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030B1 -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 - Google Patents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030B1
KR100435030B1 KR10-2002-0000264A KR20020000264A KR100435030B1 KR 100435030 B1 KR100435030 B1 KR 100435030B1 KR 20020000264 A KR20020000264 A KR 20020000264A KR 100435030 B1 KR100435030 B1 KR 100435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ube
forming
pair
press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9665A (ko
Inventor
조종인
김용건
곽재철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0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0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59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met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튜브의 단부를 조립여유를 감안하여 성형하는 장치로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서로 대향하여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대향 공간에 설치된 스프링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고, 대향면에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를 성형시키기 위한 포밍부(30a,31a)를 갖는 한쌍의 포밍다이(30,31)와; 상기 한쌍의 포밍다이(30,31)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20)상에 지지되어 상기 포밍다이(30,31)의 이동량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냉매튜브를 하방에서 받쳐주는 하부서포트(40)와; 상기 한쌍의 포밍다이(30,31)의 각 측면에 서로 경사면으로 접하여 배치된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가압부(51,52)를 갖고, 상기 베이스(20)에서 스프링력으로 지지되어 있는 가압홀더(50)와; 상기 한쌍의 측면가압부(51,52) 내측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홀더(50)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포밍다이(30,31)의 상면을 향에 탄성력을 받고, 저면에 상기 하부서포트(40)와 대향하여 상기 냉매튜브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편(61)을 갖는 상부서포트(60) 및; 상기 가압홀더(50)를 소정량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기(7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Cooling tube end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의 엔드포밍부에 접속되는 냉매튜드의 단부 형상을 개선하기 위한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매튜브의 단부에 조립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형상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접속부의 용접품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는 냉각시스템에 적용되는 장치로서, 냉매가 흐르는 냉매튜브가 포함되어 있고, 이 냉매튜브는 라디에이터의 엔드 포밍부에 접속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냉매튜브의 접속구조를 도 1에서 보면, 엔드포밍부(10)에는 접속요홈(10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요홈(10a)에 냉매튜브(12)의 단부가 90도 회전하여 접속되고, 접속부에는 실리콘을 바르고 열용율시켜 실리콘이 접촉부에 융착시켜 용접되게 되어 있다.
이때 냉매튜브(12)의 단부가 엔드포밍부(10)의 접속요홈(10a)에 조립되기 위해 냉매튜브(12)의 단부와 엔드포밍부(10)의 접속요홈(10a)은 서로 조립공차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조립공차는 조립 불량을 없애기 위해 사용되는데 있어 그 조립공차를 크게 하면 용접품질이 나빠질 수밖에 없다.
즉, 냉매튜브(12)와 엔드포밍부(10)의 접속 공차가 커지면 실리콘 접착제가 불량으로 접착되어 냉매의 누설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냉매튜브의 단부를 접속부와 원하는 조립공차를 갖도록 성형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접촉부에서의 접착 불량을 없애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냉매튜브인 엔드 포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냉매튜브의 단부를 조립여유를 감안하여 성형하는 장치로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서로 대향하여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대향 공간에 설치된 스프링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고, 대향면에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를 성형시키기 위한 포밍부(30a,31a)를 갖는 한쌍의 포밍다이(30,31)와;
상기 한쌍의 포밍다이(30,31)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20)상에 지지되어 상기 포밍다이(30,31)의 이동량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냉매튜브를 하방에서 받쳐주는 하부서포트(40)와;
상기 한쌍의 포밍다이(30,31)의 각 측면에 서로 경사면으로 접하여 배치된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가압부(51,52)를 갖고, 상기 베이스(20)에서 스프링력으로 지지되어 있는 가압홀더(50)와;
상기 한쌍의 측면가압부(51,52) 내측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홀더(50)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포밍다이(30, 31)의 상면을 향에 탄성력을 받고, 저면에 상기 하부서포트(40)와 대향하여 상기 냉매튜브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편(61)을 갖는 상부서포트(60) 및;
상기 가압홀더(50)를 소정량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기(7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밍부(30a,31a)는 냉매튜브의 조립공차를 고려한 소정량의 구배를 갖는다.
상기의 수단에 의하면, 냉매튜브의 단부를 접속부위를 고려하여 항시 원하는접속단부로 성형시킬 수 있어 정밀한 조립공차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냉매튜브가 접속되는 엔드 포밍부와의 접속시 조립에러를 줄일 수 있고, 접착제 실링시 틈새가 미세하여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냉매튜브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의 조립구성도.
도 3,4는 도 2의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냉매튜브의 정면도 및 일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베이스 30,31 : 포밍다이
30a,31a : 포밍부 40 : 하부서포트
50 : 가압홀더 51,52 : 측면가압부
60 : 상부서포트 61 : 가압편
70 : 작동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의 조립구성도이고, 도 3,4는 도 2의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냉매튜브의 정면도 및 일측면도이다.
도 2에서 도면부호 20은 베이스이다.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한쌍의 포밍다이(30,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포밍다이(30,31)는 서로 마주보고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마주보는 대향 공간에 설치된 탄성스프링(S1,S2)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포밍다이(30,31)의 대향면 상부에는 냉매튜브(10)의 단부를 성형시키기 위한 포밍부(30a,31a)를 갖고 있다.
상기 한쌍의 포밍다이(30,31)의 중앙에는 하부서포트(40)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서포트(40)는 상기 베이스(20)상에 고정 지지되어 있어 상기 포밍다이(30,31)가 중앙으로 이동되는 량을 제한하고 동시에 상면에서 상기 냉매튜브(10)를 하방에서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하부서포트(40)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포밍다이(30,31)의 포밍부(30a,31a) 하측과 동일 수평선상에 놓여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밍다이(30,31)의 상방에는 한쌍의 포밍다이(30,31)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홀더(5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홀더(50)는 양측에 상기 한쌍의 포밍다이(30,31)의 각 측면에 서로 경사면으로 접하는 한쌍의 측면가압부(51,52)를 갖고 있고, 가압홀더(50)는 측면가압부(51,52)의 밑면과 베이스(20) 상면에 개재된 복원스프링(S3,S4)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하강 동작후 다시 상승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홀더(50)가 하강하면 측면가압부(51,52)가 수직으로 이동하고 그 경사면에서 수평분력이 발생하여 한쌍의 포밍다이(20,31)가 하부서포트(40)가 있는 중앙으로 이동하고, 가압홀더(50)는 하강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위치로 상승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가압홀더(50)에는 상기 하부서포트(40)에 올려지는 냉매튜브(12)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서포트(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서포트(60)는 가압홀더(50)의 측면가압부(51,52) 내측면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 상부서포트(60)는 가압홀더(60)와의 사이에 설치된 복원스프링(S5,S6)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있다.
상부서포트(60)의 밑면 중앙에는 상기 하부서포트(40)와 대향하여 상기 냉매튜드의 상면을 가압하는 돌출된 가압편(71)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가압홀더(50)의 상부에는 작동기(70)가 배치되어 있고, 작동기(70)의 작동로드(71) 하강 동작에 의해 가압홀더(50)가 원하는 만큼 하강 동작이 일어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기(70)는 공압실린더로서 공압원에 연결되어 있고, 그 작동방향은 도시안된 솔레노이드밸브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작동기(70)는 반드시 공압실린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홀더(50)를 가압 하강시킬 수 있는 모든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작동기(70)의 작동로드(71)가 작동하기 전 상태로서 가압홀더(50)는 복원스프링(S3,S4)력에 의해 상승 위치에 머물러 있고, 한쌍의 포밍다이(30,31)도 복원스프링(S1,S2)력에 의해 벌려져 측면가압부(51,52)의 각 경사면에 접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작동기(70)가 작동하여 작동로드(71)가 가압홀더(50)를 적당량 하강시키면, 상부서포트(60)의 가압편(61)이 하부서포트(40)와 협력하여 복원스프링(S5,S6)력으로 냉매튜브를 누름 고정시키고 동시에 복원스프링(S3,S4)도 압축되고 측변가압부(51,52)가 연동하여 하강한다.
측면가압부(51,52)의 하강 위치 변위로 측면가압부(51,52)에 경사면으로 접하고 있던 한쌍의 포밍다이(30,31)가 복귀스프링(S1,S2)력을 이기고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화살표(K,K')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하부 서포트(60,40)사이에 고정된 냉매튜브(12)의 단부가 포밍부(30a,31a)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때 바람직한 냉매튜브의 단부 형상이 도 4,5와 같이 제작된다. 즉, A'가 가리키는 단면보다 B'쪽 단면이 작도록 기울기를 주어 여유공차를 갖는다.
다시 냉매튜브(12)의 단부 성형이 끝나면 작동기(70)의 작동방향을 바꾸어 작동로드(71)를 상방으로 원위치시키면, 가압홀더(50)를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되고, 복귀스프링(S3,S4)의 탄성복원력으로 가압홀더(50)가 상승하여 원위치하고, 동시에 가압홀더(50)의 측방 누름력이 제거되어 한쌍의 포밍다이(30,31)도 복귀스프링(S1,S2)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벌어져 원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가압홀더(50)의 상승과 동시에 상부서포트(60)로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냉매튜브는 고정력이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에 따르면, 냉매튜브의 단부를 정밀한 조립공차를 갖는 원하는 접속단부로 성형할 수 있어 냉매튜브가 접속되는 부위의 용접 불량을 없앨 수 있다.

Claims (2)

  1. 냉매튜브의 단부를 조립여유를 감안하여 성형하는 장치로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서로 대향하여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대향 공간에 설치된 스프링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고, 대향면에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를 성형시키기 위한 포밍부(30a,31a)를 갖는 한쌍의 포밍다이(30,31)와;
    상기 한쌍의 포밍다이(30,31)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20)상에 지지되어 상기 포밍다이(30,31)의 이동량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냉매튜브를 하방에서 받쳐주는 하부서포트(40)와;
    상기 한쌍의 포밍다이(30,31)의 각 측면에 서로 경사면으로 접하여 배치된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가압부(51,52)를 갖고, 상기 베이스(20)에서 스프링력으로 지지되어 있는 가압홀더(50)와;
    상기 한쌍의 측면가압부(51,52) 내측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홀더(50)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포밍다이(30, 31)의 상면을 향에 탄성력을 받고, 저면에 상기 하부서포트(40)와 대향하여 상기 냉매튜브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편(61)을 갖는 상부서포트(60) 및;
    상기 가압홀더(50)를 소정량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기(7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30a,31a)는 냉매튜브의 조립공차를 고려한 소정량의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
KR10-2002-0000264A 2002-01-03 2002-01-03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 KR100435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264A KR100435030B1 (ko) 2002-01-03 2002-01-03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264A KR100435030B1 (ko) 2002-01-03 2002-01-03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665A KR20030059665A (ko) 2003-07-10
KR100435030B1 true KR100435030B1 (ko) 2004-06-09

Family

ID=32216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264A KR100435030B1 (ko) 2002-01-03 2002-01-03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17B1 (ko) 2008-07-02 2010-08-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롤 포밍 성형빔용 컷팅 프레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124A (ja) * 1995-11-09 1997-05-27 Mitsubishi Alum Co Ltd 金属管の切断口サイジング装置
KR19990038724A (ko) * 1997-11-06 1999-06-05 이해규 관체 단부의 가공 장치
JPH11151535A (ja) * 1997-11-18 1999-06-08 Sango Co Ltd 管端の成形方法とその装置
KR100225599B1 (ko) * 1997-10-07 1999-10-15 이규용 타이로드엔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124A (ja) * 1995-11-09 1997-05-27 Mitsubishi Alum Co Ltd 金属管の切断口サイジング装置
KR100225599B1 (ko) * 1997-10-07 1999-10-15 이규용 타이로드엔드 제조방법
KR19990038724A (ko) * 1997-11-06 1999-06-05 이해규 관체 단부의 가공 장치
JPH11151535A (ja) * 1997-11-18 1999-06-08 Sango Co Ltd 管端の成形方法と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17B1 (ko) 2008-07-02 2010-08-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롤 포밍 성형빔용 컷팅 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665A (ko) 200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94988A (zh) 激光焊接方法、激光焊接装置以及焊接构件
KR20100040243A (ko) 정밀 프레스 장치 및 그것에 있어서의 프레스 하중 제어 방법
KR101151827B1 (ko) 연성회로기판용 보강판 부착장치
KR100626105B1 (ko) 레이저 용접용 클램핑 장치
CN110369942B (zh) 一种方型铝壳电池盖板的焊接定位方法
KR100653339B1 (ko)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KR100435030B1 (ko) 냉매튜브 엔드 포밍장치
CN114029686B (zh) 一种用于汽车焊接的定位工装夹具
KR20090006462A (ko) 파이프 홀 가공 장치
KR101821523B1 (ko) 열과 진동을 이용한 융착 장치 및 방법
KR960004240A (ko) 가요성 프레스
CN212578505U (zh) 一种保压装置
KR100960332B1 (ko) 스크린 인쇄 장치
CN106623566A (zh) 一种具有同步夹持功能的冲压式压力机
KR20150001448U (ko) 열풍 융착 장치
JP2006320934A (ja) プレス加工装置
WO2022172687A1 (ja) 成形装置、及び金属パイプ
CN211804710U (zh) 衬套套管的浮动压装机构
JP2010042426A (ja) プレス機械のスライド構造
JP2003211271A (ja) スポット溶接装置及びスポット溶接方法
CN111250952A (zh) 衬套套管的浮动压装机构
CN114871607B (zh) 一种电阻辅助预热工件的超声波焊接装置
KR20060110929A (ko) 스프링 백 방지기능을 갖는 프레스 장치
JPH09225982A (ja) 精密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WO2023042488A1 (ja) 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