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936Y1 -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936Y1
KR200143936Y1 KR2019950045987U KR19950045987U KR200143936Y1 KR 200143936 Y1 KR200143936 Y1 KR 200143936Y1 KR 2019950045987 U KR2019950045987 U KR 2019950045987U KR 19950045987 U KR19950045987 U KR 19950045987U KR 200143936 Y1 KR200143936 Y1 KR 200143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ox
cover
push
push mean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5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478U (ko
Inventor
임재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5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936Y1/ko
Publication of KR9700464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4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9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휴즈박스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즈박스(1)의 상단에 상부가 개방된 가이드수단(40)을 형성하고, 가이드수단(40)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푸시수단(10)을 장착한다. 푸시수단(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드(20)는 가이드수단(40)내의 압축스프링(43)을 개재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로드(20)의 하단에는 록킹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커버(2)에는 록킹부(30)와 결합할 랫칭부(3)가 형성되고, 또한 커버(2)는 휴즈박스(1)에 판스프링(50)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따라, 푸시수단을 눌러 휴즈박스 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개폐가 용이해지고, 또한, 운전자의 부주의로 개방될 우려도 없게 된다.

Description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즈 박스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개폐장치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제3도(a) 및 제3도(b)는 각기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수단의 사시도 및 가이드수단과 내부에 장착된 푸시수단의 단면도이다.
제4도(a) 및 제4도(b)는 본 고안에 따른 푸시수단의 저면사시도 및 평면사시도이다.
제5도(a) 및 제5도(b)는 각기 커버의 개폐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단면도이다.
*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즈박스 2 : 커버
3 : 랫칭부 10 : 푸시수단
12 : 걸림부 13, 14 : 슬라이드부
15 : 슬라이드가이드 20 : 로드
30 : 록킹부 40 : 가이드 수단
41 : 홈 42 : 직립개구
50 : 판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휴즈박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휴즈박스커버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코올 사이드 트림에 장착되는 휴즈박스의 커버는 내부에 각종 휴즈가 설치된 휴즈박스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종래에는 단순한 랫칭구조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랫칭구조의 휴즈박스커버는 개폐가 불편하면서도 운전자의 무릎등에 걸려 임의로 개방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운행중 실수로 커버가 개방될 경우, 운전을 방해하여 사고의 위험도 뒤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부주의로 개방될 우려가 없는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랫치부가 형성된 커버, 이 랫치부에 걸리는 대응랫치부와 로드 및 손잡이를 가진 푸시수단, 및 푸시수단을 복귀시키기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되는 휴즈박스커버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고안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본고안에 따른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사이드로워 크래시패드의 휴즈박스(1)내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휴즈박스(1)의 상단에 가이드수단(40)이 휴즈박스(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수단(40)에는 탄성적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수단(10)이 장착되어 있다. 푸시수단(10)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드(20)와 로드(20)의 종단에 설치되는 록킹부(3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휴즈박스(1)에 개폐되는 커버(2)에는 상술한 푸시수단(10)의 록킹부(30)와 계합할 랫칭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2)는 휴즈박스(1)에 판스프링(50)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본 고안의 개폐방식은 커버(2)를 닫은 상태에서 커버(2)의 랫칭부(40)가 록킹부(30)에 걸려져 있다가, 푸시수단(10)을 하방으로 누르면 록킹부(30)가 하강하여 자유롭게된 커버(2)가 판스프링(50)에 의해 밖으로 열리도록 하는 방식이다.
제2도에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수단(40)과 푸시수단(10) 및 로드(20)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푸시수단(10)은 가이드수단(40)내에 스프링(4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43)은 푸시수단(10)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로드(20)주위에 감합되어 가이드수단(40)의 하부단에 지지된 압축스프링이다. 이에 따라, 푸시수단(10)을 하방으로 누르면 이에 연결된 로드(20)와 록킹부(30)가 하강하게 되며, 이 때 커버(2)가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0)는 휴즈박스(1)에 별도의 보스(4)에 의해 직선적으로 상승, 하강하도록 안내된다.
제3도(a) 및 제3도(b)에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수단(40)의 사시도 및 푸시수단(10)과의 결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수단(40)은 휴즈박스(1)의 내부로 연장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부재로 외측에 푸시수단(10)의 가이드부(15)가 삽입될 직립개구(42)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푸시수단(10)의 걸림부(12)가 삽입될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에는 로드(20)가 관통할 관통공 및 관통공 주위에 스프링(43)이 설치된 것이다.
제4도(a) 및 제4도(b)에 본 고안에 따른 푸시수단(10)의 저면 및 평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푸시수단(10)은 누름부(11)의 전방하부로 서로 평행한 슬라이드부(13, 14)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슬라이드부(13)의 정면하단에는 상술한 가이드수단(40)의 홈(41)에 삽입지지될 걸림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슬라이드부(13)와 제2 슬라이드부(14) 사이에는 이들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슬라이드 가이드(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상술한 가이드수단(40)에 삽입되었을 때, 제3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2)는 홈(41)에 감합되고, 슬라이드가이드(15)는 직립개구(42)에 삽입되어 가이드수단(40)에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로드(20)와 록킹부(30)는 푸시수단(10)과 일체로 제조되거나 혹은 각기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조립식으로 할 경우에는 제4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수단(10)의 제1 슬라이드부(13)의 하단에 로드(20)삽입용 홈(16)을 형성한다.
제5도(a) 및 제5도(b)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2)의 개폐방식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버(2)의 개폐수단은 로드(20)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한 록킹부(30)와 커버(2)의 랫칭돌기(3)이다. 따라서, 커버(2)를 내측으로 밑면 랫칭돌기(3)가 록킹부(30)를 밀고 들어와 록킹부(30)에 걸려 체결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푸시수단(10)을 하방으로 누르면 로드(20) 및 록킹부(30)가 하강하게 되어 커버(2)의 랫칭돌기(3)가 해방되게 된다. 이때, 제5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로와진 커버(2)는 휴즈박스(1)에 연결된 판스프링(50)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방되게 된다.
푸시수단(10)을 놓으면, 가이드 수단(40)내에 설치된 스프링(43)에 의해 푸시수단(10)과 이에 연결된 로드(20) 및 록킹부(30)가 상승하게 되어 랫칭가능한 상태로 복귀하며, 커버(2)를 닫으면, 록킹부(30)와 랫칭돌기(3)가 맞물려 폐쇄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휴즈커버개폐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휴즈박스커버를 단지 푸시수단(10)을 눌러 개폐할 수 있으므로 개폐가 용이하며, 또한 푸시수단이 휴즈박스 상단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눌러야 개방되므로 운전자에 의해 부주의로 개폐될 우려가 없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일측에 랫치부가 형성되고 타측이 휴즈박스에 판스프링으로 설치된 커버, 휴즈박스의 상단에 커버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바닥에 고정되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한 가이드 수단, 가이드 수단에 수용되어 압축스프링상에 장착되어 상하로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푸시수단, 푸시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드 및 로드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의 랫치부와 결합하는 록킹부로 구성되며, 푸시수단의 푸시에 의해 로드에 연결된 록킹부가 하강하여 커버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수단이 누름부, 누름부의 전방에 하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슬라이드부로 구성되어 제1 슬라이드부는 상기 가이드수단에 수용되고 제2 슬라이드부는 가이드 수단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수단의 한쌍의 슬라이드부를 수직으로 가로질러 슬라이드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수단에는 슬라이드가이드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직립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상기 푸시수단의 제1 슬라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박스커버 개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수단의 제1 슬라이드부의 전방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수단에는 걸림부를 수용할 직립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수단과 로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KR2019950045987U 1995-12-22 1995-12-22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KR200143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987U KR200143936Y1 (ko) 1995-12-22 1995-12-22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987U KR200143936Y1 (ko) 1995-12-22 1995-12-22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478U KR970046478U (ko) 1997-07-31
KR200143936Y1 true KR200143936Y1 (ko) 1999-06-15

Family

ID=1943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5987U KR200143936Y1 (ko) 1995-12-22 1995-12-22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9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478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8735A (en) Safety device for an electrical outlet
KR970004462B1 (ko) 인출형 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
US5547388A (en) Connector cover having a squeeze release
US6342676B1 (en) Safety guard device for electrical wall outlet
US6142333A (en) Bi-directional lid opening apparatus
US7680521B2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phone
EP0425208A2 (en) A receptacle for receiving a small article
US4475784A (en) Cartridge and receptacle for use with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appliance
US6471263B1 (en) Glass release button assembly of automotive tailgate
KR200143936Y1 (ko) 휴즈박스커버 개폐장치
US5851127A (en) Christmas lamp plug
US4453058A (en) Leaf switch cover
US4643502A (en) Duplex outlet protection device
KR100203777B1 (ko) 디지탈 캠코더의 밧데리 도어 개폐장치
KR200148201Y1 (ko) 대문 열림방지용 로킹장치
KR101022692B1 (ko) 자동차의 퓨즈 박스 리드 잠금구조
KR920006098Y1 (ko) Vtr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0114458Y1 (ko) 도어 아암 레스트 내장형 컵 호울더
KR920002432Y1 (ko) V. t. r의 카세트 캡 개폐장치
KR200166212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KR200158168Y1 (ko) 자동차의 휴즈박스 도어 록킹장치
KR19980047193U (ko) 자동차의 휴즈박스
KR0132724Y1 (ko) 휴대용 송수신기의 밧데리팩 개폐장치
KR880001223Y1 (ko) 전자제품의 콘트롤 판넬 개폐장치
KR200161539Y1 (ko) Av단자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