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660B1 -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의한 지식 서비스 시스템과 그서비스 방법과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의한 지식 서비스 시스템과 그서비스 방법과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660B1
KR100441660B1 KR10-2000-0082044A KR20000082044A KR100441660B1 KR 100441660 B1 KR100441660 B1 KR 100441660B1 KR 20000082044 A KR20000082044 A KR 20000082044A KR 100441660 B1 KR100441660 B1 KR 100441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evelopment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4648A (ko
Inventor
이호관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이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이호관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1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의한 지식 서비스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식을 이용하려는 각 사용자들을 분류한 사용자계층, 전문지식 관리모듈, 제품 개발 방법 모듈, 사용자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용자 관리모듈, 지식과 워크플로우 및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할 수 있는 검색엔진장치, 사용자의 접근과 통제 및 각종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보안/인증장치로 구성된 응용계층 및 지식 데이터베이스, 개발지원정보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 개발지원 툴 박스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계층을 포함하여,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서비스를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의해 사용함으로서, 각 업무 부문별의 요소기술들을 종합적으로 사용 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동시 공학적인 차원에서 제품개발을 수행할수 있게 된다. 중소기업의 경우, 한정된 자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품목의 신제품 개발을 가능케 하고, 제품개발의 속도와 개발원가의 절감 및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사내외적인 기술 및 경험과 지식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경험하지 못한 신제품을 대응체제가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더욱이,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되어, 연구개발 능력이 부족한 기업에서는 자체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의한 지식 서비스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과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Knowledge service system through ordered workflow, service method thereof, service method for developing products through network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제조업의 제품 개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제조업의 제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의한 지식 서비스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그리고 한정된 사내 기술자원 또는 외주 조달을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통신망을 통해 제품 개발을 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조업의 경영 환경적인 제품개발 상황은 시장 품질 강화 속에서 개발납기의 단축을 통한 시장 조기 출하와,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 상에서의 원가절감 및 경영효율화를 통한 경영이익의 확보차원에서 경쟁이 첨예화되고 있다.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사내 외 자원과 방법의 효과적인 운영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고 있고, 더욱이 각종 자원 또는 경험이 부족한 기업의 입장에서는 시장 진입의 큰 장벽으로 대두되거나 원가 압박을 받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적인 요인으로 다품종 소량생산을 효과적으로 실현 할 수 있는 지식경영과 동시 공학적인 개발 방법이 절박한 상황이다.
제조업의 제품개발을 위해서는 상품기획을 포함하는 디자인부문, 제품설계부문, 금형제작을 포함하는 치공구 제작 부문, 성형생산을 포함하는 부품생산부문, 후가공을 포함하는 조립생산부문 등이 순차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각 부문별 인력의 모여서 제품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제품개발시 각부문별 부서담당자 또는 회사의 담당자는 개인별 경험 또는 기술 등의 차로 인해 제품별로 품질 또는 납기 등의 차이가 심하게 발생하고 있다. 제품개발 전과정의 전반적인 기술 또는 지식을 가진 프로젝트 관리자가 부족하고,개발과정의 기술 전반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지식도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제품 개발시 부문별 상호 기술 이해 부족 및 커뮤니케이션의 부족으로 인한 품질 불량 사고가 반복 발생하거나 목표 개발납기 및 시장투입 시기를 상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경험하지 않은 신제품 또는 신부품의 적용시에는 전반적인 워크플로우(workflow)의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각 부문이 제품개발을 하고 있으며, 신제품의 초기품질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결국, 개발과정 전체의 지식을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방법론과 도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제품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납기지연, 품질사고 반복발생 및 생산성 저하 등의 현상으로 연결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일부 대기업 중심으로 PDM(Product Development Management) 시스템 또는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고 있으나, 완제품의 개발과정이 대기업의 제품 중심의 기술 체계화를 추진함으로써 외주 부품업체에서 이루어지는 부품 기술등이 통합된 형태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제품 전과정의 통합 개발과정을 지원하는 지식의 체계를 가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식시스템의 경우, 지식을 사용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경험이 많은 기술자 또는 기술자 스스로가 키워드(Keyword)를 통하여 지식을 검색하고 단순하게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됨으로서, 실제 제품개발시의 활용도도 낮거나 불편한 상황이다.
그 외에도 제품 개발 또는 연구소가 부재한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임가공형 생산중심 사업을 추진하여 상대적으로 저부가형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기업의경우에도 사내 기술자원에 의한 제품개발을 추진하여 제조원가 상승 또는 다품종 소량생산을 위한 다양한 모델수의 제품개발에 제약이 많이 따르고 있다.
특히 다양한 제품을 동시에 개발하고자 할 때는 사내자원관리의 한계가 나타남으로서 품질사고와 연계되는 양상이 발생하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제품개발의 각 부문별 부서 또는 회사 담당자의 개인별 경험 또는 기술 등의 차로 인해 제품별로 품질 또는 납기 등이 차이가 심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개발 프로세스의 전반적인 기술 또는 지식을 가진 프로젝트 관리자가 부족함으로서 사후 다수의 시방 변경의 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업 이미지 훼손 및 애프터서비스 비용 증가로 연계되고 있다.
또한, 부족한 기술부문 또는 기술인력의 아웃소싱에 관해서 한정된 거래관계의 전문가만을 활용하게되어 신기술에 대한 접근과 제품의 적용에 한계가 발생하고 있으며, 시장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제조업의 경영환경은 고객의 요구사항 다양화 및 시장경쟁의 심화 등의 대응하기 위해 원천기술 및 핵심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의 효율적 지식경영과 경영이익을 달성을 추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영세한 기업의 경우에는 제품개발의 프로세스를 총괄적으로 관리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시장 투입 시점의 지연 및 개발의 실패와 연결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일부 대기업 중심으로 PDM (Product Development Management)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나, 완제품의 개발 과정이 대기업의 제품 중심의 기술 체계화를 추진하게되어 외주 부품업체에서 이루어지는 부품기술 등이 통합된 형태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제품 전 과정의 통합 개발과정을 지원하는 지식의 체계를 가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
특히 외주 아웃 소싱(out sourcing)의 경우에는 전문가 검색 수준의 내부적 관리에 지나지 않아서 시스템 관리자가 입수하는 정보에 한정된 수준에 머무르며, 신기술 또는 신지식의 전문가에 대한 자발적인 거래에 관해서는 매우 폐쇄적이어서 신제품 개발의 대응에 매우 불리한 상황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방법 혁신과 체계적인 지식경영을 연동하여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 상에서 지식을 서비스하며, 지식 사용을 대상 제품별의 맞춤형 방법 관리 체계에서 운영되게 하는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의한 지식 서비스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한정된 사내 기술자원 또는 외주 조달을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현실 세계의 제품개발실에 대한 각종 요건들을 사이버 공간에서 적절한 데이터베이스를 준비하거나 또는 관련 솔루션들을 준비하여 두고, 그 중에서 사용자가 자기 제품개발에 적합한 프로세스와 지식 및 각종 필요한 외주, 도구들을 선정하여 프로젝트 관리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터넷의 가상공간에서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관리하는 지식 시스템의 계층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한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식 및 워크플로우의 데이터베이스 체계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지식과 워크플로우의 맞춤형 검색 분류 체계 및 장치 구성도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지식 데이터베이스의 세그먼트와 연결되어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구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서비스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방법의 흐름의 상세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지식 서비스의 전체적인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지식 및 워크플로우의 서비스를 위한 지불/승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맞춤형 지식 및 워크플로우 서비스를 위한 지불 및 승인 방법인 도 10의 방법을 상세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지식의 기본폴더 및 구조정의를 위한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지식의 기본폴더 및 구조정의를 위한 수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지식의 기본폴더 및 구조정의의 삭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지식 폴더의 패턴 및 유형 구조 정의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지식 폴더의 패턴 및 구조의 수정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지식 폴더의 패턴 및 구조의 삭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지식의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지식의 승인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지식의 승인상태 확인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지식의 수정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지식의 삭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지식의 조회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지식의 검색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맞춤형 워크플로우의 작성 및 구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맞춤형 워크플로우의 수정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0은 도 29에 따른 시스템의 서비스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1은 작업 공간에서 제품 개발을 위해 발생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지식을 이용하고 맞춤형 워크플로우(workflow)를 관리하는 지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식을 이용하려는 각 사용자의 업무 및 사업 특성, 상기 지식에 대응하는 상기 워크플로우별 역할에 의해 상기 워크플로우의 특정 과정(phase)을 사용하게 되는 사용자들을 분류한 사용자계층; 소정의 전문 지식을 생성하고 구축하고 관리하는 전문지식 관리모듈,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제품 개발 방법 모듈, 상기 사용자 계층에 정의된 사용자 또는 사용자 회원사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용자 관리모듈, 지식과 워크플로우 및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할 수 있는 검색엔진장치, 상기 사용자의 접근과 통제 및 각종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보안/인증장치로 구성된 응용계층; 및 제품개발의 전체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기본 요소기술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지식 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의 지원을 위한 각종 정보와 규격 및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개발지원정보데이터베이스, 제품 및 상품별 워크플로 및 프로젝트 정보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시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들의 구성으로 되어있는 개발지원 툴 박스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응용계층의 각 모듈들은 지식을 분류하는 엔진과 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모은 개발 툴 박스, 상기 사용자 계층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 회원사의 프로젝트 또는 지식 서비스의 사용 지불 현황 및 전자화폐를 관리하는 전자지불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식 데이터베이스의 세그먼트와 연결되어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개발하려고 하는 아이템(item)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특성에 따라 최적의 프로세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워크플로우의 변화는 단위 기술 또는 지식 세그먼트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며, 상기 검색 단계의 검색 조건은 상기 변화 요인을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분석하여 미리 구축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각 업무의 과정(phase) 계층 하부에 지식의 액티비(activity) 폴더를 정의 하는 단계; 상기 지식의 액티비티 폴더의 태스크(task)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식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연결 전문지식의 세그먼트와 소정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워크 플로우가 상기 업무의 과정, 액티비티 폴더 및 태스크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지식 및 워크플로우의 서비스를 위한 지불/승인 방법에 있어서,
전자 지불 수단의 단위인 피케이캐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를 위해 회원이 가입하면 그 회원에게 소정의 금액의 피케이캐시를 더하는 단계; 및 상기 회원이 소정의 지식을 등록하면 그 지식을 평가하여 지식에 대응하는 페케이캐시를상기 회원의 피케이캐시에 더하며, 상기 회원이 피케이캐시로 평가되는 유료의 지식을 검색해서 사용할 때에는 그 회원이 사용할 수 있는 정보인가를 결정하고 회원이 가지고 있는 피케이캐시를 검색해서 그 지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한 후 그 유료의 지식에 대응하는 패케이캐시를 상기 회원으로부터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통신망을 통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소정의 제품들을 개발하기 위한 정보를 소정의 분류표에 의해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b) 상기 제품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개발할 제품이 선택되면 그 제품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들을 인출하여 제품 개발을 위한 메뉴를 구성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이용해서 상기 제품을 설계하여 기본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기본 도면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를 포함하는 개발 담당자들에게 표시하며, 개발 담당자들 각각이 표시된 도면에 필요한 표시를 하여 도면을 완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b) 단계에서 구성된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에 완성된 제품 개발의 도면에 따른 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진행에 필요한 관리를 하여 제품 개발 완료 및 그에 따른 제품 생산을 하고, 그 과정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a)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통신망을 통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제품 개발을 위한 정보를 소정의 분류표에 의해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사용자에 의해 개발할 제품이 선택되면 그 제품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들을 인출하여 제품 개발을 위한 메뉴를 구성하는 정보화부; 상기 정보화부에서 제시한 메뉴를 이용해서 개발한 제품의 도면을 상기 사용자를 포함한 개발 담당자들의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담당자들 각각이 그 화면에 표현된 도면에 필요한 표시를 할 수 있게 하는 원거리 다자간 화상회의부; 및 제품 개발의 도면이 결정되면 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진행에 필요한 관리를 실행하는 프로젝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시스템은 상기 원거리 다자간 화상회의부를 통해 진행된 원격 회의의 내용을 소정의 형식으로 저장하는 회의내용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제품 개발을 위한 회의에 참석할 담당자들에게 회의 개최를 알리고 참석 여부를 수신하는 회의참석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의 다른 모습은,
상기 제품 개발에 대한 주문을 하는 각 사용자의 업무 및 사업 특성, 상기 제품 개발 단계의 기술 영역 및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세스별 역할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프로세스에 포함된 과정(phase)들을 사용하는 사용자계층; 상기 제품 개발에 대한 지식과 기술 자료들을 보관하며, 상기 제품 개발에 대한 외부 컨설팅과 아웃 소싱을 포함하는 기술 협업을 위한 자료들을 저장하는 화면계층; 소정의 전문 지식을 생성하고 구축하고 관리하는 전문지식 관리모듈,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제품 개발 방법 모듈,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회원사를 관리하고, 그 관리 데이터를 운영하는 사용자 관리모듈, 지식과 상기 상품 개발 프로세스 및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할 수 있는 검색엔진장치, 상기 사용자의 접근과 통제 및 시스템의 일반적인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보안/인증장치를 포함하는 응용계층; 및 제품개발의 전체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기본 요소기술들을 소정의 체계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의 지원을 위한 정보와 규격 및 지식들을 구축한 개발지원정보데이터베이스, 제품과 상품별 워크플로우 및 프로젝트 정보 지식들을 구축한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 제품 개발 시에 사용되는 소정의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개발지원 도구 박스를 포함하여 생성되어 지식이 저장되고 인출되는 데이터베이스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의한다.
워크플로우(workflow)는 제품개발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이며, 제품 개발을 하는 과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즉, 하나의 개발대상 제품이 선정되면, 워크플로우를 따라 개발하면서 필요한 지식과 정보 및 양식을 가지고 개발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제품 개발이 진행되므로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품 개발의 흐름은 디자인 단계, 설계 단계, 금형 개발 단계, 성형 및 시제품 생산 단계, 설계 검증단계 및 양산검증으로 크게 분류되며, 이는 제품개발의 큰 흐름이며, 이러한 각각을 페이즈(Phase)로 정의한다.
액티비티(activity) 용어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설계 단계는 몇 가지의 액티비티로 분류된다. 설계 사전검토, 설계목표 수립, 기본구조 검토, 제품 상세 설계, 시물레이션(Simulation), 워킹 목업(working mockup) 제작 및 검토, 최종도면 작성 등의 각각이 액티비티이다.
이들 액티비티를 세분화하면 각 액티비티 별로 세부적인 작업이 필요한데 이것이 태스크(task)이다. 예를 들면, 설계사전검토 액티비티는 품질목표 수립, 특허 및 산업재산권 조사, 신규기능 사양 검토라는 단위 업무인 태스크를 수행해야만 설계 사전 검토라는 액티비티가 완성되는 것이다.
즉, 페이즈-액티비티-태스크는 구분-분류-세분류라고 정리되는 것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개요를 간략하게 미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보면 1) 지식의 체계적인 분류와 데이터베이스, 2) 각종 방법 분류에 의한 워크플로우의 데이터베이스, 3) 최적 워크플로우와 관련 지식을 검색하고 찾아내는 검색방법, 4) 사용자의 상황 또는 프로젝트에 따른 주문형 워크플로우 제공 및 관리 모듈, 5) 지식 사용자와 제공자의 지식 지불인증 모듈 등으로 되어 있다. 맞춤형 워크플로우는 관련 해당 최적 지식의 모임으로 구성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태스크(Task) 또는 액티비티(Activities)에 의한 컨테이너와 폴더가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와 회원사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가 저장, 기록, 관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관리하는 지식 시스템의 계층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인터넷으로 지식을 이용하고 맞춤형 워크플로우을 관리하는 본 발명의 구성은 사용자(user) 계층과 응용(Application) 계층 및 데이터베이스 계층 등 세 가지 계층체계를 포함한다.
인터넷과 같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지식을 이용하고 맞춤형 워크플로우(workflow)를 관리하는 이 지식 시스템은, 상기 지식을 이용하려는 각 사용자의 업무 및 사업 특성, 상기 지식에 대응하는 상기 워크플로우별 역할에 의해 상기 워크플로우의 특정 과정(phase)을 사용하게 되는 사용자들을 분류한 사용자계층(10), 소정의 전문 지식을 생성하고 구축하고 관리하는 전문지식 관리모듈,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제품 개발 방법 모듈, 상기 사용자 계층에 정의된 사용자 또는 사용자 회원사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용자 관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각 모듈은 지식을 분류하는 엔진과 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모은 개발 툴 박스, 상기 사용자 계층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 회원사의 프로젝트 또는 지식 서비스의 사용 지불 현황 및 전자화폐를 관리하는 전자지불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식과 워크플로우 및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할 수 있는 검색엔진장치, 상기 사용자의 접근과 통제 및 각종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보안/인증장치로 구성된 응용계층(12) 및 제품개발의 전체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기본 요소기술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지식 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의 지원을 위한 각종 정보와 규격 및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개발지원정보데이터베이스, 제품및 상품별 워크플로 및 프로젝트 정보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시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들의 구성으로 되어있는 개발지원 툴 박스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계층(14)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계층(10)의 워크플로우별 역할에 의해 상기 워크플로우의 특정 과정(phase)을 사용하게 되는 사용자들의 예를 들면, 제품 개발 과정에서 설계의 페이즈가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나 방법의 목표 고객이 제품 개발 과정 중에서 필요한 부분이 설계 부분이라면, 그 고객은 본 발명에 따른 제공되는 서비스의 페이즈들 중에서 설계의 페이즈를 따로 떼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응용계층(12)의 제품 개발 관리 모듈은 제품에 필요한 기능과 개발하기 위한 기능들을 정의하고, 이들을 시스템화하여 제품 개발 관련자가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하는 단위 시스템 혹은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 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응용계층(12)의 사용자 관리 모듈의 사용자 관리 운영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사용자 관리 모듈을 위해 서버와 같은 전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회사와 사용자의 자회사가 있다면 이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상기 서버의 자원을 이용해서 혹은 서버 외부의 자원을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들 회사들과의 정보를 주고 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서 정보, 지식을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 계층(14)에 포함된 상기 지식 데이터베이스는 상품기획 및 시장 조사, 제품 디자인과 디자인 목업 등의 제품 디자인 업무 페이즈 등에 관련된지식이 각 요소별 분류에 의해 세그먼트화되어 저장되는 전문지식데이터베이스, 관련업무양식과 업체 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개발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 단위 페이즈의 워크플로우와 프로젝트 사례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제품개발가이드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에 포함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필요한 수치를 산출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모여진 개발지원툴박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문지식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요소별 분류에 의해 세그먼트화되어 저장되는 지식은, 제품 개발의 태스크를 수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이 필요로 되며, 이 정보와 지식은 제품에 관계없이 정해지는 공통적인 요소와 제품에 따라 정해지는 특수 요소가 있을 것이다. 이런 정보와 지식을 관련되는 지식 단위로 그룹화한 후에 그룹화된 지식을 단위 세그먼트로 세분화하고 트리 구조의 계층적인 구조로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 계층(14)에 포함된 상기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최종적인 업무인 태스크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설계사전검토의 액티비티 수준에서의 품질목표수립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 관련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상기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상기의 예와 같은 태스크 수행 시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것은 해당 정보의 키워드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계층(14)에 포함된 상기 개발 지원 툴 박스에 구성되어 있는프로그램의 예로는 단위 환산 프로그램, 전문 기술 용어 사전, 원가 모의 시험 프로그램 등이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추가시킬 수 있는 것들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 계층은 각 고객의 업무 및 사업 특성에 따라 분류되며, 주로 제품개발 단계의 기술영역에 의해 분류되며 워크플로우 별 역할에 의해 구분되고, 주로 워크플로우 중의 특정 과정(Phase)을 사용하게 된다. 응용(Application) 계층은 전문지식을 생성하고 구축하고 관리하는 전문지식 관리 모듈, 제품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제품개발 방법 모듈, 사용자 또는 회원사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용자 관리 모듈로 구성한다. 각 모듈은 부속적으로 지식을 분류하는 엔진과 제품개발을 지원하는 각종 프로그램의 모임인 개발 툴박스, 사용자 또는 회원사의 프로젝트 또는 지식서비스의 사용 지불 현황 및 전자화폐를 관리하는 전자지불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으로서는 지식과 워크플로우 및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할 수 있는 검색엔진장치, 사용자의 접근과 통제 및 각종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보안/인증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 계층은 제품개발의 전체 워크플로우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기본 요소기술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의 지원을 위한 각종 정보와 규격 및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개발지원정보데이터베이스, 제품 및 상품별 워크플로우 및 프로젝트 정보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시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들의 구성으로 되어있는 개발지원 툴박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식 및 워크플로우의 데이터베이스 체계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생성되고 구축되는 모든 지식은 지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계층에 구축된다. 상품기획 및 시장조사, 제품디자인과 디자인목업 등의 제품디자인 업무 Phase와 관련된 전문지식은 각 요소별 분류에 의해 Segment화 되어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고, 관련 업무양식과 업체정보 및 상품 정보 등은 개발지원 정보 D/B에 구축되며, 단위 Phase의 워크플로우와 프로젝트 사례 정보 등은 제품개발가이드 데이터베이스 등에 구축된다.
플라스틱 재료와 생산과정에 따른 종류 및 주요 용도, 물성 및 특성, 시험 테스트 방법과 장비 등과 관련된 플라스틱 재료 및 재료물성/테스트 업무 Phase의 전문지식은 각 요소별로 Segment화 되어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고, 응용 용도 및 제품 시장에 따른 규격정보 및 양식과 업체, 상품정보는 개발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고, 플라스틱 소재별 프로젝트 적용사례 및 제품 적용사례는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며, 최적 플라스틱 재료의 선정 및 부품성형 원가 산정의 프로그램은 툴박스내부의 것을 사용하게 되고 각종 생성된 자료는 사용자별 관리 데이터베이스 또는 지식 데이터베이스에 재구성된다.
이하 개발 대상인 제품의 종류별로 예를 든다.
제품의 조립 설계 및 부품설계와 원가/납기/품질 등의 각종 기본지식은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고, 제품의 목표 시장에 따른 규격 또는 신뢰성 조건, 설계 전문업체 정보, 제품개발 관련 도구 및 상품정보 등은 개발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며, 제품별 또는 아이템별의 워크플로우/방법과 프로젝트 사례 및 제품구조 정보는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며, 개발 지원을 위한 단위환산, 제조원가 등의 프로그램들은 툴박스에 의해 이루어지고 생성된 신규 지식은 사용자 관리 또는 지식 데이터베이스에 재구성 된다.
금형제작 또는 치공구 제작과 관련된 업무 Phase에 대해서는 금형구조 및 설계방법, 표준부품 등의 각종 전문지식은 Segment화되어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고 규격 및 업체정보 상품정보는 개발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신제품 개발방법 에서 발생하는 디자인 Phase, 제품설계 Phase, 치공구 제작(금형제작) Phase, 부품 생산(성형생산) Phase, 조립 후가공 등의 생산 Phase, 품질 현장관리 등의 기타 Phase 등의 모든 단위 업무들의 지식들을 분류하고, 지식의 속성 및 유형들을 각 폴더 또는 컨테이너를 구축하였다.
도 4는 지식과 워크플로우의 맞춤형 검색 분류 체계 및 장치 구성도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검색의 기준은 산업별/상품별/부품별의 품목에 의한 변화 될 수 있는 조건과, 생산방법 또는 설비조건 및 품질기준에 의한 변화 될 수 있는 조건과, 타겟시장의 환경 및 규제/운송방법등에 의해 변화 될수 있는 조건과, 개발 방법론 및 기법과 기술에 의해 변화 될 수 있는 조건 등으로 분류되어 진다.
즉, 프로세스의 변화는 단위 기술 또는 지식 세그먼트의 변화에 의해 변동이 생기며, 검색조건은 이러한 변화 요인을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분석하여 미리 구축된 표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서비스하게 된다.
도 5는 지식 데이터베이스의 세그먼트와 연결되어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구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개발하려고 하는 아이템(item)의 특성을 결정하고(50 단계), 상기 결정된 특성에 따라 최적의 프로세서를 검색(52 단계)한다. 이때에 워크플로우의 변화는 단위 기술 또는 지식 세그먼트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며, 상기 검색 단계의 검색 조건은 상기 변화 요인을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분석하여 미리 구축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
이때에 참조번호 52 단계에서의 검색의 기준은 산업별/상품별/부품별 아이템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검색의 기준은 생산방법 또는 설비조건 및 품질 기준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이 검색의 기준은 상기 아이템의 목표 시장의 환경 및 규제/운송방법 등에 의해 변화될 수 있거나 혹은 아이템 개발 방법, 기법 및 기술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가전 제품 개발을 위한 워크플로우는 제품 개발 대상이 변화더라도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부분들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제품별로 고유의 개발 프로세서가 필요한 경우 그 프로세서만 제품별로 발취하여 정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정형화시킨 개발 프로세서와 그 제품에 따른 별도의 프로세서를 콘텐츠로 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에 각 개발 프로세서에 산업별/상품별/부품별 아이템에 따른 키워드를 부여하여그 키워드를 통해 검색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서비스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같은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60 단계), 각 업무의 과정(phase) 계층 하부에 지식의 액티비(activity) 폴더를 정의하며(62 단계), 상기 지식의 액티비티 폴더의 태스크(task)를 정의(64 단계)한 후, 상기 지식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연결 전문지식의 세그먼트와 소정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워크 플로우가 상기 업무의 과정, 액티비티 폴더 및 태스크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재구성한다(66 단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개발에서 프로세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의 방법의 흐름의 상세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품개발 프로세스 기능은 크게 과정(phase), 액티비티(액티비티), 태스크(Task)의 레벨(level)로 분류하고, 과정(phase)은 디자인, 설계, 금형, 사출, 설계검증, 양산의 6개로 나눈다.
각 과정(phase)은 해당하는 액티비티 레벨로 분류하며, 액티비티 레벨은 최하위 레벨인 태스크로 정의하였다. 또한 태스크 레벨은 해당 태스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문지식정보, 기타 기준정보를 연계하여 시스템화한다. 업종별, 제품별 개발프로세스 선정은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하여 유사 프로세스를 선택하면, 해당 제품에 관련된 개발프로세스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해당 제품에 대한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유사 개발제품에 대한 개발 프로세스를 설정(Setting)해 준다. 예를 들면, 전화기를 개발하려는 경우, 전화기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개발프로세스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오고, 가져온 개발프로세스에서 필요한 정보, 즉, 상품, 전문지식, 표준/규격, 사례 정보 등의 정보를 연계하여 보여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워크플로우는 구축된 지식의 세그먼트와 연결되어 서비스를 구성하는데, 맞춤형 워크플로우의 선정은 도 7과 같이, 개발하고자 하는 아이템의 특성별에 따라 최적의 워크플로우 또는 방법을 검색하게 되며, 검색의 기준은 산업별/상품별/부품별의 아이템에 의한 변화 될 수 있는 조건과, 생산방법 또는 설비조건 및 품질기준에 의한 변화 될 수 있는 조건과, 목표 시장의 환경 및 규제/운송방법등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조건과, 개발 방법론 및 기법과 기술에 의해 변화 될 수 있는 조건 등으로 분류되어진다. 상기 개발 방법론은 도 5의 상기 설명에 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즉, 워크플로우의 변화는 단위 기술 또는 지식 세그먼트의 변화에 의해 워크플로우 또는 과정(precess)이 변해지며, 맞춤형 워크플로우의 검색조건은 이러한 변화 요인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반영하게 되며, 향후 구축된 표준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조건을 추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하게 된다.
맞춤형 워크플로우의 서비스 방법은 선정된 워크플로우와 관련된 각종 지식이 연결된 상태로 사용하게 되며, 각 업무의 Phase 계층 하부에 지식의 Activities 폴더와 Task 폴더로 재구성되어 사용하게 되고, 필요시 개발지원 툴박스에서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맞춤형 워크플로우는 연결 전문지식의 세그먼트와 개발지원 툴박스의 프로그램들을 아이템별로 맞는 워크플로우로 재구성되어 업무 Phase와 Activities, Task의 형태로 표시되어진다.
도 8은 도 7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검색 1 내지 검색 5의 키워드 검색을 선택하면 해당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하여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을 할 수 있고 혹은 트리 구조 검색을 선택하여 지식 카테고리를 선정하고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여 계속 찾아갈 수 있다. workflow 메뉴는 원하는 워크플로우를 선정하고 이를 찾아가며, 해당하는 프로세스를 따라가면서 컨텐츠를 선정하면서 보여주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메뉴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툴박스 메뉴는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되면 요구하는 솔루션을 얻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모든 정보/지식은 검색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메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게 할 수 있다.
도 9는 지식 서비스의 전체적인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각 플로우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지식 및 워크플로우의 서비스를 위한 지불/승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전자 지불 수단의 단위인 피케이캐시(PK-CASH)를 결정하고(100 단계), 상기 서비스를 위해 회원이 가입하면 그 회원에게 소정의 금액의 피케이캐시를 더한다(102 단계). 상기 회원이 소정의 지식을 등록하면 그 지식을 평가하여 지식에 대응하는 페케이캐시를 상기 회원의 피케이캐시에 더하며(104 단계), 상기회원이 피케이캐시로 평가되는 유료의 지식을 검색해서 사용할 때에는 그 회원이 사용할 수 있는 정보인가를 결정하고 회원이 가지고 있는 피케이캐시를 검색해서 그 지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한 후 그 유료의 지식에 대응하는 패케이캐시를 상기 회원으로부터 빼게 된다(106 단계).
도 11은 맞춤형 지식 및 워크플로우 서비스를 위한 지불 및 승인 방법인 도 10의 방법을 상세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로그인(Login)은 사용자의 회원 인증상황과 보유 피케이캐시를 계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잔여 지식 또는 프로젝트 수를 도시하여 준다. 피케이캐시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사용자의 정보는 개인 사용자 ID와 회원사의 ID을 동시 검토하게 되고, 회원사 소속의 사용자들의 지식 사용현황은 총괄적으로 회원사 정보에 기록된다. 회원의 형태는 연간 계약 또는 프로젝트 종합 계약의 형태를 가진 프레미엄 회원과, 제휴사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지는 쿠폰회원, 개별 단위 지식 또는 프로젝트 단위 계약형태인 단위 지식회원, 기타 일반 회원 등으로 구분되며, 회원의 자격형태에 따라 사용 가능한 지식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4는 지식을 구축 할 수 있는 기본폴더를 정의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각각 폴더의 생성 또는 수정, 삭제 등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폴더를 생성하면 권한을 체크하고 폴더 구조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에 정보/지식을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따라 미리 정해진 소정의 지식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신규로 들어오는 지식에 대한 카테고리를 설정한다. 신규로 들어온 지식이 기존의 카테고리내에 없는 경우, 이에 대한 폴더를 정하고 세부적으로 해당 폴더의 구조를 정의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수정(도 13)과 삭제(도 14)가 가능하다.
정의된 지식 기본폴더마다 지식의 유형을 정의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 도 15, 도 16, 도 17이다. 지식의 유형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가 판단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의 판단에 의하여 지식의 유형이 결정되고, 결정된 지식은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컨테이너에 수록되어 지며, 이들은 정해진 지식 카테고리내에 등록되며(도 15), 수정(도 16) 또는 삭제(도 17)될 수 있다. 신규지식 등록, 수정 혹은 삭제를 위하여 해당 카테고리를 선택한다. 등록시에는 등록된 카테고리에서 관련된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이곳으로 등록하기 위한 지식을 선택하게 되며, 선택된 지식은 지식 컨테이너에 등록된다.
도 17의 지식 유형의 삭제에서 하나의 지식을 삭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삭제될 대상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있으며, 지식을 삭제하면 그 지식에 연계된 부분의 서비스가 차질을 받을 수 있다. 즉 연계된 부분의 서비스가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단은 삭제하려는 지식과 다른 지식간 상호 연계성을 찾아야 한다. 혹시 연계된 부분이 있다면 연계된 부분으로 돌아가 해당지식이 없어도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이에 대한 확인이 우선되어야 지식의 삭제가 가능하다.
최종적인 지식을 생성하고 구축하고 조회/삭제/수정 관리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 각각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4이다.
도 18의 지식은 상기에 설명된 것과 같이 어떤 제품 개발에 사용될 기술이나 제품 정보에 대한 것을 뜻하는 것이며, 상품 지식, 불량 해결 방법 혹은 프로젝트사례도 포함하고 있다.
도 19에서 지식 승인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식시스템에는 많은 지식을 포함하며, 그 지식들 모두는 정해진 형태를 가지고 있도록 한다. 또한 생성될 해당 지식의 유용성과 응용성이 판정이 나야 지식 등록이 된다. 이를 위한 등록 지식에 대한 승인 절차가 도 19의 흐름에 따라 이루어진다. 물론 시스템 관리자가 등록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별도의 승인없이 관리자 메뉴에서 처리가 가능하지만, 사용자 혹은 별도의 개발자 아이디로 등록시에는 도 19와 같은 별도의 승인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의 지식 승인 상태는 해당 지식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식시스템에 등록이 가능하다는 일종의 판결을 내려진 상태이다. 승인이 되면 그 지식이 등록된다.
도 24에서 지식 검색 폼에 제공되는 정보 중에서 지식 유형별 세부 속성에 대해 예를 들면, 프로젝트 사례정보/지식의 경우에 프로젝트사례정보는 우선 대상 제품, 프로젝트 기간, 개발회사, 재료, 제품의 특성, 프로세싱 기술 등이 기술되어야 지식의 효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세부적인 기술내용이 지식 유형별 세부 속성의 예이다.
도 25 및 도 26은 각각 맞춤형 워크플로우의 생성 및 수정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 아이템 별 맞춤형 워크플로우와 지식을 제공하게 된다. 도 25의 워크플로우 생성의 예를 든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제품개발을 위한 워크플로우의 경우, 플라스틱 제품에서 각 Item(즉, 청소기, 렌즈, 모니터, 컴퓨터, 오디오 등을 지칭함)에 해당하는 워크플로우를 자동적으로 생성시켜주는 것이 맞춤형 워크플로우 생성/수정/삭제 기능이다. 먼저 개인의 폴더를 만들고 사용자가 자신의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정하게 되면 이에 해당하는 워크플로우를 자동 생성한다. 이때 각 워크플로우의 태스크에서 필요한 지식이 있으면 서로 연결시켜 전체적인 워크플로우 생성과정이 완성된다. 추후 사용자가 자신의 개발 품목에 대한 워크플로우를 선택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자신만의 워크플로우를 불어오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지식 제공자와 사용자는 지식의 사용량에 따른 책정 및 계약된 형태에 의해 지식 및 워크플로우사용비를 내어야 하며, 이를 규정하는 것을 PK-CASH로 규명 하였고, 사용자 및 회원 데이터베이스와 PK-cash 계산 프로그램은 잔여 PK-CASH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메세지를 제공하게 된다. 지식 사용자가 스스로 강한 분야의 지식을 등록하게 되면, 시스템 스폰서(Sponcer)가 이를 분석하고 가격를책정하게 되며 얻게 되는 PK-CASH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게 되며, 지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양만큼 계산되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게 된다. 지식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기대효과는 지식을 사용하거나 축척된 PK-Cash을 통한 구매수단으로의 활용 뿐만이 아니라 소속 기업 또는 회원사의 홍보(제공 지식의 기업명 명기 서비스) 효과, 제공 지식의 컨텐츠와 상품 및 업체 데이터베이스간의 연결을 통한 사전영업 효과 등을 부수적으로 확보 할 수 있음으로서 지식 컨텐츠의 자발적인 참여 및 시스템의 진화가 가능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인터넷 환경에서 구축된 지식 및 도구, 방법 등의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대상 제품의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한 검색 장치를 통하여 최적의 워크플로우와 지식을 찾아서 연결함으로서, 사용자 또는 회원사의 프로젝트를 맞춤형 워크플로우 하에서 지식을 사용하게 되고, 지식 사용의 지불관계를 설정함으로서 지식 시스템의 진화를 유도하게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이점은 상품기획~디자인~설계~치공구(금형)~부품생산(성형생산)~조립(후가공)등의 제품개발 전 공정에 대한 지식을 인터넷을 통한 장치 체계 하에서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제품 아이템별의 특성에 의한 분류 검색으로 워크플로우을 주문하고 관련 지식을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있다. 결국, 제품개발 과정에 종사하는 각 부문별의 전반적인 기술 및 상호 이해 증진을 높이고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 함으로서 품질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설계 초기 단계에 후련공정의 기술전반을 사전검토 함으로서 사내외적인 기술 자원의 적절한 분배 및 개발납기 단축을 통한 시장 조기 출시를 가능하게 하는 지식도구를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것이다. 경험 및 기술력이 차이가 나는 담당자 또는 프로젝트 기획/관리자를 지원할수 있는 맞춤형 워크플로우 및 지식 관리 시스템이다.
프로젝트 관리자 입장에서는 최적의 워크플로우와 각종 해당 기술의 지식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찾게 됨으로서, 요소기술의 부족 또는 신기술의 이해를 증진할수 있게 되고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품개발 엔지니어 입장에서는 설계 초기 단계에서부터 생산공정을 포함하여 후련공정의 각종 기술 Check Point을 검증하게 됨으로서, 시방변경 횟수 감소 또는 품질향상에 도움이 되며, 궁극적으로는 동시 병행적인 제조 방법(CE/CALS)을 구현 할 수 있는 지식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경영적으로는 한정된 자원에 비해 다품종의 제품개발을 실현할 수 있으며, 사내외적인 지식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품개발 과정상의 부문별 기술 이해 증진과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및 요소기술의 평준화를 통한 품질 향상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시스템을 이용하는 다른 모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을 나타내는 키워드(keyword) 또는 기술 지도(map)에 의하여 최적 프로세스를 선정하고, 제품 개발에 관련된 지식을 연결하고 도구 및 외주 자원들을 사이버 상에서 주문하여 인터넷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결국,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맞춤형 기술자원의 주문을 통하여 인터넷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소정의 제품들을 개발하기 위한 정보를 소정의 분류표에 의해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270 단계), 상기 제품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개발할 제품이 선택되면 그 제품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들을 인출하여 제품 개발을 위한 메뉴를 구성하며(272 단계),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이용해서 상기 제품을 설계하여 기본 도면을 생성하고(274 단계), 기본 도면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를 포함하는 개발 담당자들에게 표시하며, 개발 담당자들 각각이 표시된 도면에 필요한 표시를 하여 도면을 완성한다(276 단계). 사용자가 참조번호 272 단계에서 구성된 메뉴를 이용하여 완성된 제품 개발의 도면에 따른 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진행에 필요한 관리를 하여 제품 개발 완료 및 그에 따른 제품 생산을 하고, 그 과정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참조번호 270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추가한다(278 단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제품 개발을 위한 정보를 소정의 분류표에 의해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285)에 저장하며, 사용자(286)에 의해 개발할 제품이 선택되면 그 제품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들을 인출하여 제품 개발을 위한 메뉴를 구성하는 정보화부(280), 정보화부(280)에서 제시한 메뉴를 이용해서 개발한 제품의 도면을 사용자를 포함한 개발 담당자(287)들의 화면에 표시하며, 참석한 담당자들 각각이 그 화면에 표현된 도면에 필요한 표시를 할 수 있게 하는 원거리 다자간 화상회의부(281) 및 제품 개발의 도면이 결정되면 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진행에 필요한 관리를 실행하는 프로젝트 관리부(282)를 포함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제품 개발을 위한 회의에 참석할 담당자들에게 회의 개최를 알리고 참석 여부를 수신하는 회의참석통지부(283)를 더 포함하며, 원거리 다자간 화상회의부(281)를 통해 진행된 원격 회의의 내용을 소정의 형식으로 저장하는 회의내용 기록부(28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의 방법과 도 28의 장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정보화부(280)에서는 제품 개발을 위해 수집된 정보를 소정의 체계적인 분류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한다(270 단계). 제품 개발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제품에 대한 설계 정보, 제품에 대한 전문 지식 정보, 개발 사례 정보, 제품 재료에 대한 정보, 개발 과정에 발생할 문제점 해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 개발을 위한 정보의 더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제품별 필요한 기본 기능과 부가적인 기능에 대한 정의, 그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설계, 시제품 혹은 생산에 필요한 하드웨어적인 부품 혹은 소프트웨어적인 부품, 그 제품 개발과 유사한 제품 개발 때의 자료가 있다면 개발 사례 정보, 각 부품에 대한 재료적인 정보, 회로 기판 설계, 외관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의 제시와 그 해결을 위한 정보, 시제품에 대한 검증 후에 시판용 혹은 양산품을 생산할 때의 정보 등이 제품 개발을 정보의 예이다. 그리고 설계를 위한 설계 도구인 2차원 혹은 3차원 CAD 프로그램, 해석 프로그램 등과 같은 각종 개발용 프로그램들도 제품 개발을 위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체계적인 분류표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디자인 : 제품디자인 지침, 색상 지정방법, 제품...
-CAD/CAM/CAE : 동시공학, 형상모델링, 어셈블리...
-제품설계 : 조립성평가, 형상설계, 체결방법...
-규격 및 테스트 : 안전규격의 종류, UL 시험의 종류, 제조...
-금형설계 : 금형설계기본, 금형의 분류, 스프루/런너...
-데이타 교환 : 데이터교환, IGES, STEP...
-금형제작 : 소재가공, NC가공, 방전가공...
-현장관리 : 사출공장, 금형관리, 재료관리...
-사출성형 : 사출성형공정, 사출성형기의 기본, 사출...
-특수성형 : 가스성형, 압출성형, 블로우성형...
-플라스틱 재료 : 플라스틱의 분류,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
-후가공 : 도장, 도금, 인쇄
-목업제작 : 목업일반, 쾌속조형(RP), RP목업제작과...
-성형불량과 대책 : 휨/뒤틀림, 웰드라인, 색얼룩...
제품 개발에 수반되는 제품설계는 다음과 같이 나눌수 있다.
-조립성 평가
-형상설계
-체결방법
-도면작성법
-포장설계
상기와 같은 정보들을 제품별로 수집하고, 각 제품별 개발 정보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체계적인 분류표를 생성하고, 그 분류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데이터베이스화할 때에 필드를 어느 것으로 설정하는 가를 결정하는 것을 상기 분류표에 따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개발하고 싶은 혹은 개발을 의뢰하고 싶은 제품을 결정하면, 원거리 다자간 화상회의부(281)는 그 제품에 대해 정보화부(280)에서 생성된 정보들에서 그 제품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인출하여 제품 개발을 위한 메뉴를 구성한다(272 단계). 이 메뉴를 이용해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선택 사항을 추가적으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선택 사항에는 제품이 수출될 국가에 따른 안전 및 품질 규격, 제품에 대한 품질 기준, 개발 범위 등이 있을 것이다. 개발 범위는 시제품 제작인가, 설계만인가 혹은 금형 및 성형까지 포함하는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기를 개발해 줄 것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인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개발 품목인 전화기를 선택한다. 또한 전화기가 수출될 국가에 따른 규격, 제품에 대한 품질 기준과 시제품 제작인가 혹은 기본 설계만인가 혹은 금형 및 성형까지 포함한 제품 생산인가를 결정한다.
원거리 다자간 화상회의부(281)는 전화기에 대한 개발 정보를 정보화부(280)에서 저장한 DB(285)로부터 인출하고, 전화기를 개발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다. 이 메뉴에는 전화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최하위의 기본 설계 도면, 전화기에 대한 부가적인 기능 선택 및 그 기능이 추가된 설계 도면, 전화기의 외관에 대한 디자인, 외관에 대한 재질 선택, 내부의 각 부품의 종류 및 부품의 배치, 전화기 개발에 수반될 수 있는 일반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법, 시제품 생산을 위한 준비 및 시제품 생산에 따를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제시 등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사용자 혹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발 담당자는 이 메뉴를 이용해서 제품을 설계하여 기본 도면을 생성한다(274 단계). 원래의 메뉴에는 가장기본적인 설계만이 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추가한 기본 설계 도면을 생성하는 것이다.
회의 참석 통지부(283)에서는 이 기본 도면을 기본으로 한 확정적인 최종 도면 작성을 위해 사용자를 포함하는 개발 담당자들에게 회의에 참석할 것을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발 담당자(287)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완성하기 위한 제품 개발자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원하는 기능이 완성되는 것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도 개발자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만일 사용자가 모든 개발을 위임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불참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를 포함하는 개발자들은 원거리 다자간 화상회의부(281)에서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원격 회의를 통해 자신의 화면에 표시되는 기본 도면을 보면서, 도면에 필요한 표시를 하면서 최종적인 도면을 완성한다(276 단계). 물론 음성 혹은 문자로 다른 참석자와 의견을 나눌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일종의 채팅을 하는 것이 된다. 원거리 다자간 화상회의부(281)는 웹(web)을 기반으로 한 설계 도구 및 설계 도면에 대한 3차원 해석을 하는 도구를 포함하며, 회의 참석자는 상기 도구 중 필요한 도구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현된 도면에 표시를 하는 것이다. 원거리 화상 회의를 위한 도구나 웹을 기반으로 한 설계 도구 등은 상용화된 제품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화상 회의 중에 회의가 진행되는 모든 자료(화상 자료, 텍스트 데이터 자료)는 회의 내용 기록부(284)에서 기록된다. 기록되는 내용은 저장을 위한 혹은 사용자에게 보고하기 위한 필요한 형식(예를 들면, MPEG 형식 혹은 ASF 형식 등)으로저장된다. 이를 통해 별도로 회의 내용을 기록할 필요가 없어지며 관리하기도 간편해지게 된다.
프로젝트 관리부(282)는 완성된 도면에 따른 제품 개발 프로젝트 진행에 필요한 관리를 실행하여 시제품 혹은 완제품 개발 완료 및 그에 따른 제품 생산을 하고, 그 과정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DB(285)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추가한다(278 단계). 이 추가되는 데이터가 다음의 개발을 위한 참조 자료가 되는 것이다. 참조번호 272 단계에서 생성된 메뉴를 통해 이 단계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프로젝트 관리부(282)에서 관리하는 내용은 일정관리, 진척관리, 공정관리, 구매관리, 투입 인력관리, 결과 산출물관리, 개발에 필요한 기술관리, 각 공정 혹은 과정별로 적용되는 프로그램과 같은 도구관리, 관련 아웃 소싱 업체와의 정보관리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의 시스템의 구성을 발전시킨 것으로 도 1과 도 29의 구성에서 사용자 계층과 응용 계층 및 데이터베이스 계층은 서로 동일성이 있으며, 각 구성 요소의 이하의 중복되는 설명 부분은 도 29의 시스템 구성의 이해를 위해서 부연된 것이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은 도 29의 사용자 계층과 응용 계층 및 데이터베이스 계층의 설명은 도 1의 설명에 포함된 것과 동일하다.
이 시스템은 제품 개발에 대한 주문을 하는 각 사용자의 업무 및 사업 특성,상기 제품 개발 단계의 기술 영역 및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세스별 역할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프로세스에 포함된 과정(phase)들을 사용하는 사용자계층(290), 상기 제품 개발에 대한 지식과 기술 자료들을 보관하며, 상기 제품 개발에 대한 외부 컨설팅과 아웃 소싱을 포함하는 기술 협업을 위한 자료들을 저장하는 화면계층(292), 소정의 전문 지식을 생성하고 구축하고 관리하는 전문지식 관리모듈,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제품 개발 방법 모듈,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회원사를 관리하고, 그 관리 데이터를 운영하는 사용자 관리모듈, 지식과 상기 상품 개발 프로세스 및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할 수 있는 검색엔진장치, 상기 사용자의 접근과 통제 및 시스템의 일반적인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보안/인증장치를 포함하는 응용계층(294) 및 제품개발의 전체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기본 요소기술들을 소정의 체계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의 지원을 위한 정보와 규격 및 지식들을 구축한 개발지원정보데이터베이스, 제품과 상품별 워크플로우(workflow) 및 프로젝트 정보 지식들을 구축한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 제품 개발 시에 사용되는 소정의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개발지원 도구 박스를 포함하여 생성되어 지식이 저장되고 인출되는 데이터베이스계층(296)을 포함한다.
응용계층(294)의 각 모듈들은 지식을 분류하는 엔진과 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소정의 프로그램들을 모은 개발 도구 박스, 상기 사용자 계층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 회원사의 프로젝트 또는 지식 서비스의 사용 지불 현황 및 지불 수단인 전자화폐를 관리하는 전자지불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계층(296)의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에는 개발하려는 상품기획 및 그 상품에 대한 시장조사, 제품 디자인과 디자인 목업(mock-up)을 포함하는 제품디자인 업무 과정과 관련된 전문지식이 요소별로 분류되어 저장되고, 상기 개발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업무에 관련된 업무양식과 업무 관련 업체정보 및 디자인의 결과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품개발가이드 데이터베이스에는 단위 과정의 워크플로우와 프로젝트 사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계층(296)의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에는 플라스틱 재료와 그 재료의 생산과정에 따른 종류, 사용 용도, 물성과 특성, 재료 시험 방법과 시험 장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료 및 재료물성/테스트 업무 과정의 전문지식이 저장되며, 상기 개발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를 응용하는 용도, 플라스틱 재료 시장에 따른 규격정보, 규격 정보 양식과 취급업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에는 플라스틱 소재별 프로젝트 적용사례 및 제품 적용사례가 저장되며, 상기 개발지원 도구박스에는 최적 플라스틱 재료의 선정 및 부품성형 원가 산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계층(296)의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에는 제품의 조립 설계 및 부품설계와 원가/납기/품질을 포함하는 기본지식이 저장되고, 상기 개발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제품의 목표 시장에 따른 규격 또는 신뢰성 조건, 설계 전문업체 정보, 제품개발 관련 도구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에는 제품별 또는 아이템(Item)별 워크플로우/프로세스와 프로젝트 사례 및 제품구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개발지원 도구박스에는 개발 지원을 위한 단위환산, 제조원가 계산을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계층(296)의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에는 금형제작 또는 치공구 제작과 관련된 업무 과정에 대한 금형구조, 금형 설계방법, 금형에 사용되는 표준부품을 포함하는 전문지식이 요소별로 분류되어 저장되고, 상기 개발지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금형의 규격, 금형 업체정보 및 금형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프로세스의 과정(phase)에는 디자인 과정, 제품설계 과정, 금형 제작을 포함하는 치공구 제작 과정, 부품 생산 과정, 조립 후 가공을 포함하는 생산 과정 및 품질 현장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9의 시스템의 구성은 도 28의 시스템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구성한 것이며, 전체적인 기능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29의 구성에 맞추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품 개발을 위한 전문지식은 상품기획 -> 디자인 -> 설계 -> 치공구(금형) -> 성형 -> 후가공 -> 양산의 차례에 걸친 제품개발 전체의 업무 과정(phase)별 분류를 기준으로 상세 지식들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되어 있고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 될 수 있게 된다.
제품개발 프로세스는 공정도 또는 공정표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의 개발유형에 따라 선정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프로젝트 사례의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유사한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검토 및 선정 할 수 있다. 제품개발 시 필요한 각종 도구를 선택하여 사용 할 수도 있으며, 원가계산 및 공학 단위계산 등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지식 또는 기술의 외주를 처리 할 경우, 전문가 검색을 통하여 각종 조건에 의해 아웃소싱을 선택 할 수 있으며, 외부 컨설팅 또는 기술자문 등의 용역 서비스를 선택 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지 간의 도면을 이용한 기술협의를 수행하기 위해서 기술도면 채팅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채팅 예약 등의 부수적 서비스 기능을 이용 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개발 서비스는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의 최적 프로세스와 관련된 각종 전문지식 및 규격 등의 지식컨텐츠와 개발 도구 및 기능들을 선정하고, 필요시 외부 전문가 또는 컨설팅들의 아웃소싱들을 선정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개발실을 사이버로 주문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전체 프로젝트는 회원사 관리코드와 프로젝트 코드 관리체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현실 세계의 제품개발실에 대한 각종 요건들을 사이버 공간에서 데이터베이스 또는 관련 솔루션 등을 준비하여 두고 사용자가 자기 제품개발에 적합한 프로세스와 지식 및 각종 필요한 외주, 도구들을 선정하여 프로젝트 관리를 할 수 있게 함으로서 인터넷의 가상공간을 이용한 맞춤 주문형 제품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30은 도 29에 따른 시스템의 서비스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 서비스의 흐름은 도 287의 흐름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개발 아이템이 설정되고(300 단계), 개발 범위가 지정된다(302 단계). 개발 범위에는 제품이 수출될 국가에 따른 규격, 제품에 대한 품질 기준, 개발 범위에 대한 것이 결정된다. 개발 범위는 시제품 제작인가, 설계만인가 혹은 금형 및 성형 까지 포함된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발 도구(tool)를 결정한다(304 단계). 이는 웹 기반의 CAD, CAE 및 개발 논의에 필요한 채팅 도구 사용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후 적용 서비스를 지정한다(306 단계). 사이버(cyber) 회의실 사용, 프로젝트 관리, 사용할 전문 지식의 정도, 개발 프로세스 및 사례에 대한 정보 등을 어느 범위까지 이용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것이다.
상기과 같은 과정을 거쳐 작업 공간(working space)에서 개발 작업이 진행된다(308 단계). 이를 위해 웹 기반의 작업 공간이 설정되며, 웹에서의 CAD, CAE의 데이터 정합(interface)이 실행된다. 그리고 기본적인 도면이 결정되면, 사이버 회의를 통해 원격 거리에서 회의를 진행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전문 지식을 검색한다.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개발 진행에 대한 프로젝트 관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도 31은 작업 공간에서 제품 개발을 위해 발생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며,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User) 계층은 각 고객의 업무 및 사업 특성에 따라 분류되며, 주로제품개발 단계의 기술영역에 의해 분류되며 워크플로우 별 역할에 의해 구분되고, 워크플로우 중의 특정 과정(Phase)을 사용하게 된다.
화면계층은 크게 두가지 시스템적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지식 및 각종 기술자료를 보관하는 지식시스템과, 외부 컨설팅 및 아웃소싱 등의 기술협업을 위한 사이버컨설팅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응용(Application) 계층은 전문지식을 생성하고 구축하고 관리하는 전문지식 관리 모듈, 제품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제품개발 프로세스 모듈, 사용자 또는 회원사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용자 관리 모듈로 구성한다. 각 모듈은 부속적으로 지식을 분류하는 엔진과 제품개발을 지원하는 각종 프로그램의 모임인 개발 도구(tool) 박스, 사용자 또는 회원사의 프로젝트 또는 지식서비스의 사용 지불 현황 및 전자화폐를 관리하는 전자지불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으로서는 지식과 워크플로우 및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할 수 있는 검색엔진장치, 사용자의 접근과 통제 및 각종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보안/인증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Database) 계층은 제품개발의 전 프로세스 상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기본 요소기술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의 지원을 위한 각종 정보와 규격 및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개발지원정보데이터베이스, 제품 및 상품별 워크플로우 및 프로젝트 정보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시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들의 구성으로 되어있는 개발지원 도구 박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품개발에 필요한 기준정보를 체계화된 분류표에 의하여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며, 사용자가 특정한 제품을 개발코자 할 경우, 해당제품에 대한 설계 데이터베이스,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 개발사례 데이터베이스, 재료 데이터베이스, 개발 문제 해결 사례 데이터베이스들에서 필요한 자료를 불러들여 사이버 공간상의 협업시스템의 메뉴구성을 해당제품에 관련된 부분으로 재배열한다.
원거리간, 다자간 동일한 화면(CAD 데이터, 혹은 개발 대상이 되고 있는 상품등)을 띄워놓고, 화상 기술 회의를 실시한다. 화상회의를 진행하는 사이버 회의실에서는 2차원 도면 혹은 3차원 도면을 띄워놓고, 참석자들이 필요한 곳에 표시를 하면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발 대상이 되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미리 미팅에 참여할 담당자에게 이메일(e-mail)을 발송하며, 수신자는 응신 메일(return mail)을 보내야만 화상회의가 진행된다. 이메일을 송신할 때에 선택사항으로 "불참시 회의불가"를 선택하면 회의가 무산되게 할 수 있다.
웹(web)을 기반으로 한 설계 도구(예를 들면 CAD), 3차원 해석 도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구를 한데 묶어놓은 도구 박스 메뉴가 준비되어 있어 개발수행시 도구 박스 내의 필요한 도구를 선정하여 활용이 가능하다. 도구 박스에서 만들어진 파일들은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에 의한 산출물 관리로 프로젝트 사례 또는 선택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진다.
전체 프로젝트는 운영관리는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에 의해서 관리되며, 프로젝트의 일정관리, 진척관리, 공정관리, 구매관리, 투입 인력관리, 투입M/M관리, 산출물관리, 소요기술관리, 적용 도구 관리, 관련 아웃 소싱 업체와의 정보관리 등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순서로 제품 개발의 서비스를 구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전화기를 개발한다고 가정하면, 초기에 전화기와 관련된 데이터 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와서 체계화된 메뉴로 구성된다. 또한 설계자가 설계된 전화기모델의 2차원 도면을 화면에 띄워놓고 회의를 소집할수 있으며, 미팅이 시작되면, 설계자, 구매팀, 금형 업체, 사출 업체 간 동시에 도면을 보면서 각 부문간 의견조율을 하며, 화면에 마크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면 직접 설계변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개발업무는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관리되며, 프로젝트가 종료되면, 산출물은 별도의 관리절차를 거쳐 해당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 기능은 도 28의 기능 및 동작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의 내용을 참조해서 앞의 도 7에 대한 설명의 내용에 부가하여 이하 설명한다.
기술채팅 또는 원격지간의 기술 컨퍼런스 시스템은 원격자간 동일한 화면을 웹 화면상에 띄워 놓고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마킹(Marking) 기능을 부여하여 설계된 제품도면에 대한 상호 원격적인 기술협의를 수행하고 각종 검토 사항의 기록을 데이터베이스 상에 보관하게 된다.
사용자가 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 회의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참석 대상자 및시간 등의 사항을 검색한 후 예약하게 되고, 회의를 수행할 기술도면의 자료를 서버에 올리게 된다. 접수된 기술 회의에 대한 요청은 회의실의 접속여부의 가부와 함께 관련 참석대상자에게 참석 메일을 발송하고 참석여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확정여부의 메일송부를 하여 예약이 완료된다.
운영자는 자체 또는 외부 협력 아웃소싱 기관에 이메일을 통하여 관련 도면자료를 발송하고 시스템에 기록된 자료의 형태에 따라 자동적인 자료 변환 인터페이스 또는 파일 변환의 여부를 결정하고 파일이 송신된다. 기술 회의는 미리 정해진 참석자의 아이디(ID) 및 패스워드를 점검하고 정해진 시간에 의해 회의가 진행되면서 관련 이력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등록(프로젝트명, 기간, 공정표, PM, 개발자, 개발 도구, 적용기술, 주요 일정표 등)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일정 시점에서의 일정체크, 필요한 요소기술의 재배치, 사이버 회의실 운영을 통한 개발 설계를 검토한다. 또한 산출물 관리를 정해진 프로젝트 코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저장되며, 산출물의 확보시점의 결과를 프로젝트 총괄관리자(사용자)에 의해서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상기의 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태양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통신망, 예를 들어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각 단계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부 단계들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지식을 이용하고 맞춤형 워크플로우(workflow)를 관리하는 지식 시스템에 있어서, 지식을 이용하려는 각 사용자들을 분류한 사용자계층, 전문지식 관리모듈, 제품 개발 방법 모듈, 상기 사용자 계층에 정의된 사용자 또는 사용자 회원사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용자 관리모듈, 지식과 워크플로우 및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할 수 있는 검색엔진장치, 사용자의 접근과 통제 및 각종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보안/인증장치로 구성된 응용계층 및 지식 데이터베이스, 개발지원정보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 가이드 데이터베이스, 개발지원 툴 박스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계층을 포함하여,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서비스를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의해 사용함으로서, 각 업무 부문별의 요소기술들을 종합적으로 사용 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동시 공학적인 차원에서 제품개발을 수행할수 있게 된다. 중소기업의 경우, 한정된 자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품목의 신제품 개발을 가능케 하고, 제품개발의 속도와 개발원가의 절감 및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사내외적인 기술 및 경험과 지식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경험하지 못한 신제품을 대응체제가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더욱이,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되어 연구개발 능력이 부족한 기업에서는 자체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 외에도, 소정의 제품들을 개발하기 위한 정보를 소정의 분류표에 의해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제품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개발할 제품이 선택되면 그 제품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들을 인출하여 제품 개발을 위한 메뉴를 구성하며,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이용해서 상기 제품을 설계하여 기본 도면을 생성하고, 기본 도면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를 포함하는 개발 담당자들에게 표시하며, 개발 담당자들 각각이 표시된 도면에 필요한 표시를 하여 도면을 완성하고, 상기 구성된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에 완성된 제품 개발의 도면에 따른 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진행에 필요한 관리를 하여 제품 개발 완료 및 그에 따른 제품 생산을 하고, 그 과정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추가하여, 한정된 사내 기술자원 또는 외주 조달을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사용자의 제품개발 모델 수의 다양화와 신기술 및 필요기술의 아웃소싱 효율화 및 프로젝트의 진척 및 자원 관리의 극대화를 통한 제조원가의 절감을 목표로 하며, 궁극적으로 기술이 없거나 부족한 기업에 대해 효과적인 연구 개발능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특정 제품개발에 필요한 지식, 정보만을 워크플로우 단계별로 자동적으로 갱신해 줌으로써 개발 준비단계에 소요되는 관련 정보/자료조사 기간 대폭 단축하며, 온라인 상에서 사이버 개발실을 운영하여 관련자들이 수 차례 직접 만나야 하는 시간적 손실 제거한다. 그리고 원격지간에 동시에 같은 화면상에서 개발미팅이 이루어지고 문자 혹은 음성의 형태로 회의록이 저장, 관리됨으로써 개발과정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상호간 커뮤니케이션 오류 제거되며, 개발단계에서 필요한 다양한 개발 도구들을 웹 환경 하에서 공유케 함으로써 업계의 투자부담을 대폭 경감한다.
또한 시스템 및 사이버 컨설팅을 통해 개발에 필요한 최적 기술사양을 단기간내에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정해진 기술사양에 맞는 최적의 재료, 부품, 설비 등을 찾아 낼 수 있도록 하여 구매의사결정 단계에서의 시간, 인력, 비용 측면의 낭비요소를 최소화한다.
그 외에도 B2B 플랫폼을 통해 추천된 상품(재료,부품, 설비,용역업체 등) 구매에 필요한 견본, 견적, 프리젠테이션 요청 및 가격협상 프로세스의 지원과 금융 및 배송 서비스(Transportation Service)등과 같은 구매조달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업무상 거래를 창출하며, 국내/해외간 바이어 상담시 커뮤니케이션 효율 제고는 물론 단순 가격협상이 아닌 체계적인기술적 검토에 의한 거래협상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제품 가치에 걸맞는 가격으로 수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4)

  1.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지식을 이용하고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관리하는 지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식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업무 특성 및 상기 지식에 대응하는 상기 워크플로우별 역할을 기초로 상기 워크플로우의 특정 페이즈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분류되어 있는 사용자계층;
    상품기획 업무페이스, 시장조사 업무페이스, 제품디자인과 목업제작을 포함하는 제품디자인 업무페이스에 관련된 전문지식이 요소별로 분류된 후 세그먼트화되어 저장되는 제1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과정에서 요구되는 업무양식, 업체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개발지원정보가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 제품별 워크플로 및 프로젝트 사례정보를 포함하는 제품개발가이드정보가 저장되는 제3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워크플로우의 각 페이스에서 요구되는 수치를 산출하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개발지원툴박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계층; 및
    소정의 전문지식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전문지식 관리모듈, 제품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제품개발 방법모듈, 상기 사용자 계층에 정의된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모듈, 상기 지식, 상기 워크플로우,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검색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접근을 제어하는 인증모듈을 포함하는 응용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품개발 방법모듈은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워크플로우의 페이즈 및 상기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개발 아이템에 해당하는 제품개발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수립된 제품개발 프로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을 이용하고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관리하는 지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계층의 각 모듈들은 지식을 분류하는 엔진과 제품개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개발툴박스, 및 상기 사용계층에 분류되어 있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기준에 의해 전자화폐를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전자화폐에서 상기 프로젝트 또는 지식의 사용에 따른 이용대금을 차감하는 전자지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을 이용하고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관리하는 지식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사용자에게 맞춤형 워크플로우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품기획 업무페이스, 시장조사 업무페이스, 제품디자인과 목업제작을 포함하는 제품디자인 업무페이스에 관련된 전문지식이 요소별로 분류된 후 세그먼트화되어 저장되는 제1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과정에서 요구되는 업무양식, 업체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개발지원정보가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 제품별 워크플로 및 프로젝트 사례정보를 포함하는 제품개발가이드정보가 저장되는 제3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워크플로우의 각 페이스에서 요구되는 수치를 산출하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개발지원툴박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상기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업무페이스계층의 하부에 지식의 액티비티 폴더를 정의하는 단계;
    (c) 상기 액티비티 폴더의 태스크를 정의하는 단계; 및
    (d)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전문지식의 세그먼트와 소정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워크 플로우가 상기 업무페이즈, 액티비티 폴더, 및 태스크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재구성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워크플로우 서비스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e) 전자지불수단의 단위인 피케이캐쉬를 결정하는 단계;
    (f)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에게 소정 금액의 피케이캐쉬를 부여하는 단계; 및
    (g) 상기 회원이 등록한 지식에 대한 평가에 대응하는 피케이캐쉬를 상기 지식을 등록한 회원에게 부여하고, 상기 회원이 피케이캐쉬가 설정되어 있는 유료지식을 선택하면 상기 회원의 선택한 지식에 대한 사용여부를 결정한 후 상기 유료지식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피케이캐쉬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회원에게 부여된 피케이캐쉬로부터 차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워크플로우 서비스 방법.
  11. 통신망을 통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제품들을 개발하기 위한 정보를 소정의 분류표에 의해 분류하여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b) 상기 제품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개발할 제품이 선택되면 그 제품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들을 인출하여 제품 개발을 위한 메뉴를 구성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이용해서 상기 제품을 설계하여 기본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기본 도면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를 포함하는 개발 담당자들에게 표시하며, 개발 담당자들 각각이 표시된 도면에 필요한 표시를 하여 도면을 완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b) 단계에서 구성된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에 완성된 제품 개발의 도면에 따른 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진행에 필요한 관리를 하여 제품 개발 완료 및 그에 따른 제품 생산을 하고, 그 과정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a)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통신망을 통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품 개발을 위한 정보를 소정의 분류표에 의해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사용자에 의해 개발할 제품이 선택되면 그 제품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들을 인출하여 제품 개발을 위한 메뉴를 구성하는 정보화부;
    상기 정보화부에서 제시한 메뉴를 이용해서 개발한 제품의 도면을 상기 사용자를 포함한 개발 담당자들의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담당자들 각각이 그 화면에 표현된 도면에 필요한 표시를 할 수 있게 하는 원거리 다자간 화상회의부; 및
    제품 개발의 도면이 결정되면 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진행에 필요한 관리를 실행하는 프로젝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개발을 위한 정보는 제품에 대한 설계 정보, 제품에 대한 전문 지식 정보, 개발 사례 정보, 제품 재료에 대한 정보, 개발 과정에 발생할 문제점 해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다자간 화상회의부를 통해 진행된 원격 회의의 내용을 소정의 형식으로 저장하는 회의내용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다자간 화상회의부는 웹(web)을 기반으로 한 설계 도구 및 설계 도면에 대한 3차원 해석을 하는 도구를 포함하며, 회의 참석자는 상기 도구 중 필요한 도구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현된 도면에 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제품 개발을 위한 회의에 참석할 담당자들에게 회의 개최를 알리고 참석 여부를 수신하는 회의참석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일정관리, 진척관리, 공정관리, 구매관리, 투입 인력관리, 결과 산출물관리, 개발에 필요한 기술관리, 적용 도구관리, 관련 아웃 소싱 업체와의 정보관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시스템.
  18.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품개발을 주문하는 사용자의 업무 특성 및 상기 제품개발의 수행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술영역, 및 상기 사용자가 희망하는 프로세스별 역할에 의해 상기 프로세스에 포함된 과정들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분류되어 있는 사용자계층;
    상품기획 업무페이스, 시장조사 업무페이스, 제품디자인과 목업제작을 포함하는 제품디자인 업무페이스에 관련된 전문지식이 요소별로 분류된 후 세그먼트화되어 저장되는 제1데이터베이스, 제품개발과정에서 요구되는 업무양식, 업체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개발지원정보가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 제품별 워크플로 및 프로젝트 사례정보를 포함하는 제품개발가이드정보가 저장되는 제3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워크플로우의 각 페이스에서 요구되는 수치를 산출하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개발지원툴박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계층;
    상기 제품개발에 대한 지식과 기술자료들을 보관하며, 상기 제품개발에 대한 외부 컨설팅과 아웃소싱을 포함하는 기술협업을 위한 자료들이 저장되는 화면계층; 및
    소정의 전문지식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전문지식 관리모듈, 제품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제품개발 방법모듈, 상기 사용자 계층에 정의된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모듈, 상기 지식, 상기 워크플로우,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검색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접근을 제어하는 인증모듈을 포함하는 응용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품개발 방법모듈은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워크플로우의 페이즈 및 상기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개발 아이템에 해당하는 제품개발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수립된 제품개발 프로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계층의 각 모듈들은 지식을 분류하는 엔진과 제품개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개발툴박스, 및 상기 사용계층에 분류되어 있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기준에 의해 전자화폐를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전자화폐에서 상기 프로젝트 또는 지식의 사용에 따른 이용대금을 차감하는 전자지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0. 삭제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는 플라스틱 재료와 그 재료의 생산과정에 따른 종류, 사용용도, 물성과 특성, 재료시험방법과 시험장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료 및 재료물성/테스트 업무과정의 전문지식이 저장되며,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를 응용하는 용도, 플라스틱 재료의 시장에 따른 규격정보, 규격정보양식, 및 취급업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에는 플라스틱 소재별 프로젝트 적용사례 및 제품 적용사례가 저장되며,
    상기 개발지원 도구박스에는 최적 플라스틱 재료의 선정 및 부품성형 원가산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는 제품의 조립설계, 부품설계, 및 원가/납기/품질을 포함하는 기본직식이 저장되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는 제품의 목표시장에 따른 규격, 신뢰성조건, 설계전문업체정보, 제품개발관련 도구정보, 및 제품개발관련 상품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에는 제품별 또는 아이템별 워크플로우/프로세스, 프로젝트 사례, 및 제품구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개발지원 도구박스에는 개발지원을 위한 단위환산, 제조원가 계산을 위한 프로프로그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는 금형제작과 관련된 업무과정에 대한 금형구조, 금형설계방법, 및 금형에 사용되는 표준부품을 포함하는 전문지식이 요소별로 분류되어 저장되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는 금형의 규격, 금형업체정보, 및 금형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의 과정(phase)에는 디자인 과정, 제품설계 과정, 금형 제작을 포함하는 치공구 제작 과정, 부품 생산 과정, 조립 후 가공을 포함하는 생산 과정 및 품질 현장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주문에 응해 제품 개발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
KR10-2000-0082044A 2000-08-16 2000-12-26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의한 지식 서비스 시스템과 그서비스 방법과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441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47144 2000-08-16
KR1020000047144 2000-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648A KR20020014648A (ko) 2002-02-25
KR100441660B1 true KR100441660B1 (ko) 2004-07-27

Family

ID=1968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044A KR100441660B1 (ko) 2000-08-16 2000-12-26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의한 지식 서비스 시스템과 그서비스 방법과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342B1 (ko) 2014-08-25 2015-11-16 한국화학연구원 기능성 코팅 소재와 필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005A (ko) * 2001-05-04 2002-11-16 주식회사 이네트 룰기반의 워크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한 워크 플로우 체인생성방법
KR100483630B1 (ko) * 2001-09-12 2005-04-18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워크플로우 모니터링을 위한 개인화된 템플릿 생성 시스템및 방법
KR100454693B1 (ko) * 2002-07-05 2004-11-03 주식회사 롯데캐논 기종장 업무를 도입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91258B1 (ko) * 2004-11-01 2007-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략적 시나리오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5079B1 (ko) * 2016-12-30 2018-06-07 박병희 컨텐츠 주문 제조 및 교환 판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9615311B (zh) * 2018-10-19 2024-04-05 中国平安人寿保险股份有限公司 基于新产品开发的月结信息处理方法、电子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2232748A (zh) * 2019-07-15 2021-01-15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研发活动的知识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终端设备
WO2021145497A1 (ko) * 2020-01-13 2021-07-22 김재훈 빅데이터에 기반한 전자 부품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의 전자 부품에 대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207305B1 (ko) * 2020-02-06 2021-01-25 임재환 스토리보드 기반의 프로젝트 개발 지원 플랫폼을 이용한 개발 환경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494A (ko) * 1998-12-30 2000-07-15 이계철 신상품 개발 지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494A (ko) * 1998-12-30 2000-07-15 이계철 신상품 개발 지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342B1 (ko) 2014-08-25 2015-11-16 한국화학연구원 기능성 코팅 소재와 필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648A (ko)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8019B2 (en) Collaboration tool
Sanchez et al. A review of agile manufacturing systems
US20050021348A1 (en) Business solution management (BSM)
CN107146143B (zh) 先进制造电子商务平台
US201001382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ed collaboration using reusable business components and control structures in an asset based component business model architecture
KR100441660B1 (ko)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의한 지식 서비스 시스템과 그서비스 방법과 통신망을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JP2002063323A (ja) 業務プロセス設計支援システム、活動支援システム及び業務プロセス総合支援システム
US20230316197A1 (en) Collaborative, multi-user platform for data integration and digital content sharing
Hackenberg et al. GITHUB FOR PRODUCT DEVELOPMENT-HOW COULD THAT LOOK LIKE?
US99595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y of business systems from reusable business control elements in an asset based component business model architecture
KR20220008054A (ko) 심의 요청 메뉴 및 익스플로러를 포함하는 통합 시스템
US201001382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ercial ecosystems blueprint in an asset based component business model architecture
Rouibah et al. Combining workflow and PDM based on the workflow management coalition and STEP standards: the case of axalant
Salsabila et al. New Product Development at PT Asuka Engineering Indonesia
Siller et al. Managing collaborative process planning activities through extended enterprise
Peppard Benchmarking, process re-engineering and strategy: some focusing frameworks
Zografos et al. Designing a Reference Architecture for Additive Manufacturing
Stefanovic et al. Integration of virtual enterprises using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Ni et al. A PDM-based Framework for Design to Manufacturing in Mold Making Industry-A Case Study of Business Process Integration
Thomas et al. 3-Dimensional concurrent engineering: an illustration of its information entailments
KR20240032391A (ko) 스마트 인사관리 및 업무성과 평가방법
Pandya et al. Requirements for process redesign tools
Krömker et al. Business Processes and Software Modules for Co-operative Bid Preparation in the Building Industry
Ryan Development of a process modelling system for simulation
Valacich et al. The systems development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