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103B1 - 유기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속 fk916 균주및 이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속 fk916 균주및 이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103B1
KR100437103B1 KR10-2002-0007525A KR20020007525A KR100437103B1 KR 100437103 B1 KR100437103 B1 KR 100437103B1 KR 20020007525 A KR20020007525 A KR 20020007525A KR 100437103 B1 KR100437103 B1 KR 10043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eudomonas
strain
organic
food waste
de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887A (ko
Inventor
최동성
구니히로 후카이
Original Assignee
최동성
구니히로 후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성, 구니히로 후카이 filed Critical 최동성
Priority to KR10-2002-0007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103B1/ko
Priority to JP2002307630A priority patent/JP2003235547A/ja
Priority to PCT/KR2003/000277 priority patent/WO2003066837A1/en
Priority to AU2003206244A priority patent/AU2003206244A1/en
Priority to CNB03803235XA priority patent/CN100381561C/zh
Priority to JP2003566188A priority patent/JP2006501810A/ja
Publication of KR2003006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38Pseudomona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속 FK 91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수로부터 분리한 슈도모나스 속 FK 916(Pseudomonassp. FK 916) 균주는 유기물을 분해·소멸시키는 능력이 우수하고, 15∼35℃의 중온에서 분해작용을 하므로 악취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음식물쓰레기 및 공장에서 발생하는 유기 폐기물을 처리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기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속 FK91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방법{Pseudomonas sp. FK 916 producing decomposition enzyme of organic compound and method for decomposition of organic was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속 FK 916 균주 및 이를이용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로부터 분리되고, 음식물쓰레기 및 유기성 폐기물 중의 유기물을 분해·소멸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며, 악취를 거의 발생하지 않으면서 음식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슈도모나스 속 FK 916(Pseudomonassp. FK 916) 및 이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은 11,577톤/일(1999년 기준)으로 도시 고형폐기물 발생량의 약 26.5%를 차지하고 있고, 64%는 가정에서 36%는 음식점과 집단급식소 등 외식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다. 발생된 음식물쓰레기 중 58.8%는 매립, 7.3%는 소각, 33.9%는 재활용으로 처리하고 있어 대부분 매립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도권의 경우 오는 2005년 1월부터 수도권 매립지에 음식물쓰레기의 직접 매립을 금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매립지의 침출수에 의한 환경오염과 매립지 주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에 의해 민원이 야기되고 있어 음식물쓰레기 처리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소각 처리할 경우에는 수분 함량이 높아 가연성 쓰레기에 비해서 처리경비가 더 많이 소요되며, 소각 처리장의 건설 및 부지 확보도 주민의 반대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는 장소에서 직접 미생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해·소멸 또는 감량화하여 배출하거나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는 경제적 처리방법을 더욱 발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성상이 균일하지 않고 수분 및 염분 함량이 높아 그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지역별, 사업장별로 다양한 처리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및 재활용 방안으로 검토되고 있는 기술은 퇴비화, 사료화, 혐기성 소화, 하수병합 처리이며, 퇴비화 기술은 광역처리 대형 퇴비화 기술과 일반가정이나 소형 업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퇴비화 기술의 두 방향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값이 비싼 소형 퇴비화 장치는 음식물쓰레기 발효조 및 건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파트 단지나 단체급식소, 호텔, 레스토랑 등 요식업소에 설치되어 있으나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고온에서 발효시켜 퇴비와 사료로 재활용하는 종래의 기술과 장치에 있어서 문제점으로는 첫째, 고온에서 발효 또는 부패가 진행되기 때문에 심한 악취가 발생되어 혐오시설로 기피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음식물이 1∼5% 정도의 고농도의 식염을 함유하고 있어 비료로 사용하는 것도 또한 부적합한 실정이고, 둘째, 미생물에 의한 발효 분해속도를 높이기 위해 고온성 세균 및 방선균을 사용하고, 고온미생물 생육을 위한 최적 생육온도 유지, 음식물쓰레기 발효산물의 부피 감량 및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 장치내 온도를 50∼60℃ 이상으로 항상 유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기를 다량 소모하여 운전비용이 매우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로부터 음식물쓰레기 및 유기성 폐기물 중의 유기물을 분해·소멸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며, 중온에서 호기적 분해작용을 하여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는 신규한 균주를 분리·동정하고, 이 균주를 음식물쓰레기의 분해 소멸화에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 및 유기성 폐기물 중의 유기물을 분해·소멸시키는 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 균주인 슈도모나스 속 FK 916을 단백질 분해효소 탐색 한천배지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슈도모나스 속 FK 916을 지방질 분해효소 탐색 한천배지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지방질 분해효소의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는 슈도모나스 속 FK 916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슈도모나스 속 FK 916의 배양액을 음식물 쓰레기에 첨가한 후 분해시간 경과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의 감량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슈도모나스 속 FK 916 (Pseudomonassp. FK 916)를 제공한다.
하수로부터 분리한 슈도모나스 속 FK 916은 15∼35℃, 바람직하게는 25∼30℃의 중온 및 충분한 산소의 존재 하에서 호기적 분해작용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중의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과 같은 유기물을 안정된 저분자 유기물로 전환하게 되며, 최종산물로 안정된 물질인 CO2, H2O 등을 생성하고 약간의 열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슈도모나스속 미생물은 하기 식(Ⅰ)에 나타난 바와 같이 NO3, NO2, NO를 N2로 탈질시킬 수 있으므로 슈도모나스 속 FK 916은 다른 미생물과 공동으로 악취 가스 성분의 하나인 NH3를 N2로 변환하는 탈질과정을 거쳐 암모니아의 악취 및 자극성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균주는 악취성분인 인돌, 황화수소, 아세토인을 생성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표 2).
본 발명 균주인 슈도모나스 속 FK 916을 2002년 1월 7일자로 국제기탁기관인 한국종균협회(KCCM)에 기탁번호 KCCM-10350으로 기탁하였다. 상기 기탁된 균주 외에도 다른 특성에 다소간의 변화가 가해지는 상기 균주의 돌연변이주도 본 발명의 16S rRNA 염기서열 및 지방산 조성, 형태, 배양, 생화학적 특성이 같은 한 본 발명의 범주에 물론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슈도모나스 속 FK 916균주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 폐기물을 분해·소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슈도모나스 속 FK 916 균주 또는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처리물에 첨가하는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균주 또는 그 조성물의 처리방법으로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직접 살포(spray)하거나 균주 배양액을 왕겨, 톱밥, 우드칩(wood chip)과 같은 천연유기물, 제오라이트나 세라믹과 같은 무기질 입체, 플라스틱류 등의 공극제와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의 천연유기물, 무기질 입체, 플라스틱 등의 공극제 또는 담체에 흡착시켜 유기 폐기물에 산포하여 처리하거나 통상의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처리물'이라 함은 음식물쓰레기 이외의 활성 오니케익, 공장에서 발생하는 유기폐기물 뿐만 아니라 하수폐기물 등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본 발명 균주의 분리
본 발명에 사용된 균주는 전라북도 일원의 하수에서 채취한 시료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시료를 생리식염수로 단계적으로 적당히 희석하고 그의 일부를 LB 한천배지(박토트립톤 10g/L, 박토효모추출물 5g/L, NaCl 10g/L, 한천 15g/L, pH 7.0)에 도포하여 25℃에서 배양하면서 출현하는 콜로니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균주를 균주 증식배지(LB 액체배지)에서 25℃로 배양 증식시킨 다음, 단백질 분해효소 탐색 한천배지(탈지우유 한천배지: 펩톤 5g/L, 박토효모추출물 3g/L, 스킴 밀크 1g/L, 한천 15g/L, pH 7.0), 지방질 분해효소 탐색 한천배지(트리부티린 한천배지: 펩톤 5g/L, 박토효모추출물 3g/L, 트리부티린 5mL/L, 한천 15g/L, pH 7.4), 전분 분해효소 탐색 한천배지(전분한천배지: 펩톤 5g/L, 박토효모추출물 3g/L, 가용성 전분 2g/L, 한천 15g/L, pH 7.0), 셀룰로오스 탐색 한천배지[셀룰로오스 1g/L, K2HPO41g/L, (NH4)2SO41g/L, MgSO4·7H2O 0.2g/L, CaCl2·2H2O 0.1g/L, FeCl30.02g/L, 콩고레드 0.075g/L, 한천 15g/L, pH 7.2] 플레이트에 도말하여 단백질 분해효소, 지방질 분해효소, 전분 분해효소, 셀룰로오스 분해효소의 활성에 의해 생기는 투명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양성 균주를 탐색하고 이를 분리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백질 분해효소 탐색 한천배지 플레이트(A) 및 지방질 분해효소 탐색 한천배지 플레이트(B)에 FK 916 균주를 각각 접종하였을 경우 투명환을 형성하여 상기 균주가 단백질 분해효소와 지방질 분해효소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분 분해효소의 활성은 미약하였고, 셀룰로오스 분해효소의 활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2 : 본 발명 균주의 동정
상기에서 분리한 균주를 Holt 등[Holt J. G., et al.,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9th ed. (1994)]의 방법과 Sherlock 시스템 및 clustal W로 동정하여 슈도모나스속에 속하는 균주임을 밝혔고, 이를 슈도모나스 속 FK 916 (Pseudomonassp. FK 916)으로 명명하였다. 슈도모나스 속 FK 916의 지방산 및 16S rRNA는 각각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Pseudomonas chlororaphis)의 지방산 조성과 80.2%, 슈도모나스 게사르디이(Pseudomonas gessardiiCIP 105469)의 16S rRNA와 99.8%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도 3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균주의 형태는 간균이고, 그램음성균이었으며, 배양학적 특성은 하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적 생장온도는 28∼30℃이며, NaCl에 대하여 6%의 내성을 나타내어, 본 발명 균주가 염분이 높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 균주인 슈도모나스 속 FK 916 배양, 형태적 특성
특 성 결 과
형태학적 특성
형태 및 크기 간 균, 0.8∼0.9 × 1.7∼2.0 ㎛
운동성 + (양성)
그람염색 - (음성)
배양 특성
생장 pH 4.5∼9.0
생장 온도 10∼37℃
4℃에서의 생장 +
41℃에서의 생장 -
최적 생장온도 28∼30℃
NaCl에 대한 내성 6%
맥콘키 한천배지 +
트립토판 배지 (슈도모나스 분리 한천반응) +
API 키트에 의해 분석한 생화학적 특성은 표 2에, MIDI 사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전세포의 지방산 분석 및 Sherlock system을 통한 균주 동정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Verhille 등의 방법(Verhille, S., et al., International J. Systematic Bacteriol., 49, 1559, 1999)으로 16S rRNA를 분리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1498 염기(서열 1)로 이루어짐을 밝혔고, Gene bank에서 유의성이 높은 미생물을 선별한 후 슈도모나스속 균주간의 16s rRNA 염기서열의 유사도를 clustal W를 사용하여 분석한 염기서열간의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De Ley 방법(De Ley, J., J. Bacteriol., 101, 738, 1970)으로 분석한 G + C 함량은 61.5%이었다.
본 발명 균주인 슈도모나스 속 FK 916의 생화학적 특성
특 성 결 과
생화학적 특성
질산염의 아질산염으로의 환원 -
인돌 생성 -
황화수소 생성 -
아세토인 생성 -
N2기체로의 환원 +
글루코오스 산성화 -
글루코오스 산화발효 산화
프로테아제 +
리파아제 +
아밀라제 +
셀룰라아제 -
젤라티나제 -
베타-갈라토시다제 -
아르기닌 디하이드로라제 +
라이신 데카복실라제 -
오르니틴 데카복실라제 -
시토크롬 옥시다제 +
트립토판 데아미나제 -
우레아제 +
베타-글루코시다제(esculin hydrolysis) -
탄소원의 이용성
글루코오스 +
아라비노스 -
만노오스 +
만니톨 +
N-아세틸 글루코사민 +
말토오스 -
글루콘산 +
카프린산 +
아디핀산 +
사과산 -
구연산 +
페닐아세테이트 -
지방산 조성
지방산 종류 백분율 (%)
C 10:0 0.20
C 12:0 3OH 2.00
C 12:0 1.67
C 12:0 2OH 4.73
C 12:0 3OH 4.27
C 14:0 0.50
C 15:0 0.45
C 15:0 iso 2OHC 16:1 w7c 30.01
C 16:1 w5c 0.12
C 16:0 33.94
C 17:1 w8c 0.27
C 17:0 cyclo 6.64
C 17:0 0.56
C 18:3 w6c (6,9,12) 0.63
C 18:1 w7c 12.34
C 18:0 1.48
C 19:0 cyclo w8c 0.15
동정된 균주명 (유사도) Pseudomonas chlororaphis(80.2%)(P. aureofaciens)
P.putidabiotype B (70.9%)
P.putidabiotype A (68.7%)
P.syringae(41.5%)
본 발명 균주인 슈도모나스 속 FK 916와 슈도모나스속 균주간의 16S rRNA 염기서열의 유사도
균 주 유사도 (%) 염기 차/비교 염기수
Pseudomonas gessardiiCIP 105469 99.80 3 / 1491
P. libaniensisCIP 105460 99.73 4 / 1491
P. synxanthaDSM 13080 99.53 7 / 1498
P. reactansLMG 5329 99.53 7 / 1478
P. brenneriiCFML 97-391T 99.52 7 / 1470
P. cedrellaCFML 96-198 99.40 9 / 1491
P. fluorescensATCC 49642 99.33 10 / 1498
P. mucidolensIAM12406 99.26 11 / 1496
P. azotoformansIAM1603 98.93 16 / 1496
P. migulaeCIP 105470 98.93 16 / 1491
P. putidaATCC 17472 98.85 17 / 1476
P. tolaasiiLMG 2342 T 98.58 21 / 1478
P. thivervalensisCFBP 1126T 98.11 27 / 1431
P. fragiATCC 4973 97.87 31 / 1458
P. jesseniiCIP 105274 97.85 32 / 1491
P. pavnaceaeIAM1155 97.80 33 / 1497
P. plecoglossicidaFPC951 96.79 48 / 1495
P. oryzihabitansIAM1568 96.46 53 / 1496
P. mosseliiCIP 105259 96.44 53 / 1490
P. monteiliiCIP 104883T 96.35 54 / 1478
실시예 3 : 음식쓰레기의 분해·소멸 시험 : 분해경과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의 감량율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 정도를 시험하기 위하여 멸균된 LB 액체배지에 슈도모나스 속 FK 916을 접종하여 28℃에서 1주야 진탕 배양하였다. 3L 비이커에 이 배양액 200mL와 톱밥(통기 및 수분조절제) 100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W 대학 식당에서 수거한 음식물쓰레기(수분 함량 약 80%) 1K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25℃ 배양기에 넣어 두면서 경시적으로 그의 무게를 칭량하고 감량화율을 계산하였으며, 매일 3∼4회씩 잘 교반하였다.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해 시작 1일째부터 음식물쓰레기 특유의 악취가 없어졌고 새로운 악취 또한 발생하지 않았으며 무게의 감량이 시작되었다. 분해 18일째에 72.3%까지 감량되어 음식물의 분해 소멸화가 이루어졌으며, 배양액만 첨가하거나(비교예 1), LB배지와 톱밥을 첨가한 비교예 2에 비해 빠른 감량화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톱밥 첨가에 의해 호기적 조건이 충족되고 수분이 조절되어 유기물의 분해 소멸화가 촉진되었고, 25℃에서 FK 916 균주에 의해 유기물의 분해 소멸화가 촉진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이러한 결과는 교반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음식물쓰레기 소멸기에서는 더욱 양호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비교예 1 : 음식물 쓰레기에 슈도모나스속 FK916의 배양액만을 처리한 경우의 분해율 측정
멸균된 LB 액체배지에 슈도모나스 속 FK 916을 접종하여 28℃에서 1주야 진탕 배양하였다. 3L 비이커에 이 배양액 200mL와 수거한 음식물쓰레기(수분 함량 약 80%) 1K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25℃ 배양기에 넣어 두면서 경시적으로 그의 무게를 칭량하고 감량화율을 계산하였으며, 매일 3∼4회씩 잘 교반하였다(도4).
비교예 2 : 음식물 쓰레기에 톱밥만을 처리한 경우의 분해율 측정
3L 비이커에 멸균된 LB 배지 200mL와 톱밥 (수분조절제) 100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수거한 음식물쓰레기(수분 함량 약 80%) 1K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25℃ 배양기에 넣어 두면서 경시적으로 그의 무게를 칭량하고 감량화율을 계산하였으며, 매일 3∼4회씩 잘 교반하였다(도4).
실시예 4 : 음식쓰레기 소멸기에서의 분해·소멸 시험
남방 E & B(주)에서 제작한 음식물쓰레기 소멸기(CLEANGATE-50 형, 50㎏ 용량)에 우드칩(5∼10mm 정도) 80㎏,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배양한 FK916 배양액 5L, 음식점에서 수거한 음식물쓰레기 39㎏를 첨가하고, 28℃에서 교반속도 3.2rpm, 통기속도 5.5m3/분으로 운전하면서 24시간 후 그의 무게를 칭량하여 감량화율을 계산하였다. 분해 시작 1시간 이후부터 음식물쓰레기 고유의 냄새가 없어지기 시작하였고, 24시간째에 76.9%까지 감량하였으며, 악취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2일째에 음식물쓰레기 46㎏을 다시 첨가하고 동일 조건에서 운전하여 24시간 후 측정하였을 때 그의 감량화율은 90.9%이었으며, 29일 동안 매일 27∼60㎏의 음식물쓰레기를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동일 조건으로 운전하였을 때 최종적인 누적 감량화율은 94.7% 이었다.
상기의 실험결과, 본 발명 균주인 슈도모나스 속 FK 916은 상온 또는 중온에서 1회 투여만으로도 장기간 걸쳐 음식물쓰레기를 분해·소멸시키므로, 음식물쓰레기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의 분해 소멸화에 이용될 수 있는 우수한 균주임이 확인되었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균주인 슈도모나스속 (Pseudomonassp.) FK 916 균주는 중온에서 악취를 발생하지 않으면서 음식물쓰레기 분해 소멸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경제적이고 위생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어 환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10> FUKAI, Kunihiro CHOI, Dong Seong <120> Pseudomonas sp. FK 916 producing decomposition enzyme of organic compound and method for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waste using the same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498 <212> DNA <213> Pseudomonas sp FK916 <220> <221> rRNA <222> (1)..(1498) <223> Pseudomonas sp FK916 16S ribosomal RNA gene <400> 1 agagtttgat catggctcag attgaacgct ggcggcaggc ctaacacatg caagtcgagc 60 ggtagagaga agcttgcttc tcttgagagc ggcggacggg tgagtaatgc ctaggaatct 120 gcctggtagt gggggataac gttcggaaac ggacgctaat accgcatacg tcctacggga 180 gaaagcaggg gaccttcggg ccttgcgcta tcagatgagc ctaggtcgga ttagctagtt 240 ggtggggtaa tggctcacca aggcgacgat ccgtaactgg tctgagagga tgatcagtca 300 cactggaact gagacacggt ccagactcct acgggaggca gcagtgggga atattggaca 360 atgggcgaaa gcctgatcca gccatgccgc gtgtgtgaag aaggtcttcg gattgtaaag 420 cactttaagt tgggaggaag ggttgtagat taatactctg caattttgac gttaccgaca 480 gaataagcac cggctaactc tgtgccagca gccgcggtaa tacagagggt gcaagcgtta 540 atcggaatta ctgggcgtaa agcgcgcgta ggtggttagt taagttggat gtgaaatccc 600 cgggctcaac ctgggaactg cattcaaaac tgactgacta gagtatggta gagggtggtg 660 gaatttcctg tgtagcggtg aaatgcgtag atataggaag gaacaccagt ggcgaaggcg 720 accacctgga ctgatactga cactgaggtg cgaaagcgtg gggagcaaac aggattagat 780 accctggtag tccacgccgt aaacgatgtc aactagccgt tgggagcctt gagctcttag 840 tggcgcagct aacgcattaa gttgaccgcc tggggagtac ggccgcaagg ttaaaactca 900 aatgaattga cgggggcccg cacaagcggt ggagcatgtg gtttaattcg aagcaacgcg 960 aagaacctta ccaggccttg acatccaatg aactttctag agatagattg gtgccttcgg 1020 gaacattgag acaggtgctg catggctgtc gtcagctcgt gtcgtgagat gttgggttaa 1080 gtcccgtaac gagcgcaacc cttgtcctta gttaccagca cgtaatggtg ggcactctaa 1140 gga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tggggatgac gtcaagtcat catggccctt 1200 acggcctggg ctacacacgt gctacaatgg tcggtacaga gggttgccaa gccgcgaggt 1260 ggagctaatc ccacaaaacc gatcgtagtc cggatcgcag tctgcaactc gactgcgtga 1320 agtcggaatc gctagtaatc gcgaatcaga atgtcgcggt gaatacgttc ccgggccttg 1380 tacacaccgc ccgtcacacc atgggagtgg gttgcaccag aagtagctag tctaaccttc 1440 gggaggacgg ttaccacggt gtgattcatg actggggtga agtcgtaaca aggtagcc 1498

Claims (4)

  1. 하수로부터 분리하고, 15∼35℃의 중온에서 악취를 발생하지 않으면서 음식물 쓰레기 분해 소멸능이 있는 슈도모나스속 FK 916(Pseudomonassp. FK 916; 기탁번호 KCCM 10350).
  2. 제1항의 슈도모나스속 FK 916 균주(KCCM 10350)를 피처리물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폐기물 및 하수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슈도모나스 속 FK 916(KCCM 10350)균주를 천연유기물, 무기질 입체, 플라스틱류의 공극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과 혼합하여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폐기물 및 하수 처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유기물은 왕겨, 톱밥, 우드칩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며, 무기질 입체는 제오라이트, 세라믹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폐기물 및 하수 처리방법.
KR10-2002-0007525A 2002-02-08 2002-02-08 유기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속 fk916 균주및 이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방법 KR100437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525A KR100437103B1 (ko) 2002-02-08 2002-02-08 유기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속 fk916 균주및 이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방법
JP2002307630A JP2003235547A (ja) 2002-02-08 2002-09-17 有機物分解酵素を生産するシュドモナス属fk916菌株、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性廃棄物の処理法
PCT/KR2003/000277 WO2003066837A1 (en) 2002-02-08 2003-02-08 Pseudomonas sp. fk 916 producing decomposition enzyme of organic matter and method for decomposition of organic waste using the same
AU2003206244A AU2003206244A1 (en) 2002-02-08 2003-02-08 Pseudomonas sp. fk 916 producing decomposition enzyme of organic matter and method for decomposition of organic waste using the same
CNB03803235XA CN100381561C (zh) 2002-02-08 2003-02-08 能产生有机物分解酶的假单胞杆菌属fk916菌株及用其分解有机垃圾的方法
JP2003566188A JP2006501810A (ja) 2002-02-08 2003-02-08 有機物分解酵素を生産するシュードモナス属fk916菌株及びこれを用いる有機廃棄物の処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525A KR100437103B1 (ko) 2002-02-08 2002-02-08 유기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속 fk916 균주및 이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887A KR20030067887A (ko) 2003-08-19
KR100437103B1 true KR100437103B1 (ko) 2004-06-23

Family

ID=3229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525A KR100437103B1 (ko) 2002-02-08 2002-02-08 유기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속 fk916 균주및 이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2003235547A (ko)
KR (1) KR100437103B1 (ko)
CN (1) CN100381561C (ko)
AU (1) AU2003206244A1 (ko)
WO (1) WO2003066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7673B2 (ja) * 2009-06-22 2012-06-06 晋二郎 金澤 植栽培養土及びその製造方法
JP5308542B2 (ja) 2010-02-05 2013-10-09 有限会社メイショウ 微生物の胞子化に伴う母細胞分解酵素を利用した有機物の分解方法
KR101356747B1 (ko) * 2012-11-08 2014-02-03 이호식 음식물 쓰레기 분해용 조성물
CN105347639B (zh) * 2015-12-10 2018-03-16 哈尔滨工业大学 微型动物附着组合型填料
CN113462622B (zh) * 2021-09-03 2021-11-26 佛山市玉凰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株高效降解多种芳香类污染物的假单胞菌及其应用
CN114410552B (zh) * 2022-03-28 2022-06-17 佛山市玉凰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株氧化硫的盖氏假单胞菌及其在黑臭水体空气中降硫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3872A (en) * 1987-11-03 1989-09-05 Wolfram James H Novel pseudomonas microorganism for biodegradation of liquid scintillation cocktails
JPH07178395A (ja) * 1993-12-24 1995-07-18 Canon Inc 有機塩素化合物の分解方法
KR19980014276A (ko) * 1996-08-09 1998-05-25 백영배 유기성 부산물 분해능 및 악취 제거능이 우수한 부숙촉진 미생물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56368A (ko) * 1999-12-15 2001-07-04 박두현 호기성의 단백질, 전분, 지방분해 세균을 이용한음식물쓰레기의 일반쓰레기화 방법
KR20020042298A (ko) * 2000-11-30 2002-06-05 김시균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64070A (en) * 1981-06-04 1984-03-20 Georgian Manufacturing Ltd. Wave condition sensing apparatus
US4461834A (en) * 1983-04-20 1984-07-24 Homestake Mining Company Strain of Pseudomonas paucimobilis
US5508193A (en) * 1993-08-31 1996-04-1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seudomonas strain for degradation of s-triazines in soil and water
US5531898A (en) * 1995-04-06 1996-07-02 International Organic Solutions Corp. Sewage and contamination remediation and materials for effecting same
KR19990065800A (ko) * 1998-01-16 1999-08-05 손경식 폐수처리용 미생물 및 미생물제제
RU2272793C2 (ru) * 1999-07-12 2006-03-27 Текно-Форест Оу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средство и смешанная бактериальная популяция (варианты)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3872A (en) * 1987-11-03 1989-09-05 Wolfram James H Novel pseudomonas microorganism for biodegradation of liquid scintillation cocktails
JPH07178395A (ja) * 1993-12-24 1995-07-18 Canon Inc 有機塩素化合物の分解方法
KR19980014276A (ko) * 1996-08-09 1998-05-25 백영배 유기성 부산물 분해능 및 악취 제거능이 우수한 부숙촉진 미생물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56368A (ko) * 1999-12-15 2001-07-04 박두현 호기성의 단백질, 전분, 지방분해 세균을 이용한음식물쓰레기의 일반쓰레기화 방법
KR20020042298A (ko) * 2000-11-30 2002-06-05 김시균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resour Technol. 2001 Nov;80(2):137-42 *
Int J Syst Bacteriol. 1999 Oct;49 Pt 4:1559-7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1561C (zh) 2008-04-16
JP2003235547A (ja) 2003-08-26
JP2006501810A (ja) 2006-01-19
AU2003206244A1 (en) 2003-09-02
KR20030067887A (ko) 2003-08-19
WO2003066837A1 (en) 2003-08-14
CN1729286A (zh)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ales et al. Degradation of 1, 4-dioxane by an actinomycete in pure culture
KR10116167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혼합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KR20190043989A (ko) 음식물쓰레기 분해 혼합균주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분해 방법
US20040166576A1 (en) Fungi and their symbiotic bacterial group suitable for treating organic waste, and uses thereof
GB2437692A (en) Estrogenic substance degradable microorganism and use thereof
US6096530A (en) Pseudomonas cepacia strain isolated from termite intestines that degrades trichlorethylene and furan compounds
KR20090062759A (ko)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을 이용한 난분해성 폐수처리 또는폐수정화용 종균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7103B1 (ko) 유기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속 fk916 균주및 이를 이용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방법
KR100805036B1 (ko) 음식물쓰레기의 발효소멸 능력을 보유한 신규한 균주 바실러스 세레우스 이엔비-02 및 미생물제제
AU5854600A (en) Bacterial consortium ebc1000 and a method using the bacterial consortium ebc1000for remedying biologically recalcitrant toxic chemicals contained in industrial wastewater, waste materials and soils
KR20070093941A (ko) 지방분해 균주 바실러스 클라우지 및 음식물쓰레기발효소멸용 미생물제제
KR19990065800A (ko) 폐수처리용 미생물 및 미생물제제
KR102055544B1 (ko) 신규한 지오바실러스속 균주 및 이의 용도
US7371556B2 (en) Microorganism
KR100325252B1 (ko) 방향족 화합물을 분해하는 신규 미생물 로도코커스피리디노보란스 pdb9
KR100443267B1 (ko) 폐유기물 분해활성이 우수한 신균주 바실러스리케니포미스 h-3(kctc 10273bp)
JP2002125659A (ja) 新規微生物及び排水の処理方法
KR100452125B1 (ko) 음식물쓰레기의 발효 소멸화 능력을 보유한 신규한 균주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rd-007 및 이를 이용한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화용 미생물제제
KR20030065949A (ko) 오폐수처리에 적합한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52124B1 (ko) 음식물쓰레기의 발효 소멸화 능력을 보유한 신규한 균주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rd-f4b 및 이를 이용한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화용 미생물제제
CN105861375B (zh) 一种苯胺降解菌及其用途
KR100487659B1 (ko) 음식물쓰레기의 발효 소멸화 능력을 보유한 신규한 균주 세라티아 속 brd-n1903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발효 소멸화용 미생물제제
Abdullah et al.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isolated microorganism from agricultural soil for degradation of cellulose based waste
JP4200196B2 (ja) 複合微生物系によるダイオキシン分解方法およびダイオキシン処理剤
KR20090037208A (ko) 슈도모나스 터모톨레란스 lc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소멸화용 미생물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