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763B1 -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763B1
KR100434763B1 KR10-2001-0057642A KR20010057642A KR100434763B1 KR 100434763 B1 KR100434763 B1 KR 100434763B1 KR 20010057642 A KR20010057642 A KR 20010057642A KR 100434763 B1 KR100434763 B1 KR 10043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isk
elevating member
recording medium
typ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980A (ko
Inventor
백대현
Original Assignee
백인현
황호현
심상신
백승희
김은영
서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현, 황호현, 심상신, 백승희, 김은영, 서덕연 filed Critical 백인현
Priority to KR10-2001-005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7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61Disc storage racks
    • G11B33/0472Disc storage rack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를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된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중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크 내에 기록된 내용을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다수의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를 보관하였다가 간단한 버튼조작으로 원하는 디스크를 곧바로 읽어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Apparatus for storing and reading a plurality of disc-type recoded media}
본 발명은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를 저장하며, 필요시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를 읽을 수 있는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는 사각형 케이스에 넣어진 상태로 다수개의 칸막이가 마련되어 있는 보관함에 끼워 보관된다. 따라서 디스크를 사용하고자할 때에는 보관함으로부터 원하는 디스크 및 케이스를 찾아 꺼낸 후, 다시 케이스로부터 디스크를 꺼내야 비로서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디스크의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스크를 리딩할 수 있는 리딩장치의 경우, 리딩하는 디스크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디스크가 탑재되는 디스크 트레이를 리딩장치로부터 인출하여 수작업으로 디스크를 교체해야 하므로 디스크의 교체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디스크를 편리하게 보관하며,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디스크를 인출 및 탑재할 수 있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내부에 저장된 다수의 디스크 중 하나를 플레이 시키거나, 그 내용을 읽어 외부기기로 출력시킬 수 있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례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승강부재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례의 인출상태인 트레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례의 리딩상태인 트레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의 상부트레이와 하부트레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20: 트레이
30: 통신포트부 40: 프레임
50: 트레이 랙 60: 이송부재
70: 리딩부 80: 마이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디스크를 탑재할 수 있으며 상하로 배열된 다수의 트레이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각각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 랙과, 상기 다수의 트레이 중에서 선택된 트레이를 이송시키기 위해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도록 작동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를 구동하는 승강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수단과,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다수의 트레이 중에서 선택된 트레이를 전후로 이송시키는 제 2 구동수단과,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구동수단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 디스크를 읽는 리딩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디스크 타입의 기록 매체가 안착되는 원형의 안착부가마련된 상부트레이와 상기 상부트레이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트레이의 상기 케이스로부터의 인출을 안내하는 하부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에 대해 전후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상부트레이를 진퇴이동시키는 상부 전후이송부재와, 상기 하부트레이를 진퇴이동시키는 하부 전후이송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후이송부재와 상기 하부 전후이송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톱니부와 이물림된 한 쌍의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전후이송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를 진퇴시키도록 작동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한 쌍의 전후이송모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디스크 타입의 기록 매체가 안착되며 상기 벨트와 마찰하도록 양 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마찰부를 구비한 상부트레이와, 상기 상부트레이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트레이의 상기 케이스로부터의 인출을 안내하는 하부트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딩장치는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송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퇴진한 트레이에 담긴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와, 상기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내용을 읽는 픽업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트레이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이송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트레이에는 상기 이송돌기에 걸리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된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전면에서 진퇴하며 디스크(D)를 탑재하기에 적합한 형태를 가지며 상하로 배열된 다수의 트레이(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크(D)는 기록 매체로서 단순한 음악 CD는 물론이고 컴퓨터를 통해 읽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록한 CD-R, CD-RW, 그리고 DVD 등을 말한다. 케이스(10)의 전면판(11)에는 트레이(20)의 진퇴를 허용하도록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2)에 인접하여 LED로 된 다수의 표시램프(13)가 각 트레이(20)와 상응하도록 상하로 배열 설치된다. 이러한 표시램프(13)는 트레이(20)에 디스크(D)가 탑재되어 있을 경우 발광함으로써 트레이(20)에 디스크(D)가 탑재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케이스(10)의 상면판(14)에는 트레이(20)를 선택할 수 있도록 0~9의 숫자가 표시된 선택버튼(15)과, 선택된 트레이(20)를 인출시키는 인출버튼(16)과, 선택된 트레이(20)에 담긴 디스크(D)를 플레이 시키거나 디스크(D) 내부에 기록된 내용을 읽게 하는 동작버튼(17)과, LCD로 이루어져 동작상태 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8)가 마련되어 있다. 동작버튼(17)은 오디오 및 비디오 형태의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도록 PLAY-PAUSE 키(17a), REWIND 키(17b), FAST FORWORD 키(17c), STOP 키(17d)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후면에는 전원공급단자(19)와, 외부, 즉 TV, 오디오, 컴퓨터 등과의 통신을 위한 S-VHS 단자(31), A/V 단자(32), 헤드폰 단자(33), USB 포트(34), LAN 포트(35) 등이 설치되는 통신포트부(3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Parallel Port, SCSI 단자, IEEE 1394 fire wire 등을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통신포트부(30)를 통해 다수의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를 컴퓨터 등,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외부기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40)과 트레이 랙(tray rack; 50)이 마련된다. 프레임(40)은 케이스(10)의 천장 부분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41)과 케이스(10)의 바닥 부분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42)을 구비한다. 트레이 랙(50)을 프레임(40)에 설치하기 위해, 상부프레임(41)에는 하방으로 형성된 플랜지(41a)가 설치되고 하부프레임(42)에는 상방으로 형성된 플랜지(42a)가 설치된다.
트레이 랙(50)은 다수의 트레이(20)를 양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판(51)을 구비하며, 각 지지판(51)의 상단은 상부프레임(41)의 플랜지(41a)에, 하단은 하부프레임(42)의 플랜지(42a)에 각각 스크류(54)로 고정된다. 양 지지판(51)의 대향 면에는 각 트레이(2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슬롯(52)이 상하로 배열된다. 트레이 랙(50)의 안내슬롯(52)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상하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트레이(20)가 트레이 랙(50)에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D)가 탑재되며 디스크(D) 리딩시 디스크(D)를 후술할 리딩부(70)로 안내하는 상부트레이(21)와 디스크(D)를 인출 및 탑재할 때 상부트레이(21)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트레이(22)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트레이(22)에는 전단에 하부트레이(22)의 전단이 케이스(10)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상부트레이(21)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홈(22b)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트레이(21)에는 상면에 디스크(D)가 안착되는 원형의 안착부(21a)가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 하부트레이(22)의 슬라이딩홈(22b)과 상응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돌기(21b)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부트레이(21)와 하부트레이(22)는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트레이 랙(50)의 안내슬롯(5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부(21c, 22c)를 구비한다. 상부트레이(21)와 하부트레이(22)의 슬라이딩부(21c, 22c) 후단측에는 후술할 한 쌍의 전후이송부재(63a, 63b)의 걸림돌기(64a, 64b)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21d, 22d)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상부트레이(21)에 마련된 걸림홈을 상부 걸림홈(21d), 하부트레이(22)에 마련된 걸림홈을 하부 걸림홈(22d)이라하며, 상부 걸림홈(21d)에 설치되는 전후이송부재를 상부 전후이송부재(63a)라 하고 하부 걸림홈(22d)에 설치되는 전후이송부재를 하부 전후이송부재(63b)라 한다.
상부걸림홈(21d) 및 하부걸림홈(22d)은 상부트레이(21)와 하부트레이(22)가두 전후이송부재(63a, 63b)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상부트레이(21)에는 좌측 슬라이딩부(21c)에, 하부트레이(22)에는 우측 슬라이딩부(22c)에 마련된다. 여기서 좌우라는 표현은 도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트레이(21)와 하부트레이(22)의 서로 반대측 슬라이딩부(21c, 22c)에 걸림홈(64)이 마련된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전후이송부재(63a)와 하부 전후이송부재(63b)에는 길이방향으로 톱니부(65)가 각각 형성되며, 이 두 톱니부(65)와 각각 이물림하는 한 쌍의 피니언(66a, 66b) 그리고 이 피니언(66a, 66b)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부 전후이송모터(67a)와 하부 전후이송모터(67b)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두 전후이송모터(67a, 67b)가 회전하면 피니언(66a, 66b)이 회전하고, 피니언(66a, 66b)의 회전에 연동하여 두 전후이송부재(63a, 63b)는 전후로 이송함으로써 자신과 결합된 트레이(20)를 각각 진퇴시킨다.
상부 전후이송부재(63a)와 하부 전후이송부재(63b)의 전단에 각각 마련된 상부 걸림돌기(64a)와 하부 걸림돌기(64b)는 트레이(20)의 상부 걸림홈(21d)과 하부 걸림홈(22d)에 각각 헐겁게 끼워져, 두 전후이송부재(63a, 63b)가 승강부재(60)와 함께 승강할 때에는 두 걸림돌기(64a, 64b)가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트레이(20)들의 걸림홈(21d, 22d)을 통해 이동하다가 두 전후이송부재(63a, 63b)의 진퇴이동시에만 두 걸림홈(21d, 22d)에 걸려 트레이(20)를 진퇴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전후이송부재(63b)는 디스크(D)를 리딩할 때 상부 트레이(21)의 슬라이딩부(21c)가 하부 전후이송부재(63b)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트레이(21)의 두께만큼 상부 전후이송부재(63b)에 비하여 얇게 되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트레이(20) 후방의 상부프레임(41)과 하부프레임(42) 사이에는 타이밍벨트(43)가 설치된다. 상부프레임(41)에는 상부풀리(41b)가 설치되고 하부프레임(42)에는 하부풀리(42b, 도 5참조)가 설치되며, 타이밍벨트(43)는 상부풀리(41b)와 하부풀리(42b)에 걸어 감겨 설치된다. 또한 하부프레임(42)에는 승강모터(44)가 설치되는데, 승강모터(44)는 스테핑모터로서 하부풀리(42b)와 결합되어 정역 회전 운동함으로써 타이밍벨트(43)를 작동시킨다. 또한 하부프레임(42)에는 각종 소자가 설치된 회로기판(42c)이 설치된다.
타이밍벨트(4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도에 타이밍벨트(43)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부재(60)가 설치된다. 승강부재(60)와 타이밍벨트(43)를 결합시키기 위해 끼움홈(61a)을 만드는 한 쌍의 플랜지(61)가 승강부재(6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타이밍벨트(43)의 한쪽이 이 끼움홈(61a)에 억지끼움된다. 물론 억지끼움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승강부재(60)를 타이밍벨트(43)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 승강부재(60)가 설치된 타이밍벨트(43)의 타측에는 승강부재(60)와 대칭되게 설치되어 승강부재(60)의 중량을 일부 상쇄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승강부재(60)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균형추(43a)가 설치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승강부재(60)의 승하강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도록 프레임(40)에는 한 쌍의 가이드봉(45)이 나란하게 설치되고, 승강부재(60)에는 가이드봉(45)이 삽입되는 삽입공(62a)이 형성된 가이드부(62)가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이 한 쌍의 가이드봉(45)의 상단은 상부프레임(41)에 각각 고정되고 하단은 하부프레임(42)에 각각 고정되어 승강부재(6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승강부재(60)의 상하이동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승강부재(60)의 흔들림이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승강부재(6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재(60)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여 트레이(20)를 직접 전후로 이송시키는 상부 전후이송부재(63a)와 하부 전후이송부재(63b)가 설치된다. 두 전후이송부재(63a, 63b)의 설치를 위해 승강부재(60)는 상부몸체(64)와 하부몸체(65)를 구비하며, 상부몸체(64)와 하부몸체(65) 사이에 두 전후이송부재(61a, 61b)가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몸체(64)와 하부몸체(65)는 그 가장자리에서 스크류(68)로 결합된다.
이러한 두 전후이송부재(63a, 63b)의 전단에는 전술한 상부트레이(21)와 하부트레이(22)의 걸림홈(21d, 22d)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돌기(64a, 64b)가 각각 마련되어 걸림돌기(64a, 64b)를 통해 상부트레이(21) 및 하부트레이(22)에 각각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65)에는 디스크(D)를 읽을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 스핀들모터(71)와 픽업(72)이 설치되어 있는 리딩부(70)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몸체(64)에는 디스크(D)를 스핀들모터(7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원판형상의 디스크홀더(73)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트레이(21)에 얹혀진 상태로 상부 전후이송부재(63a)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 디스크(D)는 스핀들모터(71)와 디스크홀더(73) 사이에 끼워져 회전하면서 픽업(72)에 의해 기록된 내용이 읽혀진다. 픽업(72)은 일반 음악시디, 컴퓨터용 시디롬, DVD 등의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를 읽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버튼(15)과 인출버튼(16)과 동작버튼(17)은 마이컴(80)의 입력측에 연결되고, 승강모터(44)와 두 전후이송모터(67a, 67b)와 표시램프(13)와 디스플레이부(18)는 마이컴(80)의 출력측에 연결된다. 승강모터(44)와 두 전후이송모터(67a, 67b)는 스테핑모터로써 회전수 및 방향정보가 마이컴(80)에 입력된다.
선택버튼(15)의 신호와 인출버튼(16)의 신호가 마이컴(80)에 입력되면 마이컴(80)은 승강부재(60)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에 따라 승강모터(44)를 구동시켜 목표위치로 승강부재(60)를 이동시켜 목표 트레이(20)의 후방에 승강부재(60)가 위치하게 한다. 계속해서 마이컴(80)은 두 전후이송모터(67a, 67b)를 구동시켜 이와 연동하는 두 전후이송부재(63a, 63b)를 이동시켜 트레이(20)를 전후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선택버튼(15)의 신호와 동작버튼(16)의 신호가 마이컴(80)에 입력되면 마이컴(80)은 트레이(20) 인출시와 같은 방식으로 승강부재(60)를 상하이동시켜 선택버튼(15)에 의해 선택된 트레이(20)의 후방에 위치하게 한다. 계속해서 마이컴(80)은 상부 전후이송모터(67a)를 구동시켜 이와 연동하는 상부 전후이송부재(63a, 63b)를 이동시켜 상부 트레이(20)를 승강부재(60)에 마련되어 있는 리딩부(70)로 이송함으로써 리딩부(70)에서 스테핑모터(71)와 픽업(72)에 의해 디스크(D) 내에 기록된 내용을 읽을 수 있게 한다. 마이컴(80)은 리딩부(70)에서 읽혀진 디스크(D)의 내용을 통신포트부(30)를 통해 외부기기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를 인출 및 탑재할 경우를 설명한다.
디스크(D)를 탑재하기 위해 트레이(20)를 전방으로 진출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선택버튼(15)을 눌러 진출시키고자 하는 트레이(20)를 선택한 후, 인출버튼(16)을 누른다. 그러면 승강모터(44) 및 두 전후이송모터(67a, 67b)가 작동하여 승강부재(60)와 두 전후이송부재(63a, 63b)를 동작시킨다.
즉 마이컴(80)은 선택된 트레이(20)와 승강부재(60)의 현재 위치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승강모터(44)를 구동함으로써 승강부재(60)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켜 도 7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전후이송부재(63a, 63b)의 각 걸림돌기(64a, 64b)가 선택된 트레이(20)의 상부 및 하부 걸림홈(21d, 22d)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 및 하부 전후이송모터(67a, 67b)를 구동시켜 상부 및 하부 전후이송부재(63a, 63b)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7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트레이(20)를 전방으로 진출시킨다.
트레이(20)가 전방으로 진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디스크(D)를 트레이(20)로부터 꺼내거나 디스크(D)를 트레이(20)에 탑재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출버튼(16)을 다시 누르면 두 전후이송모터(67a, 67b)가 작동되어 두 전후이송부재(63a, 63b)가 트레이(20)를 후방으로 퇴진시킨다.
다음으로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을 읽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스크(D)에 기록된 내용을 읽기 위해 트레이(20)를 리딩부(70)로 퇴진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사용하고자하는 트레이(20)의 번호를 선택버튼(15)으로 선택한 후, 동작버튼(17)을 누르면 승강모터(44)와 상부 전후이송모터(67a)가 작동하여 승강부재(60)와 상부 전후이송부재(63a)를 동작시킨다.
즉 마이컴(80)은 선택된 트레이(20)와 현재 승강부재(60)의 위치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승강모터(44)를 구동함으로써 승강부재(60)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켜 두 전후이송부재(63a, 63b)와 선택된 트레이(20)를 결합시키며, 상부트레이(21)에 결합된 상부 전후이송부재(63a)만을 상부 전후이송모터(67a)로 퇴진시켜 상부트레이(21)만을 후방에 마련된 리딩부(70)부로 이동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트레이(21)의 이동에 따라 상부트레이(21)에 탑재된 디스크(D)의 중앙부가 스핀들모터(71)에 위치되면 마이컴(80)은 스핀들모터(71)는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디스크홀더(73)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디스크(D)가 스핀들 모터(7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게 한다. 계속해서 마이컴(80)은 스핀들모터(71)와 픽업(72)을 동작시켜 디스크를 플레이하거나 디스크 내에 기록된 내용을 읽는다. 픽업(72)에 의해 읽혀진 내용을 케이스(10)의 후면에 마련된 통신포트부(30)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통신포트부(30)에 TV(미도시), 오디오, 컴퓨터(미도시) 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디스크(D)에 기록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의 선택버튼(15), 인출버튼(16), 동작버튼(17)을 직접 조작하여 동작시키는 경우만이 제시되어 있으나, 통신포트부(30)를 통해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로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를 제어하여 디스크(D)를 인출 및 탑재하거나 디스크를 리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다수의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는 도 9,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200)와, 트레이(200)가 진퇴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트레이 랙(300)과, 두 트레이 랙(300)의 외측에 설치되며 벨트(130)와 한 쌍의 풀리(120)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트레이(200)를 전후로 이송시키는 전후이송부재(100)를 구비한다.
트레이(200)는 디스크(D)가 안착되도록 원형의 안착홈(210a)이 마련된 상부트레이(210)와 디스크(D) 인출시 상부트레이(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트레이(220)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부트레이(210)에는 상기 벨트(110)와 마찰하는 마찰부(210b)가 상부트레이(210)의 후단측 측방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부트레이(220)는 상기 상부트레이(210)의 전단에 걸리도록 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걸림턱(220a)을 구비한다. 상부트레이(210)와 하부트레이(220)는 적층된 상태로 두 안내슬롯(330) 사이에 끼워지되 상부트레이(210)에 마련된 마찰부(210b)가 안내슬롯(330)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끼워진다.
이러한 트레이(200)의 설치 및 이송을 위해 한 쌍의 트레이 랙(300)이 마련된다. 트레이 랙(300)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310)와, 지지부(31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개의 안내부(320)로 이루어져 두 안내부(320)의 사이가 안내슬롯(330)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례에 따른 트레이 랙(300)의 안내슬롯(330)은 트레이(200)의 일부가 트레이 랙(300)을 관통하여 트레이 랙(300)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후이송부재(100)의 벨트(130)와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제 1 실시례에 따른 트레이 랙(50, 도 3 참조)과 차이가 있다.
트레이 랙(300)을 관통하여 트레이 랙(300)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트레이(200)의 마찰부(210b)에는 전후이송부재(100)가 설치된다. 전후이송부재(10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승강부재(400)에 힌지고정된 설치대(110)와 설치대(110)의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120)를 구비하여, 두 풀리(120)에 벨트(130)가 걸어 감겨 설치된다.
이러한 전후이송부재(100)는 정지 및 승강시에는 상부트레이(210)의 마찰부(210b)와 이격되어 있다가 트레이(200)를 전후이동시킬 경우에만 상부트레이(210)의 마찰부(210b)와 마찰되게 하는 클러칭수단(500)에 의해 승강부재(400)에 설치된다.
클러칭수단(500)은 솔레노이드(510)에 의해 진퇴이동하는 플런저(520)와, 일단이 플런저(520)에 링크 결합되어 플런저(520)의 진퇴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이 가변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530)를 구비한다. 링크부재(530)의 타단은 전후이송부재(100)의 설치대(110) 중도에 링크결합되어 전후이송부재(100)를 밀거나 당겨, 전후이송부재(100)가 상부트레이(210)의 마찰부(210b)에 밀착 또는 이격되게 한다.
이러한 클러칭수단(500)을 설치하기 위해 승강부재(400)에는 플런저(520)가 솔레노이드(510)에 의해 진퇴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플런저홈(410)과, 링크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링크안내홈(420)이 마련된다.
링크안내홈(420)의 전방측 면은 플런저(520)의 진퇴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면(421)과 지지면(421)의 양측방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경사면(42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플런저(520)의 진퇴에 따라 링크부재(530)의 측면이 지지면(521) 또는 경사면(522)에 지지되면서 벨트(130)가 마찰부(210b)에 밀착 또는 이격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벨트와 마찰부가 마찰할 때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설치대에 다수개의 롤러를 설치하거나, 벨트와 마찰부에 서로 맞물리도록 치형을 형성하여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부트레이(210)와 하부트레이(220)는 디스크(D)의 인출 및 수납 시에는 함께 이동하다가, 탑재된 디스크(D)를 읽을 때에는 상부트레이(210)만 후방으로 퇴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트레이(210)에는 이송돌기(210c)가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트레이(220)에는 후단에 토션스프링(221b)에 의해 탄성적으로 힌지결합되는 걸림부재(220a)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부재(220b)의 후면은 이송돌기(210)가 토션스프링(221c)을 변형시키며 통과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후이송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솔레노이드(510)에 의해 플런저(520)가 전진하면 두 링크부재(530)는 플런저(520)와 함께 경사면(422)을 따라 이동하다가 경사면(422)과 지지면(421)이 이루는 모서리에 걸려 이동은 멈추고 회전한다. 그에 따라 링크부재(530)의 측면이 지지면(421)에 지지된다. 링크부재(530)의 선단측에 링크결합되어 있는설치대(110)는 링크부재(530)의 회전에 따라 트레이(200)의 마찰부(210b)로부터 이격되어 승강부재(400)가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솔레노이드(510)에 의해 플런저(520)가 퇴진하면, 지지면(421)에 지지되어 있는 두 링크부재(530)는 플런저(520)와 함께 퇴진한다. 따라서 두 링크부재(530)의 측면은 경사면(422)에 지지되고, 벨트(130)는 상부트레이의 마찰부(210b)에 밀착된다. 따라서 벨트(130)에 의해 트레이(200)가 이송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크(D)를 인출할 경우, 벨트(130)를 구동시키면 상부트레이(210)는 마찰부(210b)를 통해 벨트(130)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전진한다. 상부트레이(210)가 전진하면 상부트레이(210)의 전단은 하부트레이(220)의 걸림턱(220a)에 걸리므로 하부트레이(220)도 상부트레이(210)와 함께 A 영역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레이(200)에 디스크(D)를 인출 또는 탑재할 수 있다.
다시 상부트레이(210)를 퇴진시키면 상부트레이(210)와 하부트레이(220)는 이송돌기(210c)와 걸림부재(220b)에 의해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하부트레이(220)도 상부트레이(210)와 함께 퇴진하여 B 영역으로 이송된다.
디스크(D)를 리딩할 경우, 상부트레이(210)를 퇴진시키면 하부트레이(220)는 걸림턱(220a)이 트레이 랙(300)에 걸리게 되어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벨트(130)로부터 계속 상부트레이(210)로 힘이 전달되면 상부트레이(210)의 이송돌기(210c)는 하부트레이(220)에 설치된 토션스프링(221b)을 변형시키면서 걸림부재(220b)로부터 빠져나오고, 그에 따라 상부트레이(210)만이 퇴진하여 C 영역으로 이송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는, 다수의 디스크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간단한 버튼조작만으로 디스크를 편리하게 인출 및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버튼조작만으로 다수의 디스크 중 하나를 플레이 시키거나 그 내부에 기록된 내용을 읽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8)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디스크를 탑재할 수 있으며 상하로 배열된 다수의 트레이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각각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 랙과,
    상기 다수의 트레이 중에서 선택된 트레이를 이송시키기 위해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도록 작동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를 구동하는 승강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수단과,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다수의 트레이 중에서 선택된 트레이를 전후로 이송시키는 제 2 구동수단과,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구동수단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 디스크를 읽는 리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도록 작동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를 구동하는 승강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디스크 타입의 기록 매체가 안착되는 원형의 안착부가 마련된 상부트레이와 상기 상부트레이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트레이의 상기 케이스로부터의 인출을 안내하는 하부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에 대해 전후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상부트레이를 진퇴이동시키는 상부 전후이송부재와, 상기 하부트레이를 진퇴이동시키는 하부 전후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후이송부재와 상기 하부 전후이송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톱니부와 이물림된 한 쌍의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전후이송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를 진퇴시키도록 작동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한 쌍의 전후이송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디스크 타입의 기록 매체가 안착되며 상기 벨트와 마찰하도록 양 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마찰부를 구비한 상부트레이와, 상기 상부트레이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트레이의 상기 케이스로부터의 인출을 안내하는 하부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장치는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송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퇴진한 트레이에 담긴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와, 상기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내용을 읽는 픽업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8. 제 3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트레이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이송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트레이에는 상기 이송돌기에 걸리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된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KR10-2001-0057642A 2001-09-18 2001-09-18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KR10043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642A KR100434763B1 (ko) 2001-09-18 2001-09-18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642A KR100434763B1 (ko) 2001-09-18 2001-09-18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980A KR20030027980A (ko) 2003-04-08
KR100434763B1 true KR100434763B1 (ko) 2004-06-07

Family

ID=2956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642A KR100434763B1 (ko) 2001-09-18 2001-09-18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1575B2 (en) * 2001-09-19 2003-12-30 Mid21 Corp. Apparatus for storing disc-type recording medi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509A (ja) * 1991-08-27 1993-03-05 Suzuki Motor Corp 多連奏cdチエンジヤ
KR940016115A (ko) * 1992-12-17 1994-07-22 윤종용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체인저 구동장치
KR950025710A (ko) * 1994-02-18 1995-09-18 이종수 업소용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
US5481514A (en) * 1992-08-31 1996-01-0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n auto changer for a disk-like recording medium
KR960005526A (ko) * 1994-07-08 1996-02-23 이종조 다중 미니 디스크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509A (ja) * 1991-08-27 1993-03-05 Suzuki Motor Corp 多連奏cdチエンジヤ
US5481514A (en) * 1992-08-31 1996-01-0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n auto changer for a disk-like recording medium
KR940016115A (ko) * 1992-12-17 1994-07-22 윤종용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체인저 구동장치
KR950025710A (ko) * 1994-02-18 1995-09-18 이종수 업소용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
KR960005526A (ko) * 1994-07-08 1996-02-23 이종조 다중 미니 디스크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980A (ko)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340B1 (ko) 디스크형기록매체용기록및재생장치
JP2001126369A (ja) ディスクダビング装置及び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H0625986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215780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並びに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434763B1 (ko) 다수의 디스크 형태 기록 매체 보관기능을 갖는 리딩장치
KR100411543B1 (ko) 디스크 형태의 기록매체 보관 장치
EP1482496B1 (en) Disc device with disc changer
WO1995028710A1 (fr) Appareil de reproduction et/ou enregistrement de disques et echangeur de support d'enregistrement de disques
WO2002041314A1 (fr)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ou de lecture de disque
JPH06259869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111449A (ja) ディスク記録装置
JP3870378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の動力切換装置
JP2557165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108980B2 (ja) ディスク演奏装置
JP3570002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S62243157A (ja) デイスク再生装置
JP2942493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JP3505845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H0475589B2 (ko)
JPH077562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259870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942492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JPH077560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50584B2 (ja) デイスクプレ−ヤのオ−トチエンジヤ−装置
JPH06259866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