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577B1 - 패널수조 제조방법 및 패널수조 - Google Patents

패널수조 제조방법 및 패널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577B1
KR100434577B1 KR10-2002-0019792A KR20020019792A KR100434577B1 KR 100434577 B1 KR100434577 B1 KR 100434577B1 KR 20020019792 A KR20020019792 A KR 20020019792A KR 100434577 B1 KR100434577 B1 KR 100434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nit panel
fastening
rib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067A (ko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02-001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5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65D90/025Modular panels with features of spheroidal curv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크기로 절단된 강판 표면에 항균제가 함유된 폴리에틸렌 시트(polyethylene sheet)를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한 단위패널을 실링 후 체결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구성을 높이고, 시공현장에서의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을 증대시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누수와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부식과 세균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인 패널수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널수조 제조방법 및 패널수조{method for manufacture in panel water tank and panel water tank}
본 발명은 패널수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 두께의 강판 표면에 항균제가 함유된 폴리에틸렌 시트(polyethylene sheet)를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한 단위패널을 체결 방식으로 조립하여 시공하는 패널수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패널수조는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주거용 아파트 및 업무용 빌딩 등과 같이 생활용수의 사용이 많은 건축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물 저장 용기로서, 이러한 패널수조의 재질은 스테인레스와 SMC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패널수조에 있어 스테인리스 패널수조는, 소정 두께의 스테인리스 판을 일정한 규격(1000㎜×1000㎜)으로 절단한 후 중앙에 엠보싱이 형성되고 그 테두리에 리브가 절곡된 단위패널을 성형하고, 이 단위패널의 각 변을 알곤 용접에 의해 상호 접합하여 사각 함체 형상으로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담수되는 물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 단위패널의 모서리마다 가로.세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스테인리스 앵글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보강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테인리스 패널수조는 제조원가 높을 뿐만 아니라 수돗물 속에 함유된 소독용 염소가스의 영향으로 스테인리스 판의 표면 및 용접된 부위가 부식되어 장기적으로 내구성 보장이 어렵다. 또한 알곤 용접 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스테인레스 강판 표면에 형성된 부동태 피막의 내식층이 파괴되어 짧은 시간 내에 부식되는 결함이 있다.
또한 크롬 탄화물이 450℃ - 850℃ 범위 내에서 석출하며, 내식도가 현저히 떨어져 수조 내부의 적녹이 발생되는 주요 원인이 되며, 이를 방치할 경우 급격한 전면 부식으로 확산되는 결함이 있다.
또한 저수조는 완전한 자연배수를 위하여 바닥 구배를 1/100 이상 두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바닥에 조립된 단위패널의 사각 가장자리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리브가 용접으로 접합되어 있어 완전배수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한편, SMC 패널수조는, 불포화 포리에스테르수지에 충진제, 촉매제 등을 혼합한 복합체에 유리섬유를 합침하여 보강시킨 원료를 금형에 넣어 중앙에 엠보싱이 형성되고 테두리에 리브가 구비된 단위패널을 성형한다. 이러한 단위패널은 각 접합부에 실링용 가스켓을 삽입한 후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사각 함체상으로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담수되는 물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 단위패널의 모서리마다 가로.세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스테인리스 앵글을 체결방식으로 연결하여 보강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SMC 패널수조는 단위패널의 인장, 굴곡 강도가 강판의 약 1/4 정도이어서 상대적으로 패널 본체 및 플랜지 부위가 두꺼워 경제성이 없고, 높이가 4m 이상인 경우 수압에 견디지 못해 수밀의 보장이 어려우며, 실링용 가스켓의 경화로 일정시간 경과 후 볼트, 너트 체결부위에 누수가 발생하게 됨으로서, 대형 저수조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정 크기로 절단된 강판의 표면에 항균제가 함유된 폴리에틸렌 시트(polyethylene sheet)를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한 단위패널을 체결 방식으로 조립하여 시공현장에서의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을 증대시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누수와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부식과 세균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인 패널수조방법 및 패널수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패널수조의 제조방법은, 강판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소정 크기로 절단된 강판을 고주파로 가열하고 그 표면에 항균 폴리에틸렌 시트를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는 단계와; 강판 표면에 라미네이팅된 시트를 경화시킨 후 외향으로 돌출되게 엠보싱을 형성하고, 코너를 절단하며, 네 변에 체결공을 통공시킨 후 네 변을 일 방향으로 절곡하여 리브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리브의 측면에 점착성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와; 기초 콘크리트층 위에 좌대를 격자형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패널의 리브 측면의 점착성테이프를 상호 밀착시켜 접착시킨 후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면서 기초 프레임 외곽에 바닥판과 측판 및 상판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단계와; 각 단위패널의 내측 경계선을 폴리에틸렌시트로 접합시키는 단계와; 조립이 완료된 단위패널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보강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폴리에틸렌 분말이 전체 표면에 코팅된 배관노즐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패널수조는, 표면에 항균 폴리에틸렌 시트를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된 강판을 구비하여 그 표면에 엠보싱을 형성하고, 코너를 절단하며, 네 변에 체결공을 통공한 후 네 변을 일 방향으로 절곡하여 리브를 형성시키고, 리브의 측면에 인체에 무해한 점착성테이프를 부착한 단위패널이 구성되고, 상기 단위패널의 리브 측면의 점착성테이프를 상호 밀착시켜 접착시킨 후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면서 기초 프레임 외곽에 바닥판과 측판 및 상판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며, 각 단위패널의 내측 경계선이 폴리에틸렌시트로 접합되고, 조립이 완료된 단위패널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보강대가 설치되며, 폴리에틸렌 분말이 전체 표면에 코팅된 배관 연결용 노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패널수조의 제조공정도
a는 실시예 1이고,
b는 실시예 2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위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단위패널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단위패널을 조립한 패널수조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실링수단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실링수단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체결수단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체결수단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내부 용접부의 구성도로서,
a는 일 실시예이고,
b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 배관연결용노즐의 결합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위패널 11: 강판
12: 항균폴리에틸렌시트 20: 점착성테이프
21: 가스켓 30: 체결구
31: 체결편 40: 배관연결용노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패널수조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패널수조의 제조공정도이다.
<실시예 1>
(S1) 두께가 3㎜인 강판(11)을 700㎜×1300㎜의 크기로 절단한다.
(S2) 절단된 강판(11)을 고주파로 가열하고 그 표면에 항균 폴리에틸렌 시트(12)를 압착하여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12)에 함유되는 항균제는 바이오세라믹 담체에 항균성 금속이온인 은, 아연, 구리이온을 담지시킨 무기항균제를 0.5 - 1.0wt% 범위로 첨가함으로서, 광범위한 미생물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항균제는 레지오넬라, O-157, MRSA, COLI 등 박테리아류와, 각종 곰팡이류, 조류, AIDS, 인플루엔자, HERPES 등의 세균류에 이르기 까지 탁월한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된바 있다.
(S3) 강판 표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된 시트를 경화시킨 후 프레스 가공으로 외향으로 돌출되게 엠보싱(13)을 형성한다. 이어서 각 코너(C)를 50㎜×50㎜로 절단하고, 네 변에 체결공(141)을 통공시킨 후 네 변을 일 방향으로 절곡하여 리브(14)를 형성시킨다.
(S4) 절곡 성형된 리브(14)의 내외측면에 점착성테이프(20)를 부착한다.
이 점착성테이프(20)는 인체에 무해하고 점착성이 우수한 부틸고무(butyl rubber)를 주성분으로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표면에는 수조를 시공할 때까지 점착물질이 보호되도록 이형지(20a)를 부착한다.
상기 (S1)-(S4)의 공정을 통하여 단위패널의 제조를 완료하는 것이며, (S5)부터 상기와 같이 제조된 단위패널을 이용하여 수조를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S5) 콘크리트기초(C)의 상부에 좌대(P)를 격자형으로 설치한다.
(S6) 단위패널(10)의 리브(14)에 형성된 점착성테이프(20)의 이형지(20a)를 이탈시켜 점착층이 표출되도록 한 후 각 단위패널의 리브(14) 측면을 상호 밀착시켜 상호 부착한 후 각 체결공(141)에 볼트(142)와 너트(143)를 체결하면서 바닥판과 측판 및 상판을 순차적으로 조립한다. 그리고 리브(14) 체결이 완료된 각 단위패널(10)의 "╂"자형으로 교차한 모서리는 양분된 보강용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S7) 조립이 완료된 각 단위패널(10)의 내측 경계선에 무해한 점착성테이프(51)가 일측면에 구비된 폴리에틸렌시트(50)를 접합한다.
(S8) 조립이 완료된 단위패널 내부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브라켓을 고정시켜 이에 보강대를 설치한다.
(S9) 폴리에틸렌 분말이 전체 표면에 코팅된 배관연결용노즐(30)을 설치한다.
<실시예 2>
(S1) 두께가 3㎜인 강판(11)을 700㎜×1300㎜의 크기로 절단한다.
(S2) 절단된 강판(11)을 고주파로 가열하고 그 표면에 항균 폴리에틸렌 시트(12)를 압착하여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12)에 함유되는 항균제는 바이오세라믹 담체에 항균성 금속이온인 은, 아연, 구리이온을 담지시킨 무기항균제가 0.5 - 1.0wt% 범위로 첨가됨으로서, 광범위한 미생물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항균제는 레지오넬라, O-157, MRSA, COLI 등 박테리아류와, 각종 곰팡이류, 조류, AIDS, 인플루엔자, HERPES 등의 세균류에 이르기 까지 탁월한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미 입증된바 있다.
(S3) 강판 표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된 시트를 경화시킨 후 프레스 가공하여 외향으로 돌출되게 엠보싱(13)을 형성한다. 이어서 각 코너(C)를 50㎜×50㎜로 절단하고, 네 변에 체결공(141)을 통공시킨 후 네 변을 일 방향으로 절곡하여 리브(14)를 형성시킨다.
(S4) 콘크리트기초(C) 위에 좌대(P)를 격자형으로 설치한다.
(S5) 각 단위패널(10)의 리브(14)와 리브(14)의 모서리가 교차하는 부분에 "╂" 또는"┞"형의 가스켓(21)을 개재시킨 후 체결공(141)에 볼트(142)와 너트(143)를 체결하면서 바닥판과 측판 및 상판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리브(14) 체결이 완료된 각 단위패널(10)의 "╂"자형으로 교차한 모서리는 양분된 보강용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S6) 조립이 완료된 각 단위패널(10)의 내측 경계선에 무해한 점착성테이프(51)가 일측면에 구비된 폴리에틸렌시트(50)를 접합한다.
(S7) 조립이 완료된 단위패널 내부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브라켓을 고정시켜 이에 보강대를 설치한다.
(S8) 폴리에틸렌 분말이 전체 표면에 코팅된 배관 연결용 노즐(30)을 설치한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패널수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위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단위패널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단위패널을 조립한 패널수조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널수조는, 강판의 표면에 항균 폴리에틸렌 시트를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된 소정 크기의 단위패널을 구성하고, 상기 단위패널의 리브 사이에 개재되어 실링기능을 수행하는 실링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단위패널의 각 변을 상호 밀착시켜 체결한 후 교차되는 모서리를 상호 결합하는 보강용 체결수단을 구성하고, 각 단위패널의 내측 경계선을 폴리에틸렌시트로 접합하며, 조립이 완료된 단위패널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보강대를 설치하고, 폴리에틸렌 분말이 전체 표면에 코팅된 배관 연결용 노즐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위패널(10)은, 두께가 3㎜인 강판(11)을 700㎜×1300㎜의 크기로 절단하여 이를 고주파로 가열하고 그 표면에 항균 폴리에틸렌 시트(12)를 압착하여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라미네이팅(laminating)된 시트가 경화되면 일측으로 돌출되게 엠보싱(13)을 형성하고, 각 코너(C)를 50㎜×50㎜로 절단하며, 네 변에 체결공(141)을 통공시킨 후 네 변을 일 방향으로 절곡하여 리브(14)를 형성한다.
상기 실링수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에 무해하고 점착성이 우수한 부틸고무(butyl rubber) 등을 주성분으로 한 점착성테이프(20)가 리브(14)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며, 그 표면에는 수조를 시공할 때까지 점착물질이 보호되도록 이형지(20a)를 부착한다.
상기 실링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패널(10)의 리브(14)와 리브(14)의 모서리가 교차하는 부분에 개재되도록 "╂" 또는"┞"형의 가스켓(21)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4) 체결이 완료된 각 단위패널(10)의 "╂"자형으로 교차한 모서리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두개의 리브(14)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30a)이 중앙에 구비되고, 하나의 리브(14) 두께를 수용할 수 있고 일측으로 개방되어 제1수용홈(30a)과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제2수용홈(30b)이 구비되며, 측벽에는 리브(14)의 체결공(141)과 대응하도록 양측으로 체결공(30a)이 관통된 체결구(30)를 구성한다.
이러한 체결구(30)는 "╂"자형으로 교차한 부분에 결합될 경우는 2개 1조로 상호 대향하게 밀착시켜 상호 대응하는 위치로 관통하도록 볼트(142)를 삽입하여 너트(143)로 고정시키거나, 모서리에서 "┞"자 형으로 교차한 부분에 결합될 경우는 하나를 단독적으로 밀착시켜 상호 대응하는 위치로 관통하도록 볼트(142)를 삽입하여 너트(143)로 고정시킨다.
상기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4)의 높이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철판을 90절곡하여 리브(14)의 체결공(141)과 대응하도록 측방으로 체결공(31a)이 관통된 체결편(31)를 구성한다.
이러한 체결편(31)는 각 리브(14)의 모서리 내측에 밀착시켜 상호 대응하는위치로 관통하도록 볼트(142)를 삽입하여 너트(143)로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단위패널(1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패널(10)의 내측 경계선에 무해한 점착성테이프(51)가 일측면에 구비된 폴리에틸렌시트(50)를 접합한다.
상기 내부 경계면 접합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패널(10)의 내측 경계선을 투명한 폴리에틸렌 용접봉을 열풍으로 용융시켜 접합한다. 이때 투명한 용접봉을 사용하게 됨으로서, 용접부(53)의 기포 발생 여부를 유관으로 확인하면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분말(41)이 전체 표면에 코팅된 배관연결용노즐(30)을 단위패널(10)에 설치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 크기로 절단된 강판 표면에 항균제가 함유된 폴리에틸렌 시트(polyethylene sheet)를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한 단위패널을 체결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구성을 높이고, 시공현장에서의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을 증대시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누수와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부식과 세균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인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9)

  1. 단위패널을 상호 조립하여 함체 형상으로 구성하는 패널수조 제조방법에 있어서,
    강판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강판을 고주파로 가열하고 그 표면에 항균 폴리에틸렌 시트를 압착하여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하는 단계와;
    강판 표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된 시트를 경화시킨 후 프레스 가공으로 외향으로 돌출되게 엠보싱을 형성하고, 각 코너를 절단하며, 네 변에 체결공을 통공시킨 후 네 변을 일 방향으로 절곡하여 리브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절곡 성형된 리브에 점착성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와;
    콘크리트기초의 상부에 좌대를 격자형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단위패널의 리브 측면을 각각 밀착시켜 점착성테이프를 상호 부착한 후 각 체결공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면서 바닥판과 측판 및 상판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리브 체결이 완료된 각 단위패널(10)의 "╂"자형으로 교차한 모서리를 보강용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는 단계와;
    조립이 완료된 각 단위패널의 내측 경계선을 폴리에틸렌으로 접합하는 단계와;
    조립이 완료된 단위패널 내부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브라켓을 고정시켜 이에 보강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폴리에틸렌 분말이 전체 표면에 코팅된 배관 연결용 노즐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수조 제조방법.
  2. 단위패널을 상호 조립하여 함체 형상으로 구성하는 패널수조 제조방법에 있어서,
    강판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강판을 고주파로 가열하고 그 표면에 항균 폴리에틸렌 시트를 압착하여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하는 단계와;
    강판 표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된 시트를 경화시킨 후 프레스 가공으로 외향으로 돌출되게 엠보싱을 형성하고, 각 코너를 절단하며, 네 변에 체결공을 통공시킨 후 네 변을 일 방향으로 절곡하여 리브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콘크리트기초의 상부에 좌대를 격자형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각 단위패널의 리브와 리브의 모서리가 교차하는 부분에 "╂" 또는"┞"형의 가스켓을 개재시킨 후 체결공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면서 바닥판과 측판 및 상판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리브 체결이 완료된 각 단위패널의 교차한 모서리는 보강용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는 단계와;
    조립이 완료된 각 단위패널의 내측 경계선을 폴리에틸렌으로 접합하는 단계와;
    조립이 완료된 단위패널 내부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브라켓을 고정시켜 이에 보강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폴리에틸렌 분말이 전체 표면에 코팅된 배관 연결용 노즐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수조 제조방법.
  3. 단위패널을 상호 조립하여 함체 형상으로 구성하는 패널수조에 있어서,
    강판(11)의 표면에 항균 폴리에틸렌 시트를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되고, 중앙에 엠보싱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체결공(141)이 통공된 리브(14)가 절곡 형성된 소정 크기의 단위패널(10)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패널(10)의 리브 사이에 개재되어 실링기능을 수행하는 실링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단위패널(10)의 각 변을 상호 밀착시켜 체결한 후 교차되는 모서리를 상호 결합하는 보강용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각 단위패널(10)의 내측 경계선을 폴리에틸렌으로 접합하며, 폴리에틸렌 분말(41)이 전체 표면에 코팅된 배관 연결용 노즐(3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수조.
  4. 제 3항에 있어서 실링수단은,
    단위패널(10)의 리브(14) 표면에 무해한 점착성테이프(20)가 부착되고, 점착성테이프(20)의 표면에 수조를 시공할 때까지 점착물질이 보호되도록 이형지(20a)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수조.
  5. 제 3항에 있어서 실링수단은,
    각 단위패널(10)의 리브(14)와 리브의 모서리가 "╂"와 "┞"자형으로 교차하는 부분에 일체형 가스켓(21)을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수조.
  6. 제 3항에 있어서 보강용 체결수단은,
    리브(14) 체결이 완료된 각 단위패널(10)의 "╂"와 "┞"자형으로 교차한 모서리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두개의 리브(14)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30b)이 중앙에 구비되고, 하나의 리브(14) 두께를 수용할 수 있고 일측으로 개방되어 제1수용홈(30b)과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제2수용홈(30c)이 구비되며, 측벽에는 리브(14)의 체결공(141)과 대응하도록 양측으로 체결공(30a)이 관통된 체결구(3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수조.
  7. 제 3항에 있어서 보강용 체결수단은,
    각 단위패널(10) 리브(14)의 모서리 내측에 밀착시키고 상호 대응하는 위치로 관통하도록 볼트(142)를 삽입하여 너트(143)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단위패널(10)의 리브(14) 높이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철판을 90절곡하여 리브(14)의 체결공(141)과 대응하도록 측방으로 체결공(31a)이 관통된 체결편(31)을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수조.
  8. 제 3항에 있어서,
    각 단위패널(10)의 내측 경계선에 무해한 점착성테이프(51)가 일측면에 구비된 폴리에틸렌시트(50)를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수조.
  9. 제 3항에 있어서,
    각 단위패널(10)의 내측 경계선을 투명한 폴리에틸렌 용접봉을 열풍으로 용융시켜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수조.
KR10-2002-0019792A 2002-04-11 2002-04-11 패널수조 제조방법 및 패널수조 KR100434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792A KR100434577B1 (ko) 2002-04-11 2002-04-11 패널수조 제조방법 및 패널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792A KR100434577B1 (ko) 2002-04-11 2002-04-11 패널수조 제조방법 및 패널수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923U Division KR200279757Y1 (ko) 2002-04-11 2002-04-11 패널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067A KR20020035067A (ko) 2002-05-09
KR100434577B1 true KR100434577B1 (ko) 2004-06-05

Family

ID=1972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792A KR100434577B1 (ko) 2002-04-11 2002-04-11 패널수조 제조방법 및 패널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5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86B1 (ko) * 2007-03-08 2008-06-13 정연태 스페이서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KR100944870B1 (ko) * 2009-07-01 2010-03-04 김세중 저수조용 방수타일 제조방법
KR102312189B1 (ko) *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102312188B1 (ko) *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동항균 pe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20220091789A (ko) 2020-12-24 2022-07-01 한현수 신속시공이 가능한 개방형 수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920Y1 (ko) * 2002-06-17 2002-09-09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단위판넬의 조립구조
KR100792696B1 (ko) * 2007-03-23 2008-01-09 (주)동명산업 조립식 탱크용 칸막이 패널
KR101050833B1 (ko) * 2008-12-03 2011-07-21 민동숙 조립식 물탱크용 보온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86B1 (ko) * 2007-03-08 2008-06-13 정연태 스페이서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KR100944870B1 (ko) * 2009-07-01 2010-03-04 김세중 저수조용 방수타일 제조방법
KR20220091789A (ko) 2020-12-24 2022-07-01 한현수 신속시공이 가능한 개방형 수조
KR102312189B1 (ko) *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102312188B1 (ko) *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동항균 pe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067A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577B1 (ko) 패널수조 제조방법 및 패널수조
KR101050268B1 (ko) 폴리에틸렌 이중 복합 판넬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0407231B1 (ko) 패널수조 제조방법 및 패널수조
KR101550010B1 (ko) C형강을 이용한 조립식 물탱크
KR200279757Y1 (ko) 패널수조
KR200295652Y1 (ko) 패널수조의 구조
CN211845325U (zh) 一种拼装板式储箱及用于制造该拼装板式储箱的预制单元板
JP2023502896A (ja) 組立式パネルタンク
KR101029976B1 (ko) 패널 조립형 물 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0261146Y1 (ko) 패널수조
KR100845031B1 (ko) 조립식 수조의 단위패널
KR20080073561A (ko) 패널 조립식 물탱크와 그 설치 방법
KR100558433B1 (ko) 보강부를 갖는 저장탱크
KR200352565Y1 (ko) 보강부를 갖는 저장탱크
KR101593112B1 (ko)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JPH0142565Y2 (ko)
KR102440815B1 (ko) 웨이브형 조립블록을 이용한 내진성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CN219825389U (zh) 一种自粘胶膜卷材防水处治结构
JP4159717B2 (ja) サンドイッチ積層板の接合構造
KR102467080B1 (ko) 조립식 패널 탱크
KR960005156Y1 (ko) 내부 보강재없는 frp 탱크
CN211591589U (zh) 一种建筑板材
KR101510430B1 (ko) 중공패널
KR200263974Y1 (ko) 에스엠씨수조의 단위패널
KR100992998B1 (ko) 조립식 수조의 내부보강재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