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478B1 -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478B1
KR100439478B1 KR10-2001-0083486A KR20010083486A KR100439478B1 KR 100439478 B1 KR100439478 B1 KR 100439478B1 KR 20010083486 A KR20010083486 A KR 20010083486A KR 100439478 B1 KR100439478 B1 KR 100439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leaning
cleaned
metal film
film de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3307A (ko
Inventor
안교준
배병부
Original Assignee
동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478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88Constructional details of particle beam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rangement, mounting, housing, environment; special provision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the vacuum, e.g. vacuum l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HNO3, H2O2등과 같은 강한 부식성 케미컬의 적절한 배합기준과 함께, 금속박막의 제거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일련의 실드 세정 레시피(Recipe)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실드 세정에 필요한 개별 절차가 일정 패턴으로 규정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자 이외의 다수의 작업자가 일정 품질 이상의 실드 세정공정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전체적인 실드 세정공정이 일정 패턴으로 규정화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실드세정 작업시간은 크게 단축될 수 있으며, 실드 세정공정의 재연성 또한 대폭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Method for cleaning a shield of a metal film deposi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금속막 증착설비에 사용되는 실드(Shield)의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HNO3, H2O2등과 같은 강한 부식성 케미컬의 적절한 배합기준과 함께, 금속박막의 제거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일련의 실드 세정 레시피(Recipe)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실드 세정에 필요한 개별 절차가 일정 패턴으로 규정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자 이외의 다수의 작업자가 일정 품질 이상의 실드 세정공정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제조관련 연구가 급진전되면서, 예컨대, 플라즈마 스퍼터링 설비(Plasma sputtering equipment)와 같은 금속막 증착설비 또한 빠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금속막 증착설비는 크게, 프로세스 챔버(1)와, 이 프로세스 챔버(1)의 상부에 배치되는 타켓 홀더(2)와, 이 타겟 홀더(2)와 마주본 상태로, 프로세스 챔버(1)의 저부에 배치되는 웨이퍼 히터(5)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타겟 홀더(2)는 일련의 금속 타겟(4)을 홀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웨이퍼 히터(5)는 금속막 증착 공정에 투입된 공정대상 웨이퍼(6)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타겟 홀더(2) 및 금속 타겟(4) 사이에는 예컨대, 영구자석, 전자석 등이 장착된 자성 플레이트(3)가 더 배치된다. 이러한 자성 플레이트(3)는 프로세스 챔버(1) 내부에 생성되는 플라즈마의 밀도 증가를 유도함으로써, 최종 완성되는 금속막이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챔버(1)의 내부에는 프로세스 챔버(1)의 벽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예컨대, 스테인레스강(SUS:Stainless steel) 재질의 실드(7)가 더 장착되는 바, 이 실드(7)는 프로세스 챔버(1)의 내벽과 공정진행 공간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예컨대, 공정대상 웨이퍼(6)쪽으로 증착되는 타겟 금속이온들(I)이 프로세스 챔버(1)의 내벽에 불필요하게 증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프로세스 챔버(1)의 예측하지 못한 손상을 미리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금속막 증착설비에서, 앞의 실드(7)는 타겟 금속이온들(I)이 프로세스 챔버(1)의 내벽에 증착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정 시일이 경과하면, 그 표면에 일정 두께의 금속박막이 두껍게 쌓이는 현상을 보일 수밖에 없게 된다.
만약, 이러한 실드(7)를 별도의 조치 없이,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예상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 이러한 실드(7)를 주기적으로 교체함과 아울러, 노후한 실드(7)는 일련의 세정공정을 통해 세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드(7)에 도포된 금속박막은 실드(7) 모재와의 결합도가 예상외로 강하기 때문에, HNO3, H2O2등과 같은 강한 부식성 케미컬을 사용하여야만 제거시킬 수 있으며, 그 제거시간도 필요 이상으로 길어진다.
더욱이, 앞의 HNO3, H2O2등과 같은 강한 부식성 케미컬은 인체에 매우 유해하기 때문에, 그 취급, 배합률 조절 등이 매우 어려우며,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작업에 익숙한 소수의 숙련자 이외에는 일련의 실드 세정공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없다.
만약, 숙련자 이외의 다른 작업자가 실드 세정공정을 진행하여, HNO3가 너무 많게 배합되는 경우, 일련의 부식과정이 필요이상으로 과잉 진행되어, 실드 모재가 크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HNO3가 너무 적게 배합되는 경우, 일련의 부식과정이 결핍 진행되어, 실드(7)에 형성된 금속박막이 일련의 세정공정 후에도, 부분적으로 잔류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숙련자들은 대부분 자신의 경험에 의존하여, 부식성 케미컬의배합률을 결정하기 때문에, 숙련자 이외의 다른 작업자들은 실드 세정공정에 참여하기가 더욱 힘들 수밖에 없으며, 결국, 소수의 숙련자들에게 실드 세정작업이 집중될 수밖에 없음으로써, 종래에서는 전체적인 실드 세정공정의 운영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HNO3, H2O2등과 같은 강한 부식성 케미컬의 적절한 배합기준과 함께, 금속박막의 제거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일련의 실드 세정 레시피(Recipe)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실드 세정에 필요한 개별 절차가 일정 패턴으로 규정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자 이외의 다수의 작업자가 일정 품질 이상의 실드 세정공정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드 세정공정을 일정 패턴으로 규정화 함으로써, 전체적인 실드 세정 작업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실드 세정공정의 재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금속막 증착설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세정대상 실드를 케미컬을 이용하여 에칭하는 단계와, 세정대상 실드를 순차적으로 1차 세정·건조한 후, 건조 완료된 세정대상 실드를 1차 폴리싱하는 단계와, 1차 폴리싱 완료된 세정대상실드를 비드(Bead)처리 하는 단계와, 비드처리 완료된 세정대상 실드를 2차 폴리싱하는 단계와, 2차 폴리싱 완료된 세정대상 실드를 순차적으로 2차 세정·건조한 후, 건조 완료된 세정대상 실드를 베이킹하는 단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서는 노후한 세정대상 실드를 금속막 증착설비로부터 언로딩시킨 후, 언로딩 완료된 세정대상 실드를 검사하여, 해당 세정대상 실드에 증착된 금속박막의 종류를 파악한 다음, 세정대상 실드를 에칭베쓰(Etching bath)에 침지시켜, 케미컬을 이용한 에칭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
이때, 세정대상 실드에 증착된 금속박막이 예컨대, Ti 또는 TiN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에칭용 케미컬로 H2O2+H2O+HNO3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 경우, H2O2+H2O+HNO3혼합물은 22%:55%:22%의 혼합비를 유지한다.
다른 예로, 세정대상 실드에 증착된 금속박막이 Al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에칭용 케미컬로 H2O2+H2O+HNO3의 혼합물 또는 H2O+KOH 혼합물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이 경우, H2O2+H2O+HNO3혼합물은 4:2:2의 혼합비를 유지하며, H2O+KOH 혼합물은 20:1의 혼합비를 유지한다.
상술한 에칭과정은 세정대상 실드에 증착된 금속박막이 Ti 또는 TiN인 경우,8시간~10시간, 좀더 바람직하게는 9시간동안 진행되며, 세정대상 실드에 증착된 금속박막이 Al인 경우, 47시간~49시간, 좀더 바람직하게는 48시간 동안 진행된다.
앞의 과정을 통해, 일련의 에칭과정이 마무리되면, 본 발명에서는 세정대상 실드를 클리닝 베쓰(Cleaning bath)에 침지시킨 후, 순수(DI water)를 오버플로우(Over-flow)시켜, 세정대상 실드를 1차 클리닝한다(단계 S2). 이러한 1차 클리닝 과정은 20분~40분, 바람직하게, 30분 동안 진행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1차 세정이 완료된 세정대상 실드를 드라이 챔버에 탑재시킨 후, 이 드라이 챔버 내부로 드라이 가스, 예컨대, N2가스를 유입시켜, 세정대상 실드를 1차 건조시킨다(단계 S3). 이러한 1차 건조과정은 35분~45분, 바람직하게, 40분 동안 진행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1차 세정·건조과정이 마무리되면, 본 발명에서는 세정대상 실드를 예컨대, CMP 설비와 같은 폴리싱 설비에 탑재시킨 후, 일련의 1차 폴리싱 공정을 진행시켜, 세정대상 실드에 부착되어 있는 얼룩, 이물질 등을 추가로 제거한다(단계 S4). 이러한 1차 폴리싱 과정은 25분~35분, 바람직하게, 30분 동안 진행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서는 1차 폴리싱 과정이 완료된 세정대상 실드를 스테이지에 탑재시킨 후, 이 세정대상 실드로 "몰"과, "모래"가 섞인 비드(Bead)를 예컨대, 80psi 정도의 힘으로 강하게 불어, 앞의 에칭과정 하에서도, 제거되지 않은 잔여 금속박막을 추가로 제거한다(단계 S5). 이러한 비드처리 과정은 95분~105분, 바람직하게 100분 동안 진행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세정대상 실드를 예컨대, CMP 설비와 같은 폴리싱 설비에 탑재시킨 후, 일련의 2차 폴리싱 공정을 진행시켜, 세정대상 실드의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시킨다(단계 S6). 이러한 2차 폴리싱 과정역시, 앞의 1차 폴리시 과정과 마찬가지로, 25분~35분, 바람직하게, 30분 동안 진행된다.
그 다음에, 본 발명에서는 세정대상 실드를 클리닝 베쓰에 침지시킨 후, 클리닝 용수(Water)를 오버플로우시켜, 세정대상 실드를 2차 클리닝하고, 이를 통해, 세정대상 실드에 부착되어 있던 비드분진, 파티클 등을 제거한다(단계 S7). 이러한 2차 클리닝 과정은 35분~45분, 바람직하게, 40분 동안 진행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이전공정에 사용된 클리닝 용수를 배수한 후, 클리닝 베쓰에 담겨진 세정대상 실드로 순수를 오버플로우시켜, 세정대상 실드를 3차 클리닝하고, 이를 통해, 세정대상 실드에 부착되어 있던 잔여 이물질을 제거한다(단계 S8). 이러한 3차 클리닝 과정은 115분~125분, 바람직하게, 120분 동안 진행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2차 폴리싱 과정, 2,3차 클리닝 과정 등이 모두 마무리되면, 본 발명에서는 세정대상 실드를 드라이 챔버에 탑재시킨 후, 이 드라이 챔버 내부로 드라이 가스, 예컨대, N2가스를 유입시켜, 세정대상 실드를 2차 건조시키고, 이를 통해, 세정대상 실드에 잔류하는 수분, 얼룩 등을 제거한다(단계 S9). 이러한 2차 건조과정은 25분~35분, 바람직하게, 30분 동안 진행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세정대상 실드를 베이킹 오븐에 탑재시킨 후, 해당베이킹 오븐 내부의 온도를 예컨대, 100℃ 이상으로 올림으로써, 세정대상 실드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세정대상 실드의 표면을 안정화시킨다(단계 S10).
이러한 베이킹 과정이 마무리되면, 본 발명에서는 세정대상 실드의 표면을 검사하여, 해당 세정대상 실드의 변형유무를 확인한 후, 정상임이 확인된 세정대상 실드를 캐리어 박스(Carrier box)에 실어, 보관창고로 운반한다(단계 S11).
이후, 본 발명에서는 일련의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의 세정시점이 도래할 때마다, 앞의 각 단계 S1~S11을 동일 스텝으로 반복함으로써, 전체적인 실드의 세정효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HNO3, H2O2등과 같은 강한 부식성 케미컬의 적절한 배합기준과 함께, 금속박막의 제거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일련의 실드 세정 레시피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실드 세정에 필요한 개별 절차가 일정 패턴으로 규정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자 이외의 다수의 작업자가 일정 품질 이상의 실드 세정공정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전체적인 실드 세정공정이 일정 패턴으로 규정화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실드세정 작업시간은 크게 단축될 수 있으며, 실드 세정공정의 재연성 또한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세정대상 실드를 케미컬을 이용하여 에칭하는 단계와;
    상기 세정대상 실드를 순차적으로 1차 세정·건조한 후, 건조 완료된 세정대상 실드를 1차 폴리싱하는 단계와;
    1차 폴리싱 완료된 상기 세정대상 실드를 비드(Bead)처리 하는 단계와;
    비드처리 완료된 상기 세정대상 실드를 2차 폴리싱하는 단계와;
    2차 폴리싱 완료된 상기 세정대상 실드를 순차적으로 2차 세정·건조한 후, 건조 완료된 세정대상 실드를 베이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은 H2O2+H2O+HNO3의 혼합물 또는 H2O+KOH 혼합물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H2O2+H2O+HNO3혼합물은 22%:55%:22%의 혼합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H2O2+H2O+HNO3혼합물은 4:2:2의 혼합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H2O+KOH 혼합물은 20:1의 혼합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1·2차 세정/건조 단계는 순수(DI water) 및 N2가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 단계는 100℃ 이상의 온도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KR10-2001-0083486A 2001-12-22 2001-12-22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KR100439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486A KR100439478B1 (ko) 2001-12-22 2001-12-22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486A KR100439478B1 (ko) 2001-12-22 2001-12-22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307A KR20030053307A (ko) 2003-06-28
KR100439478B1 true KR100439478B1 (ko) 2004-07-09

Family

ID=2957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486A KR100439478B1 (ko) 2001-12-22 2001-12-22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43B1 (ko) 2017-12-11 2019-06-12 주식회사 싸이노스 금속부재의 클리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05B1 (ko) * 2010-11-03 2011-02-17 주식회사 삼주기업 화단보호용 시선유도표시대
KR102116275B1 (ko) * 2013-10-31 2020-05-29 주성엔지니어링(주) 쉴드부, 기판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기판처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741A (ko) * 1992-08-27 1994-03-15 제임스 조셉 드롱 진공 부식 챔버 및 진공 부식 챔버의 교체가능한 부분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KR19980065607A (ko) * 1997-01-13 1998-10-15 김광호 반도체장치 제조용 알미늄 쉴드의 타타늄화합물 세정액
JP2000246198A (ja) * 1999-02-26 2000-09-12 Nec Kansai Ltd 治具表面の付着物剥離除去および洗浄方法
KR20010046787A (ko) * 1999-11-15 2001-06-15 윤종용 금속 증착용 쉴드 및 챔버의 세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741A (ko) * 1992-08-27 1994-03-15 제임스 조셉 드롱 진공 부식 챔버 및 진공 부식 챔버의 교체가능한 부분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KR19980065607A (ko) * 1997-01-13 1998-10-15 김광호 반도체장치 제조용 알미늄 쉴드의 타타늄화합물 세정액
JP2000246198A (ja) * 1999-02-26 2000-09-12 Nec Kansai Ltd 治具表面の付着物剥離除去および洗浄方法
KR20010046787A (ko) * 1999-11-15 2001-06-15 윤종용 금속 증착용 쉴드 및 챔버의 세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43B1 (ko) 2017-12-11 2019-06-12 주식회사 싸이노스 금속부재의 클리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307A (ko) 200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946B2 (en) Cleaning process residues from substrate processing chamber components
CN107946163B (zh) 将氧化钇化学转化为氟化钇及氟氧化钇以发展用于等离子体部件的预处理的抗腐蚀涂层
JP5258873B2 (ja) 電極組立体から表面の金属汚染を洗浄する方法
US201702327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Semiconductor Fabrication Equipment Parts
US20110265821A1 (en) Techniques for maintaining a substrate processing system
KR101118004B1 (ko) 석영 유리 표면을 마감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컴포넌트
JP3308091B2 (ja) 表面処理方法およびプラズマ処理装置
US6699375B1 (en) Method of extending process kit consumable recycling life
KR101037530B1 (ko) 양극처리된 챔버 부품 회복을 위한 습식 세정 처리
US20160237570A1 (en) Gas delivery apparatus for process equipment
US20070032072A1 (en) Nucleation layer deposition on semiconductor process equipment parts
KR100439478B1 (ko) 금속막 증착설비용 실드 세정방법
JP2001179080A (ja) 低金属汚染の基板処理用部材
US5868853A (en) Integrated film etching/chamber cleaning process
US8398779B2 (en) Non destructive selective deposition removal of non-metallic deposits from aluminum containing substrates
KR20240068623A (ko) 프로세스 챔버 구성요소들에 대한 진보된 배리어 니켈 산화물(bnio) 코팅 개발
KR20060095018A (ko) 금속 증착챔버의 실드 세정방법
JP2000016821A (ja) 半導体ウエーハ処理用治具の製作方法及び治具
US20080118412A1 (en) Coated aluminum material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KR20230049317A (ko) 희토류 산화물 코팅층의 가공방법
CN117813670A (zh) 用于处理腔室部件的先进阻挡氧化镍(BNiO)涂层形成
KR100577606B1 (ko) 반도체 설비의 백업 방법
KR20100074493A (ko) 더미 웨이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80060062A (ko) 반도체 제조 장치의 시스닝 공정을 위한 테스트 웨이퍼 제조 방법
KR20060102174A (ko)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를 위한 챔버의 쉴드 세정장치 및세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