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227B1 -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227B1
KR100433227B1 KR10-2002-0010716A KR20020010716A KR100433227B1 KR 100433227 B1 KR100433227 B1 KR 100433227B1 KR 20020010716 A KR20020010716 A KR 20020010716A KR 100433227 B1 KR100433227 B1 KR 10043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electrochromic
function
electronic ink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150A (ko
Inventor
이윤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227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02B26/02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based on the rotation of particles under the influence of an external field, e.g. gyricons, twisting bal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in organic liquid solutions, e.g. viologen solu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렉트로크로믹 디스플레이용 재료 및 구조를 복합시켜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전면에 투명전도층이 형성된 상부기판과, 전면에 투명전도층이 형성된 하부기판과,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에 트위스트 볼이 분산된 유전체 현탁액과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용액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Display Device Using the E-ink with the Function of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렉트로크로믹 디스플레이용 재료 및 구조를 복합시켜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페이퍼 디스플레이(Digital Paper Display ; 이하 "DPD"라 함)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전계발광(Electro Luminescence)소자를 뒤이을 차세대 표시소자로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전자종이(Electronic Paper)는 수백만개의 구슬이 기름 구멍안에 뿌려져 있는 박형의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기판과 문자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수백 만번을 재생해 쓸 수 있으며 장래에 책, 신문, 잡지 등 기존의 인쇄매체를 대체할 재료로 기대된다. 또한 기존의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Flat Display Panel)에 비하여 생산단가가 훨씬 저렴하며 정화면처럼 배경조명이나 지속적인 재충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아주 적은 에너지로도 구동될 수 있어 에너지 효율도 앞설 수 있다. 아울러 매우 선명하고 시야각이 넓으며 전원이 없더라도 글씨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메모리 기능도 가지고 있어 공공 게시판, 광고물, 전자북 등에 폭넓게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전자잉크(Electronic Ink ; 이하 "E-Ink"라 함)를 이용한 DPD의 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PD는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4)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기판(10,14)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기판(10)의 배면에는 상부 투명전극(12a,12b)쌍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하부기판(14)의 전면에는 하부 투명전극(16a,16b)쌍이 상기 상부 투명전극(12a,12b)쌍과 대응되도록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투명전극쌍들에는 외부 구동부의 제어된 극성 제어신호가 공급되어진다. 이러한 투명전극쌍(12a,12b,16a,16b)들 사이에는 직경 약 150-200㎛ 정도의 유기물 캡슐(Capsule)들(18a,18b)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필름이 형성되어 있다. 캡슐(18a,18b) 내의 현탁액에는 직경 0.5∼1㎛ 크기의 파티클로 구성된 블랙 및 화이트 안료(pigment)가 분산되어 있다. DPD의 두께는 약 1㎜ 이하로 형성된다.
빛이 방출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부극성 전계가 인가되면 화이트 파티클은 캡슐(18a)의 상면 즉, 사용자들이 볼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화이트 파티클이 이동된 곳에서는 표면에 화이트 색이 표시된다. 동시에 반대쪽 전계는 블랙 파티클을 숨겨진 캡슐(18b)의 하면으로 끌어 당긴다. 이 공정을 전환하면, 블랙 파티클은 표면의 표시점에 블랙을 표시하게 하는 캡슐의 상면에 나타난다.
이러한 E-Ink를 이용한 DPD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조공정에 의해서 제조되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결부하여 참조하면, 먼저 상판 및 하판을 형성한다.(S10,S12)
이 때 상판 및 하판은 투명기판(10,14)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이하 "ITO"라 함) 물질로 구성된 투명전극(12,16)을 각각 수 천Å으로 도포하여 형성된다.
상판 및 하판이 형성되면 하판 상에 도 3에 도시된 공정에 의해 유전막 및 잉크 캡슐(18a,18b)을 형성한다.(S14) 먼저 잉크(Ink)를 형성한다.(S21) 잉크는 유기 잉크 또는 무기 잉크 중 하나를 사용하나, 일반적으로 무기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잉크가 형성되면 잉크를 캡슐화한다.(Encapasulation)(S22) 전 단계에서 형성된 잉크는 미세한 캡슐(20,22) 내에 삽입되고, 이러한 캡슐(20,22)은 수백만개의 블랙 및 화이트 입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블랙 무기입자의 재료는 카본(Carbon)계로서 부극성을 가지며, 화이트 무기입자의 재료는 산화티타늄(TiO2)이 사용됨과 아울러 양극성을 가진다. 이로써 이들은 전기영동(electrophoresis)에 의해 외부에서 전계가 가해졌을 때, 양극성 전압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양극으로 카본 입자가 이동하고 반대극인 음극으로 산화티타늄 입자가 이동함으로써 블랙/화이트의 색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 때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은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하전된 물질들이 유동성 매체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카본 및 산화티타늄 입자는 10㎚ ∼ 10㎛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빠르고 균일한 이동을 위해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잉크가 캡슐화되면 상기 캡슐(20,22)을 슬러리 즉, 현탁액(24a,24b)에 분산시킨다.(S23)
이후 상기 슬러리 즉, 현탁액을 프린트한다.(S24) 이는 캡슐화된 잉크를 함유하고 있는 슬러리를 스크린 프린팅, 롤 코팅 및 스핀 코팅 등의 방법 등으로 수백 ㎛ 두께로 도포하게 된다.
프린트 공정 후 큐어링(Curing)을 하게 된다.(S25) 이는 약 100 ∼ 200℃ 온도에서 수십 분동안 가열하여 굳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유전막 및 잉크캡슐이 형성되면, 실링 공정을 수행한다.(S16) 이는 S14 단계를 통해 캡슐화된 잉크가 함유된 슬러리가 도포된 하판과 투명전극(12)이 도포된 상판을 합착한다.
이후 상기 공정에 의해 형성된 패널과 외부회로와 연결시킴으로써 DPD를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기초로 하여 적(Red),녹(Green),청(Blue)의 풀컬러 표시도 가능하다. 그러나, RGB 컬러를 표시하는 경우 반사형 E-ink 표시소자 특성상 색순도 및 크로스토크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E-ink 표시소자에 ECD 표시소자의 기능을 결합하여 화질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유전막 및 잉크캡슐 형성을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전체 현탁액 및 유기 EC 용액 주입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 : 상부기판 12,16,32,36 : 투명전극
14,34 : 하부기판 18 : 유기물 캡슐
20,22 : 미세 캡슐 24 : 현탁액
38 : 트위스트 볼
40 : 유전체 현탁액과 유기 EC 용액의 혼합용액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디스플레이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전면에 투명전도층이 형성된 상부기판과, 전면에 투명전도층이 형성된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에 트위스트 볼이 분산된 유전체 현탁액과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용액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용액층이 외부로 새지 않게 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을 합착시키는 실(Seal)과, 상기 상부 및 하판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하는 스페이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 상부 전면에 형성되어 안정된 전자공급을 위해 일함수가 낮고 수천 Å정도의 금속박막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트위스트 볼은 구 모양을 가짐과 아울러 전자잉크로 구성되며; 양전기가 충전되어 있는 제1 영역과 음전기가 충전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은 상기 유전체 현탁액과 비교하여 약10 내지 30% 비율로 구성되며; 상기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은 비피리딜륨(Bipyridilium ; bipm), 폴리아닐린(Polyaniline), 프루시안 블루(Prussian Blue ; PB),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핀(Polythiophene), 폴리카바졸(Polycarbazo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사이의 간격은 약 150 내지 20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상부 투명전극층이 전면에 도포된 상부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하부 투명전극층이 전면에 도포된 하부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에 트위스트 볼이 분산된 유전체 현탁액과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용액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 의해 형성된 셀을 봉지하는 캡핑(Capp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부 및 하판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하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를 소정간격 이격되게 함과 아울러 합착시키기 위해 이들의 가장자리 영역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트위스트 볼이 분산된 유전체 현탁액과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용액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화이트 및 블랙을 표시하는 전자잉크가 각각 반구씩 구성된 구 모양의 트위스트 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위스트 볼을 유전체 현탁액내에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트위스트 볼을 분산된 유전체 현탁액 내에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을 실런트에 의해 형성된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의 소정 공간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D 소자의 기능을 갖는 E-ink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E-ink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상부기판(30)과 하부기판(34)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기판(30,34)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유리기판이 많이 사용된다. 상부기판(30)의 배면에는 상부 투명전극(32)이 형성되고, 하부기판(34)의 전면에는 하부 투명전극(36)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투명전극(32)은 음극으로 사용되면, 하부 투명전극(36)은 양극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투명전극(32,36) 하면에는 전자공급을 충분히 하기 위해 일함수가 매우 낮은 금속 박막을 수천 Å 정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투명전극들(32,36)이 도포된 상부 및 하부기판(30,34) 사이에는 유전체 현탁액과 유기 일렉트로크로믹(Electrochromic ; 이하 "EC"라 함) 용액이 혼합된 혼합 용액이 채워져 있다. 이러한 혼합 용액 내에는 반구 부분이 각각 양전하및 음전하로 대전되어 있는 무기 트위스트 볼(Inorganic twist ball)이 분산되어 있다. 또한 외부전압이 투명전극에 인가되었을 때 상기 트위스트 볼의 회전시 동시에 색상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유기 EC 용액 중 블랙 또는 화이트 변화를 일으키는 재료인 비피리딜륨(Bipyridilium ; bipm), 폴리아닐린(Polyaniline), 프루시안 블루(Prussian Blue ; PB),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핀(Polythiophene), 폴리카바졸(Polycarbazo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가 혼합된다.
도 4를 통하여 구동을 설명하면, 상부기판(30) 상에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32)에 부극성 전압을 가해졌을 때 상부 및 하부기판(30,34) 사이에 분산되어 있는 트위스트 볼(38)에서 양전기로 충전된 영역 즉, 화이트 영역(38a)이 음극으로 사용되는 상부기판(30)을 향하도록 회전하여 외부반사광에 의해 화이트를 나타낸다. 반대로 상부 투명전극(32)에 양극성 전압을 가하면 음전기로 충전된 영역 즉, 블랙 영역(38b)이 음극으로 사용되는 상부기판(30)을 향하도록 회전하여 외부반사광에 의해 블랙을 나타내도록 되어있다.
이와 동시에 유기 EC 용액은 컬러링(Coloring)블리칭(Bleaching ; 표백) 현상을 일으키도록 작용하여 DPD의 색순도와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이러한 현상은 반응식 1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는 비피리딜륨(Bipyridilium ; bipm)의 경우 무색의 bipm2+가 하나의 전자(e-)를 받아 블랙의 중합체인 bipm0으로 변화하면서 트위스트 볼(38) 간에 발생하는 공극 부위를 완전한 블랙으로 보충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상기 현상의 다른 예를 반응식 2를 통하여 살펴 보면, 먼저 적용되는 유기 EC 용액은 폴리아닐린(Polyaniline)이다. 이는 투명한 르코에메랄딘(leucoemeraldine)이 2개의 전자(2e-)를 잃고 emeraldine으로 바뀌며, 다시 2개의 전자(2e-)를 잃어 최종적으로 퍼니그라닐린(pernigraniline)으로 변환된다. 이 때 사용되는 유기 EC 용액의 동작전압은 수 V 이하이므로 E-ink 표시소자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ECD 소자의 기능을 갖는 E-ink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조공정에 의해서 제조되어진다.
도 4 내지 도 6을 결부하여 참조하면, 먼저 상판 및 하판을 형성한다.(S31,S32)
이 때 상판 및 하판은 상부 및 하부기판(30,34)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이하 "ITO"라 함) 물질로 구성된 투명전극(12,16)을 각각 수 천Å으로 도포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투명전극(32,36) 하면에 전자공급을 충분히 하기 위해 일함수가 매우 낮은 금속 박막이 수천 Å 정도로 형성되어 상판 및 하판을 완성할 수도 있다.
상판 및 하판이 형성되면 실링 공정을 수행한다.(S33) 이는 실런트(Sealant)를 상판 및 하판의 가장자리에 도포하여 상판 및 하판을 합착시 하나의 셀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합착시 상판 및 하판 사이에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Spacer)를 구비한다. 이 때 스페이서에 의한 소정간격은 약 150 내지 200㎛ 정도이다.
이러한 실링공정 수행 후 유전체 현탁액 및 유기 EC 용액이 혼합된 혼합용액(40)을 주입한다.(S34) 먼저 상기 용액들을 주입하기 전에 하판에 주입 홀(Hole)(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용액들을 상기 주입 홀을 통하여 주입하게 된다.
상기 유전체 현탁액 및 유기 EC 용액의 혼합용액은 도 6에 도시된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되어 진다. 먼저 양전기 및 음전기가 충전된 차징 파티클을 형성한다.(S41) 여기서, 차징 파티클(38)은 반구부분이 각각 양전하와 음전하로 대전되어 있는 무기 트위스트 볼(Inorganic twist ball)이다. 이 때 트위스트 볼(38)은 직경이 약 1㎛ 이하의 무기재료 볼을 사용하며, 상/하의 화이트 및 블랙(38a,38b)은 박막 상태로 형성한다. 여기서, 트위스트 볼의 상부 화이트 영역(38a)은 양전기가 충전된 영역이며, 하부 블랙 영역(38b)은 음전기가 충전된 영역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차징 파티클 즉, 트위스트 볼(38)이 형성되면 이를 유전액체에 분산시킨다.(S42) 트위스트 볼(38)이 유전액체 즉, 유전체 현택액에 분산되면 이들 용액에유기 EC 용액을 혼합한다.(S43) 이 때 유기 EC 용액은 트위스트 볼(38)이 분산된 유전체 현탁액과 비교하여 10 내지 30%의 비율을 가진다. 또한 이 때 사용되는 유기 EC 용액은 비피리딜륨(Bipyridilium ; bipm), 폴리아닐린(Polyaniline), 프루시안 블루(Prussian Blue ; PB),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핀(Polythiophene), 폴리카바졸(Polycarbazo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가 사용된다. 이후 상기 용액들을 혼합하여 슬러리(slurry)화 한다.(S44)
도 6에 의해 생성된 혼합용액을 주입한 후에는 캡핑(Capping)한다.(S35) 여기서 캡핑(Capping)은 팁-오프(Tip-Off) 즉, 봉지공정을 나타낸다. 이는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불순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셀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제조 공정을 통하여 ECD 소자의 기능을 갖는 E-ink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완성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E-ink 표시소자에 ECD 소자의 기능을 결합시킴으로써 색순도 등의 화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ECD 소자의 기능을 가지게 하는 유기 EC 용액은 외부전압에 의해 E-ink와 동시에 색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여 블랙화이트 등의 색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전면에 투명전도층이 형성된 상부기판과,
    전면에 투명전도층이 형성된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에 트위스트 볼이 분산된 유전체 현탁액과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용액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층이 외부로 새지 않게 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을 합착시키는 실(Seal)과,
    상기 상부 및 하판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하는 스페이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 상부 전면에 형성되어 안정된 전자공급을 위해 일함수가 낮고 수천 Å정도의 금속박막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 볼은 구 모양을 가짐과 아울러 전자잉크로 구성되며;
    양전기가 충전되어 있는 제1 영역과 음전기가 충전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화이트를 표시하게 하는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블랙을 표시하게 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은 상기 유전체 현탁액과 비교하여 약 10 내지 30% 비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은 비피리딜륨(Bipyridilium ; bipm), 폴리아닐린(Polyaniline), 프루시안 블루(Prussian Blue ; PB),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핀(Polythiophene), 폴리카바졸(Polycarbazole)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은 외부전압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사이의 간격은 약 150 내지 20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
  10. 상부 투명전극층이 전면에 도포된 상부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하부 투명전극층이 전면에 도포된 하부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에 트위스트 볼이 분산된 유전체 현탁액과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용액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 의해 형성된 셀을 봉지하는 캡핑(Capp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판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하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를 소정간격 이격되게 함과 아울러 합착시키기 위해 이들의 가장자리 영역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약 150 내지 200㎛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 볼이 분산된 유전체 현탁액과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용액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화이트 및 블랙을 표시하는 전자잉크가 각각 반구씩 구성된 구 모양의 트위스트 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위스트 볼을 유전체 현탁액내에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트위스트 볼을 분산된 유전체 현탁액 내에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을 실런트에 의해 형성된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의 소정공간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현탁액 내에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의 혼합은 상기 유기 전계크로믹 용액을 상기 유전체 현탁액과 비교하여 약 10 내지 30%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층이 전면에 도포된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 상부에 안정된 전자 공급을 위한 금속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2-0010716A 2002-02-28 2002-02-28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716A KR100433227B1 (ko) 2002-02-28 2002-02-28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716A KR100433227B1 (ko) 2002-02-28 2002-02-28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150A KR20030071150A (ko) 2003-09-03
KR100433227B1 true KR100433227B1 (ko) 2004-05-27

Family

ID=3222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716A KR100433227B1 (ko) 2002-02-28 2002-02-28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620B1 (ko) * 2005-04-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Ycm 컬러 필터 및 전자종이 표시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620B1 (ko) * 2005-04-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Ycm 컬러 필터 및 전자종이 표시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150A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7374B2 (en) Display devices using electrochromism an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and methods of driving the same
TWI251710B (en) Electrophoretic dispersion, electrophoresis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phoresis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8233211B2 (en)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1655646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201069507Y (zh) 彩色电子纸显示装置
US67278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trix addressing of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JP5464264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96407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phoretic display sheet,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731863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2194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JP5691744B2 (ja) マイクロカプセル型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製造方法
US7289101B1 (en) Multi-color electrophoretic image display
JP2020506410A (ja) 高解像度ディスプレイプラズマ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33227B1 (ko)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4917913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030079499A (ko)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의 기능을 갖는 전자잉크를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4191694A (ja) 表示装置
KR20050110392A (ko) 전기영동 표시소자
KR100662197B1 (ko) 금속 격벽을 가진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조방법
JP4645052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662198B1 (ko)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JP4433670B2 (ja) 画像表示媒体
KR20070009901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100955997B1 (ko) 전자 종이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CN102455562B (zh) 电泳显示设备、其制造方法及其驱动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