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713B1 - 오일드레인장치 - Google Patents

오일드레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713B1
KR100435713B1 KR1019970060572A KR19970060572A KR100435713B1 KR 100435713 B1 KR100435713 B1 KR 100435713B1 KR 1019970060572 A KR1019970060572 A KR 1019970060572A KR 19970060572 A KR19970060572 A KR 19970060572A KR 100435713 B1 KR100435713 B1 KR 100435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il
receiving
out valve
ou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248A (ko
Inventor
노범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6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7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오일 팬에 장착되어 노화된 오일이나 이물질을 배출하는 오일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부(4)의 개방단이 오일팬의 저면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5)이 형성되며 상기 공동부(4)와 수직으로 형성된 배출구 (6a)를 포함하는 인너밸브(2) 및 상기 인너밸브(2)의 가이드 홈(5)에는 양단이 연통된 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7)가 설치되고 원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돌기(8)가 형성되며 상기 통공과 수직으로 형성된 배출구(6b)를 포함하는 아웃밸브 (3)로 구성된 오일 드레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팬의 배면에 결합되어 수용공간부(14)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배출공을 구비한 가이드 하우징(10), 상기 가이드하우징(10)과 오일 팬(1)이 형성한 수용공간부(14)에 설치되어 상기 아웃밸브(3)를 회전시키는 아웃밸브 회전수단(11), 상기 아웃밸브 회전수단(11)의 측면에 형성된 아웃밸브 회전수단 잠금장치(12)를 구성함으로써, 노화된 오일이나 슬러지를 유출시킬 때 아웃밸브(3)의 조작이 간편한 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노화된 오일이나 슬러지가 유출시킬 때 하방으로 유출되어 저장용기에 쉽게 포집할 수 있는 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일 드레인 장치{oil drain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오일 팬에 장착되어 노화된 오일이나 이물질을 배출하는 오일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 팬은 엔진의 각 윤활부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하여 오일을 항상 저장하고 있으며, 엔진의 각 윤활부에 윤활하는 방식으로는 케넥팅 로드 대단부에 설치된 디퍼(dipper)에 의해 오일을 뿌려서 윤활하는 비산식,오일 펌프에서 송출되는 오일의 압력으로 윤활하는 압력식, 실린더벽에는 비산시켜 윤활하고 그 외는 오일의 압력으로 윤활하는 비산 압력식, 및 연료와 오일을 혼합하여 일부는 연소시키고 일부는 윤활하는 혼기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윤활방식에 의해 반복적으로 윤활을 하게 되면 오일펀의 하부 저변에는 슬러지(sludge)나 노화된 오일을 침전되므로, 통상적으로 노화된 오일이나 슬러지 등을 배출하기 위해 오일 팬에는 오일 드레인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오일 드레인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가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일 드레인 장치는 오일 팬(1)의 저면에 상단부가 결합된 인너밸브(2) 및 상기인너밸브(2)의 외주면에 설치된 아웃밸브(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너밸브(2)에는 일단이 밀폐되고 타단은 개방된 공동부(4)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 홈(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너밸브(2)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동부(4)와 수직으로 형성된 배출구(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6a)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너밸브(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5)에는 후술할 아웃밸브(3)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7)가 설치되어 서로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밸브(3)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너밸브(2)의 가이드 홈(5)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아웃밸브(3)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기(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웃밸브(3)에도 전술한 인너밸브(2)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출구(6b)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밸브(3)에 형성된 배출구(6b)의 간격은 전술한 인너밸브(2)에 형성된 배출구(6a)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3에는 종래의 오일 드레인 장치의 배출구(6a,6b)가 개방되었을 때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일 드레인 장치를 개방하려면 오일 팬(1)에 결합되어 있는 인너밸브(2)를 중심으로 아웃밸브(3)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인너밸브(2)의 배출구(6a)와 아웃밸브(3)의 배출구(6h)를 일치시키면 오일팬의 내부에 있던 슬러지나 노화된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오일 드레인 장치를 개방하려면 손으로 아웃밸브(3)를 회전 시켜야함으로 조작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배출구가 개방 되었 때 슬러지나 노화된 오일이 사방으로 유출되어 조작력을 가하던 손은 물론 작업복까지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노화된 오일이나 슬러지를 유출할 때 아웃밸브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는 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화된 오일이나 슬러지가 유출할 때 유출되는 오일이나 슬러지가 하방으로 유출되어 저장용기에 쉽게 포집 할 수 있는 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오일 드레인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오일 드레인 장치의 배출구가 개방되었을 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1 : 오일 팬 2 : 인너밸브
3 : 아웃밸브 4 : 공동부
5 : 가이드 홈 6a,6b : 배출구
7 : 가이드 돌기 8 : 돌기
10 : 가이드 하우징 11 : 아웃밸브 회전수단
12 : 아웃밸브 회전수단 잠금장치 13 : 통공
14 : 수용공간부 15 : 수용부
16 : 돌기수용부 17 : 인장스프링
18 : 손잡이부 19 : 걸림턱
20 : 걸림턱수용부 21 : 회동레버
22 : 압축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동부의 개방단이 오일팬의 저면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공동부와 수직으로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인너밸브 및 상기 인너밸브의 가이드 홈에는 양단이 연통된 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설치되고 원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통공과 수직으로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아웃밸브로 구성된 오일 드레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팬의 배면에 결합되어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배출공을 구비한 가이드 하우징,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수용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아웃밸브를 회전시키는 아웃밸브 회전수단, 상기 아웃밸브 회전수단의 측면에 형성된 아웃밸브 회전수단 잠금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아웃밸브 회전수단은 중앙에 아웃밸브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측면에는 아웃밸브의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가 형성되며 후부에는 인장스프링이 설치되고 선단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웃밸브 회전수단 잠금장치는 아웃밸브 회전수단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는 위해 형성된 걸림턱수용부를 구비한 회동레버, 상기 회동레버의 측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장치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에는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장치는 오일 팬(1)의 저면에 상단부가 결합된 인너밸브(2)와, 상기 인너밸브(2)의 외주면에 설치된 아웃밸브(3), 상기 인너밸브(2)와 아웃밸브(3)를 포함하며 오일 팬(1)의 배면에 결합된 가이드 하우징(10), 상기 가이드 하우징(10)과 오일 팬(1)의 사이에 설치되어 조작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아웃밸브 회전수단(11) 및, 상기 아웃밸브 회전수단(11)의 측면에 형성된 아웃밸브 회전수단 잠금장치(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너밸브(2)에는 일단이 밀폐되고 타단은 개방된 공동부(4)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 홈(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너밸브(2)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동부(4)와 수직으로 형성된 배출구(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6a)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너밸브(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5)에는 후술할 아웃밸브(3)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7)가 설치되어 서로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밸브(3)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너밸브(2)의 가이드 홈(5)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아웃밸브(3)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기(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밸브(3)에도 전술한 인너밸브(2)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출구(6b)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밸브(3)에 형성된 배출구(6b)의 간격은 전술한 인너밸브(2)에 형성된 배출구(6a)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하우징(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통공 (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10)은 전술한 인너밸브(2)와 아웃밸브(3)를 포함하면서 오일 팬(1)의 배면에 결합되어 수용공간부(14)를 형성한다. 상기수용공간부(14)에는 아웃밸브(3)를 수용하여 회전시키는 아웃밸브 회전수단(11)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밸브 회전수단(11)은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직사각형의수용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양변에는 아웃밸브(3)의 돌기(8)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웃밸브 회전수단(11)의 후부에는 가이드 하우징(10)의 후부와 연결하는 인장스프링(1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밸브 회전수단(11)의 선단부에는 손잡이부(18)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아웃밸브 회전수단 잠금장치(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밸브 회전수단 잠금장치(12)는 아웃밸브 회전수단(11)의 측면에는 걸림턱(19)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9)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수용부(20)를 구비한 회동레버(21)가 가이드 하우징(10)에 힌지로 결합되고, 회동레버(21)의 측면에는 상기 회동레버(21)를 아웃밸브 회전수단(11) 방향으로 밀수 있도록 압축스프링(22)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오일탱크의 내부에 있는 슬러지나 노화된 오일을 외부로 유출시키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8)에 조작력을 가하여 끌어당기면 아웃밸브(3)의 돌기(8)를 수용하고 있는 돌기수용부(16)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아웃밸브 (3)를 회전시킨다.
즉, 그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7)를 매개로 오일팬(1)의 배면으로 결합된 인너밸브(2)와 끼워져 결합된 상기 아웃밸브(3)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된 돌기(8)중 1개의 돌기(8)가 양 측면으로 형성된 돌기수용부(16)중 한 쪽 측면의돌기수용부(16)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아웃밸브회전수단(11)을 잡아당겨 주면, 상기 아웃밸브회전수단(11)의 돌기수용부(16)중 한 쪽 측면에 끼워진 돌기(8)가 그 이동방향으로 힘을 받아 상기 아웃밸브(3)가 인너밸브(2)에 대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돌기(8)가 전진되어 돌기수용부(16)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돌기(8)가 끼워져 있지 않던 타 측면의 돌기수용부(16)부위에는 아웃밸브(3)의 회전에 따라 다른 돌기(8)중 1개의 돌기(8)가 끼워지게 되고, 이어 상기 아웃밸브 회전수단(11)을 더욱 잡아당기게 됨에 따라 상기 아웃밸브(3)의 돌기(8)가 돌기수용부(16)의 양 측면으로 번갈아 가면서 끼워져 아웃밸브회전수단(11)의 이동력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아웃밸브회전수단(11)의 이동력을 통해 아웃밸브(3)가 오일팬(1)에 결합되어 있는 인너밸브(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아웃밸브(3)가 인너밸브 (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인너밸브(2)의 배출구(6a)와 아웃밸브(3)의 배출구(6b)가 일치되면, 아웃밸브 회전수단(11)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19)이 회동레버(21)의 걸림턱수용부(20)에 록킹된다. 그래서, 인너밸브(2)의 배출구(6a)와 아웃밸브(3)의 배출구(6b)가 일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만약, 슬러지나 노화된 오일이 전부 유출되어 배출구(6a,6b)를 닫고 싶을때에는 회동레버(21)를 아웃밸브 회전수단(11)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작력을 가하면 아웃밸브 회전수단(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9)이 회동레버(21)의 걸림턱수용부(20)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그러면 아웃밸브 회전수단(11)은 후부에 설치되어 있는 인장스프링(17)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아웃밸브(3)를 회전시킨다. 상기 아웃밸브(3)가 인너밸브(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인너밸브(2)의 배출구(6a)와 아웃밸브(3)의 배출구(6b)가 서로 어긋나 오일이나 슬러지가 더 이상이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오일팬의 배면에서 인너밸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아웃밸브를 회전시키는 아웃밸브 회전수단과 상기 아웃밸브 회전수단의 측면에 형성된 아웃밸브 회전수단 잠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노화된 오일이나 슬러지를 유출시킬 때 아웃밸브의 조작이 간편한 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노화된 오일이나 슬러지가 유출시킬 때, 유출되는 오일이나 슬러지가 하방으로 유출되어 저장용기에 쉽게 포집할 수 있는 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할 것이며, 그러한 변경이나 수정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

  1. 공동부의 개방단이 오일 팬의 저면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공동부와 수직으로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인너밸브 및 상기 인너밸브의 가이드 홈에는 양단이 연통된 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설치되고 원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통공과 수직으로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아웃밸브로 구성된 오일 드레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팬의 배면에 결합되어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배출공을 구비한 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수용공간부에 설치되면서 그 중앙에 아웃밸브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밸브를 회전시키기 위해 수용부의 측면으로 아웃밸브의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가 형성되며 후부에는 인장스프링이 설치되고 선단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아웃밸브 회전수단 및
    상기 아웃밸브 회전수단의 측면에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기 위한 걸림턱수용부를 구비한 회동레버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레버의 측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아웃밸브 회전수단 잠금장치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장치.
KR1019970060572A 1997-11-17 1997-11-17 오일드레인장치 KR100435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572A KR100435713B1 (ko) 1997-11-17 1997-11-17 오일드레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572A KR100435713B1 (ko) 1997-11-17 1997-11-17 오일드레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248A KR19990040248A (ko) 1999-06-05
KR100435713B1 true KR100435713B1 (ko) 2004-09-10

Family

ID=3734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572A KR100435713B1 (ko) 1997-11-17 1997-11-17 오일드레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7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248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7090A (ko) 스트레이너
CA2351596A1 (en) A gear pump and replaceable reservoir for a fluid sprayer
KR100435713B1 (ko) 오일드레인장치
US4747169A (en) Portable sink with pressurized water supply
US20070080106A1 (en) Oil filter housing
JPH0854058A (ja) 車軸駆動装置
JPH04279790A (ja) 流体圧縮機
US5114256A (en) Cleaning brush
KR100187398B1 (ko) 냉온수 배출장치
KR100439495B1 (ko) 기름통을 부착한 이발기
CN208107129U (zh) 一种摩托车变速箱箱盖及摩托车变速箱
KR200237694Y1 (ko) 엔진오일배출장치
CN219130130U (zh) 出浆嘴用清洗装置和调漆设备
CN211186892U (zh) 排水组件和饮水设备
KR200159741Y1 (ko) 드럼용 수동식 액체펌프
JP2006500184A (ja) 鬚剃り機のシェービングヘッド用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の装置用の容器
KR880002887Y1 (ko) 자동차에 설치한 세차 장치
KR101854837B1 (ko) 엔진 윤활유 집유 장치
KR0133056Y1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KR960000209B1 (ko) 변기의 자동 배수 장치
KR900005193Y1 (ko) 와이퍼의 급수장치를 이용한 세차장치
JPS633619Y2 (ko)
CN112438604A (zh) 排水组件和饮水设备
KR20030005747A (ko) 윤활유 용기 및 이 윤활유 용기가 구비된 윤활유주입기
DE290588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