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614B1 -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 Google Patents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614B1
KR100432614B1 KR10-2003-0087325A KR20030087325A KR100432614B1 KR 100432614 B1 KR100432614 B1 KR 100432614B1 KR 20030087325 A KR20030087325 A KR 20030087325A KR 100432614 B1 KR100432614 B1 KR 100432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alm
blood
sutur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732A (ko
Inventor
종 철 장
Original Assignee
종 철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철 장 filed Critical 종 철 장
Publication of KR2004000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장갑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손바닥피의 하단으로 엄지구멍이 재단되고 상단으로 손가락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가락단에서 연장되어 앞면 식지, 등면 식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등면 식지 측단에 봉합단이 형성된 손바닥피와; 등면 중지, 등면 무명지, 등면 소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등면 중지 측단에 봉합단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손바닥피의 등면 식지 측단의 봉합단과 봉합되는 손등피와; 앞면 중지, 앞면 무명지, 앞면 소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바닥피의 손가락단에 봉합되는 손가락피; 및 상기 손바닥피의 엄지구멍에 봉합되는 엄지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고열이나 날카로운 금속 등을 잡거나 이동시키는 위험한 작업 현장에서 손의 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작업장갑의 형태를 일체판에 손가락피의 손가락 수를 2개에서 3개로 늘리고 여러 형태로 절단 재봉하며 등면 손가락사이의 봉합점을 이동시켜 제작함으로써 손가락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손가락놀림이 자연스럽고 등면의 연결선이 제거되어 배김 현상이 없어져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Five finger work gloves having space}
본 발명은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고열이나 날카로운 금속 등을 잡거나 이동시키는 위험한 작업 현장에서 손의 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작업장갑의 형태를 일체판에 손가락피의 손가락 수를 2개에서 3개로 늘리고 여러 형태로 절단 재봉하며 등면 손가락사이의 봉합점을 이동시켜 제작함으로써 손가락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손가락놀림이 자연스럽고 등면의 연결선이 제거되어 배김 현상이 없어져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장갑은 손모양으로 형성된 각 부분을 재단하고 타단과 재봉하여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작업 중 손의 보호를 위해 착용하게 되고 작업 목적, 상황에 따라 날카로운 물건 또는 고온의 물건을 잡거나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위험한 작업을 하는 곳에서 물건을 잡거나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방염 효과가 좋은 두꺼운 재질의 피혁 제품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리고, 작업장갑은 앞면 소지, 앞면 식지, 등면 식지가 재단된 손바닥피에 중지, 무명지가 재단된 손가락피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재봉하고 등면 중지, 등면 무명지, 등면 소지가 재단된 손등피를 상기 재봉된 손바닥피와 손가락피의 단과 재봉하여 제작되어진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장갑은 손바닥피와 재봉되는 손가락피가 중지, 무명지로만 형성되어 각 손가락사이의 공간이 일정하게 정해져 손가락이 움직일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적어 손가락이 꽉 끼게 되어 장시간 작업 중에는 손가락에 통증이 발생하게 되어 장갑을 완전하게 착용하지 못하고 헐거운 상태로 착용하고 작업하거나 또는 잠깐씩 장갑을 벗는 동작이 반복되어야 했었다.
그리고 작업장갑은 여러 개의 피를 서로 재봉하여 제작함으로써 재봉선이 많이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장갑을 착용하고 장시간 작업시에는 일반 장갑과는 달리 두껍고 거칠기 때문에 물건을 쥘 때 돌출된 재봉선 부분이 손과 접촉되어 심하게 배겨 통증을 유발하고 딱딱한 재봉선으로 인해 손가락놀림이 자연스럽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장갑을 형성하기 위해 앞면 손가락단, 앞면 식지, 등면 식지, 등면 중지, 등면 무명지, 등면 소지를 일체판으로 형성시키고 앞면 중지, 앞면 무명지로 한정되어 있던 손가락피를 앞면 중지, 앞면 무명지, 앞면 소지로 형성시켜 손가락피를 2개에서 3개로 늘리고 여러 형태로 형성시켜 일체판과 재봉하여 작업장갑을 제작함으로써 중지, 무명지로 한정된 공간에 정해져 있던 것을 중지, 무명지, 소지가 서로 공간을 공유할 수 있게 공간이 확보되어 각 손가락사이의 여유 공간이 생겨 손가락놀림이 자유스럽고, 손가락사이의 배김 현상을 제거한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장갑의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의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B)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B)(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의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에 카우스의 길이를 길게하고 엄지띠가 더 부착된 것을 도시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바닥피와 손등피가 일체판으로 형성된 오지 작업장갑의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B)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B)(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바닥피와 손등피의 일체판 형태를 변화시킨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엄지 구멍 2 : 앞면 소지
3 : 앞면 식지 4 : 등면 식지
5, 5a : 봉합단 6 : 중지
7 : 무명지 8 : 등면 소지
9 : 등면 무명지 10 : 등면 중지
11 : 손가락단 12 : 소지
13 : 식지 14: 엄지피
15 : 엄지띠 100 : 손바닥피
200 : 손가락피 300 : 손등피
400 : 손바닥피 500, 500a: 손가락피
600 : 카우스 700, 700a: 일체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은 장갑의 본체 일측으로 엄지, 식지, 중지, 무명지, 소지를 갖는 손가락부 및 손바닥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손 삽입을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통상의 작업장갑에 있어서, 손바닥부의 하단으로 엄지구멍이 재단되고 상단으로 손가락단이 형성되어있으며, 손가락단에서 연장되어 앞면 식지, 등면 식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등면 식지의 일측단에 봉합단이 형성된 손가락피와; 등면 중지, 등면 무명지, 등면 소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등면 중지 일측단에 봉합단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손바닥피의 등면 식지 측단의 봉합단과 봉합되는 손등피와; 앞면 중지, 앞면 무명지, 앞면 소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바닥피의 손가락단에 봉합되는 손가락피; 및 상기 손바닥피의 엄지구멍에 봉합되는 엄지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은 식지, 중지, 무명지, 소지 사이의 어느 하나 이상의 봉합점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은 손바닥피의 손가락단이 앞면 식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손가락피의 절단선이 내측으로 이동되어 손가락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손바닥피와 손등피가 일체판으로 형성되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 장갑은 상기 손바닥피와 손등피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판에 식지, 중지, 무명지, 소지사이의 어느 하나 이상의 봉합점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 장갑은 손바닥부의 하단으로 엄지 구멍이 재단되고 상단에 손가락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가락단에서 연장되어 앞면 소지, 등면 소지, 등면 무명지, 등면 중지,등면 식지가 차례로 형성된 일체판에 앞면 식지, 앞면 중지, 앞면 무명지를 일체로 형성시켜 상기 손가락피의 손가락단에 봉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의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B)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B)(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의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에 카우스의 길이를 길게하고 엄지띠가 더 부착된 것을 도시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바닥피와 손등피가 일체판으로 형성된 오지 작업장갑의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B)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B)(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C)이 이동된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이며,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바닥피와 손등피의 일체판 형태를 변화시킨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은 크게 손바닥피(400)와 손등피(300)와 손가락피(500)와 엄지피(14)로 구성된다.
상기 손바닥피(400)는 하단으로 엄지구멍(1)이 형성되고 상단으로 손가락단(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가락단(11)에서 연장되어 앞면 식지(3),등면 식지(4)가 일체로 형성되며, 등면 식지(4) 측단에 봉합단(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등피(300)는 등면 중지(10), 등면 무명지(9), 등면 소지(8)가 일체로 형성되며, 등면 중지(10) 측단에 봉합단(5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손바닥피(400)의 등면 식지(4) 측단의 봉합단(5)과 함께 봉합된다.
상기 손가락피(500)는 앞면 중지(6), 앞면 무명지(7), 앞면 소지(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바닥피(400) 상단의 손가락단(11)에 봉합된다.
상기 엄지피(14)는 상기 손바닥피(400)의 엄지구멍(10)에 봉합되는 것으로서 엄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앞면 및 등면이 일체로 재단된다.
또한, 상기 손바닥피(400)의 하단으로 카우스(600)가 더 봉합되어 작업용 오지 장갑이 제작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손바닥피(400)의 손가락단(11)과 앞면 식지(3)사이에 상기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재봉하고, 상기 손바닥피(400)의 봉합단(5)과 상기 등면피(300)의 봉합단(5a)을 위치를 맞추어 재봉하고, 상기 손바닥피(400)의 엄지 구멍(1)에 엄지피(14)를 재봉함으로써 작업장갑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바닥피(400)와 등면피(300)가 일체로 재봉된 상태에서 하단에 카우스(600)가 재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손바닥피(400)에 봉합되는 손가락피(500) 중지(6), 무명지(7), 소지(12)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중지(6)와 무명지(7)사이에만 존재하던 손가락사이의 공간이 중지(6), 무명지(7), 소지(12) 사이의 공간으로 확대되어중지(6), 무명지(7), 소지(12)가 서로 여유 공간을 공유하게 됨으로써 작업장갑을 착용하고 물건을 잡거나 집는 작업에 있어 손가락놀림이 자유스러워 손의 피로를 덜 수 있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가락피(500)를 여러 형태로 절단 재봉하여 여러 형태의 장갑이 제작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 (A), (B), (C)가 각각 이동된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도면 중 (A)은 등면 식지(4)와 등면 중지(10) 사이의 등면 봉합점이고, (B)는 등면 중지(10)와 등면 무명지(9) 사이의 등면 봉합점이며, (C)는 등면 무명지(9)와 등면 소지(8) 사이의 등면 봉합점이고, (a)는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 절단점이며, (b)는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 절단점이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바닥피(400)의 앞면 식지(3)와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같은 각도에 맞춰 일각되고, 상기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상기 손바닥피(4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하여 작업장갑을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바닥피(400)의 앞면 식지(3)와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일각된 각도만큼 등면 식지(4)와 등면 중지(10) 사이의 등면 봉합점(A)이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됨으로써 등면 식지(4)와 등면 중지(10) 사이의 배김현상이 제거되어 착용감이 편안하여 장시간 작업하여도 피로를 덜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이 상기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보다 위에 위치되어 상기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손바닥피(4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하여 작업장갑을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 및 무명지(7)의 절단점(a)이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 및 소지(12)의 절단점(b)보다 위에 위치한 만큼 등면 중지(10)와 등면 무명지(9) 사이의 등면 봉합점(B)이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됨으로써 등면 중지(10)와 등면 무명지(9) 사이의 배김 현상이 제거된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이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보다 위에 위치되어 상기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손바닥피(4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하여 작업장갑을 제작함으로써 등면 봉합점(C)이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등면 무명지(9)와 등면 소지(8) 사이의 배김 현상이 제거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 봉합점(B)(C), 봉합점(A)(C)이 각각 이동된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에 관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합점(A)(B)이 이동된 오지 작업장갑은 상기 손바닥피(400)의 앞면 식지(3)와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같은 각도에 맞춰 일각되고,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 절단점(a)이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 절단점(b)보다 위에 위치되어,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손바닥피(4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하여 작업장갑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바닥피(400)의 앞면 식지(3)와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일각된 각도만큼 등면 식지(4)와 등면 중지(10) 사이의 등면 봉합점(A)이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감과 동시에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 절단점(a)이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 절단점(b)보다 위에 위치한 만큼 등면 중지(10)와 등면 무명지(9) 사이의 등면 봉합점(B)이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되어 등면 식지(4)와 등면 중지(10), 등면 중지(10)와 등면 무명지(9) 사이의 배김 현상이 제거된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합점(B)(C)이 이동된 오지 작업장갑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과,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 모두가 등면 봉합점(A) 위로 위치하게 되고 결국에는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수평이 되고, 손가락형으로 접어 손바닥피(4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되어 작업장갑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봉합점(B)(C) 모두가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합점(A)(C)이 이동된 오지 작업장갑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손바닥피(400)의 앞면 식지(3)와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같은 각도에 맞춰 일각되고, 상기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이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 위로 위치하게 되어 손가락형으로 접어 상기 손바닥피(4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되어 작업장갑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봉합점(A)(C) 모두가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된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C) 모두가 이동된 오지 작업장갑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손바닥피(400)의 앞면 식지(3)와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같은 각도에 맞춰 일각되고,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과 상기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 모두가 기존 위치보다 위에 위치하여 수평이 되고, 손가락형으로 접어 상기 손바닥피(4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되어 작업장갑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봉합점(A)(B)(C)이 모두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된다.
첨부되는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많이 확보된 작업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손가락의 형성부가 아주 짧게 형성된 작업장갑에 관한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상기에 언급한 손바닥피(400) 재단도에서 손바닥피(400)의 손가락단(11)이 앞면 식지(3)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손가락피(500)의 절단선이 내쪽으로 이동되어 등면피(300)와 재봉됨으로써 장갑이 제작되는데, 손바닥피(400)의 손가락단(11)이 앞면 식지(3) 상방향으로 이동한 만큼 손가락피(500)의 내면이 절단되고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손바닥피(400)의 손가락단(11)과 재봉하며 손가락단(11)이 앞면 식지(3) 상방향으로 이동한 만큼 각 손가락의 형성부가 짧아지고 장갑의 식지, 중지, 무명지, 소지는 모두 형성시켜 장갑을 착용하고 물건을 잡거나 집는데 어려움이 없고 손가락사이의 많은 여유 공간 확보로 손가락사이의 배김 현상을 제거한 작업장갑이 된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많이 확보된 작업장갑에 있어서 카우스(600) 길이를 길게하고 엄지 둘레에 엄지띠(15)를 더 부착하여 용접 장갑으로도 변형시켜 적용할 수 있는 작업 장갑이다. 손바닥피(400)의 엄지구멍(1)에 봉합되는 엄지피(14)의 봉합부분에 상기 엄지띠(15)를 부착시킴으로 해서 작업도중 실밥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고온의 불똥으로부터 봉합사(縫合絲)가 타지 않도록 하여 손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장갑에 관한 것으로 손바닥피와 손등피가 일체판으로 형성된 오지 작업장갑에 관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은 상기 손바닥피(400)와 등면피(300)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판(700)이 구비된다.
상기 일체판(700)은 상기 손바닥피(400)의 등면 식지(4) 측단에 형성된 봉합단(5)과 등면피(300)의 등면 중지(10) 측단에 형성된 봉합단(5a)이 각각 제거되고 서로 붙은 형태의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손바닥피(400)와 등면피(300)의 봉합을 위해 존재하던 재봉선이 제거되고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재봉선에 의한 손등 배김현상이 제거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 봉합점(B), 봉합점(C)가 각각 이동된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에 관한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판(700)의 앞면 식지(3)와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같은 각도에 맞춰 일각되고, 상기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상기 일체판(7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하여 작업장갑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일체판(700)의 앞면 식지(3)와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일각된 각도만큼 등면 식지(4)와 등면 중지(10) 사이의 등면 봉합점(A)이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감으로써 등면 식지(4)와 등면 중지(10)사이의 배김 현상이 제거되고 착용감이 편안하여 장시간 작업하여도 피로를 덜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이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보다 위에 위치되어, 상기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상기 일체판(7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하여 작업장갑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 절단점(a)이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소지(12) 절단점(b)보다 위에 위치한 만큼 등면 중지(10)와 등면 무명지(9) 사이의 등면 봉합점(B)이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된다.
또한,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이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보다 위에 위치되어, 상기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상기 일체판(7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하여 작업장갑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등면 무명지(9)와 등면 소지(8) 사이의 등면 봉합점(C)이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된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8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 봉합점(B)(C), 봉합점(A)(C)가 각각 이동된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에 관한 것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이 이동된 오지 작업장갑은, 상기 일체판(700)의 앞면 식지(3)와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같은 각도에 맞춰 일각되고,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이 상기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보다 위에 위치되고, 상기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상기 일체판(7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하여 작업장갑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일체판(700)의 앞면 식지(3)와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일각된 각도만큼 등면 식지(4)와 등면 중지(10) 사이의 등면 봉합점(A)이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감과 동시에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이 상기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보다 위에 위치한 만큼 등면 중지(10)와 등면 무명지(9) 사이의 등면 봉합점(B)이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되어 결국 봉합점(A)(B) 모두가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등면 식지(4)와 등면 중지(10)사이, 등면 중지(10)와 등면 무명지(9) 사이의 배김 현상이 제거되고 착용감이 편안하여 장시간 작업하여도 피로를 덜 수 있게 된다.
도 17a 내지 도 17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B)(C)이 이동된 오지 작업장갑은,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과 상기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 모두가 등면 봉합점(A) 위로 위치하게 되고 결국에는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수평이 되고, 손가락형으로 접어 상기 일체판(7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하여 장갑을 형성함으로써 봉합점(B)(C) 모두가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된다.
도 18a 내지 도 18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C)이 이동된 오지 작업장갑은, 상기 일체판(700)의 앞면 식지(3)와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같은 각도에 맞춰 일각되고, 상기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이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 위로 위치하게 되어, 상기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상기 일체판(7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하여 장갑을 형성함으로써 봉합점(A)(C)이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된다.
한편,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점(A)(B)(C) 모두가 이동된 오지 작업장갑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일체판(700)의 앞면 식지(3)와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가 같은 각도에 맞춰 일각되고, 상기 손가락피(500)의 중지(6)와 무명지(7)의 절단점(a)과 상기 손가락피(500)의 무명지(7)와 소지(12)의 절단점(b) 모두가 기존 위치 위에 위치하여 수평이 되고, 상기 손가락피(500)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상기 일체판(700)의 손가락단(11)에 재봉되어 작업장갑을 형성함으로써 봉합점(A)(B)(C)이 모두 등면 손가락 첫마디 위로 올라가게 된다.
한편,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바닥피와 손등피의 일체판 형태를 변화시킨 손등면도, 손바닥면도, 재단도, 입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오지 작업장갑은 손가락단, 앞면 소지(2), 등면 소지(8), 등면 무명지(9), 등면 중지(10), 등면 식지(4)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판(700a)과, 식지(13), 중지(6), 무명지(7)가 형성된 손가락피(500a)를 구비하여, 상기 손가락피(500a)를 손가락형으로 접어 상기 일체판(700a) 손가락단에 재봉하여 작업장갑이 형성된다.
이는 상술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손바닥피(100)와 등면피(300)가 분리된 것을 일체판(700a)으로 하는 대신에, 앞면 식지(13)와 등면 식지(4) 사이를 재봉함으로써 손날 부분의 봉제선이 제거됨으로 해서 딱딱한 재봉선으로 인한 배김 현상이 없어져 손날 부분을 바닥면에 접촉하고 작업하는 현장에서 장시간 작업을 하여도 손의 아픔을 제거할 수 있고 손의 피로를 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작업장갑에 대하여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카우스(600)의 길이를 길게 조절하고 엄지띠(14)를 더 부착하여 용접장갑에의 적용이 가능하고 당업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용이하게 착안할 수 있는 모든 범위를 포함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체판(700)과 손가락피(500)는 맞접어 재봉하여 장갑을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이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에 의하면, 손가락단, 앞면 식지, 등면 식지, 등면 중지, 등면 무명지, 등면 소지를 일체판으로 형성시키고 앞면 중지, 앞면 무명지로 한정되어 있던 손가락피를 앞면 중지, 앞면 무명지, 앞면 소지로 형성시켜 손가락피를 2개에서 3개로 늘리고 여러 형태로 형성시켜 일체판과 재봉하여 작업장갑을 제작함으로써 중지, 무명지로 한정된 공간에 정해져 있던 것을 중지, 무명지, 소지가 서로 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각 손가락사이의 여유 공간이 생겨 손가락놀림이 자유스럽고, 손가락사이의배김 현상을 제거한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장갑의 본체 일측으로 엄지, 식지, 중지, 무명지, 소지를 갖는 손가락부 및 손바닥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손 삽입을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통상의 작업장갑에 있어서,
    하단으로 엄지구멍이 재단되고 상단으로 손가락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가락단에서 연장되어 앞면 식지, 등면 식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등면 식지의 일측단에 봉합단이 형성된 손바닥피와;
    등면 중지, 등면 무명지, 등면 소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등면 중지의 일측단에 봉합단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손바닥피의 등면 식지의 일측단의 봉합단과 봉합되는 손등피와;
    앞면 중지, 앞면 무명지, 앞면 소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바닥피의 손가락단에 봉합되는 손가락피; 및
    상기 손바닥피의 엄지구멍에 봉합되는 엄지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등면 식지, 등면 중지, 등면 무명지, 등면 소지 사이의 어느 하나 이상의 등면 봉합점이 상방향으로 이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손바닥피의 손가락단이 앞면 식지의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손가락피의 절단선이 내측으로 이동되어 손가락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피와 손등피가 일체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5. 제4항에 있어서,
    등면 식지, 등면 중지, 등면 무명지, 등면 소지 사이의 어느 하나 이상의 등면 봉합점이 상방향으로 이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6. 장갑의 본체 일측으로 엄지, 식지, 중지, 무명지, 소지를 갖는 손가락부 및 손바닥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손 삽입을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통상의 작업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부의 하단으로 엄지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으로 손가락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가락단에서 연장되어 앞면 소지, 등면 소지, 등면 무명지, 등면 중지, 등면 식지가 차례로 형성된 일체판과;
    앞면 식지, 앞면 중지, 앞면 무명지가 차례로 형성되어 상기 일체판의 손가락단에 봉합되는 손가락피; 및
    상기 손바닥피의 엄지구멍에 봉합되는 엄지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KR10-2003-0087325A 2003-03-13 2003-12-03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KR100432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953 2003-03-13
KR1020030016953 2003-03-13
KR1020030029549 2003-05-06
KR1020030029549 2003-05-06
KR1020030029548 2003-05-06
KR1020030029548 2003-05-06
KR1020030035002 2003-05-27
KR1020030035001 2003-05-27
KR1020030035002 2003-05-27
KR1020030035001 2003-05-27
KR1020030038085 2003-06-10
KR1020030038085 2003-06-10
KR1020030060955 2003-08-28
KR1020030060955 2003-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732A KR20040005732A (ko) 2004-01-16
KR100432614B1 true KR100432614B1 (ko) 2004-05-28

Family

ID=3283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325A KR100432614B1 (ko) 2003-03-13 2003-12-03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210981A1 (ko)
JP (1) JP2004204427A (ko)
KR (1) KR100432614B1 (ko)
CN (1) CN100502706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98B1 (ko) * 2003-04-17 2004-08-25 종 철 장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 장갑
CN103549677A (zh) * 2013-11-06 2014-02-05 孙生强 一种手套
KR101885809B1 (ko) 2018-04-03 2018-08-06 장종철 오지 작업용 장갑
KR102169419B1 (ko) 2019-09-30 2020-10-23 이준우 차량 시트 커버 마감 작업용 장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1971A (zh) * 2014-07-01 2014-09-17 爱谱诗(苏州)服装有限公司 多功能暖手套
USD866871S1 (en) 2015-07-30 2019-11-12 Primax Manufacturing & Trading, Inc. Welding glove
US10413003B2 (en) * 2017-06-12 2019-09-17 Marcus Kimbrough Welding glove
USD883610S1 (en) 2018-08-06 2020-05-12 Primax Manufacturing & Trading, Inc. Utility glove
USD881512S1 (en) 2018-08-06 2020-04-21 Primax Manufacturing & Trading, Inc. Utility glove
USD881513S1 (en) 2018-08-06 2020-04-21 Primax Manufacturing & Trading, Inc. Utility glove
USD881511S1 (en) 2018-08-06 2020-04-21 Primax Manufacturing & Trading, Inc. Utility glov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224A (en) * 1900-11-23 1902-02-04 Orley R Baird Glove.
US1427419A (en) * 1921-07-06 1922-08-29 Ruddell William Albert Glove pattern
US2742645A (en) * 1953-08-12 1956-04-24 Hy Ginsburgh Glove
US3821817A (en) * 1971-11-08 1974-07-02 I Jorgensen Glove construction
SE357662B (ko) * 1971-11-09 1973-07-09 Pehr Lars Jos
US4068317A (en) * 1976-03-03 1978-01-17 Stefan Roeckl Glove
US5175886A (en) * 1991-02-08 1993-01-05 Suk Young Jing Golf glov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98B1 (ko) * 2003-04-17 2004-08-25 종 철 장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 장갑
CN103549677A (zh) * 2013-11-06 2014-02-05 孙生强 一种手套
KR101885809B1 (ko) 2018-04-03 2018-08-06 장종철 오지 작업용 장갑
KR102169419B1 (ko) 2019-09-30 2020-10-23 이준우 차량 시트 커버 마감 작업용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732A (ko) 2004-01-16
CN1533721A (zh) 2004-10-06
US20040210981A1 (en) 2004-10-28
CN100502706C (zh) 2009-06-24
JP2004204427A (ja)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614B1 (ko)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장갑
KR100432612B1 (ko) 삼지 용접용 장갑
KR100432623B1 (ko) 사지 장갑
KR100568757B1 (ko) 통판 삼지 용접 장갑
KR200388596Y1 (ko) 손가락 부분이 개폐되는 장갑
KR200333689Y1 (ko) 일체판 삼지 용접 장갑
KR100768262B1 (ko) 오지 작업용 장갑
KR100741451B1 (ko) 삼지 용접용 장갑
KR100445397B1 (ko) 손가락사이의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 장갑
KR100741450B1 (ko) 삼지 용접용 장갑
KR100445396B1 (ko) 오지 작업 장갑
KR200321666Y1 (ko) 등면 봉합점을 이동시킨 작업 장갑
KR100445398B1 (ko) 공간이 확보된 오지 작업 장갑
KR100741456B1 (ko) 삼지 용접용 장갑
KR100741477B1 (ko) 삼지 용접용 장갑
KR200367823Y1 (ko) 짤록이가 형성된 삼지 용접 장갑
KR200327713Y1 (ko) 봉합점이 이동된 작업용 장갑
KR101039693B1 (ko) 오지 작업용 장갑
KR100741472B1 (ko) 삼지 용접용 장갑
KR200323307Y1 (ko) 앞면 등면의 봉합선이 제거된 용접용 장갑
KR100741481B1 (ko) 삼지 용접용 장갑
KR200350940Y1 (ko) 통판 삼지 용접 장갑
KR101885814B1 (ko) 삼지 용접용 장갑
KR200320530Y1 (ko) 등면 무명지와 소지의 봉합점을 이동시킨 작업용 장갑
KR200327712Y1 (ko) 등면 봉합점을 이동시킨 작업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629

Effective date: 200710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