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844B1 -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844B1
KR100433844B1 KR10-2002-0001553A KR20020001553A KR100433844B1 KR 100433844 B1 KR100433844 B1 KR 100433844B1 KR 20020001553 A KR20020001553 A KR 20020001553A KR 100433844 B1 KR100433844 B1 KR 10043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construction waste
waste
body portion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0646A (ko
Inventor
구경신
Original Assignee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천안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천안환경 filed Critical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1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8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6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6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by impingement against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중의 골재와 토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하여 쓰레기와 골재를 분리시켜 선별하는 과정에서, 상기 건설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토분이나 가벼운 일부 불순물들을 공기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articles}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중의 골재와 토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하여 쓰레기와 골재를 분리시켜 선별하는 과정에서, 상기 골재에 혼재되어 있는 토분이나 일부 불순물들을 공기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구조물, 즉 교량이나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주거문화의 개선을 위해 많은 지역에서 재건축 및 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고 이러한 노후 구조물의 해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된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가 힘들뿐만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들며, 환경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그에 따라 각국에서는 자연환경의 보호와 함께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갖가지 대책들이 강구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건설폐기물에 대한 많은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종류에는 토사나 폐콘크리트, 폐목재류와 같은 건설폐기물과, 폐유나 폐페인트와 같은 지정폐기물과 폐가전제품과 같은 사업장 일반폐기물이 있다.
건설폐기물은 다시, 토사를 비롯하여,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 폐벽돌, 폐타일, 폐석재, 폐블록 등이 포함되는 건설폐재류와, 폐목재류를 비롯하여, 폐합성수지류, 철근과 같은 금속류, 폐종이류, 폐유리류, 오니류 폐섬유류, 소각 잔재물 등이 포함되는 혼합폐재류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폐재류가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은 처리과정을 통해서 매립용, 소각용 및 재활용 용도로 분리 처리하게 되며, 특히 근년에는 폐기물량의 상당한 포션을 차지하는 건설폐재류를 각종 구조물 또는 건축재의 골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재생함으로써 폐기물의 재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종래 건설폐재류의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호퍼로 유입된 건설폐재류는 1차 죠크라샤에 의해서 파쇄한 후에, 선별스크린을 통해서 토분을 분리한 다음, 자선기에 의해 철재류의 분리 및 송풍처리 등을 거쳐 건설폐재류를 수조탱크로 보내 탱크내의 물을 이용하여 골재를 쓰레기와 분리 세척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폐기물을 선별하는 구조에 의하면, 골재류가 포함된 폐기물에 묻어있는 토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아 다수의 토분이 포함된 상태로 수조탱크에 의한 선별 세척공정에 투입하게 됨으로써,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많은 토분에 의해 수조탱크내에 과다한 오니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수조탱크의 용량이 불필요하게 커지거나 고가의 응집제를 다량 사용하므로써 결과적으로 시설 및 유지관리 상의 부담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하여 쓰레기와 골재를 분리시켜 선별하는 과정에서, 상기 골재에 혼재되어 있는 토분이나 일부쓰레기들을 공기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골재로부터 토분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수조탱크에 과다한 오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골재의 품질고급화 및 청정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부 4 : 공기분사구
6 : 골재투입구 8 : 토분배출구
10 : 망판 12 : 차폐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하여 쓰레기와 골재를 분리하여 선별함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이어져 연통되는 토분배출구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몸체부의 내부로 골재가 투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골재투입구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몸체부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기분사구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개방단을 가지면서 하부로 기울어져 소정간격을 두고 상호 교차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망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몸체부(1)의상부 일측에 골재투입구(6)가 형성되고, 몸체부(1)의 하부 일측에는 공기분사구(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의 하부는 개방되어 골재가 개방부를 통해 낙하하게 되고, 몸체부(1)의 상부는 절곡되어 토분배출구(8)를 형성하며 그 끝단에는 집진망이 설치되나 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의 내부에는 개방단을 가지면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망판(10)이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망판(10)은 몸체부(1)의 내부에서 골재투입구(6)와 공기분사구(4) 사이에 설치되고, 그 개방단이 상호 교차적으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각각의 망판(10)은 하부로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때 망판(10)의 설치개수나 경사도는 몸체부(1)의 크기나 기타 작업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의 외부에 진동수단(20)을 부설시켜 몸체부(1)내에 형성된 망판(10)을 진동시키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골재투입구(6)의 출구측에는 차폐판(12)이 설치되는데, 상기 차폐판(12)은 그 상단을 골재투입구(6)의 내측 상부면에 고정하고 그 하단은 자유단으로 하되 골재투입구(6)의 다소 내측에 위치토록 함으로써 공기분사시 상향기류에 영향 받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공기분사구(4)는 고압으로 공기가 몸체부(1)내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협하광 형태의 노즐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몸체부(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공기분사구(4)를 통해 블로워나 기타 장비를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를 몸체부(1)의 내부에 공급하게 되면, 몸체부(1)의 내부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고압의 상향기류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몸체부(1)의 상부에 형성된 골재투입구(6)를 통해 골재가 투입되게 되면 차폐판(12)을 밀치고 몸체부(1)로 투입되어 그 자중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게 되며, 이때 투입된 골재는 몸체부(1)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망판(10)에 순차적으로 부딪치면서 각 망판(10)의 자유단을 거쳐 하부의 개방부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골재가 망판(10)에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골재에 묻은 토분이나 불순물들이 탈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탈리된 토분이나 불순물들은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부로 날려 공기와 함께 토분배출구(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도시되지 않은 집진망에 포집되며, 토분이 분리된 골재는 몸체부(1)의 하부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컨베이어(15) 등의 이송수단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망판(10)에는 관통공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어,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유지되도록 하고 있으며, 망판(10)의 경사도를 조정하거나 진동수단(20)의 사용여부 등은 작업조건에 따라 임의로 조정 선택할 수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골재투입구(6)에는 약간 안쪽으로 차폐판(12)이 설치되어 있어, 몸체부(1)의 내부에서 상기 골재투입구(6)를 통해 토분이나 상향기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공기분사구를 형성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고,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골재투입구를 통해 골재를 투입하여, 골재가 몸체부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망판에 부딪혀 낙하하는 과정에서 상기 골재에 묻은 토분이나 기타 가벼운 불순물들이 공기에 의해 탈리되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골재로부터 토분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효과를 극대화시켜 골재의 품질 고급화 및 청정도를 제고시킬 수 있고, 골재가 다음단계로 투입되는 수조탱크에서 과다한 오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시설의 유지관리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하여 쓰레기와 골재를 분리하여 선별함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상부와 이어져 연통되는 토분배출구(8)와;
    상기 몸체부(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몸체부(1)의 내부로 골재가 투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골재투입구(6)와;
    상기 몸체부(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몸체부(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기분사구(4)와;
    상기 몸체부(1)의 내부에 개방단을 가지면서 하부로 기울어져 소정간격을 두고 상호 교차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망판(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투입구(6)의 출구측에는 내부 상부면에 상단이 고정되고 그 하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차폐판(1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를 진동수단(20)에 의해 진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KR10-2002-0001553A 2002-01-10 2002-01-10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KR100433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553A KR100433844B1 (ko) 2002-01-10 2002-01-10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553A KR100433844B1 (ko) 2002-01-10 2002-01-10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825U Division KR200273776Y1 (ko) 2002-01-10 2002-01-10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646A KR20030060646A (ko) 2003-07-16
KR100433844B1 true KR100433844B1 (ko) 2004-06-07

Family

ID=3221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553A KR100433844B1 (ko) 2002-01-10 2002-01-10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637B1 (ko) * 2004-10-14 2006-08-11 윤훈철 건설폐기물의 풍력선별장치 및 그 방법
KR100670912B1 (ko) * 2006-02-27 2007-01-19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646A (ko)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2138869B1 (ko) 골재 자동 선별장치
KR1008798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010007706A (ko) 건설폐재류의 와류인양식 선별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100518919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CN212494516U (zh) 城市棕地植物修复土壤筛分装置
KR100433844B1 (ko)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KR200273776Y1 (ko) 건설폐기물의 골재 분리장치
KR20030067112A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100314386B1 (ko) 건설폐재류의 선별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100670912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 분리장치
KR200275784Y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656814B1 (ko) 건설폐기물의 처리용 세골재 세척 분리 장치
KR10173911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중 발생되는 폐기물의 펌프식 이물질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조식 골재 처리 시설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20070109737A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200275796Y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장치
KR100754532B1 (ko) 건설 폐기물 처리용 집진장치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801966B1 (ko) 살수처리장치가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골재 제조장치
KR200351067Y1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654250B1 (ko) 골재재생용 이물질 분리 세척 수조 장치
KR100404922B1 (en) Device for recycling sand by using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