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597B1 - 보정형 연료 센더 - Google Patents

보정형 연료 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597B1
KR100435597B1 KR10-2001-0057729A KR20010057729A KR100435597B1 KR 100435597 B1 KR100435597 B1 KR 100435597B1 KR 20010057729 A KR20010057729 A KR 20010057729A KR 100435597 B1 KR100435597 B1 KR 100435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uel
plotter
fuel tank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498A (ko
Inventor
지방소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597B1/ko
Publication of KR20030024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가 등판로를 주행할 때 연료 탱크 내의 유면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보정형 연료 센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센더는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유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터와; 상기 플로터에 제공되는 접점부와 접촉되는 각각 다른 값의 저항들을 가지며, 연료 탱크에 설치된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운전석에 제공되는 계기판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상기 기판의 하부에 제공되는 웨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정형 연료 센더{Compensation type fuel send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센더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등판로를 주행할 때, 유면 기울어짐에 따라서 플로터가 움직여 발생하는 저항 변동량을 보정할 수 있는 보정형 연료 센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료 탱크는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양을 운전자가 인식하도록 운전석에 제공되는 연료 게이지에 신호를 보내는 연료 센더가 구비된다. 연료 센더(10)는 연료 탱크(11)에 저장된 연료의 유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터(13)와, 각각 다른 값의 저항(14)들이 제공되는 기판(15)과, 기판(15)을 고정 지지하는 브라켓(16)과, 계기판과 기판(15)을 연결하는 커넥터(17)를 구비한다.
플로터(13)는 플로터 아암(18)에 의하여 기판(1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료 탱크(11) 내의 유면에 있어서 변화가 발생되면 유면 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한다. 플로터(13)가 연료 탱크(11) 내의 유면 변화에 의하여 움직일 때, 플로터 아암(18)에 제공되는 접점부(19)가 기판(15)에 제공되는 다른 값을 가지는 저항(14)에 접촉함으로써, 게이지의 지침이 변화하여 운전자가 연료 탱크(11) 내의 연료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연료 센더는 등판로를 장시간동안 주행할 때, 연료 탱크의 유면이 기울어지면 연료량의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유면 변화에 따라서 플로터가 이동하여 연료 게이지에 다른 값이 표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가 등판로를 주행할 때 연료 탱크 내의 유면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보정형 연료 센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연료 센더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료 센더 유닛에서 연료 센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정형 연료 센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 센더 11 : 연료 탱크
13 : 플로터 14 : 저항
15 ; 기판 16 : 브라켓
17 : 커넥터 18 : 플로터 아암
19 : 접점부 20 : 웨이트
21 ; 핀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유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터와; 상기 플로터에 제공되는 접점부와 접촉되는 각각 다른 값의 저항들을 가지며, 연료 탱크에 설치된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운전석에 제공되는 계기판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상기 기판의 하부에 제공되는 웨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정형 연료 센더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웨이터는 바람직하게 기판의 자중에 의한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한편 상기 플로터의 이동에 의한 접점부의 마찰에 의하여 기판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량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정형 연료 센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정형 연료 센더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연료 센더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설명의 중복성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는 한편,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기판(15)은 연료 탱크(11)에 설치된 브라켓(16)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판(15)의 하부에는 강과 같은 금속제로 만들어지는 웨이트(20)가 제공된다. 기판(15)은 플로터 아암(18)을 기판(1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핀(21)에 의하여 브라켓(16)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웨이터(20)는 기판(15)을 중력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며, 바람직하게 기판(15)의 자중에 의한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한편, 플로터(13)가 유면의 변화에 의하여 움직일 때, 플로터(13)의 이동에 의한 접점부(19)의 마찰에 의하여 기판(15)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량을 가진다.
따라서, 자동차가 등판로를 주행할 때, 기판(15)에 제공되는 저항(14)이 플로터(13)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웨이터(20)에 의해 움직이므로, 자동차가 등판로를 주행할 때 유면의 변화 방향으로 저항들이 이동하므로, 종래의 연료 센더와 비교하여 저항값 변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센더에 의하면, 자동차가 등판로를 주행할 때 연료 탱크 내의 유면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보정하여, 연료 탱크에 저장된 정확한 연료량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유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터와;
    상기 플로터에 제공되는 접점부와 접촉되는 각각 다른 값의 저항들을 가지며, 연료 탱크에 설치된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운전석에 제공되는 계기판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상기 기판의 하부에 제공되는 웨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형 연료 센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터는 기판의 자중에 의한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한편 상기 플로터의 이동에 의한 접점부의 마찰에 의하여 기판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형 연료 센더.
KR10-2001-0057729A 2001-09-18 2001-09-18 보정형 연료 센더 KR100435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729A KR100435597B1 (ko) 2001-09-18 2001-09-18 보정형 연료 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729A KR100435597B1 (ko) 2001-09-18 2001-09-18 보정형 연료 센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498A KR20030024498A (ko) 2003-03-26
KR100435597B1 true KR100435597B1 (ko) 2004-06-09

Family

ID=2772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729A KR100435597B1 (ko) 2001-09-18 2001-09-18 보정형 연료 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0492B (zh) * 2014-04-30 2017-06-0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燃油量显示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0314A (en) * 1980-12-15 1982-06-22 Tomokosu:Kk Digital fuel gage for automobile
JPS62175623A (ja) * 1986-01-30 1987-08-01 Nissan Shatai Co Ltd 燃料タンクの液量ゲ−ジ装置
KR960004477U (ko) * 1994-07-26 1996-02-14 연료량 표시장치
KR0170100B1 (ko) * 1996-05-03 1999-02-18 박병재 연료 탱크용 연료 센더 어셈블리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0314A (en) * 1980-12-15 1982-06-22 Tomokosu:Kk Digital fuel gage for automobile
JPS62175623A (ja) * 1986-01-30 1987-08-01 Nissan Shatai Co Ltd 燃料タンクの液量ゲ−ジ装置
KR960004477U (ko) * 1994-07-26 1996-02-14 연료량 표시장치
KR0170100B1 (ko) * 1996-05-03 1999-02-18 박병재 연료 탱크용 연료 센더 어셈블리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498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795B2 (en) Steering damper system
US6827361B2 (en)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for saddle ride vehicle
US5433479A (en) Vehicle structure
KR100435597B1 (ko) 보정형 연료 센더
KR20020024809A (ko)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속도계의 장착 구조
US7251999B2 (en) Level sensor for a fuel tank
WO2000066385A1 (en) A control pedal assembly
KR100297413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잔량 보정장치
CN209795691U (zh) 滑板车
US6488299B2 (en) Trailing arm mounting structure
JPH07507866A (ja) 鉛直方向掃引式液面センサ
KR100427869B1 (ko) 이중 뜨개를 이용한 연료 게이지
CN211441959U (zh) 一种高度可调的汽车仪表盘
KR100239643B1 (ko) 연료계의 연결장치
CN217483506U (zh) 一种汽车底盘稳定杆的衬套角度检测机构
KR100224414B1 (ko) 차량의 퓨얼센더 장착구조
KR100482877B1 (ko) 연료 센더의 와이어링 구조
KR20050117654A (ko) 더블 플로우트를 이용한 연료량 측정장치
JP2006182071A (ja) キャブチルト装置
KR200167543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져
JPH064633U (ja) フロートユニットの取付構造
US20030131679A1 (en) Shift lever with counterbalance
JPS6318548Y2 (ko)
WO2019064324A1 (ja) 液面検出センサ
KR100391205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팅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