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226B1 - 통신 절체기 구조 - Google Patents

통신 절체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226B1
KR100437226B1 KR10-2002-0023464A KR20020023464A KR100437226B1 KR 100437226 B1 KR100437226 B1 KR 100437226B1 KR 20020023464 A KR20020023464 A KR 20020023464A KR 100437226 B1 KR100437226 B1 KR 10043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pu
communication
ring
switch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236A (ko
Inventor
안종균
Original Assignee
코디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디콤(주) filed Critical 코디콤(주)
Priority to KR10-2002-002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226B1/ko
Publication of KR2002006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전화 1회선을 수용하여 여러대의 가입자 회선으로 절체해 주는 통신 절체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전화 하나의 라인으로 다수의 통신기기로 사용이 가능한 통신 절체기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라인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통화가 차단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통신 절체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라인 인터페이스(12)와 톤 데코더(13)를 서로 연결 설치하여 CPU(11)와 연결하고 상기 링 디텍터(14)는 CPU(11)와 연결한다.
또한, 상기 CPU(11)로부터 링 제너레이터(15)를 연결하고 CPU(11)와 링 제너레이터(15)에 스위칭 회로부(16)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통신 절체기(10)내의 스위칭 회로부(16)에 각각의 CD기(30)와 DVR(40) 및 단축전화기(50)를 회선으로 연결 설치한다.

Description

통신 절체기 구조{Structure of communication insulator}
본 발명은 일반전화 1회선을 수용하여 여러대의 가입자 회선으로 절체해 주는 통신 절체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전화 하나의 라인으로 다수의 통신기기로 사용이 가능한 통신 절체기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라인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통화가 차단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통신 절체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지급기에는 화재센서와 제어 콘트롤 박스, 침입자 감지센서 및 통보기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화재센서는 로비 및 기계실에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여 싸이렌을 작동시키고 센터에 통보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상기, 제어 콘트롤 박스는 전등, CD/ATM, 간판, 냉/난방기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자동제어와 수동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침입자 감지센서는 영업이 끝난 후 침입이 발생되면 열감지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DVR(Digital Video Recorder)로 신호를 보내면 DVR이 전등을 켜고 싸이렌이 작동하여 현재화면을 센터로 즉시 전송 및 통보한다.
또한, 통보기는 DVR 시스템 및 카메라에 이상이 발생하면 센터 또는 담당자의 핸드폰 및 삐삐로 음성데이터 및 PC데이터로 전달해 줌으로 DVR 이상상태를 관리자가 즉시 알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는 각각 서로 다른 라인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치를 구비함에 있어 설치가 매우 복잡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과다한 회선으로 통화중에 통화가 끊기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며 그에 따라 신뢰감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일정한 곳에 통신 절체기를 설치하여 국선 1회선으로 내선 3회선을 동시에 수행이 가능하므로써 회선 추가시 별도의 라인을 설치하지 않아도 사용이 용이하여 설치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통화시 끊어짐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는 통신 절체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선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통신 절체기를 통해 각각의 내선으로 전달시키되 이 통신 절체기에 라인 인터페이스와 톤 데코더를 서로 연결 설치하여 CPU에 연결하고 국선을 통해 링 디텍터를 연결한 상태에서 이 링 디텍터를 CPU에 연결하며 CPU에서 링 제너레이터를 통해 스위칭 회로부로 연결됨과 또한, CPU에서 스위칭 회로부로 바로 연결되며 국선에서 스위칭 회로부로 곧바로 전달되어 이 스위칭 회로부에서 각각의 회선으로 전달되는 통신 절체기 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신 절체기
(11) : CPU
(12) : 라인 인터페이스(line interface)
(13) : 톤 데코더(tone decoder)
(14) : 링 디텍터(ring detector)
(15) : 링 제너레이터(ring generator)
(16) : 스위칭 회로부(switching circuit)
(20) : 국선
(30) : CD기
(40) : DVR(Digital Video Recorder)
(50) : 단축전화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지급기에 사용되는 통신 절체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절체기(10)내에 CPU(11), 라인 인터페이스(line interface)(12), 톤 데코더(tone decoder)(13), 링 디텍터(ring detector)(14), 링 제너레이터(ring generator)(15) 및 스위칭 회로부(switching circuit)(16)를 내장하되 이 라인 인터페이스(12)와 톤 데코더(13)를 서로 연결 설치하여 CPU(11)와 연결하고 상기 링 디텍터(14)는 CPU(11)와 연결한다.
또한, 상기 CPU(11)로부터 링 제너레이터(15)를 연결하고 CPU(11)와 링 제너레이터(15)에 스위칭 회로부(16)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통신 절체기(10)내의 스위칭 회로부(16)에 각각의 CD기(30)와 DVR(40) 및 단축전화기(50)를 회선으로 연결 설치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은 국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상기, CD기(30)와 DVR(40) 및 단축전화기(50)의 모뎀선을 통신 절체기(10)의 스위칭 회로부(16)에 연결 설치하고 전원을 ON시키며 통신 절체기(10)에 국선(20)을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수화기를 들고 통신 절체기(10)에 연결되어 있는 국선번호를 누른 다음 CD기(30)와 DVR(40) 및 단축전화기(50)의 각각에 입력되어 있는 번호를 누르게 되면 라인 인터페이스(12)에서 전화선로 신호를 변환하여 회선 절체에필요한 초기 아나로그 신호를 제공하게 되고 이 라인 인터페이스(12)에서 들어오는 아나로그 신호를 톤 데코더(13)에서 디지털로 변환하여 회선절체에 관한 정보를 CPU(11)에 통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 디텍터(14)에서 국선(20)으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벨 신호를 검출하여 CPU(11)에 통보하게 되고 CPU(11)는 톤 데코더(13) 및 링 디텍터(14)에서 통보된 신호를 분석하여 CD기(30)와 DVR(40) 및 단축전화기(50)중 어디로 회선을 절체할지 판단하며 링 제너레이터(15)를 단속한다.
상기, 링 제너레이터(15)는 CPU(11)에서 절체선로가 결정되면 해당 절체선로로 링(ring) 신호(전화벨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회선에서 수화기를 들 때까지 보내진다.
이때, 수화기를 들 때까지의 시간적인 제한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CPU(11) 및 링 제너레이터(15)에서 해당 절체선로가 최종적으로 결정되게 되면 스위칭 회로부(16)에서 최초로 통화를 시도한 전화회선을 CD기(30)와 DVR(40) 및 단축전화기(50) 각각의 절체선로와 연결시켜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전화 1회선을 수용하여 여러 대의 가입자 회선으로 절체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절체기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선로를 추가로 가설하지 않고 1회선으로 공유할 수 있어 추가 설치시 설치비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통화중 송·수신의 두절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CPU, 라인 인터페이스, 톤 데코더, 링 디텍터, 링 제너레이터 및 스위칭 회로부를 내장한 통신 절체기에 있어서,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와 톤 데코더를 서로 연결 설치하여 CPU와 연결하고 링 디텍터는 CPU와 연결하며 CPU로부터 링 제너레이터를 연결하고 CPU와 링 제너레이터에 스위칭 회로부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통신 절체기내의 스위칭 회로부에 각각의 CD기와 DVR 및 단축전화기를 회선으로 연결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절체기 구조.
KR10-2002-0023464A 2002-04-29 2002-04-29 통신 절체기 구조 KR10043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464A KR100437226B1 (ko) 2002-04-29 2002-04-29 통신 절체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464A KR100437226B1 (ko) 2002-04-29 2002-04-29 통신 절체기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578U Division KR200232873Y1 (ko) 2001-01-19 2001-01-19 통신 절체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236A KR20020062236A (ko) 2002-07-25
KR100437226B1 true KR100437226B1 (ko) 2004-06-23

Family

ID=2772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464A KR100437226B1 (ko) 2002-04-29 2002-04-29 통신 절체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2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992A (ja) * 1991-07-26 1993-02-12 Sharp Corp 警報装置
KR19990020555U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전화선을 이용한 텔레비젼과 컴퓨터 연결 장치
KR19990057684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전화회선을 이용한 전화 및 데이터 통신 장치
KR20010039004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교환국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선로 분배반 접속 장치
KR20020032028A (ko) * 2000-10-25 2002-05-03 장홍순 통합통신단자함
KR20030073524A (ko) * 2002-03-12 2003-09-19 김지형 수동식 개인용 전화선 분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992A (ja) * 1991-07-26 1993-02-12 Sharp Corp 警報装置
KR19990020555U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전화선을 이용한 텔레비젼과 컴퓨터 연결 장치
KR19990057684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전화회선을 이용한 전화 및 데이터 통신 장치
KR20010039004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교환국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선로 분배반 접속 장치
KR20020032028A (ko) * 2000-10-25 2002-05-03 장홍순 통합통신단자함
KR20030073524A (ko) * 2002-03-12 2003-09-19 김지형 수동식 개인용 전화선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236A (ko) 200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4303A (en) United home security system
US5751789A (en) SNID with wireless backup
US7403598B2 (en) Remote control of a speaker phone device as a standalone device or as part of a security system
US5982854A (en) Fiber optic based subscriber terminal
TW339491B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accessing subscriber premises equipment using ring suppression
WO2004049102A3 (en) Directing premises alarm panel to backup radio network upon detection of use of the pstn by another
JP2006222885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共用部装置並びに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437226B1 (ko) 통신 절체기 구조
KR200232873Y1 (ko) 통신 절체기 구조
JPH11234432A (ja) 警備システム
EP2395737A1 (en) Telephone switchboard
KR100194462B1 (ko) 무인경비시스템에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국선 착신호 전환 방법
KR200247569Y1 (ko) 홈 오토메이션 기능이 내장된 다기능 인터폰
ES2211306B1 (es) Terminal para videoporteros electronicos.
JP2783840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
JPH07307811A (ja) セキュリティ電話装置
KR200315289Y1 (ko) 외장형 음성처리장치
JPS62200852A (ja) ボタン電話装置の停電電話機
JP3320232B2 (ja) 照明制御装置
KR100346414B1 (ko)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서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JPH0420318B2 (ko)
US8285292B1 (en) Detection of cross-connection between a wireless loop network and another loop network at a subscriber&#39;s premises
JP200651548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制御部と外部周辺デバイスのインターフェースをとるユニバーサル・ゲートウェイ・モジュール
JP2959260B2 (ja) 端末網制御装置
KR100666944B1 (ko) 각종 디지털 가입자 회선 시스템에서 착신시 발생되는고주파 신호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