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371B1 - 벌브 소켓 - Google Patents
벌브 소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40371B1 KR100440371B1 KR10-2001-0070922A KR20010070922A KR100440371B1 KR 100440371 B1 KR100440371 B1 KR 100440371B1 KR 20010070922 A KR20010070922 A KR 20010070922A KR 100440371 B1 KR100440371 B1 KR 1004403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lb
- holding portion
- holding
- coupling
- sock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integral with starter holding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전 단자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는 동시에 디자인의 자유도를 확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필라멘트(6)가 봉입된 유리 전구(2)와 상기 유리 전구의 일단에 연속된 편평한 밀봉부(3)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부의 단부로부터 도출된 리드선(5)이 밀봉부의 평면을 따라서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벌브(1)를 유지하기 위한 벌브 소켓으로서, 통 형상의 벌브 유지부(10)와, 상기 벌브 유지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벌브의 밀봉부를 유지하는 동시에 리드선과 접촉되는 도통 단자(20)를 구비하며, 상기 도통 단자는 결합 부재(25)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부재가 벌브 유지부 내에 형성된 결합단부(17)와 결합하여 벌브 유지부 내에 유지되고, 상기 벌브 유지부의 외측벽에는 벌브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결합단부의 성형용 금형의 빼내기 구멍(19)이 뚫린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의 벌브 소켓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통 단자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는 동시에 디자인의 자유도를 확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필라멘트가 봉입된 유리 전구와 상기 유리 전구의 일단에 연속된 편평한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부의 단부로부터 도출된 리드선이 밀봉부의 평면을 따라서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벌브, 즉 웨지 베이스 벌브를 유지하기 위한 벌브 소켓이 있다.
상기한 웨지 베이스용 벌브 소켓에 있어서는 웨지 베이스 벌브를 유지하는벌브 유지부 내에 벌브의 밀봉부를 유지하는 동시에 리드선과 접촉되는 도통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도통 단자에 커넥터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벌브 유지부에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 케이스와 상기 커넥터 단자에 의해서 커넥터부가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부에 전원과 접속된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통 단자를 통해 웨지 베이스 벌브가 전원과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도통 단자는 컷업 부재형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벌브 유지부의 선단측에서 삽입된 도통 단자의 결합 부재가 벌브 유지부 내에 형성된 결합단부와 결합함으로써 벌브 유지부 내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부는 벌브 유지부와 반대의 방향, 즉, 커넥터부 방향으로 빼내어지는 금형에 의해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벌브 소켓에 있어서는, 도통 단자의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단부가 커넥터부 방향으로 빼내어지는 금형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결합단부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없어, 도통 단자의 결합 부재와 결합단부와의 결합은 손에 전해지는 감촉에 의해서 확인하지 않을 수 없어, 확실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결합단부의 성형용 금형을 커넥터부 방향으로 빼내기 때문에, 커넥터부와 벌브 유지부와의 사이의 격벽에 금형을 빼내기 위한 빼내기 구멍이 형성되어 버려, 벌브 소켓을 소형화하면, 상기 격벽에 형성하는 커넥터 단자용의 삽입 관통 구멍과 금형의 빼내기 구멍이 겹쳐 버리거나, 또, 커넥터 단자용 삽입 관통 구멍과금형의 빼내기 구멍과의 겹침을 피하고자 하면, 커넥터부의 측벽의 일부를 절결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커넥터부의 형상이 제약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도통 단자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는 동시에 디자인의 자유도를 확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도 2와 함께 본 발명의 벌브 소켓에 유지되는 웨지 베이스 벌브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II 화살 표시도.
도 3은 도 4 내지 도 10과 함께 본 발명의 벌브 소켓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측면도.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벌브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8 및 도 9와 함께 소켓 본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9는 배면도.
도 10은 도통 단자의 사시도.
도 11은 사용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웨지 베이스 벌브(벌브),
2 : 유리 전구,
3 : 밀봉부,
5 : 리드선,
6 : 필라멘트,
8 : 벌브 소켓,
10 : 벌브 유지부,
10c : 테이퍼부,
17 : 결합단부,
19 : 빼내기 구멍,
20 : 도통 단자,
25 : 결합 부재
본 발명의 벌브 소켓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벌브 유지부의 외측벽에 벌브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결합단부의 성형용 금형의 빼내기 구멍을 뚫은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벌브 소켓에 있어서는 결합단부의 성형용 금형용의 빼내기 구멍을 통해서 외부에서 결합단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단부와 도통 단자의 결합 부재가 결합하고 있는지 여부의 확인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결합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은 벌브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빼내기 때문에, 벌브 유지부와 커넥트부 사이의 격벽에는 단자 삽입 관통 구멍 이외의 구멍은 형성되지 않고, 따라서, 디자인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다.
이하에, 본 발명의 벌브 소켓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브 소켓에 의해서 유지되는 벌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웨지 베이스 벌브(1)이다.
웨지 베이스 벌브(1)는 축 방향 길이가 짧은 원통형을 이루는 일단이 폐쇄된유리 전구(2)와, 상기 유리 전구(2)의 타단에 연속된 편평한 밀봉부(3)를 구비하며, 밀봉부(3)의 중앙부에는 배기관(4)이 위치하고 있다. 밀봉부(3)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리드선(5, 5)이 밀봉 부착되어 있고, 리드선(5, 5) 중 유리 전구(2) 내에 위치한 부분(5a, 5a)은 내부 리드선으로서 그 선단 사이에 필라멘트(6)의 양단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리드선(5, 5) 중 밀봉부(3)의 단부면에서 외부로 도출된 부분은 각각 밀봉부의 반대측의 평면을 따르도록 위치되어, 외부 리드선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밀봉부(3)의 평면 중 배기관(4)보다 우측(도 1에 있어서) 부분의 유리 전구(2)와의 경계 부분에는 결합 오목홈(7, 7)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벌브 소켓(8)은 소켓 본체와 도통 단자로 구성된다.
소켓 본체(9)는 합성 수지의 몰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고 있고, 벌브 유지부(10)와 커넥터 케이스(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벌브 유지부(10)와 커넥터 케이스(11)와의 경계에는 플랜지부(1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12)보다 약간 앞 부근 위치의 외주면에서부터 결합 돌출부(13, 13, …)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 본체(9)의 내부에서 벌브 유지부(10)측의 공간과 커넥터 케이스(11)측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14)에는 단자 삽입 관통 구멍(15, 15)이 형성되어 있다(도 7, 도 8, 도 9 참조).
상기 벌브 유지부(10)는 거의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내부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칸막이벽(16, 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벽(16, 16)의 중앙부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고, 그 대향면(16a, 16a)은 거의 하나의 원주 상에 위치하는 오목 곡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16, 16)의 중앙부가 서로 근접하도록 돌출됨으로써, 칸막이벽(16, 16)의 양단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얕은 홈(16b, 16b, …)이 형성된다. 또, 칸막이벽(16, 16)의 양단부의 전단면 중 상기 홈(16b, 16b, …) 측에 위치한 부분(16c, 16c, …)은 다른 부분보다 약간 뒤쪽에 위치된 적재면으로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 삽입 관통 구멍(15, 15)은 상기 칸막이벽(16, 16)으로 둘러싸인 장방형 공간의 바닥부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7, 도 8 참조).
벌브 유지부(10)의 내주면(10a) 중 상기 칸막이벽(16, 16)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상기 격벽(14) 부근의 위치에 격벽(14) 쪽을 향한 결합단부(17, 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주면(10a) 중 결합단부(17, 17)의 앞쪽에 인접한 부분은 중심 부근으로 약간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18, 18)의 전방면(18a, 18a)은 앞쪽으로 감에 따라서 중심에서 멀리 떨어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도 8 참조).
벌브 유지부(10)의 플랜지부(12) 부근의 위치에는 외주면(10b)으로 개구된 빼내기 구멍(19, 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빼내기 구멍(19, 19)의 상면은 상기 결합단부(17, 17)와 동일한 평면 내에 있다. 즉, 소켓 본체(9)의 몰드 성형시에 상기 결합단부(17, 17)를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드 금형이 상기 빼내기 구멍(19, 19) 내에 위치하고 있어, 성형후에, 상기 슬라이드 금형이 상기 빼내기 구멍(19, 19)으로부터 빼내어지게 된다(도 4, 도 7, 도 8 참조). 상기한 결합단부(17, 17)와 같은 전방에서 보아 안쪽에 위치하는 면을 성형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상기 결합단부(17, 17)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후방으로, 즉, 커넥터 케이스(11) 측으로 뽑아내는 방법이 있지만, 그것을 위해서는 격벽(14)에 단자 삽입 관통 구멍(15,15) 외에 금형의 빼내기 구멍을 더욱 형성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벌브 소켓에 대한 소형화의 요구가 나오면, 상기 격벽(14)에 형성하는 단자 삽입 관통 구멍(15, 15)과 금형의 빼내기 구멍이 중복되어 버리거나, 또, 단자 삽입 관통 구멍(15, 15)과 금형의 빼내기 구멍과의 중복을 피하고자 하면, 커넥터 케이스(11)의 측벽의 일부를 절결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커넥터부의 형상이 제약을 받는다. 이에 대하여, 상기 벌브 소켓(8)과 같이, 결합단부(17, 17)를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드 금형을 결합단부(17, 17)와 평행한 방향으로 빼내도록 하면, 격벽(14)에 단자 삽입 관통 구멍(15, 15) 이외의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따라서, 디자인적인 제약을 받는 일이 없다.
그리고, 벌브 유지부(10)의 외주면(10b)의 전단부(10c)는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 본체(9)에 2개의 도통 단자(20, 20)가 장착된다.
도통 단자(20)는 도전성과 스프링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통 단자(20)는 전후 방향으로 긴 장방형을 한 메인 판(21)을 갖는다. 상기 메인 판(2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유지 부재(22, 23)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유지 부재(22, 23)의 전단부는 메인 판(2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한쪽의 유지 부재(22)의 전단부는 다른 쪽의 유지 부재(23) 쪽으로 가로로 누운 U자형으로 돌출된 결합부(22a)로 되고, 다른 쪽의 유지 부재(23)의 전단부는 가로로 누운 요(凹)자형으로 한쪽의 유지 부재(22) 쪽으로 돌출된 접촉 부재(23a)로 되고 있다. 메인 판(21)의 후단으로부터는 커넥터 단자(24)가 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또, 메인 판(21)의 후단 부근의 위치에는 컷업 부재형으로 결합 부재(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부재(25)는 상기 유지 부재(22, 23)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측에 비스듬히 전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도 10 참조).
상기 도통 단자(20, 20)는 벌브 유지부(10)의 전단에서 커넥터 단자(24, 24)를 후방을 향한 방향에서 삽입된다. 즉, 벌브 유지부(10)의 칸막이벽(16과 16) 사이의 공간의 양단부에 메인 판(21, 21)이 벌브 유지부(10)의 내주면(10a) 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삽입된다. 그리고, 유지 부재(22, 22, 23, 23)는 칸막이벽(16, 16)의 양단부의 홈(16b, 16b, …) 내에 위치되고(도 3 참조), 커넥터 단자(25, 25)는 칸막이벽(14)의 단자 삽입 관통 구멍(15, 15)을 삽입 관통되어 커넥터 케이스(11) 내로 돌출된다. 그리고, 메인 판(21, 21)에 형성된 결합 부재(25, 25)는 결합단부(17, 17)의 앞쪽의 돌출부(18, 18)를 경사면(18a, 18a)을 미끄러지면서 통과하여, 최종적으로는 결합 부재(25, 25)의 선단이 결합단부(17, 17)에 겹합된다. 이에 의해서, 도통 단자(20, 20)는 소켓 본체(9)가 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저지된 상태가 된다(도 5 참조). 그리고, 도통 단자(20, 20)의 결합 부재(25, 25)가 결합단부(17, 17)에 결합되었는지의 여부는 측면으로 개구된 빼내기 구멍(19, 19)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도 4 참조). 또, 도통 단자(20, 20)의 유지 부재(22, 22, 23, 23)의 전단은 칸막이벽(16, 16)의 적재면(16c, 16c, …)에 적재된다.
이상과 같은 식으로 벌브 소켓(8)이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 케이스(11)와 상기 커넥터 케이스(11) 내로 돌출된 커넥터 단자(24, 24)에 의해서 커넥터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웨지 베이스 벌브(1)는 밀봉부(3) 측에서 벌브 소켓(8)의 벌브 유지부(10)에 삽입된다. 그렇게 하면, 밀봉부(3)의 양측부가 도통 단자(20, 20)의 유지 부재(22, 23) 사이 및 유지 부재(22, 23) 사이에 삽입되고, 또한, 배기관(4)이 칸막이벽(16, 16)의 오목 곡면(16a, 16a)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웨지 베이스 벌브(1)가 벌브 유지부(10)에 확실하게 삽입되면, 유지 부재(22, 22)의 결합부(22a, 22a)가 밀봉부(3)의 결합 오목홈(7, 7)에 결합하여, 유지 부재(23, 23)의 접촉 부재(23a, 23a)가 외부 리드선(5b, 5b)에 접촉된 상태에서, 밀봉부(3)의 양측부가 유지 부재(22, 22와 23, 23)를 의해 협지되고, 또, 배기관(4)이 상기 오목 곡면(16a, 16a)에 의해서 유지되고, 또한, 유리 전구(2)의 외주면이 벌브 유지부(10)의 내주면(10a)에 의해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식으로, 웨지 베이스 벌브(1)는 벌브 유지부(10)에 확실하게 유지된다(도 6 참조).
상기한 벌브 소켓(8)은 예컨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도 11에 있어서, 26은 자동차용의 전조등으로, 전방이 개구된 램프 보디(27)의 전방면이 전방면 커버(28)에 의해서 덮이고, 상기 램프 보디(27)에 벌브(29)가 지지된 리플렉터(30)가 틸팅(tilting)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벌브 소켓(8)은 램프 보디(27)에 형성된 장착 구멍(31)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플랜지부(12)와 결합 돌출부(13, 13, …)에서 협지하도록 하여 램프 보디(27)에 장착된다. 또, 이 때, 플랜지부(12)와 램프 보디(27)와의 사이에 패킹(32)이 개재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벌브 소켓(8)에 부착된 웨지 베이스 벌브(1)가 리플렉터(30)에 형성된 원형의 삽입 관통 구멍(33)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웨지 베이스 벌브(1)가 클리어런스 램프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의 자동차용 전조등의 경향으로서, 전방면 커버(28)는 렌즈 스텝을 지니지 않는 소위 도수가 없는 것으로 하고, 배광의 제어는 리플렉터(30)에 형성한 미세한 반사 스텝 등에 의해서 행하는 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도수가 없는 전방면 커버(28)를 통해서 웨지 베이스 벌브(1)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33)이 환히 다 보이게 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 관통 구멍(33)은 가능한 한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삽입 관통 구멍(33)을 작게 하면, 리플렉터(30)를 틸팅시킨 경우, 삽입 관통 구멍(33)의 가장자리가 벌브 소켓(8)의 선단부와 간섭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벌브 소켓(8)의 선단부, 즉, 벌브 유지부(10)의 선단부는 가능한 한 작은 쪽이 좋고, 상기한 바와 같이, 벌브 유지부(10)의 외형을 원통형으로 하고, 또한, 그 선단부(10c)를 테이퍼형으로 함으로써, 리플렉터(30)의 틸팅시의 삽입 관통 구멍(33)의 가장자리와의 간섭의 위험성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30)의 삽입 관통 구멍(33), 웨지 베이스 벌브(1)의 유리 전구(2)의 외형 및 벌브 소켓(8)의 전단부(10c)를 전부 원형으로 통일했기 때문에, 이들 중에 이형인 것이 섞이는 경우에 비해서, 전방면 커버(28)를 통해서 보인 경우의 미관이 양호하게 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 도시한 각 부의 형상 내지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행하는 구체화의 그저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이상에 기재한 바에서 분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벌브 소켓은 필라멘트가 봉입된 유리 전구와 상기 유리 전구의 일단에 연속된 편평한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부의 단부로부터 도출된 리드선이 밀봉부의 평면을 따라서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벌브를 유지하기 위한 벌브 소켓으로서, 통 형상의 벌브 유지부와, 상기 벌브 유지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벌브의 밀봉부를 유지하는 동시에 리드선과 접촉되는 도통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도통 단자는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부재가 벌브 유지부 내에 형성된 결합단부와 결합하여 벌브 유지부 내에 유지되고, 상기 벌브 유지부의 외측벽에는 벌브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결합단부의 성형용 금형의 빼내기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벌브 소켓에 있어서는 결합단부의 성형용 금형용의 빼내기 구멍을 통해서 외부에서 결합단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단부와 도통 단자의 결합 부재가 결합하고 있는지 여부의 확인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결합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은 벌브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뽑기 때문에, 벌브 유지부와 커넥터부와의 사이의 격벽에는 단자 삽입 관통 구멍 이외의 구멍은 형성되지 않고, 따라서, 디자인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다.
제2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벌브 유지부의 선단 부분은 끝이 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선단부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제3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벌브 유지부의 선단 부분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기 때문에, 이것에 유지되는 벌브와의 형상의 정합성이 잡혀, 미관이 양호하게 된다.
Claims (3)
- 필라멘트가 봉입된 유리 전구와 상기 유리 전구의 일단에 연속된 편평한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부의 단부로부터 도출된 리드선이 밀봉부의 평면을 따라서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벌브를 유지하기 위한 벌브 소켓으로서,통 형상의 벌브 유지부와, 상기 벌브 유지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벌브의 밀봉부를 유지하는 동시에 리드선과 접촉되는 도통 단자를 구비하며,상기 도통 단자는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부재가 벌브 유지부 내에 형성된 결합단부와 결합하여 벌브 유지부 내에 유지되고,상기 벌브 유지부의 외측벽에는 벌브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결합단부의 성형용 금형의 빼내기 구멍이 뚫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 소켓.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 유지부의 선단 부분은 끝이 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 소켓.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 유지부의 선단 부분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0-00350591 | 2000-11-17 | ||
JP2000350591A JP2002158073A (ja) | 2000-11-17 | 2000-11-17 | バルブソケッ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8510A KR20020038510A (ko) | 2002-05-23 |
KR100440371B1 true KR100440371B1 (ko) | 2004-07-14 |
Family
ID=1882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70922A KR100440371B1 (ko) | 2000-11-17 | 2001-11-15 | 벌브 소켓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616474B2 (ko) |
JP (1) | JP2002158073A (ko) |
KR (1) | KR100440371B1 (ko) |
CN (1) | CN1156886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2312B1 (ko) * | 2005-02-14 | 2006-11-0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자동차용 램프터미널 |
KR100870827B1 (ko) * | 2007-09-20 | 2008-11-27 |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 벌브 고정용 헤드 |
KR101614543B1 (ko) * | 2009-09-07 | 2016-04-22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웨지벌브용 소켓 |
US9142928B2 (en) * | 2013-08-26 | 2015-09-22 | Tyco Electronics Brasil Ltda. | Bulb socket |
CN106029400B (zh) | 2014-02-18 | 2018-09-25 | 普利司通美国轮胎运营有限责任公司 | 低压实悬臂式轮胎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82887U (ko) * | 1988-12-16 | 1990-06-27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20233A (en) * | 1984-12-17 | 1992-06-09 | Ford Motor Company | Retaining mechanism for securing a lamp base with a socket |
US4764854A (en) * | 1985-11-01 | 1988-08-16 | Koito Seisakusho Co., Ltd. | Mounting device for replaceable lamp assembly on reflector enclosure |
US4940422A (en) * | 1989-05-17 | 1990-07-10 | Zanxx, Inc. | Low profile lamp socket assembly |
JP2533799Y2 (ja) * | 1990-03-12 | 1997-04-23 | 住友電装 株式会社 | バルブソケット |
US5951318A (en) | 1997-06-19 | 1999-09-14 | Koito Manufacturing Co., Ltd. | Bulb socket |
JP3447040B2 (ja) | 1997-09-30 | 2003-09-16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バルブソケットの製造方法 |
-
2000
- 2000-11-17 JP JP2000350591A patent/JP2002158073A/ja active Pending
-
2001
- 2001-11-15 KR KR10-2001-0070922A patent/KR1004403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11-16 US US09/991,440 patent/US661647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11-17 CN CNB011383984A patent/CN115688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82887U (ko) * | 1988-12-16 | 1990-06-2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616474B2 (en) | 2003-09-09 |
JP2002158073A (ja) | 2002-05-31 |
CN1363947A (zh) | 2002-08-14 |
US20020061685A1 (en) | 2002-05-23 |
KR20020038510A (ko) | 2002-05-23 |
CN1156886C (zh) | 2004-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9361B1 (ko) | 전기 코넥터 플러그 | |
US5456620A (en) | Connector assembly for lamps | |
JPS62276701A (ja) | 自動車等の照明アセンブリ | |
US5897391A (en) | Lamp socket | |
KR100440371B1 (ko) | 벌브 소켓 | |
US5121304A (en) | Vehicle lamp | |
KR100516039B1 (ko) | 전기 램프 및 그 조명 시스템 | |
US5879186A (en) | Bulb socket | |
CA2085018A1 (en) | Socketless lamp with spring side contacts | |
JPH07335001A (ja) | 車輌用灯具 | |
EP1102001B1 (en) | Lamp socket | |
US6971904B2 (en) | Light bulb socket for motor vehicle lamps | |
JP4261808B2 (ja) | 照明器具 | |
EP1683182B1 (en) | Starter housing for gas discharge lamp, and method of mounting same | |
US5411411A (en) | Bulb socket | |
CN209926043U (zh) | 一种灯头结构及灯具 | |
JP5208754B2 (ja) | 成形されたランプソケット | |
KR19990062935A (ko) |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
US6486595B1 (en) | Electric lamp having press seal configuration for exhaust tube protection | |
JPS6247125Y2 (ko) | ||
KR200183181Y1 (ko) | 피엘 소켓 | |
JPS6140013Y2 (ko) | ||
KR200163414Y1 (ko) | 자동차램프용방수형전구홀더 | |
KR20020019384A (ko) | 플러그 | |
JPS6114143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