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758B1 - 스플라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스플라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758B1
KR100439758B1 KR10-2000-0083284A KR20000083284A KR100439758B1 KR 100439758 B1 KR100439758 B1 KR 100439758B1 KR 20000083284 A KR20000083284 A KR 20000083284A KR 100439758 B1 KR100439758 B1 KR 10043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pline
circumferential surface
groov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3588A (ko
Inventor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0-008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7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5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8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 F16D1/116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the interengaging parts including a continuous or interrupted circumferential groove in the surface of one of the coup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2001/103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the torque is transmitted via splin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플라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주면에 스플라인홈(11)이 형성된 제1부재(10)와, 외주면에 스플라인 돌기(51)가 형성된 제2부재(50)를 스플라인 결합시킴에 있어서, 제1부재(10)의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에 복수의 제1결합홈(21)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20)와; 제1결합부(20)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제1결합홈(21)에 삽입되는 외치(31)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복수의 내치(32)가 형성되는 탄성부재(30)와; 제2부재(50)에 형성되어 스플라인 결합시 탄성부재(30)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탄성부재(30)의 내치(32)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42)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40)로 이루어져, 스플라인 결합시 스플라인의 조립공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유격량을 보정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하여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스플라인 결합구조{STRUCTURE OF SPLINE COMBINATION}
본 발명은 스플라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사용되는 스플라인 결합에 있어서, 스플라인 결합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탄성부재를 삽입하여 스플라인의 조립시 조립공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유격량을 보정하고,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하여 회전시 유격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스플라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power steering system)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파워어시스트를 하는 장치를 말하며, 이러한 파워 스티어링에 사용되는 스플라인 결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토크리미터(2 : Torque limiter)와 연결된 모터축과 웜감속기(3)의 웜축(3a)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스플라인 결합(4)은 모터축과 연결된 제1부재(4a)와 웜축(4b)에 연결된 제2부재(4b)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재(4a)는 그 내주면에 복수의 스플라인홈을 형성하고 제2부재(4b)는 그 외주면에 제1부재(4a)의 스플라인홈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플라인돌기를 형성하여, 제1부재(4a)와 제2부재(4b)가 결합시 제1부재(4a)의 스플라인홈에 제2부재(4b)의 스플라인돌기가 삽입되어 모터(1)의 축으로 전달된 동력을 웜축(3a)에 전달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스플라인 결합구조는 스플라인의 조립시 발생되는 조립공차량에 의해서 제1부재의 스플라인홈과 제2부재의 스플라인돌기 간에 유격량이 발생되어 모터로부터 웜감속기로 동력을 전달시 제1부재의 스플라인홈에 제2부재의 스플라인돌기가 서로 부딪치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플라인 결합시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스플라인의 조립시 조립공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유격량을 보정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하여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스플라인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주면에 스플라인홈이 형성된 제1부재와, 외주면에 스플라인돌기가 형성된 제2부재를 스플라인 결합시킴에 있어서, 제1부재의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에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제1결합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외치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복수의 내치가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제2부재에 형성되어 스플라인 결합시 탄성부재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탄성부재의 내치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결합부의 제1결합홈과 제2결합부의 제2결합홈은 탄성부재의 외치와 내치가 각각 결합시 유격을 형성하되, 유격은 제1부재의 스플라인홈과 제2부재의 스플라인돌기의 조립을 위하여 형성된 조립공차량보다 작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스플라인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인 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플라인 결합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부재 11 : 스플라인홈
20 : 제1결합부 21 : 제1결합홈
30 : 탄성부재 31 : 외치
32 : 내치 40 : 제2결합부
41 : 제3결합홈 50 : 제2부재
51 : 스플라인돌기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인 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라인 결합에서 발생하는 유격량을 보정하는 스플라인 결합구조는 제1부재(10)의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결합부(20)와, 제1결합부(20)에삽입되는 탄성부재(30)와, 제2부재(50)에 형성되어 탄성부재(30)에 삽입되는 제2결합부(40)로 구성된다.
제1부재(10)의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결합부(20)는 내주면에 복수의 제1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30)가 삽입되는데, 제1결합부(20)에 삽입되는 탄성부재(3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는 제1결합부(20)의 제1결합홈(21)에 삽입되는 외치(3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는 복수의 내치(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0)는 그 재질이 고무, 우레탄 등 탄성력을 가진 것으로, 탄성부재(30)의 내측에는 제2부재(50)에 형성된 제2결합부(40)가 삽입되며, 제2결합부(40)는 그 외주면에 탄성부재(30)의 내치(32)와 결합하기 위하여 제2결합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20)에 탄성부재(30)를 삽입함으로써 제1결합부(20)의 제1결합홈(21)에 탄성부재(30)의 외치(31)를 결합시킨후 제2부재(50)를 제1부재(10)에 삽입시켜 제2부재(50)의 스플라인돌기(51)가 제1부재(10)의 스플라인홈(11)에 결합되도록 하여 스플라인 결합한다. 이 때 제2부재(50)에 형성된 제2결합부(40)의 제2결합홈(41)에 탄성부재(30)의 내치(32)가 삽입됨으로써 제2결합부(40)와 탄성부재(30)가 결합된다.
동력전달시 제1결합부(20)의 제1결합홈(21)과 제2결합부(40)의 제2결합홈(41)에 탄성부재(30)의 외치(31)와 내치(32)가 각각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이 후 제2부재(50)의 스플라인돌기(51)가 제1부재(10)의 스플라인홈(11)의 측면에 밀착되므로 제1부재(10)의 스플라인홈(11)에 제2부재(50)의 스플라인돌기(51)가 충돌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제1부재(10)와 제2부재(50)의 조립을 위하여 형성된 조립공차량에 의한 소음이 감소된다.
제1결합부(20)의 제1결합홈(21)과 제2결합부(40)의 제2결합홈(41)은 탄성부재(30)의 외치(31)와 내치(32)가 각각 결합시 소정의 폭을 가진 유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0)의 제1결합홈(21)의 폭(L1)이 탄성부재(30)의 외치(31)의 폭(L1')보다 크게 형성되어 L1-Ll'의 유격이 발생한다. 또한, 제2결합부(40)의 제2결합홈(41)의 폭(L2)이 탄성부재(30)의 내치(32)의 폭(L2')보다 크게 형성되어 L2-L2'의 유격이 발생한다.
이러한 유격(L1-Ll',L2-L2')은 제1부재(10)의 스플라인홈(11)과 제2부재(50)의 스플라인돌기(51)의 조립을 위하여 형성된 조립공차량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결합부(20), 탄성부재(30) 및 제2결합부(40)의 결합시 유격((L1-Ll',L2-L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결합부(20), 탄성부재(30) 및 제2결합부(40)의 결합이 용이해지며, 이러한 유격(L11,L22)이 제1부재(10)의 스플라인홈(11)과 제2부재(50)의 스플라인돌기(51)의 조립을 위하여 형성된 조립공차량보다 작도록 형성됨으로써 동력전달시 우선적으로 제1 및 제2결합부(20,40)의 각각의 제1 및 제2결합홈(21,41)에 탄성부재(30)의 외치(31)와 내치(32)가 각각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이 후 제1부재(10)가 제2부재(50)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스플라인 결합시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스플라인의 조립시 조립공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유격량을 보정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함으로써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인 결합구조는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스플라인 결합시 스플라인의 조립공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유격량을 보정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하여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인 결합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내주면에 스플라인홈이 형성된 제1부재와, 외주면에 스플라인돌기가 형성된 제2부재를 스플라인 결합시킴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에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외치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복수의 내치가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형성되어 스플라인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내치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인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의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부의 제2결합홈은 상기 탄성부재의 외치와 내치가 각각 결합시 유격을 형성하되, 상기 유격은 상기 제1부재의 스플라인홈과 상기 제2부재의 스플라인돌기의 조립을 위하여 형성된 조립공차량보다 작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인 결합구조.
KR10-2000-0083284A 2000-12-27 2000-12-27 스플라인 결합구조 KR100439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284A KR100439758B1 (ko) 2000-12-27 2000-12-27 스플라인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284A KR100439758B1 (ko) 2000-12-27 2000-12-27 스플라인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588A KR20020053588A (ko) 2002-07-05
KR100439758B1 true KR100439758B1 (ko) 2004-07-12

Family

ID=2768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284A KR100439758B1 (ko) 2000-12-27 2000-12-27 스플라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7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588A (ko) 200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8852B2 (ja) 軸連結機構
KR101034681B1 (ko) 차량 시트용 트랜스미션 장치
US10738834B2 (en) Joint for torque transmission and worm reduction gear
JP3887762B2 (ja) 波動歯車装置
JP2011102610A (ja) 軸連結機構
KR100439758B1 (ko) 스플라인 결합구조
EP3567277B1 (en) Drive element with an overload coupl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drive and also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such a drive element
CN113258728B (zh) 一种可变转矩式过载保护装置及其防过载电机
JP5733372B2 (ja) 軸連結機構
JP2004068943A (ja) 軸継手
JPH1061677A (ja) クラッチの同期装置
JP3891646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トルクリミッター介装部の歯車取付け構造
JP5003637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KR100214986B1 (ko) 유격방지용 유니버셜 조인트
KR200149925Y1 (ko) 볼조인트
KR100384319B1 (ko) 유니버셜 조인트 구조
KR101983797B1 (ko) 클러치 기능을 갖는 모션블록의 동력 전달 구조
KR20190025203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와 모터 샤프트의 결합구조
KR100707005B1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조인트
JPH04362346A (ja) 動力伝達用緩衝ギヤ
JPS5936737Y2 (ja) 軸接手
KR200332341Y1 (ko) 구동력 전달 기어 구조체
KR100514475B1 (ko)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써클립
JPH03292417A (ja) 内面スプラインへの係合キー付軸装置
KR20030027285A (ko)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리미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