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952A -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 Google Patents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952A
KR20000063952A KR1020000046773A KR20000046773A KR20000063952A KR 20000063952 A KR20000063952 A KR 20000063952A KR 1020000046773 A KR1020000046773 A KR 1020000046773A KR 20000046773 A KR20000046773 A KR 20000046773A KR 20000063952 A KR20000063952 A KR 20000063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microcomputer
state
circuit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훈
이영승
Original Assignee
이영승
머니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승, 머니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승
Priority to KR102000004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952A/ko
Priority to PCT/KR2000/000955 priority patent/WO2001060041A1/en
Priority to AU67377/00A priority patent/AU6737700A/en
Publication of KR2000006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95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27Collaboration services where a computer is used for data transfer and the telephone is used for tele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는 PC와 연계하여 인터넷 및 일반 공중전화망을 동시에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의 제공으로 인터넷시대에 부합되는 차세대 통신시스템으로 예상되는 복합기능의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다기능전화기는 외부에 키패드 및 LCD가 구비되어 있고, 그 내부회로로는 크게 마이컴, 기본전화회로부, 상태검출부, 발신자정보수신부, 코덱부, 브랜치전화포트, 그리고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기본전화회로부는 후크스위치 및 매칭트랜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링거회로, DTMF발생회로, 그리고 음성송수신회로를 포함하고, 상태검출부는 기본전화회로부의 각 상태신호들과 브랜치 전화기들의 후크 상태 및 수신되는 DTMF신호의 검출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아울러 이를 통하여 인터넷과 공중전화망을 함께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는 공중전화망으로 컨텐츠데이터는 인터넷망으로 송/수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중 신호가 단절되어 접속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통화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설치가 간편하고 PC의 프로그램 상에서 전화기의 기능을 제어함은 물론 명령어 제어코드 집합체를 제공함으로써, 기능 및 용도에 맞는 자동화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MULTI-FUNCTION TELEPHONE USED BY INTERNET AND PSTN}
본 발명은 복합기능을 수행하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와 연계하여 인터넷 및 일반 공중전화망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통화음질 및 접속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다양한 기능 및 각종 컨텐츠의 제공으로 인터넷시대에 부합되는 차세대 통신시스템으로 예상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분화되고 다양화되면서 생활의 편리는 끊임없이 추구되고 있으며, 기술의 발달은 이러한 요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통신분야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전화기는 초기 수동식에서 출발하여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술로 발전됨으로써, 모든 사무실 및 가정의 중요한 통신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PC를 이용한 전화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화시스템에는 인터넷(20)과 연결하기 위한 통신모뎀(11)과, 그 통신모뎀(11)을 통한 음성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운드 카드(12)가 각 PC(10, 10') 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PC(10, 10')내의 프로그램상에는 모뎀(11)과 사운드 카드(12)의 인식을 위한 각각의 드라이버가 설치되어야 했다.
이와 같은 PC를 이용한 종래의 전화시스템에서 음성통화 즉, 전화통화는, 장착된 모뎀(11)을 통해 한 쪽의 PC(10)를 인터넷(20)에 연결한 후, 그 인터넷(20)에 연결된 다른 PC(10')의 음성데이타를 인터넷 콘텐츠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가능하였다.
또한, PC(10)와 일반전화기(50) 간의 통화는, 인터넷(20)에 연결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서버(30)를 두고, 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서버(30)가 공중전화망(PSTN)에 연결하여 음성데이타를 서로 전송함으로써 가능하였다. 이러한 통신에 있어서, 내/외장형 모뎀과 랜(LAN)카드를 사용하였으며, 통상적으로 PC의 직렬통신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전화시스템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인터넷을 통하여 전화통화를 하기 때문에, 인터넷상에서 인터넷 콘텐츠와 음성신호를 함께 전송하여야 했다. 따라서, 인터넷 데이터의 채증현상(트래픽;traffic)으로 인하여 통화품질이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화통화를 모뎀을 이용하는 경우, 종래의 모뎀은 컴퓨터 내부에 위치(ISA슬롯 또는 PCI슬롯)하여 컴퓨터의 케이스를 빼고 장착하여야 했으며, 통화 전 및 후에만 전화시스템을 제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PC를 이용한 종래의 전화통화 시스템은 기기 인식을 위한 드라이버를 제공하여 컴퓨터에 설치(install)해야 했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함)을 업그레이드한다거나,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드라이버를 재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인터넷 환경을 갖춘 PC에서의 인터넷 콘텐츠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고 음성은 공중 전화 네트워크(PSTN)를 통해 송수신함으로써, 음질저하의 단점을 극복하여 인터넷 콘텐츠의 송수신 및 전화통화를 동시에 고품질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통화용 다기능전화기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의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 응답 메시지 송/수신, 전화 통화내역 관리, 전화 번호 관리 및 전화 걸기, 받기 등등의 다기능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전화기의 소형화 및 저가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다기능 전화기 및 컴퓨터에서 표시하고, 컴퓨터에서 이를 저장 관리하고, 아울러 다이얼링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통화내역을 컴퓨터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에 코덱부를 구비하여 전화기를 이용한 컴퓨터의 사운드 입출력 및 인터넷 폰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기능 전화기와 병렬로 일반 전화기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브랜치된 일반 전화기들의 상태를 감시하여 전화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PC를 이용한 전화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전화기와 PC의 연결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의 상세도.
도 4는 도 3의 기본전화회로부와 상태검출부의 일실시예를 보인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PC
200 : 다기능전화기
201 : 키패드 202 : LCD
203 : 통신포트 204 : 전화라인포트
205 : 브랜치 전화포트 206 : 헤드셋포트
207 : 전원포트
210 : 마이컴
220 : 기본전화회로부
221 : 링거회로 222 : 후크스위치
223 : 매칭트랜스 224 : DTMF 발생회로
225 : 음성송수신회로
230 : 발신자 정보 수신부
240 : 상태 검출부
241 : 제1후크 검출회로 242 : 링신호 검출회로
243 : 제2 후크 검출회로 245 : DTMF 검출회로
246 : 제3 후크검출회로
250 : 코덱부
260 : 전원부 261 : AC 어댑터
270 : 통신부 271 : 통신 드라이버
280 : 표시부 281 : LCD 드라이버
290 : 메모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는, PC와 연결되어 일반 전화기 기능과 인터넷 폰 기능을 병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기능 전화기의 하드웨어는, PSTN의 전화라인을 통하는 전화 통화를 위한 회로들과 키패드 및 음성 입출력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지고 전화 통화기능과 음성 입출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본 전화 회로부와;
다기능 전화기와 PC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의 수신신호에서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는 발신자 정보 수신부와;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의 상태검출, 수신신호에서 DTMF신호의 검출, 브랜치 전화기들의 상태 검출을 하기 위한 상태 검출부와;
상기 PC와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 사이의 디지털-아날로그 데이터를 상호 변환시켜 주기 위한 코덱부와;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상기 PSTN망을 통하여 음성통화를 서비스하는 일반 전화기 기능을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PC와 연결된 인터넷망을 통하여 음성통화를 서비스하는 인터넷 폰(VOIP) 기능, 상기 PC와 전화기간의 사운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시켜 전화기를 이용한 PC의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아울러 상기 PC와의 상호 정보를 송수신하여 PC의 기능을 이용한 전화 통화 제어 및 각종 전화기능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전화기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 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와 연결되는 PC에는, 전화제어프로그램(전화제어모듈)이 설치된다. 그 전화제어 모듈에는, 전화 걸기/받기 기능과, 발신자 정보 저장기능, 최신 전화걸기 정보 저장기능, 인터넷 폰 통화 연결기능, 자동응답 메시지 저장/송신 기능, 원격지에서 전화를 통한 메시지 확인 기능, 전화를 통한 이메일 확인기능,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 걸기 기능 등 다양한 전화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전화 제어프로그램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수신시 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고, 전화기의 스탠바이 상태에서 상기 표시수단을 통하여 월, 일 및 시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기능 전화기는, 음성입출력 수단으로 통상적인 송수화기를 연결하기 위한 송수화기 포트와, 헤드셋 또는 이어셋을 사용할 수 있도록 포트들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전화기는, 일반 전화기를 연결하기 위한 브랜치 전화 포트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다기능 전화기의 상태정보와, 다이얼 정보, 수신되는 DTMF신호, 발신자 정보 등을 PC에 전송하여 PC에서 관리 및 제어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발신자 정보 및 다이얼링 정보를 저장하여두고, PC와 통신 연결이 되면, 그 정보를 PC로 전송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구비한다.
또한, 다기능전화기에 명령어 제어코드 집합체를 제공하고 PC의 전화제어프로그램과 상호 연계된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이 명령어 제어코드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정기구 및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기능 전화기의 상기 통신부는, 직렬통신포트(RS-232C)를 이용하여 상기 PC와 직렬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직렬통신 포트를 구비한 경우는 PC의 사운드 카드와 연결되는 마이크 및 스피커 포트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바람직하게는 USB통신포트를 이용하고, 그 USB포트에는 데이터 통신라인과, 전원라인과, 사운드카드 연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전화기와 PC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기능전화기는, 일반 공중 전화망(PSTN)을 사용한 일반 전화기, PC(100)의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인터넷을 통하는 인터넷 폰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PC(100)의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기능전화기(200)에는 다이얼링(dialing)과 키(key) 입력을 위한 키패드(201)와, 발신자 전화 번호의 표시 및 시계기능의 시각 표시를 위한 LCD(20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PC(100)의 통신포트(102)와 연결하기 위한 통신포트(203)와, PSTN의 전화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전화라인포트(204)와, 브랜치 전화기와 연결하기 위한 브랜치 전화포트(205)와, 헤드셋(head set)과 연결하기 위한 헤드셋 포트(206) 및 외부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포트(207)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PC(100)와 다기능전화기(200) 사이의 통신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직렬통신포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USB케이블은 PC(100) 및 다기능전화기(200) 사이의 전화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데이터 통신라인과, PC(100)의 전원을 다기능전화기(200)에 공급하는 전원라인, 그리고 PC(100)내 사운드카드(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마이크입력/스피커출력 둥의 라인을 포함하고 있다.
직렬통신 포트를 통신포트로 사용하는 경우, 다기능전화기(200)에 구비된 별도의 마이크/스피커 포트를 통해 상기 PC(100)내 사운드카드의 마이크/스피커 포트와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전화기(200)는 외부에 키패드(201) 및 LCD(202)가 구비되고, 통신포트(203), 전화라인포트(204), 브랜치 전화포트(205), 전원포트, 송수화기포트, 그리고 헤드셋포트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회로는 크게 마이컴(210), 기본 전화 회로부(220), 발신자정보수신부(230), 상태 검출부(240), 코덱부(250), 전원부(260), 통신부(270), 표시부(280) 및 메모리(290)를 포함하고 있다.
도 4는 도3의 실시예에서 기본 전화회로부와 상태 검출부의 상세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본 전화 회로부(220)는, 전화라인으로부터 링신호를 검출하여 전화벨을 울려주는 링거회로(221)와, 키패드(201)의 후크 버튼 또는 마이컴(210)의 제어에 의해 통화로 연결을 선택하는 후크스위치(222)와, 전화라인을 통하는 신호를 정합시키는 매칭트랜스(223)와, 다이얼링을 위한 DTMF발생회로(224)와, 음성 송수신을 위한 음성 송수신회로(225)와, 그 음성 송수신회로(225)에 연결되는 송수화기 또는 헤드셋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태 검출부(240)는, 본 다기능 전화기의 앞단에 연결될 수 있는 브랜치 전화기(미도시)의 후크 상태를 검출하는 제1후크검출회로(241),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220)의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신호 검출회로(242), 상기 후크 스위치(222)의 후크 상태를 검출하는 제2후크 검출회로(243), 상기 매칭 트랜스(223)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DTMF신호를 검출하는 DTMF검출회로(245), 상기 브랜치 전화포트(205)에 연결되는 일반전화기의 후크 상태를 검출하는 제3후크 검출회로(2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 3 및 도 4의 신호 결선은 개략적인 표현으로서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회로의 설계 및 신호결선의 상세한 구성은 생략하였다. 예컨데 후크스위치(222)는 키패드(201)의 후크버튼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스위치와, 마이컴(210)이 제어하는 스위치가 병렬 설치되어, 사용자가 후크버튼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마이컴(210)이 자동으로 후크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회로를 구성하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생략하였다.
이하 도 2, 도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부들의 기능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키패드(KEY PAD ; Dial Set, 201)는 다이얼을 위한 버튼들과 후크 버튼 및 플래시 버튼 등의 기능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버튼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다이얼링을 하고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플래시 버튼은, 다른 브랜치 전화기를 전화 통화를 넘겨주기 위한 통화 홀드 기능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브랜치전화포트(205)는 국선이외에 추가로 연결되는 외부의 브랜치(branch)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는 포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다기능전화기는 국선이외의 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본 전화 회로부(220)는, PSTN의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일반적인 전하 통화를 실현시키기 위한 회로들로 구성되고, 이는 마이컴(210)의 제어에 의해 통화로 제어 전화라인을 통하는 음성 및 정보의 송수신 기능 수행을 하게된다.
발신자정보수신부(230)는 전화 수신신호로부터 발신자 정보(Caller ID)를 분석하고 이를 마이컴(210)에 전달한다.
상태 검출부(240)는 기본 전화 회로부(220)의 각종 상태신호를 검출하고, 브랜치 전화기들의 후크 상태검출 및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DTMF신호를 검출하여 마이컴(210)에 상태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코덱부(COder-DECoder, CODEC ; 250)는 PC(100)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와 다기능전화기(200)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상호 변환한다. 때문에 PC로 사운드(음성)입력 및 PC의 사운드 출력이 가능해지고, 이를 이용하여 PC는 자동응답, 음성인식, 인터넷폰 기능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원부(260)는 각 구성부들에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AC어댑터(261)을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270)는 PC(1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드라이버(271) 및 통신포트(203)를 구비하고 있다. 이는 PC(100)와 다기능전화기(200) 사이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구성부로서, 전화기 상태제어 데이터 및 각종 음성메시지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포트(202)는 USB 포트를 이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또한, 표시부(280)는 LCD 드라이버(281)와, LCD(203)로 이루어지고, 수신된 발신자 정보 및 통화상태 변동시 상태 표시를 하고, 평소에 작동상태 및 시계, 달력 등의 유용한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메모리(290)는, PC(100)가 오프 상태일 때 전화 통화 정보(예; 발신자 정보, 다이얼링 정보)를 저장하여두고, PC(100)와 통신 연결이 되면, 그 메모리(290)의 정보를 PC(100)로 전송하여 PC(100)가 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다기능전화기(200)의 핵심기능을 수행하는 마이컴(210)은, 키패드(202)의 조작 또는 PC(10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고 양호한 통화가 유지되도록 각종 송수신 상태 등을 포함한 다기능전화기(1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감시한다. 또한, 통신부(270)를 통해 연결되는 PC(100)에 전화기의 상태를 송신하고, PC(100)의 제어 및 동작상태 등을 입력받는다. 따라서 본 다기능전화기(200)의 마이컴(210)과 PC(100)간의 통신제어에 따라, PC(100)를 통하여 직접 통화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PC(100)의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하여 음성통화를 서비스하는 인터넷 폰(VOIP) 기능, 상기 PC(100)의 사운드의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아울러 상기 PC(100)가 전화 통화 제어, 자동응답 서비스, 전화 통화내역 관리기능, 화면상의 전화번호로의 전화통화시도, 메일 확인, 전화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제어 등등의 각종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PC와 전화기 사이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전화기 기능 제어용 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된다.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200)와 연결되는 PC(100)에는, 전화제어프로그램(전화제어모듈)(110)이 설치된다. 그 전화제어 프로그램(110)에는, 전화 걸기/받기 기능과, 발신자 정보 저장기능, 최신 전화걸기 정보 저장기능, 인터넷 폰 통화 연결기능, 자동응답 메시지 저장/송신 기능, 원격지에서 전화를 통한 메시지 확인 기능, 전화를 통한 이메일 확인기능,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 걸기 기능 등 다양한 전화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전화 제어프로그램이 구성된다.
상기 기본전화회로부(220)의 링거회로(221)는 전화가 걸려오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전하벨을 울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크스위치(221)는 키패드(201)의 후크 버튼에 의해 제어되는 후크스위치와, 마이컴(210)에 의해 제어되는 후크스위치가 이중으로 구성되고, 전화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통화 라인을 전환시킨다.
매칭트랜스(223)는 통상의 전화기 회로에서 볼수 있는 매칭트랜스 및 그 회로로서, 전화라인측과 전화기 회로의 내측과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매칭시키는 역할을 한다.
DTMF발생회로(224)는 키패드(201) 또는 PC(100)의 제어에 의해 전화걸기시 다이얼링신호와, 제어코드(키신호)를 DTMF신호로 발생시켜 전화라인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음성송수신회로(225)는, 매칭트랜스(223)와 음성입출력수단(예; 송수화기나, 헤드셋, 또는 코덱부(25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음성 송수신회로(225)에는, 음성의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통상적인 송수화기, 또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eaker)가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폰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MIC)와 리시버(RCV)가 구비된 헤드셋(head set) 또는 이어셋(ear set) 등을 연결하여 통화할 수 있다. 아울러 PC내 사운드카드와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 및 스피커 포트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의 송수화기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상태 검출부(240)는, 제1 내지 제3 후크 검출회로(241, 243, 246)와, 링신호 검출회로(242), DTMF 검출회로(24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후크 검출회로(241)는 기본 전화 회로부(220)의 앞에서 전화라인에 병렬연결되는 일반전화기의 후크 상태를 검출한다. 제2 후크검출회로(243)는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220)의 후크 스위치(222)의 상태를 검출한다. 제3 후크 검출회로(246)는 상기 브랜치 전화 포트(205)에 연결되는 브랜치 전화기의 후크 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링신호 검출회로(242)는, 상기 링거 회로(221)의 링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DTMF 검출회로(245)는 전화라인을 통해서 수신되는 DTMF신호를 검출한다. 이는 원격지에서 전화를 걸고 제어키를 입력하는 경우 그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브랜치 전화 포트(205)에 연결된 전화기에서 전화를 걸 때 발생되는 DTMF신호도 검출한다.
이와같이 상태 검출부(240)의 각 상태 검출신호는 마이컴(210)에 입력되고, 마이컴(210)은 이 상태 정보를 PC(100)에 입력시켜 PC(100)가 전화기 제어프로그램의 구동 및 정보의 관리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전화기(200)는 다른 일반전화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본 다기능전화기(200)에 연결되는 PC(100)의 네트워크(12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됨으로써 인터넷 환경을 갖추고 있다. 아울러, 본 다기능전화기(200)는 일부 모뎀의 기능을 포함한 전화기로서, 후술할 전화제어프로그램(110)과는 독립적 기능으로 동작 될 수도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다기능전화기(200)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어 제어코드 집합체를 제공함으로써 전화제어프로그램과 상호 연계된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이 명령어 제어코드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정기구 및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지에서 다기능전화기(200)가 장착된 PC(100)로 전화를 걸어 제어를 수행하는,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 HA)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본 다기능전화기에 연결되는 PC(100)에는 다기능전화기(200)의 제어를 위한 전화제어프로그램(110)이 설치된다. 이 전화제어프로그램(110)은 통상적인 드라이버와는 달리 OS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운용된다. 이 전화제어프로그램(110)은 화면상에 표시된 전화번호모듈에 의해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해 준다. 일례로 사용자가 다른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는 전화번호형태의 데이타를 클릭하는 경우, 이 데이터는 자동인식에 의해 전화번호 형식인지를 해석하여 전화번호로 인식되면 다기능전화기(200)로 전송되고 마이컴(210)은 이를 판단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전화번호를 클릭 했을 경우 자동으로 다이얼링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그램 상에서 전화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OS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은 상태로 자동으로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STN망을 사용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사용자를 위해, 사운드 카드와 인터페이스하여 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전화제어프로그램(110)은 전화통화시, 또는 통화정지시 각종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의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인터넷 비즈니스 및 각종 영업적 측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컨텐츠는 광고나 또는 통화자들의 영상, 기타 필요한 정보들이 이용될 수 있다.
<전화 받기>
외부에서 PSTN의 전화라인을 통해 전화가 걸려오면, 링거회로(221)가 동작하여 전화벨이 울린다. 이와 동시에 링신호 검출회로(242)가 링거회로(221)의 링신호를 검출하여 마이컴(210)에 입력한다. 마이컴(210)은 링신호 검출 정보를 PC(100)에 전송하고, PC(100)는 전화제어프로그램(110)이 구동되어 화면상에 전화제어모듈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PSTN 교환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링신호와 함께 전송하는 경우, 발신자정보 수신부(230)가 발신자 정보(Caller ID)를 검출하여 마이컴(210)에 입력하고, 마이컴(210)은 그 발신자 정보를 PC(100)로 전송함과 아울러 LCD(280)에 표시한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다기능 전화기(200)의 LCD(202) 및 PC(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발신자 정보(전화번호 및 가입자 성명)를 보고 전화 받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음성송수신회로(225)에 연결된 송수화기 또는 헤드셋을 통하여 후크를 동작시키거나, PC(100)의 브라우저 상에서 전화 받기를 클릭하면 후크스위치(222)가 통화경로를 연결하여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이후, 통화가 종료되면, PC(100)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전화받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컴(210)이 링신호를 PC(100)에 전송하고 있으므로, PC(100)가 자동응답 기능으로 동작되어 자동응답 메시지 전송, 상대방의 메시지를 저장하여 자동응답 기능을 수행한다.
<전화걸기>
전화걸기는 다기능 전화기(200)의 키패드(201) 이용하거나, PC(100)의 전화제어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직접 전화번호 입력에 의해 다이얼링하거나, 단축 다이얼 기능을 이용하거나, PC(100)의 전화번호 관리 기능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번호를 클릭하거나, 일반 화면상에서 숫자배열을 전화번호로 인식하는 기능(PC의 전화번호 인식기능;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수 있다. PC에서 전화를 거는 경우는 마이컴(210)이 자동으로 후크 스위치(222)를 제어하여 통화 경로를 형성한 후 다이얼링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키패드(201)를 이용하여 다이얼링한 경우 그 다이얼 정보를 마이컴(100)에 전송하여 PC(100)가 전화걸기시의 전화번호를 관리하게 한다.
마이컴(210)은 DTMF발생회로(224)를 제어하여 다이얼링을 하게 되고, 상대방의 전화 응답 신호(링백톤)를 PC(100)에 전송하여 통화 연결 상태를 보고한다.
<VOIP 통화>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통화는 PC(100)의 전화제어프로그램에서 인터넷폰 기능을 선택하고, 다이얼링하거나, 전화받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C(100)가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통신포트(102)를 통하여 다기능 전화기(200)로 연결하고, 다기능 전화기(200)는 마이컴(210)이 음성데이터를 코덱부(250)로 연결하며, 코덱부(250)에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송수화기나, 헤드셋 또는 스피커폰 기능으로 음성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PC로의 음성 입력 및 출력기능>
송수화기나, 헤드셋등을 통하여 음성을 입력하면, 코덱부(250)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마이컴(210)이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PC(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PC(100)의 음악이나 기타 사운드등을 출력하는 경우 다기능 전화기(200)의 코덱부(250)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주므로 PC(100)의 사운드 카드 기능을 대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전화기(110)는 PC(100)의 USB포트를 이용하여 필요한 데이터, 일례로 MP3형식의 사운드데이타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직렬통신을 위한 직렬통신포트(RS-232C)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직렬통신포트 또는 USB포트에 결합시켜 연결함으로써 통상의 컴퓨터 주변 장치와는 달리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또한 PC(100)를 이용한 전화 통화시, 그 디지털 통화 데이터를 직렬통신포트 또는 USB통신포트를 이용하여 입력받고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마이컴(210)에 전달함으로써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기능전화기(200)에 연결된 PC(100)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적인 중앙 셋톱 박스 기능외에 소프트웨어적으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본 다기능전화기(200)를 더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PC(100)는 직렬통신포트(RS-232C) 또는 USB포트를 통해 본 실시예의 코드체계로 작성된 특정프로그램 각각에 상응하는 제어코드 및 동작형태 등을 본 다기능전화기(200)로 송출하며, 다기능전화기(20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원격지에 있는 전화기나 PC와, 본 실시예의 다기능전화기(200)나 혹은 PC(100)간에 다양한 조합에 따른 통화가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의 다기능전화기(200)와 원격지에 있는 전화기나 PC와 통화가 가능하며, 또한 다기능전화기에(200)에 연결된 PC(100)와 원격지에 있는 전화기나 PC간의 통화가 가능하다. 여기에 추가하여, 본 다기능전화기(200)와 PC(100)는 통화시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과 공중전화망을 함께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는 공중전화망으로 영상 데이터는 인터넷망으로 송/수신하므로, 통화중 신호가 단절되어 접속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통화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C의 직렬통신포트 또는 USB포트에 연결하여 외장형으로 설치되므로 설치가 간편하고, PC의 프로그램 상에서 전화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OS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헤드셋을 통해 PC의 사운드카드와의 음성 입출력을 겸할 수 있어서 전화기와 사운드카드를 위한 헤드셋을 이중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고, 다른 전화기를 병렬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프로그램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명령어 제어코드 집합체를 제공함으로써 기능 및 용도에 맞는 각종 자동화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PC와 연결되어 일반 전화기 기능과 인터넷 폰 기능을 병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기능 전화기로서,
    상기 다기능 전화기는,
    PSTN의 전화라인을 통하는 전화 통화를 위한 회로들과, 키패드 및 음성 입출력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지고, 전화 통화와 음성 입출력을 위한 기본 전화 회로부와;
    다기능 전화기와 PC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수단과;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의 수신신호에서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는 발신자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의 상태검출, 수신신호에서 DTMF신호의 검출, 브랜치 전화기들의 상태 검출을 하기 위한 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PC와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 사이의 디지털-아날로그 사운드 데이터를 상호 변환시켜 주기 위한 코덱과;
    상기 상태검출수단의 상태 검출신호 및 상기 발신자정보 수신수단의 발신자 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PC에 전송하고, 키패드의 키신호 또는 상기 PC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화받기/걸기 제어를 하고, 상기 PC와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면서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마이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전화기는,
    상기 발신자 정보수신에서 발신자 정보수신시 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전화기는,
    전화기의 스탠바이 상태에서 상기 표시수단을 통하여 월, 일 및 시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4. 제 2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마이컴의 제어를 받는 LCD 드라이버와, 그 LCD 드라이버에 의해 제어되는 액정표시장치(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전화기는,
    상기 통신수단의 통신 케이블에 PC의 전원을 전화기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라인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전원라인을 통해 공급받는 PC의 전원 또는 AC어댑터를 통해 입력받는 외부전원중 어느 하나를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선택하여 다기능 전화기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고,
    상기 외부전원 및 상기 PC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전화라인 전원을 기본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전원제어를 하는 전원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전화기의 기본 전화 회로부는,
    상기 전화라인에서 링신호를 검출하여 전화벨을 울려 주기 위한 링거회로와;
    키패드의 후크 버튼 또는 상기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는 후크 스위치와;
    상기 전화라인을 통하는 송수신 신호를 매칭시키기 위한 매칭 트랜스와;
    상기 키패드의 키신호를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한 PC의 다이얼링신호를 DTMF신호로 발생시키기 위한 DTMF 발생회로와;
    상기 매칭 트랜스를 통하여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하기 위한 음성송수신회로와,
    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키와, 후크 버튼, 플래시 버튼 등의 기능 버튼들이 포함된 키패드와,
    상기 음성 송수신회로와 연결되어 음성을 입/출력하기 위한 음성입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송수신회로는,
    상기 PC와 연결하기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 포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출력 수단은,
    통상적인 송수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출력수단은,
    마이크(MIC)와 리시버(RCV)가 구비된 헤드셋(head set)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전화기는,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와 병렬로 일반 전화기를 연결하기 위한 브랜치 전화 포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태 검출부가 그 브랜치 전화 포트에 연결되는 전화기의 후크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에 입력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전화기의 상태 검출부는,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의 링 신호를 검출하는 링신호 검출회로와,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에서 수신되는 DTMF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에 인가하는 DTMF 검출회로와,
    상기 기본 전화 회로부의 국선 포트 앞단에 연결된 브랜치 전화기의 후크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에 인가하는 제1 후크 검출회로와,
    상기 기본 전하 회로부의 후크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에 입력시키는 제2 후크 검출회로와,
    상기 다기능 전화기의 브랜치 전화 포트에 연결되는 브랜치 전화기의 후크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에 인가하는 제3후크 검출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직렬통신포트(RS-232C)를 이용하여 상기 PC와 직렬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USB통신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PC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명령어 제어코드 집합체를 저장하여 두고, 수신된 DTMF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PC로 명령어 제어코드를 송신하고, 상기 PC의 제어 코드에 의해 전화기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전화기는,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PC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마이컴이 발신자 수신 정보와 다이얼링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상기 PC와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때 그 정보들을 PC로 송신하여 PC가 관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KR1020000046773A 2000-02-14 2000-08-12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KR20000063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773A KR20000063952A (ko) 2000-08-12 2000-08-12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PCT/KR2000/000955 WO2001060041A1 (en) 2000-02-14 2000-08-24 Multi-function telephone used by internet and pstn
AU67377/00A AU6737700A (en) 2000-02-14 2000-08-24 Multi-function telephone used by internet and pst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773A KR20000063952A (ko) 2000-08-12 2000-08-12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999U Division KR200209087Y1 (ko) 2000-08-12 2000-08-12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952A true KR20000063952A (ko) 2000-11-06

Family

ID=1968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773A KR20000063952A (ko) 2000-02-14 2000-08-12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95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503A (ko) * 2000-10-10 2002-04-17 김범훈 일반 전화와 인터넷 전화의 겸용 기능을 갖는 전화기 연결장치
KR20020030508A (ko) * 2000-10-18 2002-04-25 이덕원 유/무선 겸용 인터넷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48174A (ko)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에서의 호 절취 처리 방법
KR20020048175A (ko)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구조 및 그 호 전환 방법
KR20020082569A (ko) * 2001-04-24 2002-10-31 박종찬 발신자 정보확인 기능을 포함한 복합통신장치
KR20030041274A (ko) * 2001-11-19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회로
KR20040043063A (ko) * 2002-11-15 2004-05-22 (주)웹콜월드 Rs-232c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기
KR100435835B1 (ko) * 2001-03-28 2004-06-22 한영수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KR100717875B1 (ko) * 2004-12-02 2007-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응답 기능을 가지는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503A (ko) * 2000-10-10 2002-04-17 김범훈 일반 전화와 인터넷 전화의 겸용 기능을 갖는 전화기 연결장치
KR20020030508A (ko) * 2000-10-18 2002-04-25 이덕원 유/무선 겸용 인터넷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48174A (ko)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에서의 호 절취 처리 방법
KR20020048175A (ko)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구조 및 그 호 전환 방법
KR100435835B1 (ko) * 2001-03-28 2004-06-22 한영수 복합기능수행 통신시스템
KR20020082569A (ko) * 2001-04-24 2002-10-31 박종찬 발신자 정보확인 기능을 포함한 복합통신장치
KR20030041274A (ko) * 2001-11-19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회로
KR20040043063A (ko) * 2002-11-15 2004-05-22 (주)웹콜월드 Rs-232c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기
KR100717875B1 (ko) * 2004-12-02 2007-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응답 기능을 가지는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8062B1 (en) Wireless telephony system enabling access to PC based functionalities
WO2005070124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oice communications between a telephone, a circuit switching network and/or a packet switching network
CN201608742U (zh) 一种智能固定电话
JP2003283642A (ja) ネットワーク電話での発信者情報表示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ならびに情報端末装置
KR20000063952A (ko)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CN102035907A (zh) 一种智能固定电话
CN102037424B (zh) 集成通用电话功能的计算机
US20080298352A1 (en) Method for portable fixed line
KR200209087Y1 (ko)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KR100221772B1 (ko) 네트워크용 전화기
KR20050050825A (ko) 비디오-레디 인터넷 전화기
US7277530B2 (en) IP telephone apparatus and IP telephone system
KR20020009002A (ko) 인터넷 화상 폰
WO2001060041A1 (en) Multi-function telephone used by internet and pstn
KR100405591B1 (ko)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진 인터넷폰 교환장치
JP3232640B2 (ja) 電話交換機
KR20090081534A (ko) 일반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겸용으로 사용하게 하는 스위칭장치
KR20000030396A (ko) 일반전화기로 pc를 통한 인터넷 폰을 하기 위한 교환기
KR100377989B1 (ko)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402677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날로그가입자용 접속장치
JP2004266554A (ja) ボタン電話装置
KR20020089863A (ko) 인터넷폰 기능 부가용 전화기 어댑터 및 그 동작방법
JP2002009898A (ja) 電話機及び留守番電子メールの送信方法
KR20080007786A (ko) 전화 접속 중계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000018228A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의 단문 서비스를 이용한 벨소리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