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414B1 - 커피가 내장된 컵 - Google Patents

커피가 내장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414B1
KR100432414B1 KR10-2002-0004084A KR20020004084A KR100432414B1 KR 100432414 B1 KR100432414 B1 KR 100432414B1 KR 20020004084 A KR20020004084 A KR 20020004084A KR 100432414 B1 KR100432414 B1 KR 100432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up
handle
built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783A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2002-0004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4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믹스커피가 내장된 1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 몸체 일측 모서리 외면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탈시킬 수 있도록 절결부를 갖는 스틱과, 상기 몸체 내부에는 1회용 믹스커피가 내장되고 몸체 상단부는 밀봉된 1회용 컵을 구성하여 여행, 등산, 낚시, 스포츠 관람시에 더운물만 제공되면 언제 어디에서라도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된 커피가 내장된 컵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가 내장된 컵{The coffee of interior cup}
본 발명은 믹스커피가 내장된 1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로된 컵 내부에 믹스 커피를 내장시켜 접히도록 포장하고 컵 일측 모서리에는 손잡이를 형성하되 손잡이 하단에는 커피를 저을 수 있도록 된 스틱을 구비하여 여행시 또는 야외에서 커피를 간단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환경친화적으로 발명된 1회용 믹스커피컵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등산, 바캉스, 여행, 스포츠관람시, 사무실 등에서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믹스커피를 각각의 포지에 포장하여 별도의 갑에 포장된 커피를 구입하여 별도로 준비된 종이컵 또는 통상의 컵에 넣고 물을 끓여 부은 티스푼 등으로 저어서 먹는 믹스커피가 이용되었다.
상기 이러한 봉지 커피는 별도의 커피. 프림, 설탕등을 각각구비하지 않는 다는 이점은 있으나 커피와 컵을 별도로 준비해야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에도 이러한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선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0022488호 "믹스커피가 내장된 컵"을 고안한 것으로서 이 컵은 적당한 가열/가압성형공정을 통해 적당한 높이를 가지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운두와, 이 운두의 하부에 일체로 바닥을 갖추어서된 펄프를 주원료로 하는 컵과; 상기 컵내의 적당한 위치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때내지도록한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믹스커피가 내장된 포장대와; 상기컵의 운두 가장자리에 상기 운두 주벽보다는 두껍고 만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운두의 형태를 유지토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컵의 형상이 통상적인 컵 형태로 이루어져 부피가 커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컵 내벽에 커피가 내장되는 공간을 별도로 형성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1회용 믹스커피의 근본 취지를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다른 실용신안 공개번호 96-27049호 일회용 티백 종이컵을 보면, 종이컵내의 바닥면에 티백을 집어넣고, 이 티백의 일측에 적당한 길이를 가지고 컵의 상단부 둘레 외측으로 끌어내지는 실을 설치해 그 끝단에 손잡이를 갖추어서 컵에 물을 부어넣은 후 티백이 우려내지면 그 티백을 실을 이용해 끄집어내어서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일회용 컵에서 티백은 별도의 밀폐구조 없이 컵내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보관되어 차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고 있으며, 따라서 보관 및 유통성이 저조하고 차맛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회용 컵에 믹스커피를 내장시켜 몸체가 절첩되도록 함으로서 휴대가 간편하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사용시 컵에 내장된 믹스커피를 손잡이에 부착된 스틱으로 저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 몸체 일측 모서리 외면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하부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탈시킬 수 있도록 절결부를 갖는 스틱과, 상기 몸체 내부에는 1회용 믹스커피가 내장되고 몸체 상단부는 밀봉된 1회용 컵을 구성하여 여행, 등산, 낚시, 스포츠 관람시등 더운물만 제공되면 언제어디에서라도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된 커피가 내장된 컵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믹스 커피가 내장된 1회용 컵의 포장상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믹스 커피가 내장된 1회용 컵 전면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믹스 커피가 내장된 컵을 펼치는 사용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믹스 커피가 내장된 컵을 개구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1회용 커피 티백이 내장된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회용 컵 20:몸체
30:손잡이 40:절결부
50:스틱 60:믹스커피
70:티백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내부에 믹스커피가 내장되고 상단부가 접착된 사각용기를 형성하여 필요시 상단의 접착부를 개봉하고 물을 부어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된 커피가 내장된 컵에 있어서,
사각용기로 이루어지고 양 측면부가 상협하광으로 접히도록 이루어진 몸체(20)와,
상기 사각 몸체(20) 일측 모서리 외면에 형성된 손잡이(30)와,
상기 손잡이(30)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필요시 이탈시킬 수 있도록 절결부(40)를 갖는 스틱(50)과,
상기 몸체(20)내부에는 1회용 믹스커피(60)가 내장되고 몸체(20) 상단부는 밀봉된 1회용 컵(1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1회용 컵(10)은, 몸체(20) 내부에 원두커피 또는 녹차가루, 우렁차가루, 보리 등의 차가루가 내장된 티백(70)이 내장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등산이나 낚시 등 여행을 떠날때 휴대하기 편리하고, 별도의 컵을 휴대할 필요 없이 더운 물만 제공되면 실내 실외 장소에 관계없이 커피를 즐길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피를 마실때 몸체(20)의 측면부가 도1 또는 도3과 같이 상단은 밀착되도록 접히고 하단부는 삼각형형태로 접혀 전체적인 형상모양이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1회용 컵(10) 상단부를 개구시킨다.
상기 1회용 컵(10) 을 개구시킨 다음에는 몸체(20) 일측 모서리 에 형성된손잡이(30)하단부에 구비된 스틱(50)을 당겨 절단시킨다.
이때 손잡이(30)하단부에 구비된 스틱(50)은 절결부(40)가 형성되어 1회용 컵(10) 몸체(20)와는 떨어져있는 상태이고 상단부만 손잡이(30)저부에 붙어있는 상태이므로 이탈시 잡아당기면 간단 용이하게 손잡이(30)로부터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스틱(50)을 이탈시킨 후에는 1회용 컵(10) 개구부에 적당량의 뜨거운 물을 넣고 도4 및 도5와 같이 스틱(50)으로 저어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6과 같이 1회용 컵(10) 몸체(20) 내부에 믹스커피를 넣지않고 원두커피, 녹차, 보리차, 홍차 등의 티백(70)을 넣어 판매하면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서 차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렇게된 본 발명은 믹스커피가 내장된 1회용 컵(10)을 기존의 믹스커피와 같이 종이상자, 비닐봉투에 포장하여 판매할 수도 있지만 자동판매기에 넣어 판매할 수도 있게된 것이다.
즉, 자동판매기 에 본 발명의 믹스커피가 내장된 1회용 컵을 내장하여 동전을 넣고 보턴을 누르면 1회용 컵(10)이 나오고 1회용 컵을 받은 소비자는 상부를 개구시킨 다음 다시 별도의 온수 버튼를 누르면 뜨거운 물이 나와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소비자가 자동판매기에 동전을 넣고 1회용 컵을 받고 다시 온수버튼을 누르면 뜨거운물이 나오도록하는 전기적인 작동은 기존의 자동판매기의 작동회로에의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이것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본 발명은 등산이나 낚시 등 여행을 떠날때 휴대하기 간편하고, 더욱이 별도로 저을 수 있는 도구가 필요 없이 몸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손잡이로부터 스틱을 이탈시켜 저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컵이 필요 없게되므로 뜨거운 물만 제공되면 사용자는 언제 어느장소라 하더라도 보다 편리하게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믹스커피가 내장된 1회용 컵은 제조시 몸체 내부에 믹스커피를 내장하고 상단부를 밀봉함으로서 유통시 변질된 우려는 전혀 없도록 된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회용 컵에 믹스커피 또는 여러 종류의 분말재료(예: 원두커피, 녹차, 홍차, 율무, 유자 등...)가 내장된 티백등을 각각 내장되도록 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차를 마실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믹스커피가 내장된 1회용 컵만 준비하면 더운 물만 제공되는 곳이라면 언제라도 장소에 관계 없이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믹스커피가 내장되고 상단부가 접착된 사각용기를 형성하여 필요시 상단의 접착부를 개봉하고 물을 부어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된 커피가 내장된 컵에 있어서,
    양 측면부가 상협하광으로 접히도록 이루어진 몸체(20)와,
    상기 사각 몸체(20) 일측 모서리 외면에 형성된 손잡이(30)와,
    상기 손잡이(30)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필요시 이탈시킬 수 있도록 절결부(40)를 갖는 스틱(50)과,
    상기 몸체(20)내부에는 원두커피 티백(70)이 내장된 1회용 컵(1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가 내장된 컵.
  2. 삭제
KR10-2002-0004084A 2002-01-24 2002-01-24 커피가 내장된 컵 KR10043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84A KR100432414B1 (ko) 2002-01-24 2002-01-24 커피가 내장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84A KR100432414B1 (ko) 2002-01-24 2002-01-24 커피가 내장된 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264U Division KR200276676Y1 (ko) 2002-01-24 2002-01-24 커피가 내장된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783A KR20030063783A (ko) 2003-07-31
KR100432414B1 true KR100432414B1 (ko) 2004-05-27

Family

ID=3221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084A KR100432414B1 (ko) 2002-01-24 2002-01-24 커피가 내장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4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480U (ko) * 1974-12-19 1976-06-23
KR920016653U (ko) * 1991-02-23 1992-09-16 박상은 일회용 종이컵 겸용 커피믹스 티백
KR970062172U (ko) * 1996-05-10 1997-12-10 박석규 절첩되는 일회용 종이컵
KR980008041U (ko) * 1996-07-09 1998-04-30 박임상 1회용 컵 커피(차종류) 믹스
KR200244064Y1 (ko) * 2001-04-26 2001-10-12 육희수 차와 스푼이 포함된 일회용 종이컵
KR200276676Y1 (ko) * 2002-01-24 2002-05-24 김성수 커피가 내장된 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480U (ko) * 1974-12-19 1976-06-23
KR920016653U (ko) * 1991-02-23 1992-09-16 박상은 일회용 종이컵 겸용 커피믹스 티백
KR970062172U (ko) * 1996-05-10 1997-12-10 박석규 절첩되는 일회용 종이컵
KR980008041U (ko) * 1996-07-09 1998-04-30 박임상 1회용 컵 커피(차종류) 믹스
KR200244064Y1 (ko) * 2001-04-26 2001-10-12 육희수 차와 스푼이 포함된 일회용 종이컵
KR200276676Y1 (ko) * 2002-01-24 2002-05-24 김성수 커피가 내장된 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783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408A (en) Beverage brewing device
TWI301401B (en) A capsule to be used to prepare an infused beverage
US20170181565A1 (en) Cup set for drip coffee
KR20080075060A (ko) 포장재를 겸하는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40740A1 (en) Tea bag cozy
JP2010531785A (ja) 逆盃形小区画付コップ
JP5946442B2 (ja) 飲料用包装容器
KR100432414B1 (ko) 커피가 내장된 컵
KR200276676Y1 (ko) 커피가 내장된 컵
KR101919108B1 (ko) 차 추출용 텀블러
US20040083897A1 (en) Instant coffee-brewing container for preparing freshly brewed coffee
KR101415626B1 (ko)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KR200315091Y1 (ko) 부피축소가 가능한 일회용 음료수 컵
KR200277075Y1 (ko) 티백이 내재된 종이컵
KR20190070000A (ko) 음료추출용기가 구비된 음료컵
KR200314520Y1 (ko)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200181236Y1 (ko) 일회용 컵
KR200390548Y1 (ko) 드립식 여과컵을 구비한 천연차류의 패키지
JPS585533Y2 (ja) 簡易コ−ヒ−抽出器
JP3058907U (ja) 携帯用原豆コーヒー飲用容器セット
CN208761277U (zh) 一种咖啡外带包装组合
US20100098810A1 (en) Instant sugar-coated powdered beverage
KR200259885Y1 (ko) 차원료가 내장된 일회용 컵
TW201713580A (zh) 不需杯具之隨身飲料沖泡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