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242B1 - 유압충격해머 - Google Patents

유압충격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242B1
KR100436242B1 KR1019960027343A KR19960027343A KR100436242B1 KR 100436242 B1 KR100436242 B1 KR 100436242B1 KR 1019960027343 A KR1019960027343 A KR 1019960027343A KR 19960027343 A KR19960027343 A KR 19960027343A KR 100436242 B1 KR100436242 B1 KR 10043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hammer
impac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536A (ko
Inventor
유보넨 에스코
Original Assignee
브레텍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레텍 오와이 filed Critical 브레텍 오와이
Publication of KR970005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14Control devices for the reciprocating piston
    • B25D9/26Control device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piston or the force or frequency of impac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충격 피스톤(1)의 운동이 메인 밸브(3)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 운동은 제어 밸브(9) 위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정의 값까지 상승할 때 메인 밸브가 그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분리되어 있는 제어 밸브(9)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 충격 해머.
충격 해머는 복귀관(13) 내에 장착된 제어기(21)를 포함하며, 축압기(7)의 충전률 및 충격 피스톤(1)의 복귀 동작의 길이가 제어기(21)에 의해 제공되는 유동 저항에 비례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충격 해머로부터 유출되는 압력 유체를 조정한다.

Description

유압 충격 해머
본 발명은 두개의 압력면을 가진 충격 피스톤과, 축압기와, 충격 해머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관과, 충격 해머 밖으로 압력 유체를 안내하는 복귀관과, 고압 및 저압을 안내하여 충격 피스톤의 적어도 하나의 압력면에 교대로 작용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충격 피스톤을 왕복시키는 메인 밸브와, 입구관과 접촉하고, 내부의 압력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 압력 밸브 위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 메인 밸브에 제어 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충격 피스톤이 복귀하는 동안 메인 밸브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제어 압력 밸브로 구성되는 유압 충격 해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착기에는 해머가 드레저 레이들(dredger ladle)을 대신하는 보조 장치로서 장착되고 있지만 다른 기본적인 기계 또는 캐리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해머는 기본적인 기계의 유압에 의해 동작한다.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충격 해머의 출력 동력(Pu)은 주로, 해머의 충격 에너지(W)와 스트로크 횟수(z)에 좌우된다. 즉, Pu= W * z 이다. 그러한 해머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단단한 재료, 예컨대 바위, 콘크리트, 결빙된 아스팔트, 금속 슬래그 따위를 부수는 데 사용된다.
해머의 파괴 능력은, 출력 동력 외에도, 파괴될 재료의 성질, 블레이드 또는 공구의 두께 및 길이 따위의 형상 및 치수와, 전체 해머가 블레이드와 파괴시킬 재료에 가하는 힘인 가압력에 좌우된다. 파괴는 재료를 뚫고 들어가는 블레이드에 의해 일어나거나 충격에 의해 야기되는 압축 인장 응력파로 인해 부서지는 재료에 의해 일어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들의 무수한 수의 각기 다른 조합이 파괴 시에 발생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가능한 많은 여러 가지 굴착기 또는 다른 기본적인 기계 내에서 해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머에는 압력 또는 충격 파라미터 제어 장치가 제공되어제조자가 원하는 한계 내에서 해머의 성능 특성을 유지한다. 그러한 제어 장치가 예를 들어 핀란드 특허 제503990호 및 제92477호와 핀란드 특허출원 제76067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또 다른 굴착기에 장착될 때마다 해머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핀란드 특허 제92477호에는, 다수의 스프링이 장착된 밸브 및 스로틀에 의해 제공되고, 해머가 하나의 굴착기에서 다른 굴착기로 변위할 때 다수의 조정 가능한 물체에 이르는, 지면 경도의 함수로서의 충격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핀란드 특허출원 제943074호에는, 해머를 어느 한 굴착기에서 다른 굴착기에 장착시킬 때라도 해머를 재조정하지 않아도 해머가 각기 다른 굴착기에서 바람직하게 작동하게 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충격 해머의 스트로크 길이가 현저히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단지 충격 에너지만이 조정되는 경우, 충격력이 변한다는 결점이 있다. 핀란드 특허출원 제943074호의 구성이 갖는 또다른 결점은 동력의 제어를 위해 원격 제어 도관이 필요하며, 이 제어 도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굴착기용의 별도의 관 또는 호스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별도의 도관을 설치하게 되면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이 제거된 충격 해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해머는, 압력 유체의 복귀관 내에 장착되어 충격 해머로부터 유출되는 압력 유체를 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축압기의 충전률 및 충격 피스톤의 복귀 동작의 길이가 제어기에 의해 제공되는 유동 저항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머는 두개의 압력 제어기, 즉 하나는 핀란드 특허출원 제943074호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복귀 유동 저항 밸브인 압력 제어기에 의해 동시에 조정된다. 메인 밸브의 동작은 제어 압력 밸브에 의해 충격 방향으로 충격 피스톤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되고, 충격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 복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제어 압력 밸브의 동작은 충격 밸브의 위치와는 무관하며, 이러한 이유로 해서 충격 피스톤의 스트로크 길이는 해머의 유동 저항에 의해 조정된다. 유동 저항은, 파괴될 재료의 성질에 따라 변하거나, 복귀 유동저항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해머의 충격 에너지는 제어 압력 밸브의 조정값 및 충격 피스톤의 스트로크 길이에 따라 변하며, 스트로크 길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머의 유동저항의 조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해머의 유동 저항이 작을 때, 충격 피스톤은 복귀 방향으로 최대 스트로크 길이 만큼 이동하며, 후방 위치에서 정지하여 축압기가 제어 압력 밸브에 의해 조정된 소정의 값으로 충전되도록 대기한다. 소정의 값을 얻은 후에, 충격 피스톤은 완전한 길이의 스트로크 운동을 수행하며, 블레이드에 최대 충격 에너지를 제공한다. 해머에 공급되는 체적 유량이 증가하거나 복귀 유동 저항이 증가하거나, 아니면 파괴하기 쉬운 재료를 가격함으로써 유동 저항이 증가하면, 충격 피스톤의 스트로크 길이는 짧아지고, 따라서 충격 에너지는 감소하지만, 스트로크 횟수는 증가한다.
제어 압력 밸브는 단지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해머링 작업중에 조정될 수 있지만, 복귀 유동 저항은 해머의 안쪽 또는 해머 및 압력 용기 사이의 복귀관 내에 위치할 수 있는 스로틀 또는 압력 제어 장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복귀 유동 저항 밸브가 압력 유체 용기 또는 기본적인 기계의 밸브 시스템 부근에 위치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해머용으로 단지 통상의 유압 도관, 즉 출구 도관 및 복귀관이 필요할 뿐, 다른 특별한 제어 도관은 필요 없다.
이하,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블레이드(2)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 피스톤(1)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해머를 보여주고 있다. 메인 밸브(3)는 해머로 도입되는 유량과 높은 압력이 충격 해머 위의 가변 압력 환상 공간 및 충격 피스톤의 압력면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 놓여 있다. 압력 유체는 도입관(5)을 통해 고압관(6) 내로 흐르고, 고압관은 축압기(7)와, 충격 피스톤 아래의 환상 공간 및 상부 압력면(4)보다 현저히 작은 충격 피스톤의 압력면(8)과 연속적으로 접촉하고 있고, 제어 압력 밸브(9)의 압력 공간 및 스핀들의 압력면(10)과도 또한 연속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메인 밸브(3)는 두 개의 대향하는 압력면(11, 12)에 의해 제어되며, 이중 하나의 표면(11)은 작고 고압관(6)과 항상 접촉한다. 큰 압력면은 고압관(6) 및 복귀관(13) 내로 교대로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 피스톤이 충격 위치에 있을 때, 충격 피스톤의 그루브(14)에 의해 그루브(15)와 제어 압력관(16)은 높은 압력으로 연결되며, 압력면(12)에도 또한 영향을 미친다. 충격 피스톤이 후방 위치에 있을 때, 복귀 운동에서 충격 방향으로 운동방향이 변경된다. 후방 위치와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는 충격 피스톤의 스트로크 길이이다. 충격 피스톤이 후방 위치에 있을 때, 제어 압력밸브(9)는 제어 압력 관(16)에서 복귀관(13)에 이르는 관(18)까지 그루브(17)에 의한 연결을 수행한다. 메인 밸브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즉 충격 피스톤이 충격 위치에 있고, 압력면(12)은 복귀관에 연결되고 후방 위치에서 고압 도관에 연결되는 바람직한 구성에 의해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압력면(12)에 영향을 미치는 압력 수준에 따라, 메인 밸브(3)는 항상 가장 왼쪽 또는 가장 오른쪽 위치로 이동한다. 높은 압력이 압력면(12)에 작용할 때, 메인 밸브(3)는, 그루브(19)가 충격 피스톤 위의 압력 공간으로부터 나온 관(20)을 복귀관(13)까지 연결시키게 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제 1 도에서, 충격 피스톤이 막 개방되어 압력면(12)과 고압 연결되면, 메인 밸브(3)는 충격 피스톤의 압력면(4)의 공간으로부터 복귀관(13)까지 연결하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한다. 충격 피스톤이 후방 위치에 있을 때, 제어 압력 밸브(9)에 의해 압력면(12)에서 복귀관까지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메인 밸브의 그루브(19)는 고압관(6)을 충격 피스톤 위의 압력면(4)의 공간에 관(20)을 통해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라, 스프링 장착 비복귀 밸브 또는 압력 방출 밸브나 유량 제어 밸브 또는 상기한 밸브의 조합일 수 있는 저항 밸브(21)가 복귀관(13) 내에 위치한다. 그러한 밸브는 당연히 파일럿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해머가 구동되기 시작하면, 압력 유체가 고압관(6)을 통해 축압기(7) 및 충격 피스톤의 하부 압력 공간(8)으로 흐른다. 충격 피스톤이 후방 위치에 도달하면, 가스 체적의 감소에 의해 야기되는 축압기(7) 내의 압력 상승을 기다린다. 제어 압력 밸브(9)의 압력면(10) 위의 고압 회로의 압력이 스핀들의 반대쪽으로부터의 스프링력에 의해 조정되는 값을 초과할 때, 그루브(17)는 메인 밸브의 압력면(12)과 복귀관(18, 13)을 연결한다. 메인 밸브(3)는 그 위치를 변경하여, 고압 회로를 충격 피스톤 위의 압력면(4)의 공간에 연결시킨다. 충격 피스톤 위의 압력면(4)이 하부 압력면(8)보다 작기 때문에, 충격 방향으로 충격 피스톤을 가속화하는 힘이 높은 압력의 영향으로 발생한다. 충격 피스톤의 속도가 높아짐으로써, 도입되는 유량은 위쪽 압력면(4)의 공간을 채울 수 없고, 축압기(7)가 고압관(6) 및 위쪽 압력면(4)의 공간 내로 압력 유체를 방출한다. 축압기의 가스 공간이 증가하면, 제어 압력 밸브(9)의 그루브(17)가 제어 압력관(16)과 복귀관(18) 사이의 연결을 끊어버림으로써, 축압기 내부의 압력과 전체 고압 회로의 압력이 떨어진다. 충격 피스톤이 블레이드의 상단부를 가격하면, 파괴될 재료 내로 침투하는 블레이드의 침투 저항에 따라, 그 속도가 0까지 급격히 감소한다. 재료가 무르거나 부서지기 쉬우면 침투가 일어나고, 이 경우 파괴될 재료는 블레이드 아래에서 파쇄된다. 충분한 정도로 침투가 일어나지 않으면, 압축 및 인장 응력파로서 충격 에너지가 충격 피스톤의 충격 단부에 반향되어, 복귀 방향으로 충격 피스톤을 가속화시키는 큰 힘을 발생시킨다. 해머의 유동 저항은 관내의 그리고 밸브를 통과하는 압력 유체의 유동 저항 및 복귀관 유동 저항과, 압력 유체에 의해 이동하는 충격 피스톤 및 메인 밸브 등과 같은 질량체의 가속 저항 및 마찰로 구성된다. 마찰이 차지하는 비율은 적지만, 충격 피스톤 및 메인 밸브 사이의 상호 동기는 유량 저항을 최소로 하는 데 중요하다. 물론, 최대 유동 저항은 충격 피스톤의 질량의 복귀 유량 저항 및가속 저항으로 구성된다. 복귀 방향으로의 충격 피스톤의 질량의 가속 저항은 파괴될 재료에 따라 다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귀 방향으로 충격 피스톤을 가속화시키는 큰 힘이 침투되지 않는 재료에서 발생되며, 이 힘은 해머의 외부로부터 블레이드에 의해 충격 피스톤으로 향하며, 이에 의해 해머의 유동 저항은 작다. 블레이드가 파괴될 재료를 침투하면, 힘은 작아지거나 0이 됨으로써, 충격 피스톤이 압력 유체의 압력에 의해 복귀 방향으로 가속화되기 때문에, 해머를 통해 흐르는 압력 유체의 흐름에 크게 저항한다.
피스톤이 복귀하는 동안, 축압기(7)는 충전되고, 고압 회로의 압력은 상승한다. 축압기의 충전율은 해머 안으로 이송되는 체적 유량 및 해머의 유동 저항에 따라 다르다. 유동 저항이 높은 경우, 축압기는 유동 저항이 낮을 때보다 더욱 빨리 충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대 길이를 제외하고 충격 피스톤의 스트로크 길이와 관련한 제한부 또는 단차부가 설치되지는 않았지만, 충격 피스톤의 후방 위치는 고압 축압기의 충전율에 따라 달라진다. 해머의 스트로크 길이는 유동 저항이 증가할 때 무단계적으로 짧아지고, 유동 저항이 감소할 때 스트로크 길이는 최대로 된다.
충격 피스톤의 스트로크의 길이에 대한 유동 저항의 영향은 상부 압력면(4)에 비례하여 충격 피스톤의 하부 압력면(8)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그 비례가 너무 크면, 충격 피스톤은 너무 쉽게 복귀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귀관에서 많은 유동 저항이 필요하며, 그 밖에 파괴될 재료의 영향은 감소한다. 이론적인 계산과 실제 측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하부 압력면(8)이 상부 압력면(4)의 1/4보다작을 때, 가장 바람직하게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복귀관에서의 해머의 유동 저항 및 복귀 방향으로의 충격 피스톤의 가속 저항은 동시에 더해진 저항이다. 즉, 소위 직렬 저항이다. 이것은 나란한 축압기의 충전 저항 및 이송된 체적 유량과 함께 충격 피스톤의 스트로크 길이를 결정한다. 따라서, 체적 유량이 낮고 복귀관 저항이 작을 때, 재료의 성질에 따라 달라지는 제어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복귀관 저항을 증가시키면, 해머의 동력을 변경시킴이 없이 제어를 시작할 수 있지만, 복귀 저항을 증가시키는 대신에 제어 압력 밸브의 개방 압력을 감소시켜도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해머의 동력 또한 감소한다. 적용시, 해머 내에 복귀관의 저항 밸브를 위치시키고, 저항 밸브를 조정하여 단단한 비침투 재료에서 연하고 부서지기 쉬워서 침투하기 쉬운 재료로 넘어갈 때 소정의 체적 유량에서 별도의 소정 스트로크 횟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파괴될 재료에 기초하여 충격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핀란드 특허 제86762호 및 제92477호에 개시된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충격 위치 부근에서의 시간 또는 압력 변화의 비교에 기초하여 조정되어야 할 충격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다. 스트로크 횟수가 증가하여도 스핀들 진폭은 감소하고 이러한 감소는 충격 피스톤의 후방 위치에서의 스핀들의 개방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제어 압력 밸브의 동작은 조정 중에 현저히 변화하지 않는다. 복귀관의 저항 밸브는 조정된 값을 변경하지 않지만, 소정의 체적 유량에서 소정의 역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조정된다. 재료의 성질에 기초하여,충격 피스톤의 스트로크 길이만이 변하며, 이는 최종적으로 충격 순간의 충격 피스톤의 속도 및 스트로크 횟수 따위의 충격 파라미터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큰 차이는 해머가 동작하기 시작할 때의 최초 스트로크에서의 충격 피스톤의 최대 스트로크 길이이다. 해머가 가동을 시작한 후에, 파괴될 재료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는 해머는 짧은 스트로크 길이 또는 낮은 압력 수준에서 시작되며, 이는 단단한 바위에 구동 동력 이하의 충격을 가하게 되고, 충격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장치가 기준값에 근거하여 다수의 연속하는 충격의 값을 고려하기 때문에, 파괴될 재료 및 블레이드 사이에 감쇠 모래 베드(damping sand bed)가 생성된다. 감쇠 모래 베드는 스트로크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바위를 파괴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충격 에너지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조정장치에 무른 바위의 값을 이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성은 제어 압력 밸브로 향하는 관(18)을 폐쇄하거나 관(22)을 개방함으로써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복귀 유동 저항 밸브에 의해 증가된 복귀 유동 압력은 메인 밸브의 제어 압력면(12)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제어 압력 밸브의 조정된 값은, 관(23)에 의해 스프링 공간을 해머의 복귀관(13)과 결합시킴으로써,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 1 도는 관(18)을 통한 연결을 보여주고 있다). 복귀 유동 저항 밸브에 의해 증가된 압력은 해머의 동작 압력에 또한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귀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고 스트로크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충격 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해머의 동작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해머의 치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한 해머는, 해머 도관의 크기, 유압 펌프 등의 압력 수준이 넓은 범위 내에서 변동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굴착기에 장착될 때, 매우 유용하다.
관(24)은 핀란드 특허출원 제943074호에 따른 원격 제어 도관을 나타낸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보인 것으로, 충격 피스톤(1)의 중간 영역에서의 그루브(25)는 관(16)을 통하여 메인 밸브(3)의 제어 압력면(12)을, 복귀관(13)으로 이어지거나 점선으로 표시된 관(27)을 통해 복귀관(28)으로 이어지는 관(26)과 결합시킨다. 그루브(25)를 통해 달성되는 연결은 충격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충격 피스톤이 블레이드(2)를 가격할 때 개방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메인 밸브의 느린 동작을 신속하게 보완하는 것은 통상의 방식으로 연결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충격 피스톤이 후방 위치에 있을 때, 메인 밸브(3)의 제어 압력면(12)은 관(29, 30, 16)을 통해 제어 압력 밸브(9)의 그루브(17)에 의해 고압 회로에 연결된다. 연결부는, 축압기(7)의 압력이 상승할 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됨으로써, 압력면(10)에서 발생된 힘이 스프링력 및 스핀들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조정력을 극복한다.
제어 압력 밸브의 조정된 값은 스프링력에 의해 그리고 원격 제어 도관(31)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 2 도는 핀란드 특허출원 제943074호에 따른 최대 압력 밸브(32)를 또한 보인 것으로, 이 밸브에 의해 스프링 공간은 각각 관(33, 13) 또는 관(33, 27)을 통해 복귀관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압력 밸브(9)를 조정하기 위해, 제어 도관(34)은 스로틀(35)을 통해 고압관(6, 29)에 연결된다.
제 2 도는 충격 피스톤(1)이 하부 압력 공간의 바닥을 가격함이 없이 그에이르지 못하는 한 충격 방향으로 블레이드(2)가 이동할 때 필요한 충격 방향으로의 충격 피스톤의 제동 방법을 또한 보여주고 있다. 제동을 위해, 고압관(6)과 접촉하고 있는 그루브(36)는 챔버(37)에 의해 하부의 압력면(8)에서 분리되며, 충격 피스톤의 운동 에너지를 제동하는 힘은 커서 충격 피스톤이 정지한다. 그루브(25)는 관(16, 26) 사이에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해머의 가압력이 너무 작을 때에나 또는 블레이드가 파괴할 재료를 너무 깊이 침투시켜서 충격 피스톤이 그에 이르지 못할 때, 즉 블레이드 아래의 바위가 갑자기 깨져 버릴 때에 야기되는 상황인 아이들 스트로크(idle stroke)의 제동 상황에서도 바람직하게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라, 충격 피스톤이 계속해서 충격 포인트를 지나 브레이크 내로 이동할 때, 충격 피스톤 질량의 복귀 운동의 가속 저항이 커져서 축압기(7)의 압력이 높게 상승하게 되어 다음 스트로크에서는 제어 압력 밸브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체적 유량이 큰 경우에 제어 압력 밸브가 이미 개방되어 있을 때 브레이크로부터 충격 피스톤이 상승하지 못한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충격 방향에서 감쇠 챔버(37)의 깊이 및 충격 피스톤에 대한 공간의 직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어 압력 밸브의 그루브(17)와 충격 피스톤의 그루브(25, 제 2 도) 또는 그루브(14, 제 1 도)가 동시에 제어 압력관(16) 안으로 개방될 때, 해머 내에는 고압관(6)에서 복귀관(13)까지 자유 유동 회로가 형성되어, 해머 안으로 이송된 체적 유량은 충격 피스톤을 이동시키지 않는 채로 해머를 통해 흐른다. 유동은 관(6, 29, 30, 16, 26, 13)(제 2 도) 또는 관(6, 16, 18, 13)(제 1 도)을 통해 일어난다. 이어서, 해머의 동작은 압력 방출밸브, 소위 안전 밸브를 해머 도관의 유압 회로 내에서 개방시키지 않고 중단된다. 이것은 아주 유용한 것인데, 그 이유는 안전 밸브가 자주 작동하게 되면 마모가 빨라지는 점이 있고 이 외에도 안전 밸브가 맥동 압력으로 인해 해머의 소정의 동작 압력보다 50바(bar) 더 높은 압력 하에 놓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머를 사용하여 작업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은, 해머 도관의 동작 밸브를 계속 개방시켜 두고 파괴될 물체를 해머가 내려누를 때 해머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머는 지나치게 큰 체적 유량이 해머 내로 이송될 때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고, 그에 따라 충격 피스톤의 그루브(25, 14)가 제어 압력 밸브의 그루브(17)와 함께 동시에 개방되어서 해머 도관 중의 압력 방출 밸브를 개방시키지 않아도 해머를 통한 자유로운 순환이 가능해질 때까지 압력 수준이 상승할 때에도 충격 피스톤의 스트로크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복귀 유동 저항 밸브를 보인 것으로, 밸브는 고압에 의해서만 개방된다. 해머의 다른 부재들은 제 1 도 및 제 2 도의 것들과 일치한다. 밸브의 복귀관(13)은 그루브(45)로 이어지며, 스핀들(40) 내의 그루브(47)는 스핀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배열되어 상기 그루브(45)와 또 다른 그루브(46)와의 연결부를 개방 및 폐쇄하며, 그루브(46)로부터 관(48)은 복귀 유량을 기본적인 기계의 유압 집합체로 안내한다. 고압관(6)은 핀(43)을 포함한 압력 공간(44)과 지속적으로 접촉한다. 고압이 핀(43)의 단부에 작용할 때, 힘이 스핀들(40) 내에서 발생하며, 이 힘은 그루브(45, 46) 사이의 연결부를 개방하려고한다. 개방력은 스크류(41)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스프링(42)의 스프링력에 의한 저항을 받는다. 물론 스프링력이 또 다른 유압 동력, 전자기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대치될 수 있다.
제 3 도에 따른 복귀 유동 저항 밸브(21)가 제공된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해머의 소정의 동작 압력이 제어 압력 밸브(9)에 의해 조정된다. 상기 저항 밸브(21)는 제어 압력 밸브보다 낮은 압력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 스핀들(40)(부재(42, 41)들)의 개방력을 조정하면서, 쉽게 침투될 수 있는 재료에 대한 해머의 소정의 스트로크 횟수를 찾아낸다. 그러한 저항 값이 사용될 때, 파괴될 재료에 따른 해머의 조정은 해머 내로 이송되는 체적 유량에 현저히 의존하지 않는다.
핀란드 특허출원 제943074호에 따른 최대 및 최소 압력의 조정, 즉 무단계 조정이 제어 압력 밸브 내에서 구성된 후에, 복귀관 저항 밸브는 상기 최소 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 그러나 최대 압력보다 낮은 압력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 최대 압력에서, 해머는 완전한 스트로크 길이로 조정되어 완전한 충격 에너지를 제공하며, 최소 압력에서는 가장 짧은 스트로크 길이로 조정되어 낮은 충격 에너지를 제공하지만 스트로크 횟수는 높아진다.
본 발명은 고압 회로의 압력 및 복귀 유동의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복귀 유동 저항 밸브를 포함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해머의 일실시예의 개략 도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해머의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 도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해머의 실시에 적합한, 압력 유체 복귀관의 저항 밸브의 개략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충격 피스톤 3 : 메인 밸브
4, 8 : 압력면 5 : 입구관
7 : 축압기 9 : 제어 압력 밸브
13 : 복귀관 21 : 복귀 유동 제어 밸브

Claims (4)

  1. 두 개의 압력면(4, 8)을 가진 충격 피스톤(1)과, 축압기(7)와, 충격 해머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관(5)과, 충격 해머 밖으로 압력 유체를 안내하는 복귀관(13)과, 고압 및 저압을 안내하여 충격 피스톤(1)의 적어도 하나의 압력면(4, 8)에 교대로 작용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충격 피스톤을 왕복시키는 메인 밸브(3)와, 입구관(5)과 접촉하고, 내부의 압력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 압력 밸브(9) 위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 메인 밸브(3)에 제어 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충격 피스톤(1)이 복귀하는 동안 메인 밸브(3)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제어 압력 밸브(9)로 구성되는 유압 충격 해머에 있어서,
    압력 유체의 복귀관(13) 내에 장착되어 충격 해머로부터 유출되는 압력 유체를 조정하는 복귀 유동 저항 밸브(21)를 포함하며, 축압기(7)의 충전률 및 충격 피스톤(1)의 복귀 동작의 길이가 복귀 유동 저항 밸브(21)에 의해 제공되는 유동 저항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충격 해머.
  2. 제 1 항에 있어서, 충격 동력 및 스트로크 횟수를 제어하기 위해, 복귀 유동 저항 밸브(21)와 제어 압력 밸브(9) 모두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충격 해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귀 유동 저항 밸브(21)가, 압력 유체의고압관(6)과 접촉하며 상기 복귀 유동 저항 밸브의 개방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압력 유체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충격 해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압력 밸브(9)에 압력 유체관이 연결되고, 상기 압력 유체관에 의해 제어 압력밸브(9)의 개방 압력이 조정될 수 있고 충격 해머의 충격 동력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충격 해머.
KR1019960027343A 1995-07-06 1996-07-06 유압충격해머 KR100436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53337 1995-07-06
FI953337A FI104960B (fi) 1995-07-06 1995-07-06 Hydraulinen iskuvasa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536A KR970005536A (ko) 1997-02-19
KR100436242B1 true KR100436242B1 (ko) 2004-11-26

Family

ID=854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343A KR100436242B1 (ko) 1995-07-06 1996-07-06 유압충격해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90548A (ko)
EP (1) EP0752297B1 (ko)
JP (1) JPH0919875A (ko)
KR (1) KR100436242B1 (ko)
DE (1) DE69610795T2 (ko)
ES (1) ES2153554T3 (ko)
FI (1) FI10496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437B1 (ko) * 2007-10-05 2015-06-29 산드빅 마이닝 앤드 컨스트럭션 오와이 암석 파쇄 장치, 보호 밸브 및 암석 파쇄 장치의 작동 벙법
KR20230078319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영진테크 자동 모션 제어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3258C1 (de) * 1996-08-17 1997-08-28 Iversen Hydraulics Aps Druckverstärker für Fluide, insbesondere für Hydraulikflüssigkeiten
DE19803449A1 (de) * 1998-01-30 1999-08-05 Krupp Berco Bautechnik Gmbh Druckmittelbetriebene Schlagvorrichtung
FI107891B (fi) * 1998-03-30 2001-10-31 Sandvik Tamrock Oy Painenestekäyttöinen iskulaite
DE19923680B4 (de) * 1999-05-22 2004-02-26 Atlas Copco Construction Tools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Betriebsdauer und des Einsatz-Zustands eines hydraulischen Schlagaggregats, insbesondere Hydraulikhammer,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SE0201510D0 (sv) * 2002-05-17 2002-05-17 Reijo Malefelt Hydraulhammare
FI121139B (fi) * 2004-02-02 2010-07-30 Sandvik Mining & Constr Oy Hydraulivasara ja työkaluholkki
SE528081C2 (sv) * 2004-08-25 2006-08-29 Atlas Copco Constr Tools Ab Hydraulisk slagmekanism
SE527762C2 (sv) * 2004-10-14 2006-05-30 Atlas Copco Rock Drills Ab Slagverk
FR2902684B1 (fr) * 2006-06-27 2010-02-26 Montabert Roger Procede de commutation de la course de frappe d'un appareil a percussions mu par un fluide incompressible sous pression, et appareil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WO2010115010A2 (en) * 2009-04-01 2010-10-07 Purdue Research Foundation Positive displacement machine piston with wavy surface form
FI123463B (fi) * 2010-10-21 2013-05-15 Unisto Oy Paineellisella väliaineella toimiva iskulaite
RU2456424C1 (ru) * 2010-12-07 2012-07-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рл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ОрелГТУ) Гидравл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US9308635B2 (en) * 2013-01-28 2016-04-12 Caterpillar Inc. Variable volume accumulator
AT513849B1 (de) * 2013-03-04 2014-08-15 Tmt Bbg Res And Dev Gmbh Steuerung der Arbeitsfrequenz eines Schlagwerkes
US9151386B2 (en) * 2013-03-15 2015-10-06 Caterpillar Inc. Accumulator membrane for a hydraulic hammer
DE102014108848A1 (de) 2014-06-25 2015-12-31 Construction Tools Gmbh Vorrichtung zur Drucküberwachung
DE102014108849B9 (de) * 2014-06-25 2022-12-22 Construction Tools Gmbh Drucküberwachungsvorrichtung
US9840000B2 (en) 2014-12-17 2017-12-12 Caterpillar Inc. Hydraulic hammer having variable stroke control
US20160199969A1 (en) * 2015-01-12 2016-07-14 Caterpillar Inc. Hydraulic hammer having variable stroke control
US20160221171A1 (en) * 2015-02-02 2016-08-04 Caterpillar Inc. Hydraulic hammer having dual valve acceleration control system
US10245714B2 (en) * 2015-11-13 2019-04-02 Caterpillar Inc. Hydraulic buffer with fast startup
US10562165B2 (en) 2016-04-10 2020-02-18 Caterpillar Inc. Hydraulic hammer
FI3659752T3 (fi) 2017-07-24 2023-05-04 Furukawa Rock Drill Co Ltd Hydraulinen vasarointilaite
RU190560U1 (ru) * 2017-12-14 2019-07-0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Управляющая Компания "Традиция" (Ооо Ук "Традиция") Гидромолот
WO2019117748A1 (ru) * 2017-12-14 2019-06-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Управляющая Компания "Традиция" Гидромолот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03061C3 (de) * 1968-03-27 1974-02-14 Fried. Krupp Gmbh, 4300 Essen Hydraulisch betriebener Schubkolbenmotor
US3759335A (en) * 1971-12-30 1973-09-18 Bell Lab Inc Mole hammer-cycle control
SE391664B (sv) * 1973-10-23 1977-02-28 Svenska Hymas Ab Anordning vid hydrauliskt drivet slagverktyg
DE2512731A1 (de) * 1975-03-22 1976-10-07 Klemm Bohrtech Hydraulisches schlaggeraet
DE2658455C3 (de) * 1976-12-23 1981-01-22 Fried. Krupp Gmbh, 4300 Essen Druckmittelbetriebenes Schlagwerk
CH638587A5 (de) * 1979-02-12 1983-09-30 Uster Spindel Motoren Maschf Schlagbohrhammer.
GB2100364B (en) * 1981-04-23 1985-01-09 Musso Mario A hydraulic percussive drill
FR2595972B2 (fr) * 1985-07-16 1989-10-20 Montabert Ets Appareil a percussions
EP0236721A3 (en) * 1986-03-11 1989-10-25 NITTETSU JITSUGYO CO., Ltd. Hydraulic breaker
FR2602448B1 (fr) * 1986-08-07 1988-10-21 Montabert Ets Procede de regulation des parametres de percussion du piston de frappe d'un appareil mu par un fluide incompressible sous pression, et appareil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DE4027021A1 (de) * 1990-08-27 1992-03-05 Krupp Maschinentechnik Hydraulisch betriebene schlagdrehbohrvorrichtung, insbesondere zum ankerlochbohren
FR2676953B1 (fr) * 1991-05-30 1993-08-20 Montabert Ets Appareil hydraulique a percussions.
FI104959B (fi) * 1994-06-23 2000-05-15 Sandvik Tamrock Oy Hydraulinen iskuvasar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437B1 (ko) * 2007-10-05 2015-06-29 산드빅 마이닝 앤드 컨스트럭션 오와이 암석 파쇄 장치, 보호 밸브 및 암석 파쇄 장치의 작동 벙법
KR20230078319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영진테크 자동 모션 제어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52297A2 (en) 1997-01-08
FI953337A0 (fi) 1995-07-06
EP0752297B1 (en) 2000-11-02
FI104960B (fi) 2000-05-15
DE69610795T2 (de) 2001-05-10
JPH0919875A (ja) 1997-01-21
KR970005536A (ko) 1997-02-19
DE69610795D1 (de) 2000-12-07
EP0752297A3 (en) 1998-01-14
ES2153554T3 (es) 2001-03-01
US5890548A (en) 1999-04-06
FI953337A (fi) 1997-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242B1 (ko) 유압충격해머
US5653295A (en) Hydraulic precussion hammer
US4899836A (en) Hydraulic percussion instrument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1558836B1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rock drilling
CA2463603C (en) Method and arrangement of controlling of percussive drilling based on the stress level determined from the measured feed rate
JPH04289083A (ja) 破砕材料の硬度への打撃機の動作特性の適合調整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US687756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cycle of impact device, and impact device
EP0527395B1 (en) Hydraulic striking device
JP5396275B2 (ja) 削岩方法及び削岩装置
US5979291A (en) Hydraulically operated percussion hammer
EP1651391B1 (en) Impact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tress pulse therein
CA2608067C (en) Impulse generator and method for impulse generation
EP3180478B1 (en) Hydraulically operated linear driver
JP2014513221A (ja) 岩盤及びコンクリートの機械掘り用装置及び方法
JP2834744B2 (ja) 打撃力および打撃回数の自動制御装置
KR100362237B1 (ko) 유압식충격해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