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935A -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935A
KR19990062935A KR1019980054006A KR19980054006A KR19990062935A KR 19990062935 A KR19990062935 A KR 19990062935A KR 1019980054006 A KR1019980054006 A KR 1019980054006A KR 19980054006 A KR19980054006 A KR 19980054006A KR 19990062935 A KR19990062935 A KR 19990062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space
connecto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055B1 (ko
Inventor
히사히로 오노
가즈히코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6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4Coaxial connector having circuit-interrupting provision effected by mating or having "dead" contact activated after ma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절연재료로 성형되어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 및 폴형 중심접촉을 갖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에 자유롭게 고정되는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커넥터 몸체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하고 상기 커넥터 몸체의 내부의 공간과 일체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중심접촉이 삽입되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몸체,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그 수납공간에 연설된 공통단자 및 전도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수납공간에 연설된 수용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공통단자는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로부터 상기 수용단자쪽으로 추진되어 상기 수용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분을 갖고, 상기 접촉부분의 베이스부는 상기 수용단자보다 상기 중심접촉이 삽입되는 구멍에 인접된다. 상기 접촉부분의 베이스부분과 단부사이에 위치된 중간부분은 상기 중심접촉용 통로로 추진한다.

Description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플러그를 넣거나 빼고 또한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또는 안으로 플러그를 빼는데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것으로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 일예는 도 7a 및 7b도에 부분 계략 세로 절단도가 도시된다. 도 7a는 플러그를 삽입하지 않은 일반적인 동축케이블을 도시하고, 도 7b는 플러그를 삽입한 동일한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에 대해 언급하면,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는 예컨데,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몸체(10)를 갖는다. 상기 몸체(10)의 한 개 표면은 리세스(recess)(11 )를 갖고, 상기 리세스(11)의 바닥 표면은 리세스(11)의 개구에 직면하기 위해서 상기 리세스의 원통몸체(12)에 제공되고, 이 원통몸체(12)는 수납공간(13)을 갖는다. 스위치(5)는 상기 원통몸체(12)안에 설비된다. 이 스위치(5)는 공통단자(3)와 수용단자(4)를 포함하고, 이러한 2개의 단자는 전자 전도재료로 만들어 진다. 상기 원통몸체(12)는 그 외부 표면의 접지단자(6)에 제공된다. 리셉터클(2)은 원통몸체(12), 스위치(5) 및 접지단자(6)로 구성한다. 상기 리셉터클(12)은 상기 동축케이블용 플러그(7)를 착탈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원통몸체(12)는 상기 수납공간(13)과 리세스(11)사이를 통하는 구멍(14)이 제공된다. 상기 원통몸체(12)는 상기 플러그(7)의 중앙접촉(7a)이 상기 구멍(14)안으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구멍(14)의 에지에 테이퍼(15)가 제공된다.
상기 수용단자(4)는 상기 수납공간(13)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단자(3)와 직면하기 위해서 상기 수납(13)의 내부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공통단자(3)의 베이스 부분(37)은 상기 공통단자(3)의 단부(38)가 상기 수납공간(13)내에 배치되게 하고 상기 구멍(14)에 직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수납공간(13)의 반대 내부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공통단자(3)는 상기 수용단자(4)쪽으로 추진된다. 따라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통단자(3)의 단부(38)와 베이스부(37)사이에 위치된 접촉부(39)는 상기 플러그(7)가 상기 리셉터클(2)에 접속되지 않을 때 스위치(5)가 닫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단자(4)와 접촉한다. 다른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7)가 상기 리셉터클(2)에 접속될 때, 상기 구멍(14)을 통하여 수납공간(13)에 삽입된 중앙접촉(7a)은 상기 공통단자(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중앙접촉(7a)과 단부(38)를 접촉한다. 또한, 상기 중앙접촉(7a)은 상기 플러그(7)가 상기 리셉터클(2)에 접속될 때 상기 접촉부(39)보다 더욱 베이스부(37)에 있는 상기 단부(38)를 추진한다.
따라서, 상기 단부(38)의 주행거리는 작다. 결과적으로, 상기 공통단자(3)와 수용단자(4)사이의 접촉간격(G)은 좁고, 절연특성은 나빠질 것이다. 또한 상기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는 작지 않아야 하고, 또한, 상기 공통단자(3) 또는 수용단자(4)와 같은 부품의 정합 정확도가 나쁜 경우, 상기 스위치(5)는 적당하게 동작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 크기가 줄고, 상기 테이퍼(15)의 크기는 너무 작게 되어, 상기 구멍(14)을 통하여 삽입된 중앙접촉(7a)을 안내하는데 실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부(38)는 상기 중앙접촉(7a)에 의해 함몰되기 쉽고, 그래서 공통단자(3)는 뒤틀려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크기를 줄이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를 줄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절연재료로 성형된 몸체와 내부표면을 갖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폴형 중앙접촉을 하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를 착탈할 수 있게 설치된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중앙접촉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갖으며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갖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원통몸체, 전도재료로 만들어지고 수납공간에 수용된 공통단자 및 전도재료로 만들어지고 수납공간에 수용된 수용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공통단자는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로부터 수용단자쪽으로 추진되고 상기 수용부가 갖는 접촉부안으로 가져가는 접촉 피이스를 갖고, 상기 접촉 피이스의 베이스 부분은 상기 수용단자에서 보다 중앙접촉이 삽입되는 구멍에 보다 근접하고, 상기 접촉 피이스의 베이스부와 단부사이에 위치된 중간부분은 상기 중앙접촉용 통로안으로 추진시킨다.
상기 공통단자는 내부표면이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된 중앙접촉의 외부표면과 접촉하는 U형 보유부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보유부에 적합하게 접속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접촉 피이스는 제2굴곡부보다 베이스부에 보다 근접하고, 상기 접촉 피이스의 단부가 수납공간의 에지에 유지하기 위해서 굴곡되는 제1굴곡부 및 상기 제1부분보다 단부에 보다 근접하게 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에 밀접한 단부를 이동하기 위해서 굴곡되는 제2굴곡부를 갖는다.
양호하게, 상기 몸체의 내부표면에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접촉에 의해 마모된 접촉 피이스와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접속될 때 몸체의 내부표면사이에 갭을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원통몸체의 표면상에 위치되는 접지단자; 및 상기 몸체의 표면을 커버하는 금속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금속 덮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a는 플러그가 없는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절단도.
도 1b는 플러그를 가진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절단도.
도 2a는 부분적으로 취해진 부품을 갖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절단도.
도 2b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절단도.
도 3a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절단도.
도 3b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정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공통단자의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수용단자의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접지단자의 투시도.
도 7a는 플러그가 없는 종래의 커넥터에 대한 절단도.
도 7b는 플러그를 가진 종래의 커넥터에 대한 절단도.
본 출원은 1997년 12월 19일 일본 특허출원 제 HEI-9-351175호를 토대로 하였고, 그 내용은 본원에 참증으로 포함되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1a 내지 도 6에 설명된다.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료로 성형된 직사각 평행육면체를 갖는다. 상기 몸체(10)는 몸체(10)의 바깥쪽으로 세로방향으로 확장하기 위해서 형성된 원통몸체가 제공된다. 상기 원통몸체(12)의 내부 공간은 상기 커넥터(1)안에 수납공간(13)을 정의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과 유체로 접속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의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닫혀지는 스위치(5)는 상기 수납공간(13)안에 설비된다. 상기 스위치(5)는 공통단자(3)와 수용단자(4)를 포함하는데, 이 2개의 단자는 전기 전도재료로 만들어 진다. 상기 공통단자(3)와 수용단자(4)는 서로 직면하게 배열된다. 접지단자(6)의 원통부(65)는 상기 원통몸체(12)의 바깥쪽 주변표면상을 덮기위해서 부착된다. 리셉터클(2)은 원통몸체(12), 스위치(5) 및 접지단자(6)로 만들어 진다. 상기 리셉터클(2)은 동축케이블용 플러그(7)를 착탈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원통몸체(12)는 상기 몸체(10)로부터 떨어진 자유단에 있는 구멍을 가지고서, 상기 수납공간(13)이 상기 커넥터의 바깥쪽과 연통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구멍(14) 주위에 원통몸체(12)의 자유단에 단벽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플러그(7)의 중앙접촉(7a)이 상기 구멍(14)안으로 쉽고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몸체(12)를 갖는 방향 동축의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원추형상을 구멍(14)이 허용하게 모서리를 깎은면이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상기 접지단자(6)의 각 측면 부분(62)을 제공하게 정의된 홈(16)을 갖는다.
상기 플러그(7)는 상기 중앙접촉(7a)에 부가하여, 공지된 성형기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합성수지와 같은 성형가능한 전기적인 성형재료로 만들어지는 원통 베이스(7c)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접촉(7a)은 일반적으로 폴의 형태이고, 상기 베이스(7c)를 통하여 동축으로 연장한다. 상기 외부의 접촉(7c)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상기 베이스(7c)주위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의 접촉(7c)의 단부 직경은 상기 접지단자(6)와 접촉으로 유지된 외부 접촉(7c)과 원통몸체(12)의 수용을 손쉽게 하기 위해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통단자(3)는 중심부분(31) 및 상기 중심부분(31)의 한 개단과 통합하고 상기 중심부분(32)의 우각에 놓인 납땜부분(32)을 갖는다. 상기 중심부분(31)의 반대단은 고정부분(33) 및 이 고정부분(33)을 실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보유부분(34)을 정의하기 위해서 분기된다. 상기 고정부분(33)은 예컨데 압력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안쪽 위치에 공통단자(3)를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보유부분(34)은 일반적으로 U형이고, 상기 중심접촉(7a)을 보유하기 위해서 중심접촉(7a)의 외부표면과 접촉으로 유지된 내부표면을 갖는다. 상기 공통단자(3)가 상기 몸체(10)안에 압력으로 고정된 고정부분(3)을 갖는 몸체(10) 안쪽에 고정되게 할지라도, 상기 공통단자(3)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10)에 동일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공통단자(3)는 상기 보유부분(34)의 단에 있는 접촉부(35)가 제공된다. 상기 접촉부(35)는 상기 중앙접촉(7a)의 삽입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납땜부분(32)쪽으로 연장한다. 상기 접촉부분(35)은 상기 수용단자(4)와 접착을 일으킨다.
상기 접촉부분(35)의 베이스부분(35a)은 상기 중앙부분(31)으로 구부러 진다. 상기 접촉부분(35)은 상기 접촉부분(35)의 베이스부(35a)와 단부(35d)사이의 제1굴곡부(35b) 및 제2굴곡부(35c)가 제공된다. 상기 제2굴곡부(35c)보다 베이스부(35a)에 가까운 제1굴곡부(35b)는 중심 접촉(7a)을 접촉한다. 상기 제1굴곡부(35b)보다 상기 단부(35d)에 가까운 제2부분(35c)은 상기 수용단자(4)를 접촉한다. 일시적으로, 상기 중심부분(31)은 상기 납땜부분(32)의 반대단에 절단면(36)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보유부분(34)은 상기 중앙접촉(7a)이 삽입될 때 구부러지기 쉽고, 이것은 상기 보유부분(34)이 양의 중심접촉(7a)을 보유할 수 있도록 상기 보유부분(34)이 충분히 빗나가게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단자(4)는 중심부분(41)을 갖는다. 상기 중심부분(41)은 한 개의 단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상기 중심부분(41)의 우각에 놓이는 납땜용 납땜부분(4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심부분(41)은 상기 수용단자(4)를 상기 몸체(10)에 고정하는 고정부분(43)을 포함하고, 이 고정부분(43)은 상기 중앙부분(41)으로부터 측면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상기 납땜부분(42)이 놓이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위치된다. 상기 납땜부분(42)으로부터 떨어진 중앙부분(41)의 반대의 세로단은 상기 몸체(10)안에 상기 수용단자(4)를 고정하는 고정부분(44) 및 상기 접촉부분(35)과 연동할 수 있는 접촉부분(44)을 정의하기 위해서 분기된다. 상기 접촉부분(45)은 베이스부(45a)에서 상기 납땜부분(42)과 고정부분(43)의 반대측 쪽으로 구부려 진다. 또한, 상기 접촉부분(45)은 중앙부분(45b)에서 상기 납땜부분(42)과 고정부분(43)쪽으로 구부려 진다. 상기 접촉부분(45)의 단부(45c)는 상기 중앙부분(41)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분(45)은 상기 중심부분(31)과 접촉부분(35)사이에 위치된다. 정상적으로, 상기 단부(45c)는 상기 제2굴곡부(35c)와 접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단자(6)는 중심부분(61)과 2개의 측면부분(62)을 갖는다. 각각의 측면부분(62)은 상기 중심부분(61)이 갖는 우각에서 교차하기 위해서 상기 중심부분(61)의 해당하는 에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측면부분(62)은 납땜용 납땜부분(63) 및 상기 접지단자(6)를 상기 몸체(10)에 고정하는 고정부분(64)을 갖는다. 상기 접지단자(6)는 접속부(67)를 통하여 상기 납땜부분(63)의 반대측에 원통부분(65)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접지단자(6)는 상기 원통부분(65)의 반대에 중심부분의 에지에 접촉부분(66)이 제공된다. 각각의 접촉부분(66)은 상기 접지단자(6)와 상기 몸체(10)의 표면을 덮는 금속 덮개(9)를 접촉하는 탄력성을 갖는다. 각각의 접촉부분(66)은 상기 측면부분(62)의 반대측쪽으로 구부려 진다. 따라서, 상기 몸체(10)가 금속 덮개(9)로 덮여질 때, 상기 접촉부분(66)은 상기 금속 덮개(9)에 의해 약화되어, 도 2b의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위치로부터 구부려 진다. 다음, 상기 접지단자(6)는 상기 접촉부분(66)을 통하여 상기 금속덮개(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접지영역은 넓혀질 수 있고, 또한 고주파 특성은 개선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수용부분(4) 및 접지단자(6)는 압축 고정수단, 본딩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분(43 및 44) 및 고정부분(64)을 통하여 상기 몸체(10)안의 위치에 고정된다.
도 1a,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5)는 상기 수납공간내에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5)는 상기 공통단자(3)와 수용단자(4)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접촉부분(35)은 상기 접촉부분(45)쪽으로 추진되고, 정상적으로, 상기 접촉부분(35)은 상기 접촉부분(45)과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5)는 정상적으로 스위치가 닫혀진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7)가 상기 리셉터클(2)에 접속될 때, 상기 중앙접촉(7a)은 상기 구멍(14)을 거쳐 상기 수납공간(13)안으로 삽입된다. 다음, 상기 중앙접촉(7a)은 상기 보유부분(34)에 의해 보유되고, 상기 수용단자(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중앙접촉(7a)은 상기 제1부분(35b)이 바깥쪽으로 약화되어, 상기 접촉부분(45)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접촉부분(35)을 약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접촉부분(35)과 접촉부분(45)사이의 접촉은 개방되고, 어떠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5)는 턴오프된다. 다른 한편, 상기 외부의 접촉(7b)은 상기 원통부(65)와 접촉하고, 상기 외부의 접촉(7b)은 상기 접지단자(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접촉(7a)은 상기 플러그(7)가 상기 리셉터클(2)에 접속될 때 바깥쪽으로 상기 제1부분(35b)을 약화시키고, 상기 제2굴곡부(35c)의 주행거리는 종래의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명시한 것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공통단자(3)와 수용단자사이의 간격(G)은 확대되고, 상기 스위치(5)의 절연특성은 종래기술의 커넥터에 명시한 것보다 좋다. 또한, 상기 기술한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5)는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충분히 커진 간격(G) 때문에, 상기 몸체(10)가 충분한 간격을 얻기위해서 확대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는 크기가 축소되어야 한다.
또한, 공통단자(3)가 보유부분(34)의 단에 접촉부분(35)에 제공되고 상기 접촉부분(35)이 상기 중앙접촉(7a)의 삽입방향과 같이 납땜부분(32)쪽으로 연장하는 것같이, 상기 접촉부분(35)은 중심접촉(7a)의 삽입시에 휨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공통단자(3)는 상기 보유부분(34)과 제1굴곡부(35b)를 통하여 중앙접촉부(7a)를 접촉하고, 상기 제2굴곡부(35c)를 통하여 수용단자(4)를 접촉한다. 즉, 상기 접촉부분(35)이 상기 중심접촉(7a)에 의해 약화되지 않는 부분을 통하여 상기 수용단자(4)를 접촉하는 것과 같이, 상기 중심접촉(7a) 및 수용단자(4)는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분(35)의 약화정도가 커지면, 상기 수납공간(13)은 작게 만들어지고, 상기 리셉터클(2)은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동시에, 경사면(17)은 상기 중앙접촉(7a)에 의해 약화된 접촉부분(35)과 상기 플러그(7)가 상기 리셉터클(2)에 접속될 때 상기 몸체(10)의 내부표면사이의 간격을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10)의 내벽에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몸체(10)의 내벽과 상기 접촉부분(35)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제조시, 상기 공통단자(3)는 동일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수납공간(13)안으로 수용단자(4)를 삽입한 다음에, 상기 몸체(10)의 구멍(14)과 반대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수납공간(13)으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용단자(4)의 헤드는 상기 제2굴곡부(35c)를 닦아서, 상기 제2굴곡부(35c)의 표면상에 있는 더러운 것을 제거한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에지 커넥터와 같은 다른 플러그(도시 않함)를 수용하는 다른 소켓(8)은 상기 원통몸체(12)에 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른 한편, 상기 소켓(8)의 납땜부분(32, 42 및 63)은 상기 원통몸체(12)의 반대에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서로에 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원통몸체(12)와 납땜부분(32, 42, 63)이 배치되는 표면이외에 상기 몸체(10)의 표면은 상기 금속덮개(9)로 덮여지고, 상기 금속덮개(9)의 에지는 상기 리셉터클(2)의 헤드로 돌출한다. 동시에, 이러한 실체에 있어서, 상기 소켓(8)은 상기 원통몸체(12)에 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다른 커넥터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수반하는 도면을 통하여 설명할지라도, 종래기술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변경 및 수정은 본원에 첨부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동축케이블의 공통단자와 수동단자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켜 종래의 절연특성이 떨어지는 것을 좋게하고, 커넥터의 크기를 줄인 것 이다.

Claims (5)

  1. 절연재료로 성형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커넥터 본체; 및 폴형 중심 접촉을 갖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가 착탈자재로 결합된 리셉터클을 갖는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공간에 연통하여 일체로써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것으로 상기 중심 접촉이 삽입되는 원형몸체;
    상기 수납공간에 배설되고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공통단자(common termi nal); 및
    상기 수납공간에 배설되고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수용단자(receiving ter minal)를 구비하며,
    상기 공통단자는 상기 수납공간의 주변부측으로부터 상기 수용단자쪽으로 추진되고 상기 수용단자와 접촉을 일으키는 접촉부분을 갖고, 상기 접촉부분의 베이스 부분은 중심접촉이 상기 수용단자보다 삽입되는 구멍에 밀접하고, 상기 접촉부분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 부분사이에 중심부분이 상기 중심접촉용 통로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단자는 내부표면이 상기 수납공간안에 삽입된 중심접촉의 외부의 표면과 접촉하는 U형 보유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분은 상기 보유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제2굴곡부보다 상기 베이스부에 인접되고 상기 접촉부분의 단부를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굴곡되는 제1굴곡부 및 상기 제1굴곡부보다 단부에 인접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에 인접한 단부를 이동하기 위해서 굴곡되는 제2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사면(beveling)은 상기 커넥터 몸체의 안쪽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사면은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과 접속할 때 상기 중심접촉에 의해 약화된 접촉부분과 안쪽 표면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원통몸체의 표면상에 위치되는 접지단자; 및
    상기 커넥터 몸체의 표면을 커버하는 금속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금속덮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19980054006A 1997-12-19 1998-12-09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KR100322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51175 1997-12-19
JP35117597A JP3684803B2 (ja) 1997-12-19 1997-12-19 同軸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935A true KR19990062935A (ko) 1999-07-26
KR100322055B1 KR100322055B1 (ko) 2002-05-09

Family

ID=1841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006A KR100322055B1 (ko) 1997-12-19 1998-12-09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74183B1 (ko)
JP (1) JP3684803B2 (ko)
KR (1) KR100322055B1 (ko)
TW (1) TW4006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9597B2 (ja) * 2003-05-30 2008-12-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アンテナ用コネクタ
CN100367576C (zh) * 2004-04-28 2008-02-06 广濑电机株式会社 同轴连接器
KR100630751B1 (ko) * 2005-06-27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US20080207050A1 (en) * 2007-02-28 2008-08-28 Chi-Hua Wang Coaxial cable connector
KR100949074B1 (ko) * 2007-11-09 2010-03-25 (주)기가레인 역방향 손실을 감소시키는 스위칭 동축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494A (en) * 1993-05-13 1994-11-29 Lai; Yang-Chuan BNC T-type ada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84803B2 (ja) 2005-08-17
US6174183B1 (en) 2001-01-16
KR100322055B1 (ko) 2002-05-09
JPH11185889A (ja) 1999-07-09
TW400668B (en)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426B1 (ko) 내마모성 결합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US6575793B1 (en) Audio jack connector
US4838811A (en) Modular connector with EMI countermeasure
US20020045385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grounding structure
US6312274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524835B1 (ko)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
JP2009026667A (ja) 電気コネクタ
US10992088B2 (en) Universal Serial Bus Type-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reduced length
US6036545A (en) Decoupled BNC connector
US20040266266A1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a shield device
US7014480B1 (en) Groun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nector assemblies
US5580261A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lso performing a switching function
US20080293286A1 (en) Cable connector and circuit board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same
US5989046A (en)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KR19990062935A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US6743031B2 (en) Plug connector with a switch
US5306173A (en) Bulb socket
US6482037B1 (en) Receptacle connector with grounding tabs
US7182648B2 (en) Optical-electric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having coil spring
EP1063732A1 (en) Press pin ground
US6203341B1 (en) Cable connector
KR10208139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0282473Y1 (ko) 분배기용접속커넥터
EP1672749B1 (en) Coaxial connector
US5239145A (en) Pin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