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236Y1 - 일회용 컵 - Google Patents

일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236Y1
KR200181236Y1 KR2019990024431U KR19990024431U KR200181236Y1 KR 200181236 Y1 KR200181236 Y1 KR 200181236Y1 KR 2019990024431 U KR2019990024431 U KR 2019990024431U KR 19990024431 U KR19990024431 U KR 19990024431U KR 200181236 Y1 KR200181236 Y1 KR 200181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cup
vending machine
present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형
Original Assignee
이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형 filed Critical 이한형
Priority to KR2019990024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를 성형한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컵의 바닥면에 차(茶)가 구비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를 마실 때 마다 뜨거운 물과 함께 티백을 컵의 내부에 주입시켜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특히 커피, 코코아, 율무차와 같이 프림이나 설탕을 함께 주입시키는 경우에는 한잔의 차를 마시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매우 번거로웠다.
따라서, 본 고안은 컵(10)의 내부에 뜨거운 물만 주입시키면 분말차(30)가 물에 용해되거나 찻잎(31)에서 차 성분이 우러나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컵(10)을 자동판매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찻잎에서 차 성분이 우러나는 녹차나 홍차와 같은 차들도 자동판매기에 적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전체적인 자동판매기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자동판매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컵{a tea cup}
본 고안은 종이를 성형한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컵의 바닥면에 차(茶)가 구비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차나 홍차와 같이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말린 차들은 주로 망사로 이루어진 티백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고, 뜨거운 물과 함께 티백을 컵의 내부에 주입시키면 차가 우러나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차를 마실 때 마다 뜨거운 물과 함께 티백을 컵의 내부에 주입시켜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특히 커피, 코코아, 율무차와 같이 프림이나 설탕을 함께 주입시키는 경우에는 한잔의 차를 마시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매우 번거로웠다.
또한, 티백을 이용하여 차를 포장시킬 때는 티백의 외부에 포장용 봉투가 씌워진 상태에서 별도의 포장용 상자에 보관되고 커피, 프림, 설탕이 혼합된 믹서 형태의 차는 값비싼 폴리에틸렌수지 포장지로 포장된 후 별도의 포장용 상자에 보관되므로 전체적인 차의 포장작업이 까다롭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컵의 내부에 차가 구비되어 간편하게 뜨거운 물만 부으면 차를 마실 수 있는 일회용 컵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일회용으로 제작된 컵(10)에 있어서, 상기 컵(10)의 바닥면(11)은 그 상측에 유통공(12)이 뚫려진 함체로 형성되어 물에 용해되는 분말차(30)가 수납되고, 분말차(30)의 상부면에는 물에 녹는 커버지(20)가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회용으로 제작된 컵(10)에 있어서, 상기 컵(10)의 바닥면(11)에는 잎을 말린 찻잎(31)들이 놓여지고, 찻잎(31)들의 외부에는 망사로 이루어진 커버지(21)가 씌워져 그 외주연부가 바닥면(11)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컵
11 : 바닥면
12 : 유통공
20, 21 : 커버지
30 : 분말차
31 : 찻잎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이 코팅된 종이를 성형하여 제작된 일회용 컵(10)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 사상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컵(10)의 바닥면(11)에 차가 보관되어 물만 부으면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컵(10)의 바닥면(11)은 그 상측에 유통공(12)이 뚫려진 함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함체의 내부에는 물에 잘 용해되는 분말차(30)가 수납된다.
상기 분말차는 주로 커피, 코코아, 율무와 같이 물에 잘 용해되는 성질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커피에 프림과 설탕이 혼합된 믹서 형태의 분말차가 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꼭 분말차(30)의 종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말차(30)의 상부면에는 물에 잘 녹고 먹을 수 있는 얇은 커버지(20)가 삽입되어 분말차(30)가 유통공(12)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되어 있다.
도 2에 표현된 바로는 얇은 커버지(20)의 외측이 분말차(30)의 상부면과 유통공(12)의 외주연부 하부면 사이에 삽입 고정된 형태로 되어 있으나, 커버지(20)의 외측이 유통공(12)의 외주연부에 접착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컵(10)의 내부에 뜨거운 물을 주입시키면 유통공(12)을 가로막고 있는 얇은 커버지(20)가 물에 녹으면서 함체의 내부에 보관된 분말차(30)가 신속하게 물에 용해되는 것이므로 간편하게 차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티 수푼을 이용하여 고르게 저어주면 분말차(30)가 신속하게 용해되는 것이므로 차를 마시기 전에 고르게 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기 컵(10)의 바닥면(11)에는 잎을 말린 찻잎(31)들이 놓여져 있고, 이 찻잎(31)들의 외부에는 망사로 이루어진 커버지(21)가 씌워져 있다.
상기 커버지(21)의 외주연부는 바닥면(11)에 고정되어 찻잎(3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버지(21)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그 외주연부를 접착시킬 수도 있으나, 마시는 음료임을 감안하여 열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컵(10)은 비닐이 코팅된 종이로 되어 있는 것이므로 커버지(21)의 외주연부에 열을 가하면서 가압시키면 컵(10)의 바닥면(11)에 코팅된 비닐이 살짝 녹으면서 커버지(21)가 열 접착되는 것이다.
상기 찻잎(31)은 녹차나 홍차와 같이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말린 것으로서 뜨거운 물에 넣으면 차성분이 우러나는 찻잎(31)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은 컵(10)의 내부에 뜨거운 물을 주입시키면 커버지(21) 내부에 보관된 찻잎(31)에서 차의 성분이 우러나와 간편하게 차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컵(10)의 내부에 뜨거운 물만 주입시키면 분말차(30)가 물에 용해되거나 찻잎(31)에서 차성분이 우러나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컵(10)을 자동판매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찻잎에서 차 성분이 우러나는 녹차나 홍차와 같은 차들도 자동판매기에 적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전체적인 자동판매기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자동판매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일회용으로 제작된 컵(10)에 있어서, 상기 컵(10)의 바닥면(11)은 그 상측에 유통공(12)이 뚫려진 함체로 형성되어 물에 용해되는 분말차(30)가 수납되고, 분말차(30)의 상부면에는 물에 녹는 커버지(20)가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10)의 바닥면(11)에는 잎을 말린 찻잎(31)들이 놓여지고, 찻잎(31)들의 외부에는 망사로 이루어진 커버지(21)가 씌워져 그 외주연부가 바닥면(11)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KR2019990024431U 1999-11-09 1999-11-09 일회용 컵 KR200181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431U KR200181236Y1 (ko) 1999-11-09 1999-11-09 일회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431U KR200181236Y1 (ko) 1999-11-09 1999-11-09 일회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236Y1 true KR200181236Y1 (ko) 2000-05-15

Family

ID=1959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431U KR200181236Y1 (ko) 1999-11-09 1999-11-09 일회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2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18B1 (ko) 2007-01-04 2007-08-30 하경현 차 원료가 내장된 이중컵
CN110477706A (zh) * 2019-09-03 2019-11-22 福清市瑞东现代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一次性便捷式即泡茶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18B1 (ko) 2007-01-04 2007-08-30 하경현 차 원료가 내장된 이중컵
CN110477706A (zh) * 2019-09-03 2019-11-22 福清市瑞东现代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一次性便捷式即泡茶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1401B (en) A capsule to be used to prepare an infused beverage
US20090250479A1 (en) Method & device for enhancing aroma from beverage cup
KR10163666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US20140345473A1 (en) Self fill disposable coffee pod
US6692780B1 (en) Beverage infusion device
KR200181236Y1 (ko) 일회용 컵
KR20090001855U (ko) 일회용 녹차
CA2411125A1 (en) Instant coffee-brewing container for preparing freshly brewed coffee
KR20140001528U (ko) 혼합수단이 내장된 포장박스
US20080003343A1 (en) Dissolving element
US7744939B2 (en) Weighted infusion beverage package
KR100397395B1 (ko) 티백이 내장된 일회용 컵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KR200277075Y1 (ko) 티백이 내재된 종이컵
KR200390548Y1 (ko) 드립식 여과컵을 구비한 천연차류의 패키지
CN2254300Y (zh) 内置一次饮量茶品的即饮包装茶具
KR200170063Y1 (ko) 일회용컵에내장된커피믹서와일회용수푼
KR200194691Y1 (ko) 일회용 전통차 추출 용기
KR200276676Y1 (ko) 커피가 내장된 컵
JPH0520220Y2 (ko)
JP3058907U (ja) 携帯用原豆コーヒー飲用容器セット
KR200174271Y1 (ko) 녹차용 종이컵
KR200173523Y1 (ko)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200341752Y1 (ko) 차컵
CN206107939U (zh) 试管式储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