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053B1 -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 - Google Patents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053B1
KR100443053B1 KR10-2001-0008243A KR20010008243A KR100443053B1 KR 100443053 B1 KR100443053 B1 KR 100443053B1 KR 20010008243 A KR20010008243 A KR 20010008243A KR 100443053 B1 KR100443053 B1 KR 100443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protrusion
piece
ho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849A (ko
Inventor
임연섭
Original Assignee
두명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명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명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05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02Coin-freed or check-freed systems, e.g. mobile- or card-operated phones, public telephones or booths
    • H04M17/026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에 별도의 수거함을 설치하여 수거자가 돈을 수거하는 것이 아니고 동전 수거함 자체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공중전화기의 내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내측에 오픈돌기와 가이드돌기를 갖으며 그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 삽설되어 슬라이딩편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힌지를 축으로 개폐되는 보관함도어를 갖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의 내측에 형성된 오픈돌기에 삽설되며, 제1동전낙하공이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힌지를 축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되고, 그 전면에 내측면에 손잡이와 록킹편이 설치되어 동전을 담겨지는 보관부를 갖는 동전 수거함; 상기 동전 수거함의 내측에 형성된 록킹편에서 걸려지거나 해제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키셋; 및 상기 동전 수거함의 도어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키셋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동전 낙하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평판형의 형상으로 다수의 설치홀이 형성되며, 그 상단부 일측에는 스프링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동전 낙하시 이를 가이드하는 제2동전낙하공이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갖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가이드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양측에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며, 그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보관함의 오픈돌기가 인입될 시에 이를 안내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2가이드편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하단부 중앙에는 일측이 절곡된 제2가이드편을 갖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패널과, 상기 제2동전낙하공과 동일한 크기의 제3동전낙하공을 갖으며 상기 제2결합돌기에 삽설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제3동전낙하공의 양측에 제3동전낙하공이 형성되고, 그 양측단에는 상기 보관함의 오픈돌기에 의해 상기 제2결합돌기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곡 형성되는 절곡편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편의 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3복원스프링이 탄지 될 수 있도록 걸림홈을 갖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낙하공 개폐편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제2동전낙하공을 상기 낙하공 개폐편이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패널의 상단부 일측과 상기 낙하공 개폐편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낙하공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동전을 수거하는 수거인을 불신임하는 행위를 없앨 수 있으므로 보다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수거인은 동전을 일일이 수거하는 불편이 없어지게 되므로 동전을 수거하는 시간을 단축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A public telephone for coin collect box}
본 발명은 공중전화를 걸 때 투여되는 동전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전화기에 별도의 수거함을 설치하여 수거자가 돈을 수거하는 것이 아니고 함체 자체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동전 수집통의 인입구에는 괘정구가 설치된 함체 또는 그 외의 박스가 없었다. 그러므로 동전 수거인과 이를 수거키는 사용자간에 동전 수거인은 사용자로부터 의심을 받게 되고, 그러면서도 돈에 대해서는 욕심을 느끼게 되는 등의 이중 고충을 겪어야만 하였으나, 사용자는 수거인들이 돈에 욕심을 내어 별도로 돈을 빼어 돌리지나 않을까 하는 염려 속에 동전 수거인들을 의심하는 눈으로 볼 수밖에 없게 되는 등의 사회적인 불신풍조의 하나로 대두되었다.
상기와 같은 불신풍조를 없애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구성을 간략하게설명하면, 공중전화기 내에 오픈 가능하도록 뚜껑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상기 뚜껑을 오픈할 수 있도록 괘정구가 설치된 함체를 구비한다. 상기 함체의 뚜껑의 상단에는 상기 공중전화기의 동전투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동전이 상기 함체로 모여질 수 있도록 동전낙하공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함체는 그 뚜껑 상단부에 형성된 동전낙하공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함체 내에 담겨져 있는 동전이 상기 동전낙하공을 통해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수거인과 사용자가의 불신은 해소하기가 매우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에 별도의 수거함을 설치하여 수거자가 돈을 수거하는 것이 아니고 동전 수거함 자체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며, 동전수거함 도어의 상단부에 형성된 동전낙하공으로 동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관함의 내측에 동전을 수거할 수 있는 동전수거함이 설치되고, 잠금장치와 동전낙하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동전수거함에 설치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기의 내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내측에 오픈돌기와 가이드돌기를 갖으며 그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 삽설되어 슬라이딩편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힌지를 축으로 개폐되는 보관함도어를 갖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의 내측에 형성된 오픈돌기에 삽설되며, 제1동전낙하공이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힌지를 축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되고, 그 전면에 내측면에 손잡이와 록킹편이 설치되어 동전을 담겨지는 보관부를 갖는 동전 수거함; 상기 동전 수거함의 내측에 형성된 록킹편에서 걸려지거나 해제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키셋; 및 상기 동전 수거함의 도어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키셋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동전 낙하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평판형의 형상으로 다수의 설치홀이 형성되며, 그 상단부 일측에는 스프링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동전 낙하시 이를 가이드하는 제2동전낙하공이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갖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가이드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양측에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며, 그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보관함의 오픈돌기가 인입될 시에 이를 안내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2가이드편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하단부 중앙에는 일측이 절곡된 제2가이드편을 갖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패널과, 상기 제2동전낙하공과 동일한 크기의 제3동전낙하공을 갖으며 상기 제2결합돌기에 삽설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제3동전낙하공의 양측에 제3동전낙하공이 형성되고, 그 양측단에는 상기 보관함의 오픈돌기에 의해 상기 제2결합돌기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곡 형성되는 절곡편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편의 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3복원스프링이 탄지 될 수 있도록 걸림홈을 갖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낙하공 개폐편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제2동전낙하공을 상기 낙하공 개폐편이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패널의 상단부 일측과 상기 낙하공 개폐편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낙하공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조패널의 일측에는 제1스프링에 의해 탄지 될 수 있도록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패널에 형성된 고정홀에 그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기의 일측이 삽입되며 타측은 고정편에 고정되어 회동되는 개폐편과; 상기 개폐편의 일측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의 상방향으로 걸림홀이 형성되어 제1스프링이 탄지되며, 상기 보조패널의 상단부 일측에 다단으로 형성된 제1결합돌기에 삽설되는 락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이 설치되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의 낙하공 개폐수단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의 낙하공 개폐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의 동전낙하공이 닫힌 상태를 작동도.
도4b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의 동전낙하공이 오픈된 상태를 보인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관함 110 : 보관함도어
120 : 슬라이딩편 121 : 가이드홀
122 : 가이드돌기 123, 210a : 힌지
130 : 오픈돌기 200 : 동전 수거함
210 : 도어 211 : 제1동전낙하공
212 : 오픈홀 213 : 고정패널
220 : 키셋 221 : 삽입공
222 : 회동편 223 : 도어잠금돌기
230 : 손잡이 240 : 록킹편
300 : 낙하공 개폐수단 310 : 베이스패널
311 : 설치홀 312 : 스프링 고정돌기
320 : 보조패널 320a : 삽입홀
321 : 가이드돌기 322 : 제2동전낙하공
323 : 제2결합돌기 324 : 고정홈
325 : 제2가이드편 326 : 하강방지편
327 : 제1가이드편 328 : 걸림돌기
329 : 걸림홈 330 : 낙하공 개폐편
331 : 제3동전 낙하공 332 : 가이드홀
333 : 걸림돌기 334 : 걸림홀
335 : 절곡편 336 : 제3복원스프링
337 : 락해제돌기 338 : 와셔
339 : 결합링 400 : 제어수단
410 : 락편 411 : 결합공
412 : 와셔 413 : 걸림홀
414 : 와셔 415 : 제1결합링
416 : 제1결합돌기 417 : 고정홈
420 : 개폐편 421 : 고정돌기
422 : 걸림홀 423 : 제2스프링
424 : 스프링 탄지편 425 : 탄지공
426 : 고정홀 430 : 고정편
431 : 걸림홀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이 설치되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의 낙하공 개폐수단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의 낙하공 개폐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의 작동상태도이다.
도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은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기(미도시)의 내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내측에 오픈돌기(130)와 가이드돌기(122)를 갖으며 그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22)에 삽설되어 슬라이딩편(120)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힌지(123)를 축으로 개폐되는 보관함도어(110)를 갖는 보관함(100)과, 상기 보관함(100)의 내측에 형성된 오픈돌기(130)에 삽설되며, 제1동전낙하공(211)이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힌지(210a)를 축으로 개폐되는 도어(210)가 구비되고, 그 전면에 내측면에 손잡이(230)와 록킹편(240)이 설치되어 동전을 담겨지는 보관부(232)를 갖는 동전 수거함(200)과, 상기 동전 수거함(200)의 내측에 형성된 록킹편(240)에서 걸려지거나 해제되어 상기 도어(210)의 개폐를 단속하는 키셋(220)과, 상기 동전 수거함(200)의 도어(210)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키셋(2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동전낙하공(211)을 개폐하는 낙하공 개폐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키셋(220)에는 키(미도시)가 삽입되어 도어(210)가 오픈될 수 있도록 키 삽입공(221)을 갖으며 상기 도어(210)의 소정부위에 키셋(220)이 설치되고, 상기 키셋(220)의 일측에는 도어(210)를 잠금과 동시에 록킹을 해제하는 도어잠금돌기(223)와 록킹해제돌기(224)가 형성된 회동편(222)이 설치된다.
상기 낙하공 개폐수단(300)은 베이스패널(310)과, 보조패널(320)과, 낙하공 개폐편(330)과, 제어수단(4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패널(310)에는 상기 도어(21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평판형의 형상으로 다수의 설치홀(311)이 형성되고, 상단부 일측에는 스프링 고정돌기(312)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동전 낙하시 이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제2동전낙하공(322)이 형성된 가이드돌기(321)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패널(32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21)에 삽설될 수 있도록삽입홀(320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321)의 양측에는 다단으로 형성된 제2결합돌기(323)가 일체로 돌설되며, 상기 제2결합돌기(323)의 전면부 외주연에는 제2고정홈(324)이 형성된다.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의 일측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패널(320)의 하단부에는 일측이 절곡 형성된 제2가이드편(325)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편(325)의 양측에는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이 도면상의 하방향으로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도록 복수개의 하강방지편(326)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보관함(100)의 내측에 형성된 오픈돌기(130)가 인입될 시에 이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제1가이드편(327)이 상기 복수개의 하강방지편(326)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편(326)에는 걸림홈(329)을 갖는 걸림돌기(32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은 상기 베이스패널(310)에 형성된 제2동전낙하공(322)의 크기와 위치가 동일한 상태의 제3동전낙하공(331)을 형성하고, 상기 제3동전낙하공(331)의 양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2결합돌기(323)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장방형의 가이드홀(33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의 양측에는 걸림홀(334)이 형성된 걸림돌기(33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동전 수거함(200)의 후면에 형성된 오픈홀(212)을 통해 상기 보관함(100)의 내측에 형성된 오픈돌기(130)가 인입되면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이 상기 제2결합돌기(323)에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333)의 하방향으로 일측이 절곡 형성된 절곡편(335)이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의 양측에 형성되며, 도면상의 좌측에 형성된 절곡편(335)에는 그 일측이 절곡 형성된 락해제돌기(337)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패널(320)의 제1가이드편(327)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28)의 걸림홈(329)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33)의 걸림홈(334)에 제3복원스프링(336)이 설치되어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이 도면상의 상방향으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초기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패널(320)의 상단부 일측과 낙하공 개폐편(330)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제2동전낙하공(322)을 개폐하는 제어하는 제어수단(400)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보조패널(320)의 상단부 일측에 일체로 탄지공(425)을 갖는 스프링 탄지편(424)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탄지편(424)의 하방향으로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그 일측에 제1고정홈(417)을 갖는 제1결합돌기(416)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416)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탄지편(424)의 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홀(426)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416)에는 다단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 중앙부위에 결합공(411)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걸림홀(41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413)의 하방향으로 'V' 형상의 걸림홈(412)이 형성된 락편(410)이 결합되고, 상기 락편(410)이 상기 제1결합돌기(416)에 삽설되면 그 상방향으로 와셔(414)가 끼워지며, 상기 와셔(414)의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416)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417)에 결합링(415)이 삽착된다. 상기 락편(41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홀(413)과 상기 베이스 패널(310)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돌기(312)에 제1스프링(414)의 측단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 탄지편(424)의 일측(도면상의 좌측)과 상기 보조패널(320)의 상단부 일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설치홀(419)을 갖는 설치돌기(418)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돌기(418)에 형성된 설치홀(419)에 볼트(B)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43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430)에는 상기 볼트(B)가 삽입되어 상기 설치돌기(418)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1구멍(4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멍(431)의 하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구멍(432)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패널(320)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426)에는 양측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421) 중 일측이 삽설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편(4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구멍(432)에 어느 하나에 상기 고정돌기(421)의 타측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개폐편(420)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편(4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홀(422)과 상기 스프링탄지편(424)의 탄지공(425)에 제2스프링(423)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락편(410)의 걸림홈(412)에 상기 개폐편(420)의 하단부가 걸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의 동전낙하공이 닫힌 상태를 작동도이고, 도4b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의 동전낙하공이 오픈된 상태를 보인 작동도이다.
도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을 설치하는 것을 살펴보면, 공중전화기 내측 소정부위에 오픈돌기(130)가 형성된 보관함(100)을 설치하거나, 보관함(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오픈돌기(130)만을 상기 공중전화기의 내측에 형성한다.
상기 오픈돌기(130)만이 상기 공중전화기에 형성되어 있을 시에는 공중전화기의 몸체(미도시)를 열어 본 발명의 동전 수거함(200)을 설치하면 되고, 상기 보관함(100)에 본 발명의 동전 수거함(2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보관함(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보관함도어(110)를 열어 동전 수거함(200)을 설치한다.
상기 보관함도어(110)가 오픈될 때 상기 보관함(100)의 내측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돌기(122)에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홀(121)이 형성된 슬라이딩편(120)이 가이드 되면서 그 전면으로 이동되고,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이동된 상태에서 보관함도어(110)를 힌지(123)를 축으로 회전시켜 보관함도어(110)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동전 수거함(200)을 보관함(100)의 내측으로 밀어 넣은 후 다시 보관함도어(110)를 오픈시킬 때의 역순으로 닫는다.
이때, 동전 수거함(200) 도어(2100)의 후면에 형성된 오픈홀(212)에 상기 오픈돌기(1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오픈돌기(130)가 상기 오픈홀(212)에 끼워지면서 그 내측으로 인입되어 보조패널(32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가이드편(327)에 가이드 되면서 낙하공 개폐편(330)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절곡편(335)을 밀면 제3동전낙하공(33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홀(332)이 제2결합돌기(323)에 가이드 되면서 제3동전낙하공(331)과 제2동전낙하공(322)이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 오픈돌기(130)에 의해 동전 수거함(200)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상기낙하공 개폐편(330)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편(335)에 일체로 형성된 락해제돌기(337)가 고정편(430)과 고정홀(426)에 결합되어 있는 개폐편(420)의 일측을 밀어 락편(410)의 걸림홈(413)에 걸려져 있던 개폐편(420)이 도면상의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홈(413)에서 이탈한다. 상기 개폐편(4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락편(410) 또한 걸림홀(422)에 탄지되어 있는 제1스프링(414)에 의해 제1결합돌기(416)를 축으로 상기 개폐편(420)과 같이 도면상의 좌측으로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온픈돌기(130)에 의해 밀려들어가는 낙하공 개폐편(33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3동전낙하공(331)과 제2동전낙하공(332)이 일치하여 동전 수거함(200)으로 낙하되는 동전이 보관부(232)로 떨러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전 수거함(200)을 상기 보관함(100)에서 꺼내는 것을 살펴보면, 상기 공중전화기에 오픈돌기(130)만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중전화기 몸체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동전 수거함(200)의 전면에 형성된 손잡이(230)를 잡고 상기 공중전화기 몸체 내에서 외측으로 꺼내어 회사에 가서 동전 수거함(200)의 내에 담겨져 있는 동전을 꺼내면 되고, 상기 보관함(100)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보관함도어(110)를 오픈한 상태에서 동전 수거함(200)의 전면에 설치된 손잡이(230)를 잡고 보관함(100)에서 이탈시켜 이를 회사로 가져가 그 내측에 담겨져 있는 동전을 꺼내면 된다.
상기 보관함(100)에서 상기 동전 수거함(200)에서 이탈될 시에 동전 수거함(200) 후면에 형성된 오픈홀(212)에서 보관함(100)에 형성된 오픈돌기(130)가 이탈되고, 상기 동전 수거함(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낙하공 개폐편(330)이 그 양측에 탄지되어 있는 제3복원스프링(336)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이 초기 상태로 복원되면서 보조패널(320)과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락편(410)이 제1결합돌기(416)에서 회동된다.
상기 락편(410)이 초기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편(335)에 상기 락편(410)의 하단부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을 인위적인 힘으로 그 내측으로 밀어 넣어도 상기 절곡편(335)에 의해 걸려져 있기 때문에 그 내측으로 더 이상 밀려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동전낙하공(322)과 제3동전낙하공(331)이 일치되어 있던 위치에서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이 도면상의 하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동전 수거함(200)의 내측에 담겨져 있던 동전이 상기 제2동전낙하공(322)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2동전낙하공(322)이 막혀져 있는 상태에서 동전 수거함을 회사로 가져가면 키셋(22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221)에 키(미도시)를 넣어 오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편(222)이 회전하면, 그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도어잠금돌기(223)가 록킹편(240)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동전 수거함(200)의 도어(210)가 오픈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상기 회동편(222)의 일측에 절곡 형성된 록킹해지돌기(224)가 회전하면서 상기 낙하공 개폐수단(300)에 설치되어 있는 락편(410)을 제1결합돌기(416)를 축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락편(410)이 제1결합돌기(416)를 축으로 회동되면서 고정홀(426)과 고정편(430)에 그 일측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는 개폐편(420)이 상기 락편(410)쪽으로 회동되는데, 그 하단에 형성된 걸림홀(422)에 탄지되어 있는 제2스프링(423)에 의해 상기 락편(410)쪽으로 상기 개폐편(420)이 회동되어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이 상기 보관함(100)의 내측에 형성된 오픈돌기(130)에 의해 도면상의 상방향을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이 이동될 수 있는 것은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의 양측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33)가 상기 락편(410)의 하단에 걸려져 상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였는데, 상기 락편(410)이 회동되면서 그 하단부의 위치가 이동되므로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이 상기 오픈돌기(130)에 의해 그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상기 제2동전낙하공(322)과 제3동전낙하공(331)이 같은 위치에 위치되어 동전이 낙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관함(100)에 상기 동전 수거함(200)을 설치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동전 수거함(200)을 빼내면 인위적인 힘에 의해 상기 낙하공 개폐편(330)을 이동시키지 못하게 되고, 상기 제2동전낙하공(322)과 제3동전낙하공(331)의 위치가 어긋나 있기 때문에 동전 수거함(200)의 내측에 담겨져 있는 동전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회사는 수거인을 불신임하게 되는 행위를 막을 수 있고, 수거인은 일일이 동전을 수거하는 불편이 없어지게 되며, 동전을 수거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의 효과를 살펴보면, 동전을수거하는 수거인을 불신임하는 행위를 없앨 수 있으므로 보다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수거인은 동전을 일일이 수거하는 불편이 없어지게 되므로 동전을 수거하는 시간을 단축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4)

  1. 보관함의 내측에 동전을 수거할 수 있는 동전수거함이 설치되고, 잠금장치와 동전낙하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동전수거함에 설치된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기의 내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내측에 오픈돌기와 가이드돌기를 갖으며 그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 삽설되어 슬라이딩편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힌지를 축으로 개폐되는 보관함도어를 갖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의 내측에 형성된 오픈돌기에 삽설되며, 제1동전낙하공이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힌지를 축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되고, 그 전면에 내측면에 손잡이와 록킹편이 설치되어 동전을 담겨지는 보관부를 갖는 동전 수거함;
    상기 동전 수거함의 내측에 형성된 록킹편에서 걸려지거나 해제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키셋; 및
    상기 동전 수거함의 도어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키셋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동전 낙하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평판형의 형상으로 다수의 설치홀이 형성되며, 그 상단부 일측에는 스프링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동전 낙하시 이를 가이드하는 제2동전낙하공이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갖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가이드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양측에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며, 그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보관함의 오픈돌기가 인입될 시에 이를 안내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2가이드편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하단부 중앙에는 일측이 절곡된 제2가이드편을 갖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패널과, 상기 제2동전낙하공과 동일한 크기의 제3동전낙하공을 갖으며 상기 제2결합돌기에 삽설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제3동전낙하공의 양측에 제3동전낙하공이 형성되고, 그 양측단에는 상기 보관함의 오픈돌기에 의해 상기 제2결합돌기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곡 형성되는 절곡편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편의 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3복원스프링이 탄지 될 수 있도록 걸림홈을 갖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낙하공 개폐편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제2동전낙하공을 상기 낙하공 개폐편이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패널의 상단부 일측과 상기 낙하공 개폐편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낙하공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의 하단부에는 상기 낙하공 개폐편이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이드편의 양측에 하강방지편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조패널의 일측에는 제2스프링에 의해 탄지 될 수 있도록 걸림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패널에 형성된 고정홀에 그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기의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고정편에 고정되어 회동되는 개폐편과;
    상기 개폐편의 일측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의 상방향으로 걸림홀이 형성되어 제1스프링이 탄지되며, 상기 보조패널의 상단부 일측에 다단으로 형성된 제1결합돌기에 삽설되는 락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
KR10-2001-0008243A 2001-02-19 2001-02-19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 KR100443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243A KR100443053B1 (ko) 2001-02-19 2001-02-19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243A KR100443053B1 (ko) 2001-02-19 2001-02-19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849A KR20020067849A (ko) 2002-08-24
KR100443053B1 true KR100443053B1 (ko) 2004-08-04

Family

ID=2769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243A KR100443053B1 (ko) 2001-02-19 2001-02-19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0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8376A (en) * 1973-05-10 1976-04-06 Diverama Diversoes Automati Cas Industria E Comercio Ltda° Coin-collecting receptacle for use in coin-operated devices
KR860009364A (ko) * 1985-05-07 1986-12-22 캄패니 드 시그낙스 에트 덴터 프라이스 엘렉트릭스 동전 자동 수납장치와 동전 수납상자
KR890018333U (ko) * 1988-02-02 1989-09-09 주식회사 광 진 공중전화기의 금고 착탈장치
JPH07217285A (ja) * 1994-01-27 1995-08-15 Miwa Lock Co Ltd 自動販売機、両替機等における施錠金庫
JPH09181807A (ja) * 1995-12-26 1997-07-11 Tamura Electric Works Ltd 公衆電話機筐体の構造
US5802172A (en) * 1994-12-05 1998-09-01 Independent Technologies, Inc. Electronic lock for coin telephon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8376A (en) * 1973-05-10 1976-04-06 Diverama Diversoes Automati Cas Industria E Comercio Ltda° Coin-collecting receptacle for use in coin-operated devices
KR860009364A (ko) * 1985-05-07 1986-12-22 캄패니 드 시그낙스 에트 덴터 프라이스 엘렉트릭스 동전 자동 수납장치와 동전 수납상자
KR890018333U (ko) * 1988-02-02 1989-09-09 주식회사 광 진 공중전화기의 금고 착탈장치
JPH07217285A (ja) * 1994-01-27 1995-08-15 Miwa Lock Co Ltd 自動販売機、両替機等における施錠金庫
US5802172A (en) * 1994-12-05 1998-09-01 Independent Technologies, Inc. Electronic lock for coin telephones
JPH09181807A (ja) * 1995-12-26 1997-07-11 Tamura Electric Works Ltd 公衆電話機筐体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849A (ko) 200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4392B1 (da) Udendørs, offentlig modultelefon
US5509057A (en) Telephone body guard armor
US5748728A (en) Shield for concealing operation of a keypad
EP0120771A2 (fr) Installation d'un ordinateur dans des endroits publics
KR100443053B1 (ko) 공중전화기용 동전 수거함
CN201605944U (zh) 保险箱面板装置
JP2000262391A (ja) 郵便受け
US20140265781A1 (en) Panel with magnetic hinge
US3148246A (en) Telephone enclosure panel
KR101127543B1 (ko) 우편함
WO1997039558A1 (en) Shield for concealing operation of a keypad
KR102151624B1 (ko) 입출구 개폐 장치
KR200284192Y1 (ko) Pc방용 컴퓨터 설치대
CN220252635U (zh) 具有防水防暴性能的取款机密码键盘
KR100450322B1 (ko)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KR20050103348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CN214151731U (zh) 一种基于物联网的会议室防盗监控装置
CN210396416U (zh) 一种便于使用的智能锁
KR890000349Y1 (ko) 공중전화기용 주화교환장치
CN209421399U (zh) 一种立式存放的手机存放箱
AU2003204801A1 (en) Coin returning device for public telephones and the like
KR20010045122A (ko) 이동 수거용 금고의 잠금 장치
US3066190A (en) Attachment for dial telephone sets
RU4647U1 (ru) Монетовпускной узел таксофона
CN1332547C (zh) 移动电话及掀盖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