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033B1 -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033B1
KR100432033B1 KR10-2002-0029259A KR20020029259A KR100432033B1 KR 100432033 B1 KR100432033 B1 KR 100432033B1 KR 20020029259 A KR20020029259 A KR 20020029259A KR 100432033 B1 KR100432033 B1 KR 100432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driving
switch
control sig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1330A (ko
Inventor
김장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03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의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과전류에서 차량 전원 공급 장치 및 부하 등을 보호하고, 차량의 퓨즈 박스를 삭제할 목적으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상태에 따라 스위치의 온/오프 구동 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 구동 검출수단과; 상기 스위치 구동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스위치의 온/오프 구동상태를 입력받아 부하 구동 스위치 상태가 온 상태이면 해당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부하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소정의 고장 표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부하 구동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전원을 상기 부하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부하에 공급하고, 상기 해당 부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비구동시 소정의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IPS와; 상기 IPS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고장 표시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고장 부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과전류에서 전원공급장치 및 부하를 보호 할 수 가 있고, 고장 발생시 고장이 발생한 부하에 대하여 신속한 고장수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차량의 레이아웃을 간결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 device and the method for sources of electricity controlling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상용 버스 등에 사용되는 형광등 및 에어컨 콤퓨레셔 등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IPS(Intelligent Power Switch)를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엔진의 시동장치나 점화장치의 전장품을 비롯하여 램프 류, 에어컨 장치 등 많은 전기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 배터리와 발전기(Alternator)가 있다.
상기한 배터리와 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차량 내에 구비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특히 에어컨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운전자가 에어컨 스위치를 조작하면, 에어컨 콤퓨레셔의 순간적인 시동전류가 40A 이상의 과전류가 소모됨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장치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순간적인 과전류에서 차량의 전원 공급장치 등을 보호하고 원활한 전원 공급을 위해 각 부하별로 휴즈 및 릴레이 등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각각의 부하에 휴즈 및 릴레이 등을 사용함으로써, 휴즈 및 릴레이 박스에 의한 레이아웃을 불리하게 하였으며, 또한 휴즈의 차단 및 릴레이의 고장이 발생되면, 차단된 휴즈 및 고장 발생이 이루어진 릴레이등을 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내의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과전류에서 차량 전원 공급 장치 및 부하 등을 보호하고, 차량의 퓨즈 박스를 삭제할 수 있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 전원 제어 방법 동작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스위치 구동 검출수단 200 : 제어수단
300 : IPS 400 : 구동수단
500 : 표시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상태에 따라 스위치의 온/오프 구동 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 구동 검출수단과;
상기 스위치 구동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스위치의 온/오프 구동상태를 입력받아 부하 구동 스위치 상태가 온 상태이면 해당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부하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소정의 고장 표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부하 구동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전원을 상기 부하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부하에 공급하고, 상기 해당 부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비구동시 소정의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IPS와;
상기 IPS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고장 표시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고장 부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에 전원이 인가되면, 부하 구동 스위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부하 구동 스위치기 '온' 상태임이 판단되면, 해당 부하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부하가 정상적으로 구동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부하가 비정상 구동 상태가 판단되면, 해당 부하 고장을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 전원 제어 방법 동작 순서도 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전원 제어 장치에서 스위치 구동 검출 장치(100)는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상태에 따라 차량의 에어컨, 실내등 및 히터 등의 스위치 온/오프 구동 상태를 검출한다.
제어장치(200)는 상기 스위치 구동 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스위치의 온/오프 구동상태를 입력받아 부하 구동 스위치 상태가 온 상태이면 해당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부하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소정의 고장 표시제어신호를 출력한다.
IPS(300)는 상기 제어장치(200)에서 출력되는 부하 구동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전원을 상기 부하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부하에 공급하고, 상기 해당 부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비구동시 소정의 고장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장치(400)는 상기 IPS(300)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표시장치(500)는 상기 제어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고장 표시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고장 부하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해 전원을 인가하면, 제어장치(200)는 차량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상태를 판단한다(S100,S110).
상기에서 운전자가 차량에서 전기를 소모하는 부하인 에어컨, 차량 실내등 및 실외등, 오디오 등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져 부하 스위치가 '온' 상태임이 판단되면, 제어 장치(200)는 부하 스위치 조작에 따른 해당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정의 부하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20).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에서 소정의 부하 구동 제어신호가 제어장치(200)로부터 출력됨에 따라, IPS(Intelligent Power Switch : 300)는 상기 제어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배터리(미도시) 전원을 부하(400)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에어컨(미도시)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전자의 에어컨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에어컨의 경우에는 아주 높은 순간 시동 전류가 흐름에 따라 상기 IPS(300)가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장치(200)는 각각의 부하에 맞게 해당 제어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어서, 상기 에어컨의 경우 구동 스위치가 '온' 되면 순간 시동 전류에 의해 상기 IPS(300)가 차단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IPS(300)에 소정의 사이클 주기로 스위칭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에서 IPS(300)가 온/오프 스위칭 됨에 따라, 에어컨 콤퓨레셔(미도시)는 전류 공급시 구동되기 시작하여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정상적인 구동으로 최소 전류로 구동이 가능할 때, 제어장치(200)는 IPS(300)에 의해 부하인 에어컨 콤퓨레셔(미도시)에 계속적인 전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에어컨 콤퓨레셔(미도시)를 정상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IPS(300)는 모니터 기능이 부가되어 있어서, 상기 부하의 고장 또는 IPS(300)가 과전류에 의해 차단된 경우, 해당 모니터링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장치(200)는 상기 IPS(300)로부터 모니터링 신호를 인가받아 부하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가를 판단한다(S130).
상기에서 부하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이 판단되면, 제어장치(200)는 부하 구동 스위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10)로 리턴한다.
하지만, 상기에서 부하가 고장 또는 IPS(300)의 차단 등으로 판단되면, 제어장치(200)는 고장이 발생한 해당 부하의 구동 스위치에 표시램프를 점멸 시키기 위한 소정의 고장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40).
표시장치(150)는 상기 제어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운전자가 조작하는 해당 구동 스위치에 고장이 발생함을 알리기 위하여 표시램프를 점멸 시킨다.
상기(S110)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부하에 대하여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운전자가 부하 구동 스위치를 '오프' 시키면 제어장치(200)는 해당 부하의 구동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소정의 구동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50).
이에, IPS(300)는 상기 제어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구동 '오프'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부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이로써, 과전류에서 전원공급장치 및 부하를 보호 할 수 가 있고, 고장 발생시 고장이 발생한 부하에 대하여 신속한 고장수리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내의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과전류에서 차량 전원 공급 장치 및 부하 등을 보호하고, 차량의 퓨즈 박스를 삭제함으로써, 과전류에서 전원공급장치 및 부하를 보호 할 수 가 있고, 고장 발생시 고장이 발생한 부하에 대하여 신속한 고장수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차량의 레이아웃을 간결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상태에 따라 스위치의 온/오프 구동 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 구동 검출수단과;
    상기 스위치 구동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스위치의 온/오프 구동상태를 입력받아 부하 구동 스위치 상태가 온 상태이면 해당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부하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소정의 고장 표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부하 구동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전원을 상기 부하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부하에 공급하고, 상기 해당 부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비구동시 소정의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IPS와;
    상기 IPS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고장 표시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고장 부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2. 차량에 전원이 인가되면, 부하 구동 스위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부하 구동 스위치기 '온' 상태임이 판단되면, 해당 부하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부하가 정상적으로 구동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부하가 비정상 구동 상태가 판단되면, 해당 부하 고장을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방법.
KR10-2002-0029259A 2002-05-27 2002-05-27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32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259A KR100432033B1 (ko) 2002-05-27 2002-05-27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259A KR100432033B1 (ko) 2002-05-27 2002-05-27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330A KR20030091330A (ko) 2003-12-03
KR100432033B1 true KR100432033B1 (ko) 2004-05-17

Family

ID=3238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259A KR100432033B1 (ko) 2002-05-27 2002-05-27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0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629A (ja) * 1988-08-08 1990-02-15 Nippon Denso Co Ltd カーエアコン制御装置
KR970026026U (ko) * 1995-11-06 1997-06-20 성두창 차량 냉,온풍용 모터 과전류 보호와 모터 회전수 수동 및 자동제어장치
KR19980040288A (ko) * 1996-11-29 1998-08-17 박병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50119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원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629A (ja) * 1988-08-08 1990-02-15 Nippon Denso Co Ltd カーエアコン制御装置
KR970026026U (ko) * 1995-11-06 1997-06-20 성두창 차량 냉,온풍용 모터 과전류 보호와 모터 회전수 수동 및 자동제어장치
KR19980040288A (ko) * 1996-11-29 1998-08-17 박병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50119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원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330A (ko)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7104B2 (ja) 放電灯点灯回路
KR101684679B1 (ko) 접속반내의 단자볼트 텐션상태 검출을 통한 화재방지기능을 가지는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0432033B1 (ko)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51047A (ja) 自動車用電源監視装置
CN218675222U (zh) 电路检测装置
JP2005295791A (ja) 端子台ユニ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434145B1 (ko) 차단기의 상태 및 고장알림 장치 및 방법
CN106813342B (zh) 一种红外加湿装置的控制方法和红外加湿装置
CN217063308U (zh) 一种电动工程机械用集成保险盒及其电源分配结构
CN202630311U (zh) 多联空调器的控制装置
KR101097124B1 (ko) 소방전원 보존 작동 및 그 구분 표시 장치를 가진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컨트롤러
JP2002252923A (ja) 出力分岐装置
JP2006246630A (ja) 端子台ユニット
JP2009207331A (ja) 電源保護制御回路
JP7397764B2 (ja) 自動点滅器の切替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0013933A (ja) 制御配電盤
KR200329073Y1 (ko) 고장부위 표시 및 자동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조명등의점등회로
JP2015002669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の電圧異常保護回路
KR200399695Y1 (ko) 경보 기능을 갖는 이산화탄소 감지장치
JPH09238433A (ja) 自家発電機の非常用電源供給システム
JP4262856B2 (ja) 制御装置
JPH0545991U (ja) 信号灯駆動装置
JPH08182182A (ja) 空気調和機の電源回路制御方法
KR200391211Y1 (ko) 인공지능 등주 감지기
JP2008223646A (ja) 可搬式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