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385B1 -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385B1
KR100437385B1 KR10-2001-0049097A KR20010049097A KR100437385B1 KR 100437385 B1 KR100437385 B1 KR 100437385B1 KR 20010049097 A KR20010049097 A KR 20010049097A KR 100437385 B1 KR100437385 B1 KR 100437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lever
initial position
hall sensor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052A (ko
Inventor
김일신
서창환
안시연
김성욱
권오철
이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4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3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제빙기의 이빙레버가 초기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정상적인 제빙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량에 따라서 이빙레버의 초기위치가 회로적으로 감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검빙레버에 의한 만빙감지도 검빙레버의 이동량에 따라서 회로적으로 감지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감지 구성에 의해서 이빙레버의 초기위치를 감지하여, 정상적인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l position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제빙기의 이빙레버가 정상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정상적인 제빙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빙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이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제빙기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은 제빙기는, 제빙용기(12)에서 상부로 연장 성형되어 있는 연결브라켓(2a,2b)를 이용하여 냉동실의 벽면에 고정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연결브라켓(2a,2b)에 형성된 구멍을 이용하여 체결스크류로 냉동실의 벽면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빙기는, 제빙을 위한 물을 담아서 일정한 형상의 얼음으로 만들기 위한 제빙용기(12)는, 단면이 반달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알미늄으로 성형된다. 상기 제빙용기(12)로의 물의 공급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급수튜브연결부(4)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빙용기(12)의 상부에는 이빙레버(14)가 설치된다. 상기 이빙레버(14)는 케이싱(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빙용기(12)에서 완전하게 제빙된 얼음을 제빙용기의 외부로 취출하기 위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빙용기(12)의 하부에는 완성된 얼음이 상기 제빙용기(12)에서 분리되도록 소량의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1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일정시간동안 냉기가 공급되어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히터(15)가 발열하여 제빙용기(12)에 붙어 있는 얼음을 이격시키게 된다. 이렇게 이격되는 반달형 얼음은, 상기 이빙레버(14)의 회전에 의하여 제빙용기(1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되는 얼음은, 하방에 위치하는 얼음저장용기(도시 생략)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분리되는 얼음이, 다시 상기 제빙용기(12)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용기(12)의 전방측 상면에는 스트리퍼(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얼음을 제빙용기(12)에서 분리하기 전에, 하부에 있는 얼음저장용기에 얼음이 가득차 있는가의 여부는 검빙레버(16)에 의하여 감지된다. 상기 검빙레버(16)는, 상기 케이싱(20)의 내부에 있는 모터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하부의 얼음저장용기에 얼음이 가득차 있는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스트리퍼(6)는 전면판(18)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되면서 복수개의 가지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스트리퍼(6) 사이에는, 상술한 이빙레버(14)가 회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제빙용기(12)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판(18)은, 제빙용기(12)가 위치한 높이에서 하방으로 일정하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면판(18)은, 실질적으로 그 하방에 있는 얼음저장용기에 집합된 얼음이 상기 제빙용기(12)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즉 제빙용기(12) 하방에 위치하는 얼음저장용기에 쌓여 있는 얼음이, 제빙용기(12)에 접촉하게 되면 얼음이 붙게 되거나, 이빙과정에서 제빙용기(12) 하부에 설치되는 히터(15)의 발열에 의하여 녹게 되는데, 이렇게 녹은 물은 히터가 오프된 후 다시 얼게 되어 전체적인 얼음이 들어붙게 되거나 엉키게 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판(18)을 제빙용기(12)에서 수직 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성형하는 평판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기 자체는, 냉장고의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냉동실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에 의하여, 상기 제빙용기(12) 내부의 물이 얼음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냉동실 내부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냉기가 공급된다고 할 때, 이러한 냉기는 상기 전면판(18)의 후방을 통하여 제빙용기(1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제빙용기(12)를 저온화시키게 되고 제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빙과정에서 상기 히터(15)에서는 열이 발생하게 된다. 히터(15)가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는, 일정 시간 발열하여, 제빙용기(12)에 있는 얼음이 이빙되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발열이 정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일 상기 히터(15)가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면 발열이 지속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발열이 지속되면 냉장고의 냉동실 성능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제빙기의 이빙동작은 제빙용기(12)의 온도를 감지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되지는 않고 있지만, 상기 제빙용기(12)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감지소자의 감지온도에 따라서 제빙이 완료됨을 감지한 후, 히터의 발열을 제어하면서 이빙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제빙기에서는 이빙레버(14)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래서 이빙레버(14)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와 무관하게 제빙용기(12)로 물을 공급하여 제빙을 행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의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상기 이빙레버(14)의 위치를 무시하고, 제빙을 행하기 때문에, 상기 이빙레버(14)가 제빙용기(12)가 형성하고 있는 공간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이빙레버(14)가 물과 같이 제빙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런 경우, 제빙이 완료된 후, 이빙을 수행하고자 할 때, 물과 함께 얼어버린 이빙레버(14)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면서 이빙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이빙레버(14)가 물과 함께 얼어버림으로 인하여,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이빙레버(14)가 강제로 구속되면서 모터가 정상적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제빙기는 이빙레버(14)의 초기위치에 따른 제어가 수행되지 못하므로서, 정상적인 제빙과 이빙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빙기의 이빙레버를 초기위치에 있도록 제어하여, 정상적인 제빙과 이빙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도 1b는 일반적인 제빙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케이싱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빙레버의 초기 위치 검사를 위한 동작 흐름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 : 이빙레버 16 : 검빙레버
30 : 모터 36 : 캠
39 : 암레버 45 : 연장부
48 : PCB 51 : 회전축
53,62 : 홀센서 55,56,65 : 마그네트
59 : 기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제어장치는,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받는 제빙용기와; 상기 제빙용기에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이빙레버와; 상기 이빙레버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이빙레버가 제빙용기의 내부공간을 벗어난 곳에 위치했을 때, 상기 마그네트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센서의 감지신호로부터 이빙레버의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이빙레버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홀센서의 초기위치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홀센서로부터 초기위치 감지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서 제빙동작과 이빙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제빙용기에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이빙레버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네트1와, 소정범위에서 회전하면서 만빙을 감지하는 검빙레버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네트2와, 상기 마그네트1이 특정 위치에 왔을 때, 이빙레버 초기위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홀센서1와, 상기 마그네트2가 특정 위치에 왔을 때 만빙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홀센서2를 구비하고, 냉동실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냉기에 의하여 제빙을 수행하는 제빙기에 있어서: 이빙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이빙레버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단계와; 상기 이빙레버의 회전시간을 계수하는 시간계수단계와; 상기 소정시간 이내에 상기 홀센서1로부터 이빙레버의 초기위치 감지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의 조건이 만족되면, 이빙레버의 초기위치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홀센서2로부터 만빙감지신호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에서 만빙감지신호가 감지되지 않았을 때, 상기 과정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제업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빙기에서 이빙레버의 위치 감지를 위한 케이싱(20)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도 제빙기의 구성은 도 1을 그대로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빙레버의 위치 감지를 홀 센서와 마그네트를 이용하고 있다. 즉, 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59)의 일단부에 마그네트(56)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59)가 장착되는 PCB(48)의 일단부에 홀센서1(53)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기어(59)의 회전축(51)과 동일축 상에 이빙레버(14)가 장착되어진다.
즉, 상기 기어(59)의 회전량 만큼 상기 이빙레버(14)도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3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기어(59)의 일단부에 장착된 마그네트1(56)가 홀센서1(53)의 감지위치에 왔을 때, 상기 홀센서1(53)에서이빙레버(14)의 초기위치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홀센서1(53)와 마그네트1(56)의 장착위치는, 상기 이빙레버(14)의 초기위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부분 상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어(59)의 회전축(51)에는 캠(36)이 장착되고 있다. 상기 캠(36)도 상기 회전축(51)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캠(36)의 회전량은 검빙레버(16)의 상하이동을 위한 암레버(39) 측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것은 상기 검빙레버(16)와 연동하는 연장부(46)의 일측이 상기 암레버(39)의 이동량만큼 회동되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장부(46)의 일측에는 마그네트2(65)가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2(65)의 위치 검출을 위한 홀센서2(62)가 PCB(48)의 일부분에 설치되어지며, 상기 홀센서2(62)는 상기 검빙레버(16)가 만빙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2(65)가 상기 홀센서2(62)의 감지위치에 도착했을때, 상기 홀센서2(6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고, 이것은 만빙여부를 확인하는 신호가 된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에서 이빙레버의 위치 감지를 위한 제어 구성도이다.
홀센서1(53)는, 이빙레버(14)가 초기위치에 위치했을 때,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기 홀센서1(53)는 마그네트1(56)를 감지했을 때, 초기위치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초기위치라 함은, 이빙레버(14)가 제빙용기(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고, 도 1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그 상부의 특정 위치를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이빙레버(14)의 초기위치를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제빙용기(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든지 초기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홀센서2(62)는, 검빙레버(16)가 만빙위치에 위치했을 때,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기 홀센서2(62)는, 마그네트2(65)를 감지했을 때,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홀센서1(53)에서 출력하는 초기위치 감지신호는 제어부(70)에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홀센서1(5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해서 이빙레버(14)의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홀센서2(62)에서 출력하는 감지신호도 상기 제어부(70)에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홀센서2(6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해서 만빙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두개의 홀센서1,2(53,62)는 하나의 제어기판(PCB)(48) 상에 장착되어져서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상기 제어부(70)도 동일 제어기판 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홀센서1,2에 의한 신호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홀센서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는 홀센서전원공급부(72)를 통해서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구성은, 상기 모터(30)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74)와, 급수튜브연결부(4)를 통해서 상기 제빙용기(12)로 물을 공급할 때,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는 급수구동부(76)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부호 78은 필요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시간 계수부이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빙기에서 이빙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동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에서 이빙레버의 위치 감지를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제빙기에 전원이 공급되어지면, 제어부(70)는 홀센서전원공급부(72)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제어기판(54)에 설치된 홀센서1,2(53,62)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제 100 단계). 상기 제 100 단계의 제어로 상기 홀센서1,2에 전원이 공급되어, 마그네트1,2를 감지할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된다.
다음, 제어부(70)는 홀센서2(62)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었는지를 우선 확인한다(제 110 단계).
본 발명의 제빙기에서 상기 만빙감지는, 검빙레버(16)의 상하이동에 의해서 감지하고 있다. 상기 검빙레버(16)의 상하이동은 모터(30)의 동력을 전달받은 기어(59)가 회전될 때, 상기 기어(59)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캠(36)의 회전량이 암레버(39)를 통해서 검빙레버(16) 측으로 전달되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빙기의 하부 측에 장착되어질 얼음그릇(도시하지 않음)에 얼음이 만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캠(36)의 회전량만큼 상부 이동되어진 검빙레버(16)가 도 5b에 위치할 때, 홀센서2(62)에서 마그네트2(65) 감지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캠(36)의 회전량이 끝나는 위치{암레버(39)가 캠(36)을 벗어날 때}에서 검빙레버(16)는 다시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하부로 복귀되어진다.즉, 만빙이 아닌 경우, 상기 홀센서2(62)에서 마그네트2(65)를 감지하여,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소정시간 이내에서 끝나버린다.
이와 같은 만빙감지를 이한 검빙레버(16)의 상하이동 동작은, 이빙동작을 위해 모터(30)의 동력이 발생될 때,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얼음이 만빙상태인 경우에는 상부로 이동되어진 상기 검빙레버(16)가 이빙동작에 따른 기어의 회전이 종료된 후에도 계속해서 도 5b에 도시되고 있는 위치에 머물게 된다. 이때, 상기 홀센서2(62)에서 마그네트2(65)를 감지한 신호는 소정시간 이상동안 계속해서 출력된다. 따라서 제어부(70)는 상기 홀센서2(62)의 계속되는 감지신호에 의해서 만빙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10 단계는, 홀센서2(62)의 감지신호로부터 만빙이 감지된 경우에서는 더 이상 제빙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함이다. 즉, 제빙된 얼음을 담는 얼음그릇이 얼음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제빙을 수행하더라도 제빙된 얼음이 얼음그릇 밖으로 떨어져버릴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제 120 단계).
그러나 상기 제 110 단계에서 만빙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될 때, 제어부(70)는 홀센서1(53)에서 이빙레버(14)의 초기위치를 감지했는지를 판단한다(제 130 단계). 즉, 홀센서1(53)에서 이빙레버(14)의 초기위치 감지에 따른 신호를 출력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이빙레버(14)의 위치는, 모터(30)의 회전에 같이 연동되어서 이루어진다. 즉, 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기어(59)가 회전할 때, 상기 기어(59)의회전축(51)을 동일축으로 해서 장착된 이빙레버(14)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어(59)의 일단부에는 마그네트1(56)이 장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59)의 회전량이 어느정도 되었을 때, 상기 마그네트1(56)가 홀센서1(53)에 의해서 검출되어진다. 이때, 홀센서1(53)는 초기위치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 130 단계에서 상기 홀센서1(53)에서 초기위치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빙레버(14)가 초기위치가 아닌 다른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이다. 만일, 이때 상기 이빙레버(14)가 제빙용기(12)의 공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물과 함께 제빙되어버릴 우려가 발생된다. 그렇기 때문에, 제어부(70)는 상기 제 130 단계에서 홀센서1(53)에 의한 이빙레버(14)의 초기위치 감지신호 검출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30 단계에서 홀센서1(53)로부터 초기위치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70)는 모터구동부(74)에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에 의해서 모터(30)가 구동되면, 기어(59)가 같이 회전되면서 이빙레버(14)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를 구동함과 동시에 시간 계수부(78)의 값을 초기화시킨 후, 모터 구동시간을 카운트한다(제 150 단계).
상기 제 150 단계에서 카운트되는 모터구동시간이 소정시간 이내에서 상기 홀센서1(53)로부터 마그네트1(56)의 감지에 따른 초기위치 감지신호가 출력되면(제 160 단계), 제어부(70)는 현재의 위치가 이빙레버(14)의 초기위치로 판단한다. 초기위치가 감지되는 동작상태를 도 5a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160 단계에서 설정되고 있는 소정시간은, 상기 이빙레버(14)가 1회전을 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약간의 보상값을 더 추가한 시간으로 설정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이빙레버(14)의 1회전시간은 약 3분으로 설정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소정시간은 약 4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상태에서라면 상기 제 160 단계에서 설정되고 있는 소정시간 이내에 이빙레버(14)가 1회전을 충분히 하기 때문에, 초기위치에서 가장 먼거리에 위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충분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60 단계에 의한 제어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소정시간 이내에 홀센서1(53)로부터 마그네트1(56)의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모터(30)의 구동에 의한 기어(59)가 정상적으로 회전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일 예로, 이빙레버(14)가 물과 함께 얼려져 있는 경우는, 상기 기어(59)의 회전이 구속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회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 160 단계에서 소정시간 이내에 이빙레버(14)의 초기위치가 감지되면, 제 140 단계에 의한 제빙공정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 제 160 단계에서 소정시간 이내에 이빙레버(14)의 초기위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 170 단계에 의한 이빙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제 170 단계에 의한 이빙공정은, 히터(도시하지 않음)의 열로 강제로 이빙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일 예로 이빙레버(14)가 물과 함께 얼려 있는 경우이다.
그리고 상기 제 140 단계에 의한 제빙공정으로 진행되어지면, 이빙레버(14)가 도 1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제빙용기(12)에서 형성되고 있는 공간범위를 벗어나고 있기 때문에, 물과 함께 제빙될 우려는 방지되어진다. 따라서 제어부(70)는 급수구동부(76)를 제어해서 제빙용기(12)로 물이 급수되도록 하고, 이후 제빙에 필요한 공정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량에 따라서 이빙레버의 초기위치가 회로적으로 감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검빙레버에 의한 만빙감지도 검빙레버의 이동량에 따라서 회로적으로 감지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감지 구성에 의해서 이빙레버의 초기위치를 감지하여, 정상적인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모터의 일정량 회전에도 불구하고 이빙레버의 초기위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이빙레버의 강제적인 구속으로 정상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감지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고장 표시 또는 이빙 및 제빙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는, 이빙레버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정상적인 제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소정량 회전에도 불구하고 이빙레버의 초기위치가 감지되지 않을 때, 모터의 강제 구속을 감지하고, 사용자 알림 표시를 수행하는등, 제빙기의 동작에 안전성을 높이고, 이상동작에 의한 부품 파손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받는 제빙용기와;
    상기 제빙용기에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이빙레버와;
    상기 이빙레버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이빙레버가 제빙용기의 내부공간을 벗어난 곳에 위치했을 때, 상기 마그네트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센서의 감지신호로부터 이빙레버의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빙레버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의 초기위치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홀센서로부터 초기위치 감지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서 제빙동작과 이빙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장치.
  4. 제빙용기에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이빙레버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네트1와, 소정범위에서 회전하면서 만빙을 감지하는 검빙레버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네트2와, 상기 마그네트1이 특정 위치에 왔을 때, 이빙레버 초기위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홀센서1와, 상기 마그네트2가 특정 위치에 왔을 때 만빙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홀센서2를 구비하고, 냉동실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냉기에 의하여 제빙을 수행하는 제빙기에 있어서:
    이빙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이빙레버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단계와;
    상기 이빙레버의 회전시간을 계수하는 시간계수단계와;
    상기 소정시간 이내에 상기 홀센서1로부터 이빙레버의 초기위치 감지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의 조건이 만족되면, 이빙레버의 초기위치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2로부터 만빙감지신호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에서 만빙감지신호가 감지되지 않았을 때, 상기 과정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KR10-2001-0049097A 2001-08-14 2001-08-14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 KR100437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97A KR100437385B1 (ko) 2001-08-14 2001-08-14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97A KR100437385B1 (ko) 2001-08-14 2001-08-14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052A KR20030015052A (ko) 2003-02-20
KR100437385B1 true KR100437385B1 (ko) 2004-06-25

Family

ID=2771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097A KR100437385B1 (ko) 2001-08-14 2001-08-14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0680A1 (en) * 2017-01-30 2018-08-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liquid dispens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4570A (ja) * 1990-09-14 1992-04-24 Toshiba Corp 自動製氷装置の製氷皿位置制御装置
JPH0658655A (ja) * 1992-08-05 1994-03-04 Toshiba Corp 自動製氷装置
US5329786A (en) * 1992-02-24 1994-07-19 Whirlpool Corporation Recoverable domestic ice maker
KR20000015691A (ko) * 1998-08-31 2000-03-15 전주범 자동제빙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00021981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자동 제빙기의 이빙모터 구동 방법
KR20000021980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자동 제빙기의 만빙 및 이빙에러 감지 방법
JP2001133095A (ja) * 1999-11-05 2001-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タのロータ検出装置並びに自動製氷機用給水装置及び該給水装置を用いた冷蔵庫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4570A (ja) * 1990-09-14 1992-04-24 Toshiba Corp 自動製氷装置の製氷皿位置制御装置
US5329786A (en) * 1992-02-24 1994-07-19 Whirlpool Corporation Recoverable domestic ice maker
JPH0658655A (ja) * 1992-08-05 1994-03-04 Toshiba Corp 自動製氷装置
KR20000015691A (ko) * 1998-08-31 2000-03-15 전주범 자동제빙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00021981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자동 제빙기의 이빙모터 구동 방법
KR20000021980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자동 제빙기의 만빙 및 이빙에러 감지 방법
JP2001133095A (ja) * 1999-11-05 2001-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タのロータ検出装置並びに自動製氷機用給水装置及び該給水装置を用いた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052A (ko)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21857B2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KR100565624B1 (ko) 자동제빙기용 이젝터의 회전 제어장치
US7487645B2 (en) Automatic icemaker
AU2002321857A1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US7665316B2 (en) Automatic icemaker
KR100826019B1 (ko) 제빙장치
KR20080094352A (ko) 냉장고의 제빙 장치
KR100437390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만빙감지장치
KR100437385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초기위치감지방법 및 장치
KR100273051B1 (ko) 자동제빙장치
KR100437387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히터단속방법 및 장치
KR20030015055A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만빙감지장치
AU2007202643B2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KR100437386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표시방법
CN1435623A (zh) 冰箱制冰机满冰感测装置
KR20030015060A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온도센서 장착장치
KR20040027007A (ko) 제빙기의 히터제어방법
KR19990049520A (ko) 냉장고의 자동제빙장치
KR100609919B1 (ko) 냉장고
KR20030021528A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히터단속장치
KR100276806B1 (ko) 자동 제빙기의 만빙 및 이빙에러 감지 방법
KR20030021527A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이빙레버 위치감지방법 및 장치
KR100445482B1 (ko) 제빙기 자동제어방법
KR101326110B1 (ko) 제빙기
KR20060129781A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