파일의 시작위치로 재 지정하고, 상기 재 지정된 시작 위치를 오프셋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시작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타임 쉬프트 상태의 녹화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파일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타임 쉬프트 상태의 녹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타임 쉬프트 녹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타임 쉬프트 녹화된 스트림을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드 디스크 12 : 클러스터
14 : 섹터 16 : 메모리
18 : 테이블 19 : 마이컴
20 : 서큘러 파일 22 : 리니어 파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은,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서큘러 파일과 리니어 파일에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된 각 파일에 대한 정보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파일에 대한 정보값에서 클러스터에 대한 주소값을 변경하여 기 저장된 클러스터의 특성을 변경하는 마이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큘러 파일은, 상기 저장매체의 일정 용량 또는 일정 시간 분의 저장공간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가 상기 일정 용량 또는 일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 할당된 일정 부분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리롸잇(rewrite) 하는 것이며, 상기 리니어 파일은, 상기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한 경우, 의도적으로 삭제 등을 하지 않는 이상 해당 데이터가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파일에 대한 정보값은, 파일의 이름, 파일의 크기, 파일의 종류, 파일의 오프셋 값, 파일의 내용, 클러스트의 주소값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값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 운영방법은,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서큘러 파일에 저장하는 제 1단계와; 녹화 요청시, 타임 쉬프트 상태 인지 확인하는 제 2단계와; 타임 쉬프트 단계인 경우, 서큘러 파일에 기 수신되어 저장된 부분을 새로운 리니어 파일의 시작부분으로 지정하는 제 3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타임 쉬프트 상태는 인터럽트(interrupt)에 의해, 현재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의 이전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상태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단계는 타임 쉬프트 상태인 경우, 상기 서큘러 파일에 기 수신되어 저장된 부분을 새로운 리니어 파일의 시작부분으로 지정하기 위해, 서큘러 파일에 기 수신되어 저장된 부분에 해당하는 클러스터들을 새로운 리니어 파일의 클러스터들로 지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클러스터의 위치와 타임 쉬프트의 실제 위치에 대한 오프셋 정보가 추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 비디오 저장장치를 이용한 타임 쉬프트 상태의 녹화를 보다 안정적이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이란 하드 디스크에 여러 가지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하드 디스크 전체를 클러스터라는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나누고, 각 파일이 사용한 클러스터들과 파일에 대한 속성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 때 클러스터는 하나 이상의 섹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1 섹터는 512byte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 시스템의 의미에서와 같이, 각 파일은 클러스터 단위의 조각이 모여 하나의 파일이 구성되는데, 파일의 저장과 삭제, 복사 등의 반복시 하나의 파일을 이루는 클러스터 단위의 조각들은 연속적이지 않고 하드 디스크 공간 상의 여러 곳에 분산되어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파일을 구성되는 분산된 클러스터 단위의 조각들의 순서와 위치를 알기 위해 linked list라는 연결구조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PVR 등과 같은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는 셋톱박스 또는 TV 본체에 내장된 저장매체 즉, 하드 디스크를 통해 용량에 따라 일정시간 분량의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는 것으로, 입력되는 방송 프로그램 즉, 디지털 영상신호인 A/V 스트림을 상기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여 컴퓨터와 같은 파일 재생방식으로 재생하는 것이다.
즉, PVR은 그 내부에 하드 디스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하드 디스크에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이 기록된 다수의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은,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서큘러 파일(Circular File)과 리니어 파일(Linear File)에 구분하여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Hard Disk)(10) 즉,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각 파일에 대한 소정의 정보값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16)와, 상기 메모리(16)에 저장된 각 파일에 대한 정보값에서 상기 파일을 구성하는 소정의 클러스터의 특성을 변경하는 마이컴(Micom)(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드 디스크(10) 전체는클러스터(Cluster)(12)라는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나뉘어 있고, 상기 서큘러 파일 및 리니어 파일은 클러스터(12) 단위의 조각이 모여 이루어 지는 것이며, 이 때 클러스터(12)는 하나 이상의 섹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9)은 상기 메모리(16)에 저장된 테이블(18) 즉, 소정의 정보값들을 통해 타임 쉬프트(Time Shift) 상태로 저장된 서큘러 파일의 해당분을 현재 녹화(Recording)가 시작된 리니어 파일의 시작위치로 재 지정하고, 상기 재 지정된 시작 위치를 실제 시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각각의 클러스터(12)와 테이블(18)이 서로 독립적으로 맵핑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큘러 파일의 해당 클러스터에 대한 테이블을 리니어 파일이 시작하는 클러스터의 테이블로 새롭게 맵핑함으로써, 상기 타임 쉬프트 상태의 녹화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16)에 저장되는 테이블(18)은 소정의 정보값들로 구성되고, 상기 정보값들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파일의 이름, 파일의 크기, 파일의 종류, 파일의 오프셋값, 파일의 내용, 클러스터의 주소값 중 하나 이상의 값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상기 마이컴(19)이 상기 파일을 구성하는 소정의 클러스터의 특성을 변경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큘러 파일에는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는 동안 재생되고 있는 채널의 디지털 신호가 자동적으로 저장되고, 상기 서큘러 파일에 저장되는 디지털 신호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하드 디스크에서 삭제된다.
즉, 상기 서큘러 파일은 상기 저장매체의 일정 용량 또는 일정 시간 분의 저장공간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가 일정 용량 또는 일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 할당된 일정 부분의 데이터가 삭제되고, 리롸잇(rewrite)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니어 파일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그 일부분에 해당되는 디지털 신호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되고, 상기 리니어 파일에 저장되는 디지털 신호는 사용자가 인식하여 지우기 전까지는 삭제되지 않는 것이다.
즉, 상기 리니어 파일은 상기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한 경우, 의도적으로 삭제 등을 하지 않는 이상 해당 데이터가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16)는 램(Read Access Memory: RAM)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모리(16)에 저장된 테이블(18)은 그에 대한 백업(back up) 목적으로 하드 디스크(10)에도 별도로 저장된다.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타임 쉬프트 녹화(Time Shift Record, 이하 TSR)용 파일로 서큘러 파일을 사용한다.
상기 TSR이란 PVR과 같은 저장매체를 구비한 방송수신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리와인드(rewind) 등이 가능하도록 일정 용량 또는 일정 시간 분의 수신한 방송 신호를 저장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다.
즉,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 이전의 일정 부분에 해당되는 방송내용을 녹화하는 것을 말하며, 사용자의 의지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녹화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서큘러 파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서큘러 파일의 특성은 일반적인 레코드용 리니어 파일과 다르기 때문에 서큘러 파일을 사용하여 이전 내용을 보고 있을 때 즉, 일례로 사용자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중에 잠시 볼 일이 있어 일시정지 등의 기능을 사용하고, 그 후 자리를 비운 시간의 방송을 사용자가 다시 돌아와 재시청 할 때, 사용자가 즉시 녹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는 상기 녹화 버튼을 누른 시점부터 그 이후의 방송 프로그램은 리니어 파일에 저장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현재 수신되는 방송 뿐 아니라 이전의 방송부터 저장하고 싶어 한다면, 기존에 서큘러 파일에 있던 내용을 새로운 레코드용 리니어 파일로 가져오면서 리니어 파일의 시작위치를 사용자가 보고 있던 이전의 위치로 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타임 쉬프트 상태의 녹화라고 하며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타임 쉬프트 상태의 녹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동작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타임 쉬프트 상태의 녹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 도 2에 도시된 파일은 하드 디스크에 포함된 클러스터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타임 쉬프트 상태에서 녹화를 누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시스템은 서큘러 파일의 해당 클러스터에 대한 테이블을 리니어 파일이 시작하는 클러스터의테이블로 만든다.
또한, 상기 클러스터의 시작 위치에서 녹화가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클러스터의 중간 위치에서부터 시작되는 경우라면, 상기 파일 시스템은 파일에 대한 정보 부분에 클러스터 내의 중간 위치에 해당하는 오프셋 값(offset)을 저장함으로써 실제 녹화가 시작되는 부분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 때, 파일 시스템 내부의 메모리에서 상기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은 파일의 이름, 파일의 크기, 파일의 종류(서큘러 파일 또는 리니어 파일), 파일의 오프셋 값, 파일의 내용이 들어 있는 시작 클러스터 값 등이다.
이를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인 C의 구조체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Struct {
Char FileName[32];
Int FileType;
Int FileSize;
Int Offset;
Int StartCluster;
} File Information;
또한, 상기 오프셋 값이 어떻게 지정되고 사용되는 지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큘러 파일이 클러스터 10개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하고, 이에 대한 파일 시스템의 테이블이 1, 2, 3, 4, 5, 6, 7, 8, 9, 10 이라고 가정하자.
즉, 일반시청을 하고 있을 때는 1부터 10번까지의 클러스터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다가, 10번까지 꽉 차면 1번부터 다시 저장을 시작하는 방식으로 서큘러 파일에 대한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타임 쉬프트 상태에서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할 때, 현재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의 저장이 시작되는 위치가 8번 클러스터이고, 상기 타임 쉬프트 상태에서 현재 시청하는 위치는 5번 클러스터의 중간 부분이라고 가정해보자.
이 상황에서 사용자가 녹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파일 시스템은 5번 클러스터의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값, 즉 "현재 시청 위치 : 5번 클러스터의 시작 위치"에 해당하는 값을 파일에 대한 정보값 중 오프셋(Offset)이라고 되어 있는 테이블의 특정 부분에 저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일을 녹화용 리니어 파일로 재 지정하면서, 파일의 시작 클러스터를 5번 클러스터로 재 지정하게 된다.
즉, 새로운 녹화용 리니어 파일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위치부터 현재 저장되고 있는 위치까지인 5, 6, 7, 8 이라는 클러스터로 구성이 되는 것이다.
이 때, 서큘러 파일을 구성하고 있던 클러스터 중 사용되지 않는 1, 2, 3, 4, 9, 10 클러스터는 파일 시스템이 관리하는 Free 클러스터 테이블로 돌아가게 되고, 필요 시에 다시 할당할 수 있게 재 사용되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서큘러 파일을 리니어 파일로 바꾸는 것은 실제 A/V 스트림 내용의 복사가 아니라 메모리 내에 있는 파일 시스템의 테이블 정보 및파일 자체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주 순간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이 끝나게 됨으로써, 상기 서큘러 파일이 정상적으로 녹화용 리니어 파일로 바뀌게 된다.
이후에는 새롭게 저장되는 A/V 스트림은 원래 저장되고 있던 위치인 8번 클러스터의 해당 부분에 저장되게 되며, 8번 클러스터를 꽉 채우게 되면, 새롭게 클러스터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일반 녹화용 리니어 파일의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타임 쉬프트 녹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가 서큘러 파일(20)에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하게 된다. (ST 31)
다음으로 상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한 녹화 요청이 있는 지 판단하며, 이 때 상기 녹화 요청이란 일반적으로 리모콘의 녹화 버튼을 누르는 등의 행위를 말하는 것이다.(ST 32)
그 다음 상기 녹화 요청이 있는 시점에서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가 타임 쉬프트 상태인지 판단한다. (ST 33) 여기서, 상기 타임 쉬프트 상태는 인터럽트(interrupt)에 의해, 현재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의 이전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상태임을 말한다.
이 때 타임 쉬프트 상태라면,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서큘러 파일에 저장된 상기 타임 쉬프트된 부분을 가리키는 파일 시스템의 테이블을 리니어 파일의 시작으로 지정하고, 사용하지 않는 서큘러 파일의 나머지 클러스터들을 파일 시스템의 저장매체 내에 빈 공간(free space)으로 환원시킨다. (ST 34)
단, 타임 쉬프트 상태가 아니라면, 새로운 리니어 파일을 만들어 상기 녹화 요청이 있는 시점, 즉 현재 위치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기 시작한다. (ST 35)
상기와 같은 진행은 사용자가 녹화를 멈추기 전까지 계속 진행되며, 녹화를 멈추게 되면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는 상기 녹화를 멈추는 순간부터 다시 최초 서큘러 파일에 저장되는 것으로 환원된다. (ST 36, ST 37)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순서로 타임 쉬프트 된 상태의 녹화를 마치고 나서, 녹화한 스트림을 재생하게 되면, 사용자가 녹화를 누른 시점부터의 내용부터 재생이 시작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타임 쉬프트 녹화된 스트림을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재생하는 파일의 시작 클러스터를 저장매체로부터 메모리로 읽어들인다. (S 1)
즉, 녹화한 리니어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을 시작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이에 의해 읽어들인 파일의 정보 시작 클러스터의 내용을 메모리오 읽어 오며, 또한 상기 파일의 정보 중 오프셋값이 0인지 판단한다. (S 2)
이 때 상기 오프셋값이 0인 경우에는 읽어온 클러스터의 처음 위치부터 재생을 담당하는 기기(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로 그 내용을 보내주며, (S 3) 상기 오프셋값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읽어온 클러스터의 처음 + 오프셋값 즉, 상기 오프셋값을 더한 위치부터 시작해서 재생을 담당하는 기기(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로 그 내용을 보내주게 된다. (S 4)
상기 진행에 의한 재생이 이루어 진 후에는 재생을 멈출 것인지 판단하게 된고, (S 5)그 재생을 계속 진행시킬 경우에는 리니어 파일에 저장된 다음 클러스터를 메모리로 읽어 들이게 되고, (S 6) 그렇지 않고 재생을 멈추는 경우에는 재생이 끝나게 된다. (S 7)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의하면, 타임 쉬프트 상태의 녹화를 보다 안정적이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삭제
  2.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서큘러 파일과 리니어 파일에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된 각 파일에 대한 소정의 정보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파일에 대한 소정의 정보값에서 클러스터에 대한 주소값을 변경하여 기 저장된 클러스터의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타임 쉬프트 상태로 저장된 서큘러 파일의 해당분을 현재 녹화가 시작된 리니어 파일의 시작위치로 재 지정하고, 상기 재 지정된 시작 위치를 실제 시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마이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는 하나 이상의 섹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큘러 파일은, 상기 저장매체의 일정 용량 또는 일정 시간 분의 저장공간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가 상기 일정 용량 또는 일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 할당된 일정 부분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리롸잇(rewrite)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파일은, 상기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한 경우, 의도적으로 삭제 등을 하지 않는 이상 해당 데이터가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파일에 대한 정보값은, 파일의 이름, 파일의 크기, 파일의 종류, 파일의 오프셋 값, 파일의 내용, 클러스트의 주소값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값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
  7.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서큘러 파일에 저장하는 제 1단계와;
    녹화 요청시, 타임 쉬프트 상태 인지 확인하는 제 2단계와;
    타임 쉬프트 단계인 경우, 서큘러 파일에 기 수신되어 저장된 부분을 새로운리니어 파일의 시작부분으로 지정하는 제 3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 운영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쉬프트 상태는 인터럽트(interrupt)에 의해, 현재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의 이전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 운영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타임 쉬프트 상태인 경우, 상기 서큘러 파일에 기 수신되어 저장된 부분을 새로운 리니어 파일의 시작부분으로 지정하기 위해, 서큘러 파일에 기 수신되어 저장된 부분에 해당하는 클러스터들을 새로운 리니어 파일의 클러스터들로 지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 운영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클러스터의 위치와 타임 쉬프트의 실제 위치에 대한 오프셋 정보가 추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 시스템 운영방법.
KR1020030040910A 2003-06-24 2003-06-24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100445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910A KR100445167B1 (ko) 2003-06-24 2003-06-24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910A KR100445167B1 (ko) 2003-06-24 2003-06-24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5167B1 true KR100445167B1 (ko) 2004-08-21

Family

ID=3736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910A KR100445167B1 (ko) 2003-06-24 2003-06-24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1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775B1 (ko) * 2006-08-16 2008-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비디오 데이터 저장 방법
KR101741487B1 (ko) * 2010-12-20 201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타임 쉬프트 버퍼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9674A2 (en) * 2001-03-05 2002-09-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broadcast da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9674A2 (en) * 2001-03-05 2002-09-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broadcast dat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775B1 (ko) * 2006-08-16 2008-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비디오 데이터 저장 방법
KR101741487B1 (ko) * 2010-12-20 201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타임 쉬프트 버퍼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99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file delete
US20020037159A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N101138043A (zh) 数据记录再现装置
JP3656902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US7430362B2 (en) Recording apparatus with determining whether or not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previously on recording medium in accordance with repetitive recording reservation program have already been reproduced
KR20080103733A (ko) 영상파일 관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US20050232610A1 (en) User automated content deletion
KR100445167B1 (ko)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송수신기의 파일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US7519272B2 (en) Video and audio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lock sett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027753A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KR100542572B1 (ko) 파일의 용량 및 메모리 잔량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2305706A (ja) 映像録画再生装置
US20060098957A1 (en) Data protectiv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762580B1 (ko) Pvr의 저장공간 관리방법
JP2003264766A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方法、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4601882B2 (ja) 多階層記録再生装置および多階層記録再生方法
JP2004007155A (ja) 番組録画再生装置
KR100546874B1 (ko) 데이터 복구가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복구 방법
JP2012003803A (ja) エンドレス録画再生装置
JP3925589B2 (ja) テレビ番組の記録再生装置、テレビ番組の記録装置およびテレビ番組の記録方法
JP4196903B2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
US7266052B2 (en) Method for operation optical disc changer using virtual memory
KR20040081269A (ko) Dvd 타이틀 저장 방법
KR100811349B1 (ko) 미디어 파일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030097095A (ko) 영상 또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에서의 북마크 정보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