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035B1 -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035B1
KR100441035B1 KR1020040021367A KR20040021367A KR100441035B1 KR 100441035 B1 KR100441035 B1 KR 100441035B1 KR 1020040021367 A KR1020040021367 A KR 1020040021367A KR 20040021367 A KR20040021367 A KR 20040021367A KR 100441035 B1 KR100441035 B1 KR 10044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les
partition plates
harmful gas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갑용
Original Assignee
한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갑용 filed Critical 한갑용
Priority to KR102004002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23G7/06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 F23G7/063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3Incinerator clos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4/00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 F23G2204/20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배설물을 자동으로 수거 및 소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각오븐과 연결된 배출관의 단부에 별도의 유해가스 제거장치를 장착하되, 상기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내부에는 고온의 발열히터가 복수 내장되고, 상기 발열히터의 주연으로 다단계의 지체유로를 갖는 본체를 형성함으로서,
지체유로를 따라 지연 순환하는 유해가스는 고열의 발열히터에 의해 분해됨은 물론, 상기 제거장치는 최소의 점유면적을 갖는 반면 최대의 순환경로를 갖게 되므로 유해가스의 열분해 효과가 매우 뛰어나면서도, 내부의 발열히터가 전체의 지체유로를 동시에 가열시키므로 열손실이 거의 없이 저전력으로도 충분한 량의 유해가스를 열분해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적인 인체배설물 소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harzardous gas generated by human excrement incinerator}
본 발명은 인체 배설물을 자동으로 수거 및 소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한 인체 배설물의 소각과정중에 발생하는 다량, 다종의 유해가스를 고온의 발열히터 및 지연유로를 갖는 제거장치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제거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한 인체 배설물 처리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계통으로는 화장실을 통해 배출되는분뇨가 정화조로 투입되고, 상기 정화조내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썩힘과 침전 및 여과과정을 거치도록 한 후 침출수는 그대로 하수처리되고, 고형물은 추후 흡착장치등을 통해 정화조내에서 제거시킴이 통례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화처리 시스템은 배설물의 완전분해 및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아 각종의 병원균을 포함하고 있었고, 그대로 하천에 방류되므로서 하천의 오염은 물론 하천으로 방류된 침출수는 다시 식수의 원수가 되므로 인체에 심각한 건강상의 위협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정화조의 침전 및 여과과정에서 남은 고형물 찌꺼기는 상기에서와 같이 별도로 회수하여 처리되어야 하므로 그 제거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과다한 악취의 발생은 물론 저장장소의 선정에 따른 곤란과 도시환경상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와는 달리 좌변기 내에는 악취발산의 억제용으로 일정량의 봉수가 항상 고여있어 변기사용시 봉수가 튀어 피부에 묻어 날 수 있으므로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효과적인 악취제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별도의 청정재 사용이 필요한 것이며, 간혹 투입되는 화장지가 뭉쳐져 하수가 막히는 등의 문제점도 내포한다.
물론, 정화설비를 갖추는데 과다한 시설비용이 부담되는 것도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되어 등록된 특허 제278880호와 같이 상호 대칭의 수평된 위치를 유지하며, 전열선이 내장된 채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소각오븐,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부 하단에 설치된 채 인가신호에 따라 간헐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된 동력발생수단, 상기 소각오븐의 상단에서 동력발생수단 및 실린더부에 의해 승강되므로 소각오븐을 개방시키거나 긴밀하게 밀폐시키도록 된 커버, 외부의 동력발생수단에 연결된 채 상기 커버에 유입구를 형성하여 이에 가요성 튜브를 연결하되, 그 단부에 설치되는 진공흡착펌프 및 상기 가요성 튜브의 일단에 연장되어 소각오븐에서 발생되는 각종의 가스가 집진될 수 있도록 집진수단을 설치하여, 인체 배설물을 소각처리함에 있어 설치면적의 최소화와 장치의 간편성을 도모하면서도 발생가스를 효율적으로 집진함과 동시에 별도의 소제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소각시 연소의 촉진을 가능케 하여 빠르고 위생적인 처리를 가능케 한 인체배설물의 자동소각장치를 안출한 바 있다.
또한, 개선된 발명으로 2002년 특허출원 제 67599호에 의해, 인체 배설물의 소각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므로 열효율이 상승함은 물론 자동소각장치의 연속사용시간이 단축되는 것이며, 브러시에 의한 오븐 내부의 소재는 물론 흡입관에 의해 오븐 내부의 청결한 소제가 이루어져 그 자동소각장치의 청결성을 유지함은 물론 사용수명이 연장되게 한 인체 배설물용 자동소각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는 그 인체 배설물의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 다종의 유해가스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므로 환경오염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대기환경보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해가스 허용치를 초과하므로 인증된 상태의 완성품을 출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소각오븐과 연결된 배출관의 단부에 별도의 제거장치를 장착하되, 상기 제거장치의 내부에는 고온의 발열히터를 복수로 내장하고, 상기 발열히터의 주연에는 배출 유해가스가 이중통체의 내부에서 지그재그상으로 지연 순환되게 한 지체유로를 갖는 몸체를 형성함으로서,
발열히터에 의해 몸체 전주면의 빠르고 신속한 가열을 이루므로 열효율을 극대화하고, 지그재그 상으로 지연 순환되는 유해가스는 열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유해가스의 열분해 효율을 향상시키며, 최소의 점유공간으로도 최대의 배출유로를 형성하여 공간활용성이 매우 뛰어난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장착된 인체배설물 소각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측단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요부 작동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평단면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또다른 평단면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평면 타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구획판 타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2' : 소각오븐
3 : 구동모터 4 : 개폐커버
5 : 흡기커버 6 : 변기
7 : 배출관
10 : 흡입관 11 : 흡입장치
20 : 가스제거장치 21 : 내통체
22,22' : 분할판 23,23' : 통공
24,24' : 구획판 25 : 외통체
26 : 배출커버 27 : 유입커버
28.28' : 차단판 29 : 배출구
30 : 단열재 31,31' : 발열히터
32,32' : 유통공 33 : 통기공
34 : 백금촉매
40 : 산소공급장치 41 : 공급관
42 : 온도센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가 장착된 인체배설물 소각장치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전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측단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 유해가스 제거장치의 요부 분리사시도이다.
본체(1)의 하부 내측에 다수의 소각오븐(2)(2')이 구동모터(3)에 의해 동시 간헐 회전되게 하고, 전기한 소각오븐(2)(2')상에는 배출관(7)이 결합된 개폐커버(4)와, 흡입장치(11)를 갖는 흡입관(10)이 결합된 흡기커버(5) 및 변기(6)를 각각 위치시켜 된 공지의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관(7)의 선단에는 별도의 가스제거장치(20)를 장착하되,
상기한 가스제거장치(20)는, 사각관체로 된 내통체(21)의 상,하측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유통공(32)(32')을 갖는 분할판(22)(22')과, 상하 분할판(22)(22')의 사이에 복수개의 통공(23)(23')을 갖고 수직 형성된 복수개의 구획판(24)(24')과, 상기 구획판(24)(24')의 외주연에 형성된 사각관체상의 외통체(25)와, 상기 분할판(22)(22')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배출커버(26) 및 유입커버(27)와, 배출커버(26)에 형성된 배출구(29)와,
상기 외통체(25) 및 배출커버(26), 유입커버(27)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열재(30)와, 상기 단열재(30)의 상측으로부터 인입되어 그 내통체(21)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발열히터(31)(31')를 내장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획판(24)(24')의 통공(23)(23')을 일측단에 형성하되, 각기 이격된 구획판(24)(24')의 통공(23)(23')이 상,하단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게 하여, 내,외통체(21)(25)의 사이공간으로 유통되는 유해가스가 구획판(24)(24')을 통공(23)(23')을 따라 상,하 지그재그 상으로 유통되게 함으로서, 유해가스와 발열히터(31)(31')의 열접촉시간을 극대화시켜 유해가스의 열분해율이 극대화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배출커버(26)에는 이격된 차단판(28)(28')을 형성하되,
일측 차단판(28)에는 복수개의 통기공(33)을 형성하고, 타측 차단판(28')은 패널상으로 형성하여, 상측 분할판(22)의 유통공(32)(32')을 통해 유입된 유해가스가 일측 차단판(28')에 의해 일방향으로 유도되게 하고, 타측 차단판(28)의 통기공(33)을 통해 유통되어 배출구(29)를 통해 외기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그 지연시간을 연장시켜 열분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차단판(28)(28')에 의한 일측 공간인 배출구(29)가 형성된 배출유로에는, 구상의 백금촉매(34)를 충전하여 유해가스 제거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산소공급장치(40)로부터 인출된 공급관(41)이 내통체(21)와 외통체(25)의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게 하여 공급관(41)으로 강제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유해가스의 열분해율을 극대화시키면서도 발열온도를 증폭시켜 보다 빠른 유해가스의 열분해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면서도,
별도의 온도센서(42)는 내통체(21)와 밀착되게 장착하여 발열히터(31)(31')에 의한 표면온도를 감지하여 그 발열히터(31)(31')의 과열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획판(24)(24')의 통공(23)(23')을, 내통체(21)측으로 개방된 사각요홈상의 절개홈으로 형성하여, 통공(23)(23')을 통해 유통되는 유해가스가 발열히터(31)(31')로부터 보다 근접된 위치에서 열접촉되게 하여 그 열분해효과를 배가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체 배설물의 소각과정중에 발생하는 다량의 수분 및 유해가스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변기(6)를 통해 하측 소각오븐(2)(2')으로 낙하된 인체 배설물은 상기한 구동모터(3)의 회전에 따라 인체 배설물을 갖는 소각오븐(2)(2')이 회전하여 개폐커버(4)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소각오븐(2)(2')은 개폐커버(4)가 밀폐되면서 그 소각오븐(2)(2') 내에서 고열이 발생하면서 내부의 인체 배설물을 소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소각과정중에 발생하는 수분 및 각종 유해가스는 개폐커버(4)에 형성된 배출관(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각과정중에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SO2, NOX, CO, HCL, H2S, NH3, DUST, 매연 등이 있는 것인데, 표 1의 기재에 의해 배출부산물의 종류를 살펴보면, [표 1] 인체 배설물의 소각시 배출부산물
인 것으로서, 소각시 발생하는 배출부산물 중 NOX(질소산화물), CO(일산화탄소), NH3(암모니아)가 허용기준을 초과 또는 근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유해가스를 제거하여야 하는 바, 상기한 유해가스는 1200℃에서 완전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표 2에 의해 일본 SEAGULL Corporation에서 제시한 해당 유해가스의 분해온도를 살펴보면,
[표 2] 각종 유해가스의 분해온도
임을 알 수 있는 것으로서, 분해최고온도에 도달할 경우 그 잔류량이 1ppm 이하임이 제시된 바 있다.
따라서, 도시와 같이 배출관(7)의 선단에 별도의 가스제거장치(20)를 장착하되, 상기한 가스제거장치(20)의 내부온도가 1500℃까지 상승되게 한 상태에서 소각오븐(2)(2') 내의 수분 및 유해가스가 배출되게 하면 상기한 발열히터(31)(31')에 의해 상기 유해가스가 분해되어 대기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소각과정중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수분 및 유해가스가 일시적으로 배출관(7)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 급격한 온도저하에 의해 효과적인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감안하여 그 수분 및 유해가스가 배출관 단부에서 일정시간동안 지체 및 확산되게 함으로서, 보다 열접촉시간 및 면적을 증대시켜 그 분해효과가 증대되게 한 것이다.
즉, 도시와 같이 배출관(7)을 통해 하측의 유입커버(27) 내부로 유입된 유해가스는 하측의 분할판(22') 일측에 형성된 유통공(32')을 통해 내통체(21)와 외통체(25)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한 내통체(21) 및 외통체(25)의 사이 공간에는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수직 입설된 복수개의 구획판(24)(2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구획판(24)(24')에 의해 그 공간을 다수로 분할하게 되는데, 상기 구획판(24)(24')에는 유입된 유해가스가 타측공간으로 유통되기 위한 통공(23)(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통공(23)(23')은 모두 같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이웃하는 구획판(24)(24') 중 하나의 구획판(24)에는 그 통공(23)(23')이 하단에 형성되게 하고, 또다른 구획판(24')에는 그 통공(23)(23')이 상단에 형성되어 하여, 서로 다른 높이로 교차 형성된 각각의 구획판(24)(24')의 통공(23)(23')을 통해 유입된 유해가스가 지그재그상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상의 횡방향으로 유통된 유해가스는 마지막 공간부에 이르러 상측 분할판(22)에 형성된 유통공(32)을 통해 상측의 배출커버(26) 내부로 유입되는 것인데,
상기한 배출커버(26)의 내측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또다른 차단판(28)(28')에 의해 유입되는 유해가스가 일방향으로 유통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한 배출커버(26) 측으로 유입된 유해가스는 상기한 차단판(28)(28')에 의해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다시 한번 순환하다가 배출커버(26)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2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관(7)을 통해 가스제거장치(20)의 내부로 유입된 유해가스는 다수의 구획판(24)(24') 및 차단판(28)(28')에 의해 지그재그상으로 발열히터(31)(31')가 내장된 내통체(21)의 주변을 서서히 순환하므로 내부 열원과의 열접촉 면적 및 열접촉 시간이 극대화되므로 배출되는 유해가스의 량이 다소 많더라도 충분한 열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유해가스가 열원의 주변에 지체되게 하는 많은 실시예(예를 들어 나선관 형태의 유로)가 있을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유해가스를 유통관이 열원과의 접촉면적이 매우 넓고 광범위하므로 열손실이 매우 커 효율적인 열분해 효과를 거둘 수 없었으나, 본 발명 구획판(24)(24')에 의한 유통경로는 내부의 발열히터(31)(31') 하나만으로도 동시에 내통체(21) 및 그 내통체(21)에 형성된 구획판(24)(24')을 가열시킬 수 있으므로 일시에 빠른 급가열 및 열손실을 극소화 시키게 되므로 열효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또한, 배출관(7)을 따라 고속으로 배출되는 수분 및 유해가스는 가스제거장치(20)의 일측에 결합된 산소공급장치(40)의 공급관(31)으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일정함량의 산소를 통해 유해가스의 열분해 및 내부가열온도를 증대시키게 되는 것인데,
여기서, 상기한 가스제거장치(20)의 일측에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관(31)을 결합한 것은, 수분 및 유해가스가 산소와 결합된 상태로 공급되어 고온의 발열온도에 의해 착화 및 분해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빠른 시간내에 그 유해가스를 소멸시키기 위함은 물론 그 산소의 점화촉진에 의해 내통체(21) 및 외통체(25) 간의 공간온도를 보다 빠르게 상승시키는 매개로 이용되는 것이며,
상기한 공급관(31)은 하측 분할판(22')의 유통공(32')이 형성되고 수직 입설된 구획판(24)(24')에 의한 첫번째 공간보다는 이웃하는 두번째 공간내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것이다.
또한, 별도의 온도센서(42)를 가스제거장치(20)의 측부로부터 삽입되어 그단부가 내통체(21)의 표면에 접촉되게 하여 그 온도센서(42)에 의해 내통체(21)의 표면온도를 측정케 함으로서, 내통체(21)를 통한 내부 발열온도의 확인이 가능하면서도 그 온도센서(42)를 통해 내측의 발열히터(31)(31')가 불필요하게 고온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한 전력소모를 방지함은 물론 가스제거장치(20)의 내부온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배출커버(26)의 차단판(28)(28')에 의한 구획공간 중 배출구(29)가 형성된 최종 구획공간내에 구상의 백금촉매(34)를 충전하여 상기 백금촉매(34)에 의해 미분해된 유해가스를 흡착 제거하므로 대기로 배출되는 가스에는 환경기준을 초과하지 않거나 완전 분해된 무해 가스만이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백금촉매(34)는 일측 차단판(28)에 형성된 통기공(33)을 통해 공기의 유통은 가능하면서도 구상의 백금촉매(34)는 타측공간으로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구획판(24)(24')에 형성된 통공(23)(23')을 내통체(21) 측으로 요홈상으로 형성된 사각의 통공(23)(23')으로 형성하여 상기 통공(23)(23')을 통해 유해가스가 유통되게 함은 물론, 그 통공(23)(23')이 보다 고열인 내통체(2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열분해 속도 및 분해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러한 내통체(21) 및 외통체(25)의 사이공간 및 배출커버(26)의 분할공간내에서 소멸 및 분해되는 수분 및 유해가스는 열에 의해 1500℃까지 가열되어 있는상태이므로 충분한 분해 작용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므로 보다 안전한 것이며, 대기 환경보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해가스의 배출허용치를 만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통체(25)와 상,하 배출커버(26) 및 유입커버(27)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열재(30)는 내부 발열히터(31)(31')의 열기가 외부로 확산되어 열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외부에서의 접촉시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소각 및 유해가스의 처리과정이 종료되면 구동모터(3)가 다시 회전하여 소각완료된 소각오븐(2)(2')을 흡기커버(5) 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며, 흡기커버(5)가 하강하여 흡입관(10)을 통해 소각된 탄화물이나 재 등을 흡입하여 흡입장치(11) 내로 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반복과정으로 통해 인체 배설물 처리장치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할 뿐만 유해가스의 발생이 거의 없어 보다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는, 발열히터에 의해 몸체 전주면의 빠르고 신속한 가열을 이루므로 열효율을 극대화하고, 지그재그 상으로 지연 순환되는 유해가스는 열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유해가스의 열분해 효율을 향상시키며, 최소의 점유공간으로도 최대의 배출유로를 형성하여 공간활용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본체(1)의 하부 내측에 다수의 소각오븐(2)(2')이 구동모터(3)에 의해 동시 간헐회전되게 하고, 전기한 소각오븐(2)(2')상에는 배출관(7)이 결합된 개폐커버(4)와, 흡입장치(11)를 갖는 흡입관(10)이 결합된 흡기커버(5) 및 변기(6)를 각각 위치시켜 된 공지의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관(7)의 선단에는 별도의 가스제거장치(20)를 장착하되,
    상기한 가스제거장치(20)는, 사각관체로 된 내통체(21)의 상,하측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유통공(32)(32')을 갖는 분할판(22)(22')과, 상하 분할판(22)(22')의 사이에 복수개의 통공(23)(23')을 갖고 수직 형성된 복수개의 구획판(24)(24')과, 상기 구획판(24)(24')의 외주연에 형성된 사각관체상의 외통체(25)와, 상기 분할판(22)(22')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배출커버(26) 및 유입커버(27)와, 배출커버(26)에 형성된 배출구(29)와,
    상기 외통체(25) 및 배출커버(26), 유입커버(27)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열재(30)와, 상기 단열재(30)의 상측으로부터 인입되어 그 내통체(21)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발열히터(31)(31')를 내장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구획판(24)(24')의 통공(23)(23')을 상,하 일측단에 형성하되, 각기 이격된구획판(24)(24')의 통공(23)(23')이 상,하단부에 순차적으로 교차 형성되게 하여, 내,외통체(21)(25)의 사이공간으로 유통되는 유해가스가 구획판(24)(24')을 통공(23)(23')을 따라 상,하 지그재그 상으로 유통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배출커버(26)에는 이격된 차단판(28)(28')을 형성하되,
    일측 차단판(28)에는 복수개의 통기공(33)을 형성하고, 타측 차단판(28')은 패널상으로 형성하여, 상측 분할판(22)의 유통공(32)(32')을 통해 유입된 유해가스가 일측 차단판(28')에 의해 일방향으로 유도되게 하고, 타측 차단판(28)의 통기공(33)을 통해 유통되어 배출구(29)를 통해 외기로 배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별도의 산소공급장치(40)로부터 인출된 공급관(41)이 내통체(21)와 외통체(25)의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게 하여 공급관(41)으로 강제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유해가스의 열분해율을 극대화시키면서도 발열온도를 증폭시켜 보다 빠른 유해가스의 열분해효과를 얻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별도의 온도센서(42)는 내통체(21)와 밀착되게 장착하여 발열히터(31)(31')에 의한 표면온도를 감지하여 그 발열히터(31)(31')의 과열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구획판(24)(24')의 통공(23)(23')을, 내통체(21)측으로 개방된 사각요홈상의 절개홈으로 형성하여, 통공(23)(23')을 통해 유통되는 유해가스가 발열히터(31)(31')로부터 보다 근접된 위치에서 열접촉되게 하여 그 열분해효과를 배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차단판(28)(28')에 의한 일측 공간인 배출구(29)가 형성된 배출유로에는, 구상의 백금촉매(34)를 충전하여 유해가스 제거효율을 보다 증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KR1020040021367A 2004-03-29 2004-03-29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KR10044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67A KR100441035B1 (ko) 2004-03-29 2004-03-29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67A KR100441035B1 (ko) 2004-03-29 2004-03-29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1035B1 true KR100441035B1 (ko) 2004-07-22

Family

ID=3735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367A KR100441035B1 (ko) 2004-03-29 2004-03-29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211B1 (ko) 2007-05-03 2008-02-01 한갑용 집수조와 자동 기화장치를 갖는 소변 자동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211B1 (ko) 2007-05-03 2008-02-01 한갑용 집수조와 자동 기화장치를 갖는 소변 자동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06010U (zh) 一种河湖污泥处理用高效脱水干燥设备
KR101593417B1 (ko) 음식물 자원화 처리장치
KR101532945B1 (ko) 악취 및 먼지와 유해가스 제거기능을 갖춘 마이크로파 방식의 동물사체 처리장치
CN101440957A (zh) 焚纸器
KR100441035B1 (ko)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KR100432519B1 (ko) 화장실의 분뇨 처리장치
KR1007437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34880B1 (ko) 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배기가스 방지장치
KR100261313B1 (ko) 음식찌꺼기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666733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응축수를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5698181B (zh) 一种垃圾燃烧处理装置
KR100481047B1 (ko) 나선관을 이용한 인체 배설물 소각장치용 유해가스 제거장치
CN210079192U (zh) 一种生活垃圾热解装置
KR101227593B1 (ko) 파쇄건조기
KR201001068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400259Y1 (ko) 폐기물 열분해 처리장치
KR19980079397A (ko) 음식물 쓰레기의 탄화처리장치
KR101896244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CN220351967U (zh) 一种高密度污泥处理装置
KR102551334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장치 및 건조탄화장치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방법
KR100467931B1 (ko) 폐기물 열분해 탄화장치
CN214142054U (zh) 协同垃圾发电厂采用自蔓延热解装置处理污泥的装置
KR20070011938A (ko) 유해가스 소멸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0340665U (zh) 一种污泥干化装置
CN212841593U (zh) 一种用于垃圾处理的焚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