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140B1 -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 - Google Patents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140B1
KR100435140B1 KR10-2002-0014698A KR20020014698A KR100435140B1 KR 100435140 B1 KR100435140 B1 KR 100435140B1 KR 20020014698 A KR20020014698 A KR 20020014698A KR 100435140 B1 KR100435140 B1 KR 10043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ipe
switch
liqui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458A (ko
Inventor
한기벽
Original Assignee
한기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벽 filed Critical 한기벽
Priority to KR10-2002-0014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140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18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liquid level or of liquid density, e.g. float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Landscapes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크기 및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품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 원가를 최소화하는 한편, 파이프 내로 흐르는 액체의 압력으로 눌리는 플레이트 부분과 눌려지는 힘에 의해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 부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유입되는 적은 양의 액체에도 예민하게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반응 속도를 갖는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파이프 배관 내의 액체 흐름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도통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입,출력 신호의 상태 변화를 인식한 제어부가 사전에 프로그램 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플로우 스위치에 있어서, 파이프1와 파이프2를 연결하는 티 밸브의 중간 연결탭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구의 전방 소정 위치에 홈1을 형성시키고, 홈1에 스프링, 원기둥형 자석 및 원형구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결합구 후방 소정위치에 홈2를 형성시키되, 홈 1과 소정의 간격을 갖는 평행 상태로 형성시키고, 홈2에 자석의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내에 한 쌍의 접촉단자를 갖는 리드스위치를 삽입하되, 홈1의 전방에 힌지 결합되어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밀음구의 밀편에 의해 원형구 및 자석이 후방으로 밀려 리드스위치가 위치한 부분으로 이동하면 리드스위치의 접촉 단자가 상호 접촉하여 스위칭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The flow switch for a liquid sensing}
본 발명은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크기 및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품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 원가를 최소화하는 한편, 파이프 내로 흐르는 액체의 압력으로 눌리는 플레이트 부분과 눌려지는 힘에 의해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 부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유입되는 적은 양의 액체에도 예민하게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반응 속도를 갖는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우 스위치는 파이프 배관 내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도통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플로우 스위치의 입,출력 신호의 상태 변화를 인식한 제어부가 사전에 약속된(프로그램된) 이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로우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상기 종래의 플로우 스위치(1) 구조의 일례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1(PP)와 파이프2(PP')를 연결하는 티 밸브(T)의 중간 연결탭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 외주연에는 나사탭(2')이 형성되고 타측 외주연는 6각 볼트 머리 형상으로 된 결합구(2)와, 결합구(2)의 중앙을 관통하는 구멍(2")과, 구멍(2")에 삽입되어 일측단(티 밸브(T) 내측)에는 플레이트(3)가 고정되고, 타측단은 결합구(2)의 일측에 고정된 밸로우즈(4) 측으로 연장된 연결 막대(5)와, 결합구(2)의 타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6)과, 밸로우즈(4) 타측에 고정되어 고정브라켓(6)에 고정된 고정부재(6')에 끼워져 힌지 작동되는 작동부재(7)와, 작동부재(7)상부가 부분 절곡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 단부에 하향 결합된 나사(7')와, 나사(7') 하단에 위치하여 스프링(S-1)에 의해 탄발되는 접속핀(8')을 갖는 스위치(8)와, 힌지 회전하는 작동부재(7)를 원 위치로 밀어 이동시키는 스프링(S-2)과, 상기 결합구(2)를 제외한 부분을 보호하도록 고정브라켓(6)에 나사 결합되는 덮개(CS)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플로우 스위치(1)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크기가 커 조립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생산 단가가 높을 뿐 아니라, 티 밸브(T) 등 여타 부분에 고정하여 사용 시 사용상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첨부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1(PP)에서 다른 파이프2(PP')로 흐르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플레이트(3)가 눌려지고, 누르는 힘이 연결막대(5)를 통해 밸로우즈(4)를 거쳐 작동부재(7)에 전달되면 고정부재(6')에 힌지(7") 결합된 작동부재(7)가 회전하게 되며, 작동부재(7)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에 위치한 스위치(8)의 접속핀(8')을 누르고 있던 나사(7')가 상승하면서 접속핀(8')을 누르고 있던 힘이 해제되어, 스위치(8)가 작동하게 되므로, 액체의 압력으로 눌리는 부분과 눌려지는 힘에 의해 회전을 일으키도록 하는 중심이 되는 힌지(7")의 거리가 멀어 반응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황동으로 된 밸로우즈(4)는 결합구(2)와 작동부재(7) 사이에서 수축 팽창을 반복하게 되므로, 수축 팽창하는 부위 또는 타 부품과 결합된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와 같은 경우 플로우 스위치(1)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 스위치(8)의 작동이라 함은 스위치(8)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변화가 발생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즉, 스위치(8)를 통해 전기 신호가 도통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되거나 차단 상태에서 도통 상태로 되는 상태 변화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그 크기 및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품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 원가를 최소화하는 한편, 파이프 내로 흐르는 액체의 압력으로 눌리는 플레이트 부분과 눌려지는 힘에 의해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 부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유입되는 적은 양의 액체에도 예민하게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반응 속도를 갖는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이프 배관 내의 액체 흐름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도통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입,출력 신호의 상태 변화를 인식한 제어부가 사전에 프로그램 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플로우 스위치에 있어서, 파이프1와 파이프2를 연결하는 티 밸브의 중간 연결탭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구의 전방 소정 위치에 홈1을 형성시키고, 홈1에 스프링, 원기둥형 자석 및 원형구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결합구 후방 소정위치에 홈2를 형성시키되, 홈 1과 소정의 간격을 갖는 평행 상태로 형성시키고, 홈2에 자석의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내에 한 쌍의 접촉단자를 갖는 리드스위치를 삽입하되, 홈1의 전방에 힌지 결합되어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밀음구의 밀편에 의해 원형구 및 자석이 후방으로 밀려 리드스위치가 위치한 부분으로 이동하면 리드스위치의 접촉 단자가 상호 접촉하여 스위칭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플로우 스위치의 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플로우 스위치 11 : 결합구
12 : 홈1 13 : 돌기
14 : 회전 밀음구 14': 고정편
14": 밀편 15 : 플레이트
16 : 홈2 17 : 리드 스위치
B : 원형구 M : 자석
S : 스프링 R : 힌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이다.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이프 배관 내의 액체 흐름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C)로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도통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입,출력 신호의 상태 변화를 인식한 제어부(C)가 사전에 프로그램 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플로우 스위치에 있어서, 파이프1(PP)와 파이프2(PP')를 연결하는 티 밸브(T)의 중간 연결탭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구(11)의 나사탭 형성부(11') 단부에 형성되는 홈1(12)과, 홈1(1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스프링(S), 원기둥형 자석(M) 및 원형구(B)와, 홈1(12) 전방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13)와, 돌기(13) 양측에 힌지 결합되면서 직각 절곡되어 수평상의 고정편(14')과 수직상의 밀편(14")으로 이루어진 회전 밀름구(14)와, 회전 밀음구(14)의 고정편(14')에 나사 결합되는 플레이트(15)와, 결합구(11)의 나사탭 형성부(11') 타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되, 홈1(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홈2(16)과, 홈2(16)에 삽입되는 리드 스위치(17)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체가 파이프1(PP)로부터 파이프2(PP')로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는 플레이트(15)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플레이트(15)를 지지하고 있는 회전 밀음구(14)가 자석(M)과 원형구(B)를 외부로 밀어내는 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때의 리드스위치(17) 접촉단자(17'),(17")는 자석(M)의 자력 범위에서 벗어난 상태이므로, 스위칭 동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제어부(C)의 입력측으로 전기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며, 제어부(C)는 밸브 및 펌프 등 각 장치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지 않는다.
그러나, 첨부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1(PP)로부터 파이프2(PP')로 액체가 흐르게 되면, 액체의 압력이 플레이트(15)에 가해져 플레이트(15)의 하부에 고정된 회전 밀음구(14)가 회전하게 되며, 회전 밀음구(14)의 밀편(14")이 원형구(B)를 밀게 되면 자석(M)이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자석(M)이 후방으로 밀려 리드스위치(17)의 접촉단자(17'),(17")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리드스위치(17)의 접촉단자(17'),(17")는 상호 접촉하게 되어 전기신호가 도통된다.
이와 같이, 전기신호가 도통되어 제어부(C)의 입력측으로 입력되면 제어부(C)는 사전에 프로그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밸브 및 펌프 등 각종 장치에 구동신호를 전달하여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또는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액체의 흐르는 압력을 감지하는 플레이트(15)와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R)의 거리가 가까워 플레이트(15)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빠르게 반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그 크기 및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품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 원가를 최소화하는 한편, 파이프 내로 흐르는 액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플레이트와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의 거리가 가까워 유입되는 적은 양의 액체에도 예민하게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반응 속도를 갖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파이프 배관 내의 액체 흐름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C)로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도통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입,출력 신호의 상태 변화를 인식한 제어부(C)가 사전에 프로그램 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플로우 스위치에 있어서, 파이프1(PP)와 파이프2(PP')를 연결하는 티 밸브(T)의 중간 연결탭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구(11)의 나사탭 형성부(11') 단부에 형성되는 홈1(12)과, 홈1(1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스프링(S), 원기둥형 자석(M) 및 원형구(B)와, 홈1(12) 전방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13)와, 돌기(13) 양측에 힌지 결합되면서 직각 절곡되어 수평상의 고정편(14')과 수직상의 밀편(14")으로 이루어진 회전 밀름구(14)와, 회전 밀음구(14)의 고정편(14')에 나사 결합되는 플레이트(15)와, 결합구(11)의 나사탭 형성부(11') 타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되, 홈1(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홈2(16)과, 홈2(16)에 삽입되는 리드 스위치(17)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
KR10-2002-0014698A 2002-03-19 2002-03-19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 KR100435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698A KR100435140B1 (ko) 2002-03-19 2002-03-19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698A KR100435140B1 (ko) 2002-03-19 2002-03-19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458A KR20030075458A (ko) 2003-09-26
KR100435140B1 true KR100435140B1 (ko) 2004-06-09

Family

ID=3222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698A KR100435140B1 (ko) 2002-03-19 2002-03-19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1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718B1 (ko) 2011-05-04 2011-06-27 대한센서 주식회사 유체 플로우 스위치 장치
KR102401599B1 (ko) 2021-01-04 2022-05-25 주식회사 한성엠에스 솔레노이드밸브에 부착되는 플로우센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4249U (ja) * 1983-02-26 1984-09-07 青木 茂 給湯管用遠隔スイツチ
JPS6472434A (en) * 1987-09-14 1989-03-17 Saginomiya Seisakusho Inc Flow switch
JPH07294542A (ja) * 1994-04-28 1995-11-10 Nikomu Sokki Kk フラッパー式フロースイッチ
JPH09329475A (ja) * 1996-06-10 1997-12-22 Techno Excel Co Ltd フラッパ式フロースイッチ
JP2000028405A (ja) * 1998-07-10 2000-01-28 Nippon Aleph Corp 流量検出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4249U (ja) * 1983-02-26 1984-09-07 青木 茂 給湯管用遠隔スイツチ
JPS6472434A (en) * 1987-09-14 1989-03-17 Saginomiya Seisakusho Inc Flow switch
JPH07294542A (ja) * 1994-04-28 1995-11-10 Nikomu Sokki Kk フラッパー式フロースイッチ
JPH09329475A (ja) * 1996-06-10 1997-12-22 Techno Excel Co Ltd フラッパ式フロースイッチ
JP2000028405A (ja) * 1998-07-10 2000-01-28 Nippon Aleph Corp 流量検出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718B1 (ko) 2011-05-04 2011-06-27 대한센서 주식회사 유체 플로우 스위치 장치
KR102401599B1 (ko) 2021-01-04 2022-05-25 주식회사 한성엠에스 솔레노이드밸브에 부착되는 플로우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458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7734B2 (en) Remote-controlled switch cover assembly
US20150300519A1 (en) Valve device for controlling a fluid flow, in particular for controlling the cold air flow in a household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HK1107724A1 (en) A switching system with a control device
KR100435140B1 (ko) 액체 감지용 플로우 스위치
US20100264008A1 (en) Standby power cut-off switch
JPH04318434A (ja) 差動圧力スイッチ装置
AU2017279756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push-button switch, push-button switch and socket
JP3487104B2 (ja) ブレーカ装置
US20050062580A1 (en) Thermostat
CN107610973B (zh) 一种压力监测器和具有其的燃气设备
EP3514292A1 (en) Automatic reset touch mechanism and water outlet faucet
CN213516329U (zh) 阀门状态检测装置
CN216054485U (zh) 一种插杆式温控器
CN211238097U (zh) 一种鼓膜式压力开关
JP2000348581A (ja) スイッチ
CN219759401U (zh) 一种基于门开关的触点操作机构
CN209804546U (zh) 驱动触点开关的装置及压力开关
CN216940530U (zh) 一种拧防电墙用工装
WO2009097761A1 (zh) 阀芯位置控制装置
US9425007B2 (en) Pressure-type contact switch for use in operation of pressure pump
CN215763596U (zh) 阀位检测装置及阀门
CN214428549U (zh) 一种水流开关及电热水器
KR200156884Y1 (ko) 2동작형 압력 스위치
US3482196A (en) Mercury switch controller
KR200381323Y1 (ko) 플로우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