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835B1 -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835B1
KR100435835B1 KR10-2001-0016255A KR20010016255A KR100435835B1 KR 100435835 B1 KR100435835 B1 KR 100435835B1 KR 20010016255 A KR20010016255 A KR 20010016255A KR 100435835 B1 KR100435835 B1 KR 100435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omputer
phone
multifunc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427A (ko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수 filed Critical 한영수
Priority to KR10-2001-001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8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04M1/645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with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컴퓨터와 연계되 복합기능을 수행하는 복합기능 전화기로 이루어지는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할 때, 외출시에도 국선을 이용하여 인터넷폰 및 음성서비스시스템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복합기능 전화기와 공중전화망에 접속된 타 전화기를 통화로를 형성하고, 컴퓨터와 타 전화기가 공중전화망으로 접속되어, 타 전화기로부터 컴퓨터에 인터넷폰을 이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수신되는 인터넷폰을 타전화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타전화기로부터 컴퓨터에 음성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Communication System for Multifunction }
본 발명은 컴퓨터와 연계되어 복합기능을 수행하는 복합기능 전화기로 이루어지는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를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하는 경우에, 외출시에도 국선을 이용하여 인터넷폰 및 음성서비스시스템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와 연계된 복합기능을수행하는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화기는 음성을 통하여 의사전달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간에게 가장 편리한 의사전달도구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서비스중에 하나로 개발된 것이 메모리나 테이프에 의하여 음성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전화기가 개발되어 왔으나, 이러한 장치는 데이터 저장용량이나 성능면에서 여러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휴대폰 등에는 ARS시스템에서 별도의 음성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음성서비스에 따른 별도의 전화요금이 부가되므로 발신자에게는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들간에 이루어지는 인터넷폰은 인터넷이 갖는 속성 때문에 무료로 제공되거나, 일반 전화에 비해 저렴하다. 그러나, 컴퓨터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없는 공간에서는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앉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기능 전화기에서 컴퓨터를 제어하여 국선을 통하여 복합기능 전화기에 통화시도가 이루어지면 이를 복합기능 전화기와 컴퓨터가 감지하여 컴퓨터에서다양한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목적은 복합기능 전화기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복합기능 전화기에 의하여 제어되는 컴퓨터에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목적은 복합기능 전화기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외부에서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에 통화로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에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역으로 외부에서 상기 컴퓨터에 인터넷폰이 수신될 때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인터넷폰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목적은 복합기능 전화기에 접속된 컴퓨터의 음성합성, 음성인식, 메모리 용량등을 이용하여 복합기능 전화기에 복합기능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기능 전화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컴퓨터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국선자동응답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터넷폰으로 연결할 국선전화번호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컴퓨터, 상기 컴퓨터에 접속된 복합기능 전화기에 의하여 복합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는
상기 컴퓨터에 복합기능을 수행하도록 복합기능 키입력부;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에 연결된 공중전화망과 상기 컴퓨터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컴퓨터로부터제어데이터가 입력될 때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의 해당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복합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복합기능프로세서;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와 상기 공중전화망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는 타 전화기에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의하여 전송될 음성데이터가 저장되는 음성안내저장부;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타 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데이터 저장부;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의 처리수순에 의하여 상기 음성안내저장부로부터 저장된 특정의 음성안내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타전화기에 송출하고, 상기 특정의 음성안내메시지에 응답함으로써 발생되는 데이터를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가 특정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인터넷에 접속된 타단말기와 인터넷폰을 수행하는 컴퓨터, 상기 컴퓨터에 접속되어 상호 음성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공중전화망으로 연결된 타 전화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며, 상기 타 전화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상에서 구현되는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상기타전화기와 상기 타단말기간에 통화로를 형성하도록하는 복합기능 전화기로 이루어지는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타 전화기에 전송할 음성메시지들이 저장된 음성메시지 저장부;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에 수신되는 콜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로부터 상기 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와 상기 타 전화기간에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에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음성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를 통하여 상기 타 전화기에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음성메시지에 대응한 상기 타 전화기로 부터의 반응입력이 기 설정된 반응입력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타 전화기와 상기 타단말기간에 인터넷폰 통화를 형성하는 복합기능프로세서; 및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음성메시지를 상기 음성메시지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음성메시지를 상기 타 전화기에 송출하고, 상기 타 전화기로부터 상기 반응입력을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특징은
인터넷에 접속된 타단말기와 인터넷폰을 수행하는 컴퓨터, 상기 컴퓨터에 접속되어 상호 음성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공중전화망으로 연결된 타 전화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며, 상기 타 전화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상에서 구현되는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상기 타전화기와 상기 타단말기간에 통화로를 형성하도록하는 복합기능 전화기로 이루어지는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타단말기로부터 인터넷폰이 수신될 때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와 상기 컴퓨터내에 저장된 임의의 전화번호의 타 전화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에 제어데이터를 송신하는 복합기능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는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의 상기 제어데어터에 따라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의 타 전화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통화로 형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블록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500)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컴퓨터라 함)(200)와 컴퓨터(200)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복합기능전화기(100)로 구성된다. 데이터의 송수신은 RSC232방식이나 USB 또는 무선인터페이스방식등 어느 것이든지 환경에 따라 적절히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200)은 카단말기라 할 수 있는 외부컴퓨터(300)와 인터넷에 의해서 접속되어 메일, 인터넷폰등을 상호 송수신할 수 있으며, 복합기능 전화기(100)는 공중전화망을 통해서 타 전화기라 할 수 있는 외부전화(4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복합기능 전화기(100)는 컴퓨터(200)를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컴퓨터(200)와 연계되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기능 전화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복합기능 전화기(100)는 다이얼DTMF신호를 발생하고, 음성을 직접입력하고, 출력할 수 있는 송수화기(106), 송수화기(106)로부터 음성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공중전화망에 전송하고, 디지털데이터중에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송수화기로 전송하는 스피치네트워크부(101), 국선공중전화망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전화벨을 검출하기 위한 전화벨검출회로(102),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제어대상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9), 스피치네트워크부(101)와 제어부(109)사이에 접속되어 스피치네트워크부(101)에서 송수신되는 음성의 유, 무 상태를 판단하는 복스(103), 송수화기(106)로부터 발생된 DTMF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09)에 송신하는 DTMF리시버부(104), 국선공중전화망을 통하여 복합기능 전화기(100)로부터 상대방 전화기에 송신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링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링백톤(Ring Back Tone)부(105), 복합기능 전화기(100)와 접속된 컴퓨터(200)의 사운드카드에음성신호를 입력하거나, 역으로 음성신호를 입력받을 때 임피이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트랜스부(107), 컴퓨터인터페이스부와 접속되어 제어부(109), 트랜스부(107)와 컴퓨터(200)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110), 제어부(109)에 접속되어 키입력을 수행하는 입력부(108)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컴퓨터 구성 블록도이다.
복합기능 전화기(100)와 접속되는 컴퓨터(200)의 구성은 전체적인 제어와 연산을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201)와, 컴퓨터구동프로그램을 비롯한 컴퓨터 기능수행을 위한 영구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롬(207)과, 일시적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램(208)과, 복합기능 전화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데이터를 변환하는 인터페이스(209),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음성신호를 데이터로 상호 변환하는 사운드카드(210)와, 복합기능 전화기(100)로부터 복합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데이터를 입력받아 복합기능을 수순에 따라 수행하도록 중앙처리장치(201)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합기능프로세스(202),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합성하기 위한 음성합성프로세스(203), 음성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안내 저장부(205), 중앙처리장치(202)의 제어에 따라 음성안내저장부(205)에 저장된 음성을 독출하여 외부에 전송하기 위한 음성응답구동프로세스(204), 전화번호들이 저장된 전화번호저장부(206)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국선자동응답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국선자동응답과정은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사용자가 외출중에 안내메시지를 송신자에게 전송하며 소정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는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사용자는 외출시 또는 국선자동응답과정을 수행하고자 할 때는 입력부(108)의 국선자동응답수행키를 입력한다. 이 키가 입력되면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제어부(108)는 컴퓨터(200)의 중앙처리장치(201)에 자동응답수행을 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면, 컴퓨터 제어부(201)는 복합기능프로세서(202)로 하여금 국선자동응답서비스를 일정 수순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준비하도록 한다(S401).
이와 같은 복합기능프로세스(202)가 준비상태에 있을 때, 외부 전화기로부터의 콜신호가 요청되면(S402),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전화벨 검출회로(102)에서 전화벨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09)에 전송하고, 제어부(109)에서는 컴퓨터 중앙처리장치(201)에 전송하게 되고, 결국 복합기능프로세스(202)에서는 전화벨 소리를 카운트한다(S403). 이때 프로그램에 의해서 설정된 숫자만큼, 예를 들어 3회가 울리게 되면, 복합기능프로세스(202)는 중앙처리장치(201)로 하여금 전화기 제어부(109)로 하여금 외부 전화기(400)와 복합기능 전화기(100)사이에 호형성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는 한편(S404), 음성응답구동프로세스(204)로 하여금 음성안내저장부(205)에 저장된 특정의 안내메시지를 형성하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사운드카드(210)로 하여금 상기 안내메시지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전환하도록 하여 복합기능 전화기(100)로 전송하여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스피치 네트워크부(101)에서 음성신호를 국선전화망을 통하여 외부 전화기(400)의 송신자에게 전송한다(S405). 이때, 음성안내메시지는 예를 들면“지금은 외출중이오니 전화를 받을 수 없으니 메시지를 남기시려면 1번을 눌러주시고, 삐소리가 나면 음성메시지를 남겨 주시고, 받으실 전화번호를 남기시려면 2번을 누른 후 삐소리가 나면 받으실 전화번호를 눌러주시고, 인터넷폰 연결을 원하시면 3번을 눌러주시기를 바라며, 인터넷폰 연락받으실 전화번호를 남기시려면 4번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을 수 있으나, 이들은 입력된 상태와 설정상태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성메시지에 따라 외부 전화기(400)의 송신자는 음성메시지를 듣고, 해당 다이얼을 누르게 되면(S406), 예를 들면, 1번을 누르게 되면 이것이 제어부(108)에 입력되고, 결국 컴퓨터의 복합기능프로세스(202)로부터 확인 발신음, 예를 들어 삐소리를 외부전화기(400)에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삐소리 대신에 다른 메시지등 설정된 수순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S407). 이와 같은 외부전화기(400)에 확인 발신음이 수신되면 송신자는 음성메시지를 입력하게 되고, 이 음성메시지는 결국 복합기능 전화기(100)를 경유하여 컴퓨터(200)에 저장되게 된다(S408). 또한 전화번호를 남기는 과정도 마찬가지이다(S408), (409). 이와 같은 저장과정 후에 복스(103)에서는 음성통화가 일정시간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제어부(109)에 전송하고, 제어부(109)에서는 컴퓨터 중앙처리장치(201)에 전송하여, 자동응답과정을 종료하도록 하여 다시 준비상태로 돌아가게 하는 한편,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통화상태를 종료한다(S410),(S411),(S412).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인터넷을 통하여 컴퓨터간에 전화통화를 할 수 있으나, 이는 단순히컴퓨터(200)와 외부 컴퓨터(300)가 인터넷에 접속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 전화기(400)와 외부 컴퓨터(300)사이에는 인터넷폰으로 연결될 수 없다. 특히,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에는 인터넷폰으로 접속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실시예는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사용자가 외출하여 외부에서 타전화기로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복합기능 전화기(100)로 전화를 걸어 복합기능 전화기(100)와 컴퓨터(200)를 접속시키고, 컴퓨터(200)와 타 컴퓨터를 연결하도록 하여 결국 부재중에도 복합기능 전화기(100)를 통하여 외부와 인터넷폰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이 때 타 전화기는 일반 외부 전화기(400)일 수 있으며, 공중전화기, 휴대폰등 국선전화망을 통하여 복합기능 전화기(100)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다 할 수 있다.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의 기능수행을 위하여 복합기능키를 누르게 되면, 도 4의 S401과 마찬가지로 컴퓨터(200)는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되고, S402, S403, S404, S405의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만일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사용자가 외출하여 자신의 휴대폰으로 복합기능 전화기(100)를 경유하여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인터넷폰으로 전화를 건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S405단계에서 휴대폰으로 전송되는 음성메시지, 예를 들어 지금은 외출중이오니 전화를 받을 수 없으니 메시지를 남기시려면 1번을 눌러주시고, 삐소리가 나면 음성메시지를 남겨 주시고, 받으실 전화번호를 남기시려면 2번을 누른 후 삐소리가 나면 받으실 전화번호를 눌러주시고, 인터넷폰 연결을 원하시면 3번을 눌러주시기를 바라며, 인터넷폰으로 연락받으실 전화번호를 남기시려면4번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음성메시지를 휴대폰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휴대폰으로부터 3번이 입력되게 되면(S501), 컴퓨터(200)의 복합기능프로세서(202)는 일정수순에 따라 인터넷폰 접속을 수행하도록 중앙처리장치(201)를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201)에서는 우선 음성응답구동프로세서(204)로 하여금 음성안내 저장부(205)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라는 메시지를 독출하여 복합기능 전화기(100)를 경유하여 휴대폰에 전송하고(S502), 휴대폰으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S503), 전화번호 저장부(207)에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한다(S504). 이와 같이 비밀번호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입력요청메시지를 복합기능 전화기(100)를 경유하여 휴대폰에 송출한다(S505). 휴대폰으로부터 복합기능 전화기(100)에 전화번호가 입력되면(S506), 복합기능프로세서(202)에서 중앙처리장치를 제어하여 인터넷으로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외부 컴퓨터 또는 외부 전화기에 송출하여 통화로를 형성하여(S507, S508), 휴대폰과 외부 컴퓨터간 또는 휴대폰과 외부 전화기간에 인터넷으로 통화를 하게된다(S509),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복스(103)에서 통화음이 더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S510), 인터넷폰을 종료하고 복합기능프로세서(202)를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전화국선을 차단하게 된다(S511), (S512).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컴퓨터(200)에 인터넷폰이 수신되는 경우에 이를 부재중인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사용자에게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부재중에도 인터넷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사용자가 부재중을 위하여 복합기능키를 입력하면 컴퓨터는 S401의 과정에서와 같이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경우에 컴퓨터(200)에서 인터넷을 통한 인터넷폰이 수신되면(S601), 중앙처리장치(201)에서는 복합기능프로세서(202)에 인터넷폰 국선연결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복합기능프로세서(202)는 복합기능 전화기(100)의 제어부(109)에서 복합기능 전화기(100)가 국선연결하도록 제어하고, 복스(103)는 국선연결 신호음을 감지하고, 신호음이 감지될 때는 제어부(109)에서 복합기능프로세서(202)에 감지상태를 전송한다(S602). 복합기능프로세서(202)에서 감지상태를 전송받으면 중앙처리장치(201)로 하여금 전화번호저장부(206)에서 저장된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복합기능 전화기(100)에서 DTMF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국선교환기에 송출하여(S603), (S604), 저장된 전화번호로 통화로를 형성한다(S605). 통화중일 때는 링백톤 신호를 감지하여 전화국선을 차단하고(S606),(S607), 인터넷폰을 종료하고, 컴퓨터를 복합기능 수행대기 상태로 전환한다(S608). 정상적으로 통화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S609), 외부 컴퓨터와 컴퓨터(200)가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컴퓨터(200)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외부전화기간에는 복합기능 전화기(100)가 중계를 하여 호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컴퓨터와 외부전화기간에 통화가 인터넷폰으로 이루어진다(S610). 복합기능 전화기(100)에서의 복스(103)는 통화종료를 감지하여 통화가 종료된 경우에는(S611), 인터넷폰을 차단하도록 하고(S608), 국선을 차단한다(S612). 또한, 인터넷폰으로 받을 전화번호를 부재중, 즉 외부에서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터넷폰으로 연결할 국선전화번호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컴퓨터(200)에 인터넷폰이 수신될 때, 받고자하는 전화번호를 외부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01단계부터 S405단계까지를 수행하여 음성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하면, 외부에서 외부전화기를 통하여 4번을 누르게 되면(S701), 복합기능프로세서(202)에서는 수순에 따라 전화번호 변경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우선 중앙처리장치(201)로 하여금 음성응답구동프로세스(204)를 구동하여 음성안내저장부(205)에서 “비밀번호입력하시요”라는 음성메시지를 독출하여 음성신호를 복합기능 전화기(100)를 통화여 외부전화기에 송출한다(S702). 외부 전화기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S703), 전화번호저장부(206)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을 한다(S704). 비밀번호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음성안내저장부(205)로부터 “변경될 전화번호를 입력하시요”라는 음성안내메시지를 송출한다(S705). 이에 응답하여 변경될 전화번호가 외부전화기에서 입력되고, 복합기능 전화기(100)를 통하여 컴퓨터(200)에 입력되면 변경 전화번호를 인터넷폰이 접속될 새로운 전화번호로 인식하여 저장한다(S706), (707). 이와 같이 변경될 전화번호가 저장되면 이를 독출하여 음성합성프로세스(204)에서는 이를 음성합성하여 외부전화기에 전송하고, 특정키를 입력하도록 하여 확인을 하도록 한다(S708), (S709). 이와 같이 합성된 음성신호에 의하여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맞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키를 눌름으로서 이러한 전화번호변경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또한, 음성안내저장부(205)에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음성응답프로세서(204)에 의하여 음성신호로 변환될 수 있으나, 이러한 음성데이터는 텍스트를 형성하는 데이터로써 이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합성프로세서(203)에 의하여 음성신호를 형성하는 음성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본 발명과 맥락을 같이 하는 변형예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200)와 접속된 복합기능 전화기(100)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올 때 안내메시지를 송출하고, 이에 따라 음성녹음등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종래에 사용되오던 전화기 자체가 갖는 지극히 제한적인 저장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휴대폰등에서 별도의 음성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부담하게될 음성서비스 사용요금을 절감할 수 있어 많은 용량의 음성저장을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재중인 경우에도 타 전화기로 통화로를 형성하여 복합기능 전화기와 접속된 컴퓨터를 통하여 인터넷폰을 사용할 수 있어 인터넷폰 사용영역을 대폭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자신의 컴퓨터로 수신되는 인터넷폰을 자유롭게 받을 수 있으며, 받을 전화번호를 외부에서 직접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을 자유롭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외부에서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는 방법과 인터넷폰을 국선을 통하여 타 전화기로 받을 경우에 전화번호를 변경하고자할 때는 자신이나, 자신이 허락한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여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법사용을 금하도록 하여 비용지출이나,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고 있다.

Claims (3)

  1. 삭제
  2. 인터넷에 접속된 타단말기와 인터넷폰을 수행하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에 접속되어 음성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공중전화망으로 연결된 타 전화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타 전화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상에서 구현되는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상기 타 전화기와 상기 타 단말기간에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복합기능 전화기를 포함하는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타 전화기에 전송할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메시지 저장부;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에 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로부터 상기 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와 상기 타 전화기간에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에 제어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를 통하여 상기 타 전화기에 전송하고, 상기 음성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타 전화기로부터의 반응입력이 기 설정된 반응입력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타 전화기와 상기 타 단말기간에 인터넷폰 통화로를 형성하는 복합기능프로세서; 및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음성메시지를 상기 음성메시지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타 전화기에 송출하고, 상기 타 전화기로부터 상기 반응입력을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수행 통신시스템.
  3. 인터넷에 접속된 타 단말기와 인터넷폰을 수행하는 컴퓨터, 상기 컴퓨터에 접속되어 음성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공중전화망으로 연결된 타 전화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타 전화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여 상기 컴퓨터상에서 구현되는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상기 타 전화기와 상기 타 단말기간에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복합기능 전화기로 이루어지는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타단말기로부터 인터넷폰이 수신될 때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와 상기 컴퓨터 내에 저장된 임의의 전화번호의 타 전화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에 제어데이터를 송신하는 복합기능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기능 전화기는, 상기 복합기능프로세서의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상기 임의의 전화번호의 타 전화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통화로 형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KR10-2001-0016255A 2001-03-28 2001-03-28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KR100435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255A KR100435835B1 (ko) 2001-03-28 2001-03-28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255A KR100435835B1 (ko) 2001-03-28 2001-03-28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894U Division KR200234094Y1 (ko) 2001-03-30 2001-03-30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427A KR20020076427A (ko) 2002-10-11
KR100435835B1 true KR100435835B1 (ko) 2004-06-22

Family

ID=2769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255A KR100435835B1 (ko) 2001-03-28 2001-03-28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8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831A (ko) * 2000-08-05 2000-11-06 이선표 컴퓨터와 전화기를 직렬로 연결하여인터넷폰/일반전화기/사운드카드 청취/전자우편알림의기능을 갖게 하는 시스템
KR20000063952A (ko) * 2000-08-12 2000-11-06 이영승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KR200210680Y1 (ko) * 2000-07-13 2001-01-15 한영문 유에스비를 이용한 발신자정보표시 및 인터넷 유에스비폰
KR20020039491A (ko) * 2000-11-21 2002-05-27 임재선 다기능 전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680Y1 (ko) * 2000-07-13 2001-01-15 한영문 유에스비를 이용한 발신자정보표시 및 인터넷 유에스비폰
KR20000063831A (ko) * 2000-08-05 2000-11-06 이선표 컴퓨터와 전화기를 직렬로 연결하여인터넷폰/일반전화기/사운드카드 청취/전자우편알림의기능을 갖게 하는 시스템
KR20000063952A (ko) * 2000-08-12 2000-11-06 이영승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KR20020039491A (ko) * 2000-11-21 2002-05-27 임재선 다기능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427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3922A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O2001037527A1 (en) Method of changing telephone signals
KR100435835B1 (ko)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KR200234094Y1 (ko)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KR100566373B1 (ko) 인터넷 전화 및 전화망을 이용한 전화의 송수신이가능케하는 중계장치
US4996708A (en) Key telephone system adapted to respond to information stored in a portable outpulser
KR930009849B1 (ko) 부재시 수신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5857010A (en) Power-failure resistant communication system
EP0513695B1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0352266B1 (ko) 전화기의 착신자 통화방법
KR100194414B1 (ko) 무선전화기의 비밀번호에 따른 링발생방법
KR970011424B1 (ko) 자동응답장치의 호출 자동 전환 방법
US20040092294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one-touch call operation using a wireless mobile terminal
KR100268671B1 (ko) 자동응답기에저장된전화번호에대한자동다이얼링가능한자동응답전화기
KR930009850B1 (ko) 기억 전화번호의 표시 및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556929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원격 확인장치 및 방법
KR20028965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KR100702476B1 (ko) 무선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EP1392040A2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one-way speakerphone function
US6614547B1 (en) Cordless facsimile system with telephone answer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4158107A (ja) 電話機、電話機の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および電話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07221833A (ja) 音声認識電話装置
JPH11275230A (ja) 選択肢指定サービス対応交換機、着信者指定サービス対応交換機、選択肢指定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1177637A (ja) 電話装置
JP2000295660A (ja) 通信方式およびその方式で使用する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