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682B1 - 단열 바 - Google Patents

단열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682B1
KR100440682B1 KR10-2000-0078548A KR20000078548A KR100440682B1 KR 100440682 B1 KR100440682 B1 KR 100440682B1 KR 20000078548 A KR20000078548 A KR 20000078548A KR 100440682 B1 KR100440682 B1 KR 100440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uide rail
heat insulating
guide
insulat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028A (ko
Inventor
김정한
김원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창호
주식회사 경남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창호, 주식회사 경남알미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창호
Priority to KR10-2000-007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68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6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7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held in position by deformation of portions of the metal frame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6.6과, 유리 섬유와, 건식 충격보강제로 구성되는 단열재 조성물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 바에 있어서, 상기 단열 바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 끝단에 알루미늄 구조물에 형성된 가이드와 결합이 되어 상기 알루미늄 구조물이 외기와 접촉되는 차단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가이드 레일과, 타측면에 웨더 스트립 가스켓이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가이드 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알루미늄 구조물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에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을 결합시켜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가이드 레일에 상기 웨더 스트립 가스켓을 결합시킨 다음, 상기 알루미늄 구조물의 전면에 유리를 결합시키고, 상기 유리의 측면과 상기 단열 바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실리콘을 이용하여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 전도성과 열팽창 계수 및 열용융 영역 등의 열적 특성이 우수한 단열재 조성물을 이용한 단열 바를 제조하여 알루미늄 구조물(밴트, 머리온)의 외측 즉, 외기에 노출되는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열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과 실내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 바{INSULATING BAR}
본 발명은 단열 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 전도성과 열팽창 계수 및 열용융 영역이 알루미늄과 유사한 단열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단열 바를 알루미늄 구조물(밴트, 머리온)의 외측에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열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과 실내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단열 바에 관한 것이다.
합성 폴리아미드(PA)는 기술 분야 및 생필품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폴리아미드가 양호한 가공특성 및 중합체를 용도에 알맞게 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기 때문이다. 폴리아미드 생산품의 80% 이상은 섬유 및 직물로 가공된다. 나머지 20%는 기술분야, 특히 자동차 조립, 전자 산업, 포장 부문 및 기계 조립에 사용된다. 기술적으로 요구되는 양호한 기계적 특성은 섬유 또는 광물성 충전제에 의한 강화에 의해 얻어진다. 전자 기술 분야에서 폴리아미드는 높은 절연 저항, 양호한 크리이프 저항 및 용매 저항성 및 양호한 열적-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특히 절연 부품 및 스위치 부품, 솔레노이드 밸브, 도체 레일, 케이블 고정부, 코일 몸체, 플러그 타입 결합부 및 하우징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아미드는 현재 적용 분야가 한정되어 있어, 건축 분야에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 전도성과 열팽창 계수 및 열용융 영역 등의 열적 특성이 우수한 단열재 조성물을 조성하고, 이를 이용한 단열 바를 제조하여 알루미늄 구조물(밴트, 머리온)의 외측 즉, 외기에 노출되는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열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과 실내의 열이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바가 밴트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알루미늄 구조물 2 : 가이드
3 : 웨더 스트립 가스켓 4 : 유리
5 : 실리콘 10 : 단열 바
11 : 제 1가이드 레일 12 : 제 2가이드 레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폴리아미드 6.6과, 유리 섬유와, 건식 충격보강제로 구성되는 단열재 조성물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 바에 있어서,상기 단열 바는,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 끝단에 알루미늄 구조물에 형성된 가이드와 결합이 되어 상기 알루미늄 구조물이 외기와 접촉되는 차단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가이드 레일과, 타측면에 웨더 스트립 가스켓이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가이드 레일로 구성되며,상기 알루미늄 구조물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에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을 결합시켜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가이드 레일에 상기 웨더 스트립 가스켓을 결합시킨 다음, 상기 알루미늄 구조물의 전면에 유리를 결합시키고, 상기 유리의 측면과 상기 단열 바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실리콘을 이용하여 마감하는 것을 특징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열 바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바가 밴트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를 주재로 하는 단열재 조성물은 열안정성 플라스틱인 폴리아미드 6.6이 62~73%, 유리 섬유 22~28%, 건식 충격보강제 5~15%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단열재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6.6 65%, 유리 섬유 25%, 건식 충격보강제 10%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여기에서 또한 유리 섬유는 1~2mm의 길이와 0.01~0.003mm의 지름을 갖는다. 여기에서 또 충격보강제(Reinforcing Agents)는 본래 분열, 인장, 압축, 휨, 충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플라스틱에 첨가하는 불용성 물질이다. 또한 치수안정성과 열변형에 대한 저항력의 증진은 보강제에 의해 일반적으로 얻을 수 있다. 유리 섬유는 플라스틱에 그들의 접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시란계 커플링제를 코팅한다. 열경화성수지는 가장 많은 양의 강화제를 필요로 하고 또한 열가소성수지와 플라스틱발포체도 강화된다. 충격보강제는 대부분 PVC에 사용되고 있는데, PVC는 가공이 용이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VC자체는 구조적으로 내충격성, 가공유동성, 내열변형 등이 취약하기 때문에 상업화는 첨가제 개발에 의한 물성 및 가공성 향상이 뒷받침돼야 한다. PVC충격보강제는 일반적으로 경질 PVC에 첨가하여 내충격성 보강에 적용되며, 내충격보강제는 성분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PVC충격보강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그라프트 중합된 고분자 고무계로 MBS, Acrylic, ABS 등이 PVC상외 두 개의 상이 브렌드된 형태로 존재한다. 둘째, Semicompatile 가소화 고분자로 TPE, EVA 등이 있으며 1개상의 폴리머형태를 가지고 있다. 셋째, 무기계로 탄산칼슘에 스테아린으로 코팅한 무기 내충격 개질제도 있다. 충격보강제 개발동향을 보면, 50년대초에는 ABS가 PVC충격보강제로 사용되었으나 50년대 후반에는 Rohm&Haas에 의해 MBS계 충격보강제가 개발되어 대체되기 시작했다. 60년대 들어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PVC bottle과 포장재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일본에서는 Kanegafuchi가 MBS, MABS 등의 충격보강제를 개발했다. 70년대에는 독일을 필두로 보온성이 우수한 창호시장이 형성되면서 Rohm&Hass가 내후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DOW가 HDPE공정을 변형한 TPE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MBS계는 PVC충격보강제의 대표적 수지로 불투명용(고충격용), 투명용, 무백화 등으로 구분된다. MBS는 Diene계 고무에 MMA와 SM을 그래프트화시켜 얻어지는 공증합체로 경질과 반경질 PVC제품에 사용돼 충격강도를 향상시켜 가공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크릴계는 BA, MMA, SM을 원료로 생산되며 MBS계는 SBR, MMA, SM을 이용해 생산하고 가공조제는 MMA를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단열재 조성물의 열 전도성은 0.2~0.3 W/K.m이고, 열팽창 계수는 2.0 ×10-51/℃이며, 열용융 영역은 260 4.6kgf/㎠~248 18.5kgf/㎠이고, 열적 치수 안정성은 VST B/50>200 ℃이다. 또한 단열재 조성물의 열적성향은 견고한 화학적 결합과 안정된 결정구조에 의하여 높은 온도에서도 열에 의한 변형이 극히 미미하고, 연소시 특성은 폴리아미드 6.6의 분해는 300℃ 이상에서 서서히 시작되며, 405~500℃ 사이에서 발화후 연소성 가스가 발생된다. 이는 건축용 산업을 위한 건축자재 시험규격 DIN4102의 정규화염성 건축용 자재분류에 따라 건자재 B2 등급으로 규정된다.
또한 상기의 단열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단열 바(10)는 알루미늄 구조물(1) 중 외기와 접촉되는 부분과 부착이 가능하도록 판 형상으로 성형되며, 일측면에 알루미늄 구조물(1)의 가이드(2)와 결합되는 제 1가이드 레일(11)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면에 웨더 스트립 가스켓(3)과 결합되는 제 2가이드 레일(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바의 작용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알루미늄 구조물(샷시)(1)에는 단열 바(10)가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2)가 형성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구조물(1)의 가이드(2)에 단열 바(10)의 제 1가이드 레일(11)을 결합시켜 단열 바(10)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단열 바(10)의 제 2가이드 레일(12)에 웨더 스트립 가스켓(3)을 결합시킨다. 웨더 스트립 가스켓(3)의 결합이 완료되면 알루미늄 구조물(1)에 유리(4)를 결합시키고, 유리(4)와 가이드(2) 및 단열 바(10)를 실리콘(5)을 이용하여 함께 마감한다.
따라서 알루미늄 구조물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단열 바를 이용하여 마감함으로써 알루미늄 구조물을 통해 외기의 열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내부의 열이 알루미늄 구조몰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건축물의 난방 및 냉방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바에 의하면 알루미늄 구조물을 통해 외부의 열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과 실내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폴리아미드 6.6과, 유리 섬유와, 건식 충격보강제로 구성되는 단열재 조성물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 바에 있어서,
    상기 단열 바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 끝단에 알루미늄 구조물에 형성된 가이드와 결합이 되어 상기 알루미늄 구조물이 외기와 접촉되는 차단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가이드 레일과, 타측면에 웨더 스트립 가스켓이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가이드 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알루미늄 구조물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에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을 결합시켜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가이드 레일에 상기 웨더 스트립 가스켓을 결합시킨 다음, 상기 알루미늄 구조물의 전면에 유리를 결합시키고, 상기 유리의 측면과 상기 단열 바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실리콘을 이용하여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바.
KR10-2000-0078548A 2000-12-19 2000-12-19 단열 바 KR100440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548A KR100440682B1 (ko) 2000-12-19 2000-12-19 단열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548A KR100440682B1 (ko) 2000-12-19 2000-12-19 단열 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028A KR20010067028A (ko) 2001-07-12
KR100440682B1 true KR100440682B1 (ko) 2004-07-19

Family

ID=1970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548A KR100440682B1 (ko) 2000-12-19 2000-12-19 단열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6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673A (ja) * 1993-01-07 1994-10-04 Bayer Ag 無ハロゲン、耐炎性ポリアミド成形材料
JPH07127347A (ja) * 1993-09-03 1995-05-16 Katsuaki Tomita 無端状ガスケットを有するサッシ
KR970042835A (ko) * 1995-12-30 1997-07-26 이웅열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JPH1129712A (ja) * 1997-07-10 1999-02-02 Otsuka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0135359Y1 (ko) * 1996-03-16 1999-03-30 박국경 창호구조
KR19990050815A (ko) * 1997-12-17 1999-07-05 구광시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673A (ja) * 1993-01-07 1994-10-04 Bayer Ag 無ハロゲン、耐炎性ポリアミド成形材料
JPH07127347A (ja) * 1993-09-03 1995-05-16 Katsuaki Tomita 無端状ガスケットを有するサッシ
KR970042835A (ko) * 1995-12-30 1997-07-26 이웅열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KR0135359Y1 (ko) * 1996-03-16 1999-03-30 박국경 창호구조
JPH1129712A (ja) * 1997-07-10 1999-02-02 Otsuka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9990050815A (ko) * 1997-12-17 1999-07-05 구광시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028A (ko)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85468B (zh) 一种高耐热阻燃抗静电pc/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585469B (zh) 一种无卤阻燃抗静电pc/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JP4335675B2 (ja) 熱伝導性ランプ・リフレクタ
KR100738243B1 (ko)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금속-플라스틱복합체
US20110024934A1 (en) Methods of making compositions comprising thermoplastic and curable polymers and articles made from such methods
KR20080033470A (ko)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용 열용융형 접착제
CN103044847A (zh) 一种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6108531A (ja) 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40682B1 (ko) 단열 바
CN1290722A (zh) 芳族聚砜树脂组合物及其模塑制品
CN111073226B (zh) 一种高强度高光泽低翘曲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1024172A4 (en) HIGH RIGIDITY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E MATERIAL
KR2015007583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2964570B2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ライニング金属管の製造方法
JP2702814B2 (ja) 金属をインサートした成形品
JPH11228829A (ja) ブロー成形用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中空成形品
JP7243103B2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JPH11320605A (ja) 複合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90589A (ja) 密閉器用複合樹脂成形品並びにその製造法
JP3912809B2 (ja) 射出溶着用材料
JPH03247436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系樹脂中空成形品及びその製造法
JPH11320606A (ja) ポリアセタール複合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41921A (ja) 曲がりパイプの製造方法
KR101011929B1 (ko) 자동차용 방수 써미스터
JPH07173298A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16

Effective date: 200607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0818

Effective date: 200607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30002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0818

Effective date: 200607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139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16

Effective date: 200607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3008149;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08132;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904

Effective date: 200708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3008149;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904

Effective date: 20070823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904

Effective date: 200708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0813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904

Effective date: 20070823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