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265B1 - 발신자식별이가능한바이브레이터시스템을구비한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발신자식별이가능한바이브레이터시스템을구비한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265B1
KR100441265B1 KR1019960077454A KR19960077454A KR100441265B1 KR 100441265 B1 KR100441265 B1 KR 100441265B1 KR 1019960077454 A KR1019960077454 A KR 1019960077454A KR 19960077454 A KR19960077454 A KR 19960077454A KR 100441265 B1 KR100441265 B1 KR 100441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control sig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145A (ko
Inventor
박의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1996007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265B1/ko
Publication of KR19980058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현하여 장착함으로써,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바이브레이터 시스템 자체가 없거나,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이 있는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내장되어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방 속에 넣어두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가정이나 직장에서 생활할 때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체로부터 이격시켜 진동을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함으로써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만을 분리해서 인체에 휴대하고 있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발신자 식별 ID를 분리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에서 감지하여 진동 및 디스플레이 해 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여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신된 발신자 번호를 디스플레이 하여 통화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현하여 장착함으로써,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무선주파수에서 발신자 식별 ID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동시에 진동을 발생시켜주는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Hand phone) 또는 무선 호출기 등과 같은 휴대용 이동 통신기기 제품은 바이브레이터 시스템 자체가 본체에 없거나,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이 있는 경우에도 본체 내에 내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동 통신기기를 가방 속에 넣어두거나, 사용자가 가정이나 직장에서 생활 중에 휴대용 이동 통신기기를 인체로부터 이격시키게 될 경우에는 진동을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현하여 장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방 속에 넣어두거나, 사용자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체로부터 이격시키게 될 경우에도 바이브레이터 시스템만을 분리해서 휴대하고 있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발신자 식별 ID를 분리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에서 감지하여 진동 및 디스플레이 해 줌으로써,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여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신된 발신자 식별 ID를 디스플레이 하여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착신 신호 발생시 발신자 식별 ID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를 송신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주파수를 수신받은 후 그 무선주파수로부터 발신자 식별 ID를 검출하는 수신 주파수 처리수단, 검출된 발신자 식별 ID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정의의 식별 ID와 비교하여 이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및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진동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으로 이루어진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에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2)이 장착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브레이터 시스템(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 및 안테나부(3)와 로우 노이즈 증폭부(4)와 대역 통과 필터부(5)와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이하 VCO라 칭함.)부(6)와 믹서부(7) 및 중간 주파수 필터부(8)를 구비한 수신 주파수 처리수단, 복조부(9)와 메모리부(10) 및 중앙처리장치부(Central Process Unit; 이하 CPU라 칭함.)(11)를 구비한 제어신호 발생수단, 디스플레이부(12)로 이루어진 표시수단, 및 드라이버 증폭부(13)와 진동부(14)를 구비한 진동수단으로 이루어진 바이브레이터 시스템(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착신 신호 발생시 그에 상응한 발신자 식별 ID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를 상기 바이브레이터 시스템(2)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바이브레이터 시스템(2)은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무선 주파수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무선 주파수에 포함된 발신자 식별 ID를 검출한 후 그에 상응한 발신자 번호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진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2도를 참조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터 시스템(2)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신 주파수 처리수단내 안테나부(3)는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발신자 식별 ID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를 수신 받음과 동시에 그 무선주파수를 상기 로우 노이즈 증폭부(4)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로우 노이즈 증폭부(4)는 상기 안테나부(3)로부터 무선주파수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무선주파수를 증폭한 후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5)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5)는 상기 로우 노이즈 증폭부(4)로부터 입력되는 증폭된 무선 주파수의 상부 및 하부 차단 주파수의 교류성분만을 통과시켜 상기 믹서부(7)로 출력하고, 그 외의 주파수의 교류 성분은 전부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VCO부(6)는 전압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믹서부(7)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믹서부(7)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5)로부터 입력받은 주파수 신호와 상기 VCO부(6)로부터 입력받은 전압 제어신호를 혼합한 후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부(8)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부(8)는 상기 믹서부(7)로부터 혼합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혼합된 주파수 신호중 해당하는 중간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시켜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내 복조부(9)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내 복조부(9)는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부(8)로부터 중간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주파수 신호로부터 발신자 식별 ID를 검출한 후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1)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내 메모리부(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의의 식별 ID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집의 전화번호는 ID 코드 번호 1로 입력하고, 사무실 전화번호는 ID 코드 번호 2로 입력하면, ID 코드 번호 1과 2를 상기 메모리부(10)에서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내 중앙처리장치부(11)는 상기 복조부(9)로부터 검출된 발신자 식별 ID를 입력받은 후 그 검출된 발신자 식별 ID와 상기 메모리부(10)에 저장된 사용자 정의의 식별 ID를 비교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그에 상응한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상기 표시수단내 디스플레이부(12)로 출력하고, 진동 제어신호를 상기 진동수단내 드라이버 증폭부(13)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1)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에 상응한 발신자 번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전동수단내 드라이버 증폭부(13)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1)로부터 진동 제어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진동 제어신호를 증폭한 후 상기 진동부(14)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14)는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13)로부터 증폭된 진동 제어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에 상응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신 주파수 처리수단내 안테나부(3)는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발신자 식별 ID가 포함된 무선주파수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그 무선 주파수를 상기 로우 노이즈 증폭부(4)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로우 노이즈 증폭부(4)는 상기 안테나부(3)로부터 입력받은 무선주파수를 증폭한 후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5)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5)는 상기 로우 노이즈 증폭부(4)로부터 입력받은 무선 주파수의 상부 및 하부 차단 주파수의 교류성분만을 상기 믹서부(7)로 출력하며, 상기 VCO부(6)는 전압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믹서부(7)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믹서부(7)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부(5)로부터 입력받은 주파수 신호와 상기 VCO부(6)로부터 입력받은 전압 제어신호를 혼합한 후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부(8)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부(8)는 상기 믹서부(7)로부터 혼합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혼합된 주파수 신호중 해당하는 중간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시켜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내 복조부(9)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내 복조부(9)는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부(8)로부터 중간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주파수 신호로부터 발신자 식별 ID를 검출한 후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1)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1)는 상기 복조부(9)로부터 검출된 발신자 식별 ID를 입력받은 후 그 검출된 발신자 식별 ID와 상기 메모리부(10)에 저장된 사용자 정의의 식별 ID를 비교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그에 상응한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2)로 출력하고, 진동 제어신호를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13)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1)로부터 입력받은 디스플레이 제어신호에 따른 발신자 번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킨다.
한편, 상기 전동수단내 드라이버 증폭부(13)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1)로부터 진동 제어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진동 제어신호를 증폭한 후 상기 진동부(14)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진동부(14)는 상기 드라이버 증폭부(13)로부터 증폭된 진동 제어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에 상응한 전동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바이브레이터 시스템(2)은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에 착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이브레이터 시스템 자체가 본체에 없거나,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이 있는 경우에도 본체 내에 내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방 속에 넣어두거나, 인체로부터 이격시키게 될 경우에는 전동을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방속에 넣어두거나, 사용자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체로부터 이격시키게 될 경우에도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만을 분리해서 휴대하고 있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발신자 식별 ID를 분리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에서 감지하여 진동 및 디스플레이 해 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여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신된 발신자 식별 ID를 디스플레이하여 통화자가 누구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제 2도는 본 발명에 장착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2 : 바이브레이터 시스템
3 : 안테나부 4 : 로우 노이즈 증폭부
5 : 대역 통과 필터부 6 : VCO부
7 : 믹서부 8 : 중간 주파수 필터부
9 : 복조부 10 : 메모리부
11 : 중앙처리장치부 12 : 디스플레이부
13 : 드라이버 증폭부 14 : 진동부

Claims (2)

  1. 착신 신호 발생시 발신자 식별 ID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를 송신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 및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무선주파수를 수신받은 후 그 무선주파수로부터 발신자 식별 ID를 검출하는 수신 주파수 처리수단, 검출된 발신자 식별 ID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정의의 식별 ID와 비교하여 이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및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진동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으로 이루어진 바이브레이터 시스템(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수신 주파수 처리수단으로부터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그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식별 ID를 검출하는 복조부(9);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의의 식별 ID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0); 및 상기 복조부(9)로부터 검출된 발신자 식별 ID를 상기 메모리부(10)에 저장된 사용자 정의의 식별 ID와 비교하여 그에 상응한 발신자 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으로 출력하고 전동 제어신호를 상기 진동수단으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부(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960077454A 1996-12-30 1996-12-30 발신자식별이가능한바이브레이터시스템을구비한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KR100441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454A KR100441265B1 (ko) 1996-12-30 1996-12-30 발신자식별이가능한바이브레이터시스템을구비한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454A KR100441265B1 (ko) 1996-12-30 1996-12-30 발신자식별이가능한바이브레이터시스템을구비한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145A KR19980058145A (ko) 1998-09-25
KR100441265B1 true KR100441265B1 (ko) 2004-10-08

Family

ID=3735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454A KR100441265B1 (ko) 1996-12-30 1996-12-30 발신자식별이가능한바이브레이터시스템을구비한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188B1 (ko) * 1999-11-23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호출자 번호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145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184B1 (ko) 입호출 시스템
EP0851699A2 (en) 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 security function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with security
EP0581416A1 (en) Alarm for reminding users of negligently left portable cellular telephone
JP2002217805A (ja) 携帯電話機
KR100312032B1 (ko) 휴대폰의문자서비스방법
KR100441265B1 (ko) 발신자식별이가능한바이브레이터시스템을구비한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KR100290296B1 (ko) 휴대용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알람장치
JP2003018245A (ja) 無線機および制御回路
JPH0669883A (ja) 携帯コードレス電話機の紛失警報器
JP3474365B2 (ja) 通信用携帯端末の紛失防止方式
KR100584362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상태 뮤트방법
KR19990048696A (ko) 휴대용 전화기의 외부소형수신장치
KR20000001006A (ko) 이동전화기 분실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00278395A (ja) 通信装置
KR960003104B1 (ko) 키폰시스템의 착신 호 연결 방법
JPH04172848A (ja) 通信端末装置
KR1007999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 신호 착신 알림 장치
JP2000224274A (ja) 携帯電話装置
JPH1084409A (ja) 電話番号記憶・表示装置、携帯電話機、電話発呼装置及び電話発呼方法
JP3051042B2 (ja) 携帯無線装置の置忘れ防止方法及び置忘れ防止機能付携帯無線装置
KR200329429Y1 (ko) 핸드폰의 원격 착신감지장치
KR970071389A (ko) 미아발생시 보호자 연락처 표시장치
KR960039701A (ko) 만보기 기능을 가진 페이저 및 그 제어방법
JP2000174692A (ja) 通信機器の情報変更方法
KR19980028103A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음향 및 진동모드 스위칭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530

Effective date: 200404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10100220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530

Effective date: 200404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