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068B1 - 유기기용 기반 박스 - Google Patents
유기기용 기반 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40068B1 KR100440068B1 KR1019960025628A KR19960025628A KR100440068B1 KR 100440068 B1 KR100440068 B1 KR 100440068B1 KR 1019960025628 A KR1019960025628 A KR 1019960025628A KR 19960025628 A KR19960025628 A KR 19960025628A KR 100440068 B1 KR100440068 B1 KR 100440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member
- lock
- box
- lock member
- window ho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기의 제어 기반을 수납하는 유기기용 기반 박스에 관한 것으로, 그의 목적은 제어 기반의 검사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기반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본 발명의 유기기용 기반 박스는, 유기기용의 재어 기반을 수용하는 박스 본체와, 그 박스 본체에 씌우는 덮개와, 그 덮개에 개설한 창 구멍과, 그 창 구멍을 개폐시키는 셔터 부재와, 그 셔터 부재를 폐쇄 위치에 록크(lock)하고 또한 록크한 셔터 부재를 개방 조작한 경우에 흔적이 남는 록크 해제 수단을 구비한 제1 록크 부재와, 그 제1 록크 부재의 록크 해제를 작동조건으로 하고 셔터 부재를 재차 폐쇄 위치에 록크시켜 개방불능 상태로 하는 제2 록크 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기(遊技機)의 제어 기반(基盤)을 수납하는 유기기용 기반 박스(이하, 단지 "기반 박스"로 칭함)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빠찡고기나 슬롯 머신은 유기 내용이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 기반에서 제어되고 있다. 이 제어 기반은 4각 상자형상의 기반 박스에 수납되어 있고, 통상, 앞틀 뒷면의 기구판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반 박스는 박스 본체에 덮개를 덮고, 그 박스 본체와 덮개를 나사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박스 본체와 덮개 사이를 적당한 봉인구(封印具)나 봉인 시일로 봉인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기반 박스내의 제어 기반에 손을 대어 유기 내용을 변경시키는 부정 행위가 최근 문제로 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정 행위를 적발할 목적으로 제어 기반의 내장 롬(ROM)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의 부정을 첵크하는 예고없는 검사가 행해지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검사는 기반 박스의 덮개를 박스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제어 기반의 내장 롬을 빼내어 프로그램을 첵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와 박스 본체를 나사와 봉인구로 결합시키고 있어, 박스 본체로부터 덮개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나사와 봉인구 전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 검사 종료후에는 나사를 다시 조이고, 봉인구 등으로 다시 봉인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검사 작업 효율이 매우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그의 목적은 제어 기반의 검사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기반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기기용의 제어 기반을 수용하는 박스 본체와, 그 박스 본체에 씌우는 덮개와, 그 덮개에 개설한 창 구멍과, 그 창 구멍을 개폐하는 셔터 부재와, 그 셔터 부재를 폐쇄 위치에 록크(lock)하고 또한 록크한 셔터 부재를 개방 조작한 경우에 흔적이 남는 록크 해제 수단을 구비한 제1 록크 부재와, 그 제1 록크 부재의 록크 해제를 작동조건으로 하고 셔터 부재를 재차 폐쇄 위치에 록크하여 개방불능 상태로 하는 제2 록크 부재로 구성되는 기반 박스를 제공한다.
상기 기반 박스는, 제어 기반을 검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먼저, 록크 해제 수단을 사용하여 제1 록크 부재의 록크를 해제하고, 셔터 부재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 창 구멍으로 내장 롬을 빼낸다. 그리고, 내장 롬의 검사 종료후에 창 구멍을 통하여 제어 기반에 내장 롬을 다시 넣고, 셔터 부재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 후, 그 셔터 부재를 제2 록크 부재로 록크한다. 제2 록크 부재에는 록크 해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이 제2 록크 부재로 록크된 셔터 부재는 개방불능으로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반 박스의 요부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기반 박스의 사시도, 제3도는 요부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4도는 검사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5도는 검사 종료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6도는 제3도의 X-X선 단면도이다.
기반 박스(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로 된 4각 상자형의 박스 본체(2)와, 같은 금속제로 된 4각 상자형의 덮개(3)로 구성되고, 상기 박스 본체(2)에 덮개(3)를 씌우고, 양자를 다수의 나사(4)로 결합함과 동시에 접합부분에 봉인구(對印具)(5)를 장착시킨 구조이다. 기반 박스(1)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장 롬(R)등의 전자부품의 집합체인 제어 기반(C)이 수납되어 있다. 한편, 덮개(3)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판(3P)이 끼워져 있어, 외부에서 제어 기반(C)이 보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기반 박스(1)는, 첫째로 박스 본체(2)와 덮개(3) 모두를 합성수지제로 만들고, 둘째로 박스 본체(2)를 금속제로 하고 덮개(3)를 합성수지제로 만들며, 셋째로 박스 본체(2)를 합성 수지제로 만들고 덮개(3)을 금속제로 만드는 등의 조합 패턴이 고려될 수 있다. 그중, 덮개(3)를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제로 만들었을 경우에는, 덮개(3) 자체로 상기 합성수지 판(3P)을 겸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3)의 합성수지 판(3P)에는, 제어 기반(C)의 내장 롬(R)에 대응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내장 롬(R)을 착탈할 수 있게 하는 크기의 4각형 창 구멍(6)이 개설되어 있다. 이 창 구멍(6)은 통상, 합성수지제(투명 또는 반투명)의 셔터 부재(7)로 가리어져 있고, 후술하는 제1 록크 부재와 제2 록크 부재의 조합에 의하여 1회만 열 수 있다.
상기 셔터 부재(7)는 역트레이 형상인 셔터 주체(主體)(70)의 양옆 아래 가장자리에 슬라이드 플랜지(71, 71)와, 제2 록크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탄성클로(claw)(72, 72)를 가지고 있고, 또한, 셔터 주체의 양옆 위 가장자리 중앙부에 제1 록크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L자형 클로(73, 73)를 가지고 있다. L자형 클로(73)는 셔터 주체(70)의 양옆에 돌출되어 있고, 또 그 클로와 셔터 주체(70)와의 경계부분에는, 록크 해제 수단이 되는 V자형 홈(74)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 부재(7)는 상기 창 구멍(6)의 주변에 나사로 고정시킨 가이드 프레임(8)에 의하여 덮개(3) 상면에 설치된다. 즉, 가이드 프레임(8)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옆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틀(80, 80)이 역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슬라이드 틀(80)의 역L자부에 셔터 부재(7)의 슬라이드 플랜지(71)가 끼워지게 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틀(80)에는 셔터 부재(7)의 L자형 클로(73)가 끼워질 수 있는 절결부(8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부(81)의 양측에 제1 록크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2개 1조의 스톱퍼(82, 82)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은, 셔터 부재(7)의 L자형 클로(73)가 슬라이드 틀(80)의 스톱퍼(82, 82)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창 구멍(6)을 닫는 위치에 정지하여 움직이지 않는다. 이 정지 위치에서는 셔터 부재(7)와 가이드 프레임(8)의 끝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S)이 있고, 또, 탄성 클로(72) 선단의 잠김부(72a)가 슬라이드 틀(80)의 내면에 접하여 휘어진 상태로 탄성변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8)은 나사(B)가 합성 수지 판(3P)의 뒷측에서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덮개(3)의 표면측에서 착탈조작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가이드 프레임(8)의 슬라이드 틀(80)에는, 제2 록크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오목 홈부(83)가 형성되어 있다. 그 오목 홈부(83)는 셔터 부재(7)의 탄성 클로(72)와 짝을 이루고, 셔터 부재(7)가 슬라이드 틀(80)의 상단으로 이동한 경우에만 탄성 클로(72)의 잠김부(72a)와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셔터 부재(7)를 폐쇄 위치에 록크하는 제1 록크 부재는, 셔터 부재(7)의 L자형 클로(73)와 가이드 프레임(8)의 스톱퍼(82, 82)이고,이 제1 록크 부재의 록크 해제 수단은 셔터 주체(70)와 L자형 클로(73)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V자형 홈(74)이다. 또, 셔터 부재(7)을 개방 불능 상태에 록크하는 제2 록크 부재는, 셔터 부재(7)의 탄성 클로(72)와 가이드 프레임(8)의 오목 홈부(83)이다. 그리고, 통상은, 제1 록크 부재의 작용에 의하여 셔터 부재(7)가 창 구멍(8)을 닫는 폐쇄 위치에 확실하게 록크되어 있다.
다옴에, 내장 롬(R)의 검사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빠찡고기의 앞틀(도시되지 않음)을 열면 기반 박스(1)가 제2도와 같은 상태에서 기구판(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3도와 같이 L자형 클로(73)가 스톱퍼(82, 82) 사이에 끼워져 있으므로, 창 구멍(6)을 닫은 상태에서 셔터 부재(7)가 록크되어 있다.
여기서, 손가락 또는 뺀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양 L자형 클로(73)의 상단을 셔터 주체(70)측으로 눌러, V자형 홈(74)에 휨 모멘트를 가한다. V자형 홈(74) 부분은 두께가 얇아 취약하므로 비교적 간단하게 파단된다. 그리하여 L자형 클로(73)를 셔터 부재(7)로부터 잘라 떨어뜨리면 스톱퍼(82)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기 때문에, 셔터 부재(7)는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셔터 부재(7)를 제4도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8)을 따라 아래로 이동시켜 창 구멍(6)을 열 수가 있다.이 상태에서 제어 기반(C)의 내장 롬(R)을 롬 소켓트(RX)에서 빼내어, 프로그램을 검사한 후 다시 롬 소켓트(RX)에 끼어넣는다. 또한, 제1 록크 부재를 해제시킨 흔적은, L자헝 클로(73)가 결손되는 명확한 형태로 남게 되고, 또, 예를 들어 L자형 클로(73)를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등 위장 공작을 하여도 V자형 홈(74) 부분이 변질(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를 굽혀 파단시키면 파단면이 불투명하게 변질한다.)된 형태로 현저하게 나타난다.
다음에, 셔터 부재(7)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가이드 프레임(8)의 상단으로 이동시킨다. 셔터 부재(7)의 탄성 클로(72)는, 슬라이드 틀(80)의 내면에 접하여 휘어진 상태로 탄성 변형되어 있으므로, 제5도와 같이 선단의 잠김부(72a)와 오목 홈부(83)가 합치되는 순간에 끼어들어 맞아, 셔터 부재(7)를 폐쇄 위치에 록크한다. 이 제2 록크 부재인 탄성 클로(72)와 오목 홈부(83)는, 록크 해제 수단이 없는 열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이후 셔터 부재(7)는 개방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와 같이, 셔터 부재(7)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셔터 부재(7)를 밑으로 내려 창 구멍(6)을 열도록 설정하여 놓으면, 제1 록크 부재를 해제한 후, 셔터 부재(7)의 개방조작이 틀림없이 스무스하게 행하여질 수 있게 된다. 만약, 반대로, 셔터 부재(7)를 윗쪽으로 이동시켜 창 구멍(6)을 열도록 한 설정을 채용한 경우에는, 제1 록크 부재를 해제시킨 직후에 셔터 부재(7)가 밑으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어, 잘못하여 제2 록크 부재를 작동시킬 위험성이 크다. 또, 셔터 부재(7)의 오조작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록크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전장치를 부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안전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제3도에 일정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핀(9)을 간격(S)에 끼어 넣어 셔터 부재(7)의 상향 이동을 저지하도록 하고, 필요시에 그 핀(9)을 뺄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또, 제2의 안전장치로서, 셔터 부재(7) 또는 가이드 프레임(8)에 상기 간격(S)내로 향하는 제3의 L자형 클로를 설치하고, 필요시 그 제3의 L자형 클로를 접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3의 안전장치로서, 상기 스톱퍼(82, 82)를 응용하는 방법이 있다. 즉, 록크 해제 수단인 V자형 홈(74)을 L자형 클로(73) 대신에 스톱퍼(82, 82)에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스톱퍼(82)를 한쪽씩 순서적으로 접혀지게하여 셔터 부재(7)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외에도, L자형 클로(73)를 셔터 주체(70)의 상단에 배치하고, 그 L자형 클로(73)를 안전장치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고려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로 설명하였으나,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록크 부재를 탄성 클로(72)와 오목 홈부(83)의 조합으로 하였으나, 제7도(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클로(72)에 대신하여 금속제의 짧은 측(10)을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체(11)로 밀어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부재(7)를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창 구멍(6)을 개폐하는 구조로 하였으나, 셔터 부재(7)에 경첩 등을 부착하여 도어 형상으로 회동개폐시키는 구조이어도 상관없다. 또, 개방조작한 흔적이 남는 록크 해제 수단과 제1 록크 부재의 조합에는, 예를 들어 셔터 부재(7)를 착탈가능하게 나사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셔터 부재(7)와 가이드 프레임(8) 사이에봉인 시일을 첨부시킨 구조도 포함된다.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프레임(8)을 합성수지 판(3P)의 외면에 설치하였으나, 가이드 프레임(8)을 합성수지 판(3P)(상기와 같이 덮개(3)를 합성수지화한 경우에는 덮개(3), 이하 동일하다)의 내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8도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8)의 저면에 투명한 합성수지제의 바닥판(12)을 부착하고, 그 바닥판(12)에 상기 창 구멍(6)을 천설함과 동시에 합성수지 판(3P)에 가이드 프레임(8)의 내부윤곽(제8도중 Z참조)에 합치하는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도려내고, 가이드 프레임(8)을 합성수지 판(3P)의 뒷측에 설치하여 나사로 고정하는 구조가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가이드 프레임(8)을 합성수지 판(3P)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8)을 합성수지 판(3P)의 내면에 배치하도록 하면, 외부의 돌출이 적게 되어 걸리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기기용 기반 박스는, 덮개의 셔터 부재를 개폐조작하는 것만으로 제어 기반의 검사가 가능하므로, 그 검사 작업 효율이 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 제1 록크 부재를 해제하여 창 구멍을 개폐한 경우 그 흔적이 남도록 하였기 때문에, 창 구멍의 부정 개방이 방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잘못하여 제어 기반을 이중으로 검사하는 실수를 없앨 수가 있다. 또, 검사 종료후는, 제2 록크 부재로 셔터 부재를 개방불가능 상태로 록크하고, 창 구멍의 기능을 완전히 봉쇄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창 구멍이 부정하게 사용되는 불상사가 전혀 없게 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반 박스의 요부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기반 박스의 사시도.
제3도는 요부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4도는 검사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5도는 검사 종료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6도는 제3도의 X-X선 단면도.
제7도(a), (b)는 제2 톡크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제어 기반 1 : 유기기용 기반 박스
2 : 박스 본체 3 : 덮개
6 : 창 구멍 7 : 셔터 부재
73 : L자형 클로(claw)(제1 록크 부재)
82 : 스톱퍼(제1 록크 부재)
74 : V자형 홈(록크 해제 수단)
72 : 탄성 클로(제2 록크 부재)
83 : 오목 홈부(제2 록크 부재)
Claims (1)
- 유기기용의 제어 기반을 수용하는 박스 본체와,상기 박스 본체에 씌우는 덮개와,상기 덮개에 개설한 창 구멍과,상기 창 구멍을 개폐하는 셔터 부재와,상기 셔터 부재를 폐쇄 위치에 록크하고 또한 록크한 셔터 부재를 개방조작한 경우에 흔적이 남는 록크 해제 수단을 구비한 제1 록크 부재와,상기 제1 록크 부재의 록크 해제를 작동조건으로 하고 상기 셔터 부재를 재차 폐쇄 위치에 록크하여 개방불능 상태로 하는 제2 록크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기용 기반 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5628A KR100440068B1 (ko) | 1996-06-29 | 1996-06-29 | 유기기용 기반 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5628A KR100440068B1 (ko) | 1996-06-29 | 1996-06-29 | 유기기용 기반 박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0515A KR980000515A (ko) | 1998-03-30 |
KR100440068B1 true KR100440068B1 (ko) | 2004-09-30 |
Family
ID=4938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25628A KR100440068B1 (ko) | 1996-06-29 | 1996-06-29 | 유기기용 기반 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4006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69539A (ja) * | 1993-03-19 | 1994-09-27 | Sankyo Kk | 遊技機の遊技制御回路基板収納ボックス |
JPH09201466A (ja) * | 1996-01-29 | 1997-08-05 | Sanyo Bussan Kk | 遊技機用基盤ボックスの封印具 |
JPH09299573A (ja) * | 1996-05-20 | 1997-11-25 | Sanyo Bussan Kk | 遊技機用基盤ボックス |
-
1996
- 1996-06-29 KR KR1019960025628A patent/KR1004400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69539A (ja) * | 1993-03-19 | 1994-09-27 | Sankyo Kk | 遊技機の遊技制御回路基板収納ボックス |
JPH09201466A (ja) * | 1996-01-29 | 1997-08-05 | Sanyo Bussan Kk | 遊技機用基盤ボックスの封印具 |
JPH09299573A (ja) * | 1996-05-20 | 1997-11-25 | Sanyo Bussan Kk | 遊技機用基盤ボック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0515A (ko) | 1998-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48719A (en) | Battery cover latch | |
EP1818484A1 (en) | Vehicle door lock | |
GB2182019A (en) | Improved equipment enclosure | |
KR100440068B1 (ko) | 유기기용 기반 박스 | |
CN107806298B (zh) | 开闭控制装置及门窗 | |
US20090032279A1 (en) | User-manipulated door mechanism for selectively covering an electrical socket | |
JPH0717749U (ja) | 蓋のロック装置 | |
JPH09299573A (ja) | 遊技機用基盤ボックス | |
JPH0586752A (ja) | カーテシスイツチ内蔵ドアロツクストライカ | |
JP2000070525A (ja) | 遊技機用収納ボックス装置 | |
JP2002355428A (ja) | 遊技機用基盤ボックス | |
KR900009800Y1 (ko) | 전자레인지용 도어 래치장치 | |
KR100203777B1 (ko) | 디지탈 캠코더의 밧데리 도어 개폐장치 | |
JPH10207306A (ja) | スイッチ保護構造 | |
JPH0236292Y2 (ko) | ||
JPS6118315B2 (ko) | ||
KR860002871Y1 (ko) |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 |
KR910009147Y1 (ko) | 도어 개폐 장치 | |
JP3683465B2 (ja) | ロック装置 | |
KR200418817Y1 (ko) | 자동 도어록 잠금장치 | |
KR200143936Y1 (ko) |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 |
JPH07254054A (ja) | 電子カードとこれが挿入されるコネクタ装置 | |
KR0138839Y1 (ko) | 트레이의 록킹장치 | |
KR910000951Y1 (ko) | 테이프 레코더의 오삽입 방지장치 | |
WO2020255436A1 (ja) | スナップフィット構造及び操作片の保護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