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828B1 -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828B1
KR100431828B1 KR10-2001-0083396A KR20010083396A KR100431828B1 KR 100431828 B1 KR100431828 B1 KR 100431828B1 KR 20010083396 A KR20010083396 A KR 20010083396A KR 100431828 B1 KR100431828 B1 KR 100431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emory
memory alloy
composite material
composite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3238A (ko
Inventor
이규창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8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8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9/00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 C22C49/14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the fibres or fila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1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 C08J5/242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using met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7/00Making 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 C22C47/20Making 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by subjecting to pressure and heat an assembly comprising at least one metal layer or sheet and one layer of fibres or fila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01/00Treatment for obtaining particular effects
    • C21D2201/01Shape memory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우주분야, 자동차 경량화 부품 등으로 이용되는 복합재료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세라믹섬유나 장섬유 대신에 형상기억함금 섬유를 강화재로 사용하여 복합재료내 압축력을 부여하여 기계적성질이 우수한 복합재료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 개의 비철금속판재 사이에, 형상기억합금 장섬유가 다수개 배열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복합재료와 사이에 간격조절바(1, 1')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고정된 두 개의 클램프(5, 5')에 다수개의 형상기억합금 장섬유(2) 양단을 고정하여 원하는 부피분율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간격조절바(1, 1')에 의해 두 개의 클램프(5, 5')의 간격을 조절하여 형상기억합금 섬유를 신장하는 단계, 비철금속판재 사이에 상기 신장된 형상기억합금 장섬유 배열을 위치시켜 복합체로 하는 단계, 상기 복합체를 형상기억합금의 오스테나이트 변태온도이상에서 형상기억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Fabrication method of metal metrix composite reinforced by shape memory alloy}
본 발명은 항공우주분야, 자동차 경량화 부품등으로 이용되는 복합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합금판재 내부에 형상기억합금을 강화재로 삽입하여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킨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다.
금속복합재료는 경량이면서 고강도와 고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공우주분야뿐 아니라 자동차 경량화 부품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금속복합재료는 연한금속기지에 단단한 세라믹 강화재(단섬유, 휘스커, 입자 등)를 분산시켜 인장강도, 탄성률 등의 기계적 성질이 크게 개선시킨 재료이다. 그런데, 금속과 세라믹은 서로 혼합할 때 젖음성(wettability)이 좋지 않기 때문에 미리 세라믹으로 예비성형체(preform)를 만들고, 여기에 금속을 용해하여 용탕단조법이라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압력에 의해 금속을 예비성형체 내부에 침투시켜 금속복합재료를 제조하고 있다(일본공개특허 소63-128965). 또한, 장섬유를 이용하여 금속복합재료를 제조할때는, 미리 섬유로 만든 천이나 매트를 이용하거나, 섬유표면에 프라즈마를 이용하여 용사코팅하여 예비성형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분말야금법이나 용탕단조법을 이용하여 금속복합재료를 제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한 금속복합재료는 모재로 사용되는 알미늄이나 마그네슘 등이 대부분이며 강화재로 사용하는 단섬유나 장섬유에 의해 모재금속 보다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복합재료는 재료 그 자체에서 복합화에 의해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고, 열처리 등에 의해서 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일본특허공보 소62-256954).
그러나 단섬유로 복합재료를 제조할 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장섬유나 금속선재로 강화된 금속복합재료를 제조할 때는 제조시에 장섬유나 금속선재가 제조시의 배열과는 달리 제조시의 열과 압력에 의해 배열이 흐트러져서 원하는 기계적 성질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라믹섬유나 장섬유 대신에 형상기억합금 섬유를 강화재로 사용하여 섬유이 배열이 흐트러지지 않고 배열함과 동시에 형상기억합금의 회복력을 이용하여 복합체내에 압축력을 부여함으로서 기계적성질이 우수한 복합재료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형상기억합금 고정용 지그의 일례도
도 2는 형상기억합금과 비철금속판재를 복합체로 하는 공정의 상세도
도 3은 형상기억합금 섬유강화 알루미늄 복합재료의 인장강도(363K)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형상기억합금섬유의 부피분율에 따른 인장강도변화(상온,363K)를 보여주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간격조절바 2..... 형상기억합금섬유
4..... 고정볼트 5, 5'.... 클램프(하형)
6..... 알루미늄판재 7..... 프레스
8..... 지그 9..... 다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재료는, 두 개의 비철금속판재 사이에, 형상기억합금 장섬유가 다수개 배열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재료 제조방법은, 사이에 간격조절바(1, 1')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고정된 두 개의 클램프(5, 5')에 다수개의 형상기억합금 장섬유 양단을 고정하여 원하는 부피분율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간격조절바(1, 1')에 의해 두 개의 클램프(5, 5')의 간격을 조절하여 형상기억합금 섬유를 신장하는 단계,
비철금속판재 사이에 상기 신장된 형상기억합금 장섬유 배열을 위치시켜 복합체로 하는 단계,
상기 복합체를 형상기억합금의 오스테나이트 변태온도이상에서 형상기억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형상기억합금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저온에서는 마르텐사이트상으로 변형이 쉽고 연한 반면에 고온이 되면 오스테나이트상으로 상변태가 일어나 강화되기 때문에 변형이 되기 어렵다. 저온에서 쉽게 변형시킨 형상기억합금을 오스테나이트상 변태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변형되었던 형상기억합금이 본래의 형태로 돌아오려 하는 회복력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형상기억합금의 이러한 회복력에 주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형상기억합금 섬유를 일정하게 배열하면서 신장시켜 비철금속판재 사이에 배열하여 적층체로 만든 다음에, 형상기억 열처리하여 일정하게 배열된 형상기억합금의 회복력에 의해서 복합체 내에 압축력을 일정하게 부여함으로써 복합재료의 기계적성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먼저, 도 1, 2를 통해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철금속판재사이에서 형상기억합금 섬유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형상기억합금섬유 고정용 지그를 사용하여 형상기억합금 섬유를 일방향으로 배열한다. 이와 같이 도 1의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복합재료를 제조하면,금속복합재료 제조 후에 복합재료 내부의 형상기억합금 섬유가 흐트러지지 않아서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다. 즉, 사이에 간격조절바(1, 1')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고정된 두 개의 클램프(5, 5')에 다수개의 형상기억합금 장섬유(2) 양단을 고정하여 원하는 부피분율로 배열한다. 그 다음, 간격조절바(1, 1')에 의해 두 개의 클램프(5, 5')의 간격을 늘려 형상기억합금 섬유를 원하는 길이로 신장한다. 형상기억합금 섬유의 신장정도에 따라 복합체에 부여되는 압축력이 정해진다.
다음으로 도 2와 같이 비철금속판재 사이에 상기 신장된 형상기억합금 장섬유 배열을 위치시킨 다음 복합체로 성형한다. 성형은 핫프레스법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때의 프레스의 가압력은 약 60MPa정도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얻은 복합체를 형상기억합금의 오스테나이트 변태온도이상에서 형상기억 열처리하면 형상기억합금 섬유가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게 되고, 이에 따라 복합체에는 압축력이 부여된다. 물론, 형상기억열처리는 형상기억합금이 원래의 형태로 돌아올 수 있는 온도로 하면 되는 것으로 그 보다 높은 온도에서 할 필요성은 없으나 반드시 비철금속판재의 용융점 이하에서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복합체는, 두 개의 비철금속판재 사이에, 형상기억합금 장섬유가 다수개 배열된 것으로, 복합재료내 형상기억합금의 분율은 3~7부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의 분율이 3부피%이상 되면서 복합체의 기계적특성 개선이 효과적이고 7부피%를 초과하더라도 기계적 특성이 크게 좋아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복합체에서 비철금속판재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아연, 또는 이들의 합금의 그룹에서 선택된 1종으로 한다. 이들 비철금속판재는 융점이 7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복합재료 특성상 경량이면서 고강도를 가져야하고, 강화재로 사용되는 형상기억합금보다 융점이 낮아야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형상기억합금 장섬유는 널리 알려진 TiNi, NiAl, CuZn, FeNiTiCo, TiNb, MnCu, FeCrNi의 그룹에서 선택된 1종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형상기억합금 섬유로 강화된 금속복합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판재 Al6061(1mm)와 직경 500μm의 TiNi 섬유(Ti-50.0at.%, 나머지 Ni)를 사용하였다. 형상기억합금섬유는 도 1의 지그에 일정한 등간격으로 배열하였다. 형상기억합금섬유는 200mm×200mm×1mm의 알루미늄 6061 판재사이에 일정한 배열로 고정되며, 알루미늄 판재는 프레스다이 사이에 놓고 고온에서 압력60MPa을 가하였다. 핫프레스법으로섬유의 체적함유량이 3.2%, 5.2% 및 7%인 3종류의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기지인 알루미늄 6061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T6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제작된 시험편에 대하여 공기 중에서 각각 793K와 813K로 1시간동안 용체화처리 후 수냉 처리하였으며, 이어서 448K에서 시효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복합체에 대한 인장시험은 상온(TiNi 섬유의 Ms온도와 As온도 사이) 및 고온(As 온도 이상)의 두 온도에서 실시하였다. 도 3은 TiNi/Al6061 형상기억복합재료의 363K에서의 응력-변형율 선도를 나타내며, TiNi/Al6061 형상기억복합재료의 상온 및 고온에서의 체적함유량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의 부피분율이 높아질수록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363K에서는 섬유의 체적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나 부피분율이 7%를 넘어서면서 인장강도 개선은 크지 않다. 또한, 고온인 363K에서 상온과는 달리 체적함유량에 따라 강화재인 TiNi 섬유의 강도가 고온에서 매우 높고 또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동안 형상기억합금섬유의 형상기억효과가 지속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합재료의 강화재로 사용하는 세라믹 강화재 대신에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형상기억합금 섬유를 형상기억합금 고정용 지그를 이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함으로써 복합재료 제조후에 기존의 장섬유 강화재의 흐트러짐이 없는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고 기존의 복합재료에서 얻을 수 없었던 높은 인장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비철금속판재사이에 장섬유 배열을 위치시켜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이에 간격조절바(1, 1')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고정된 두 개의 클램프(5, 5')에 TiNi, NiAl, CuZn, FeNiTiCo, TiNb, MnCu, FeCrNi의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인 다수개의 형상기억합금 장섬유 양단을 고정하여 상기 복합재료내 형상기억합금의 분율이 3~7부피%가 되도록 배열하는 단계,
    상기 간격조절바(1, 1')에 의해 두 개의 클램프(5, 5')의 간격을 조절하여 형상기억합금 섬유를 신장하는 단계,
    알루미늄, 마그네슘, 아연, 또는 이들의 합금의 그룹에서 선택된 1종으로 융점이 700℃이하인 비철금속판재 사이에 상기 신장된 형상기억합금 장섬유 배열을 위치시켜 복합체로 하는 단계,
    상기 복합체를 형상기억합금의 오스테나이트 변태온도이상에서 형상기억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2001-0083396A 2001-12-22 2001-12-22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0431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396A KR100431828B1 (ko) 2001-12-22 2001-12-22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396A KR100431828B1 (ko) 2001-12-22 2001-12-22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238A KR20030053238A (ko) 2003-06-28
KR100431828B1 true KR100431828B1 (ko) 2004-05-17

Family

ID=2957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396A KR100431828B1 (ko) 2001-12-22 2001-12-22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526A (ko) 2015-07-08 2017-01-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흡수 에너지 제어가 가능한 상변화 합금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합금
CN107761018A (zh) * 2017-11-08 2018-03-06 北京理工大学 一种TiNi形状记忆合金丝增强镁合金复合材料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244B1 (ko) * 2004-12-22 2006-09-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방법
US7665300B2 (en) 2005-03-11 2010-02-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hin, flexible actuator array to produce complex shapes and force distributions
KR101349013B1 (ko) 2012-04-23 2014-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한 전자전기 부품의 하우징
CN106393730A (zh) * 2016-10-20 2017-02-15 哈尔滨工程大学 形状记忆合金丝混杂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形状记忆合金丝定位夹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8829A (ja) * 1982-12-27 1984-07-09 Mitsubishi Rayon Co Ltd 複合材の成形法
JPH06278235A (ja) * 1993-03-26 1994-10-04 Mitsubishi Heavy Ind Ltd 形状記憶合金繊維強化金属
JPH10278162A (ja) * 1997-04-02 1998-10-20 Mitsubishi Heavy Ind Ltd 積層型複合材およびその層間強化法
US6025080A (en) * 1997-12-08 2000-02-15 Dpd, Inc. Metal matrix materials reinforced with shape memory fibers for enhanced ductility and energy absorption capac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8829A (ja) * 1982-12-27 1984-07-09 Mitsubishi Rayon Co Ltd 複合材の成形法
JPH06278235A (ja) * 1993-03-26 1994-10-04 Mitsubishi Heavy Ind Ltd 形状記憶合金繊維強化金属
JPH10278162A (ja) * 1997-04-02 1998-10-20 Mitsubishi Heavy Ind Ltd 積層型複合材およびその層間強化法
US6025080A (en) * 1997-12-08 2000-02-15 Dpd, Inc. Metal matrix materials reinforced with shape memory fibers for enhanced ductility and energy absorption capac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526A (ko) 2015-07-08 2017-01-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흡수 에너지 제어가 가능한 상변화 합금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합금
CN107761018A (zh) * 2017-11-08 2018-03-06 北京理工大学 一种TiNi形状记忆合金丝增强镁合金复合材料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238A (ko) 200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6955B2 (en) Magnesium based amorphous alloy having improved glass forming ability and ductility
US8906172B2 (en) Amorphous alloy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5508116A (en) Metal matrix composite reinforced with shape memory alloy
KR100505168B1 (ko) 금속성 블랭크 및 그 처리방법
KR100431828B1 (ko)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US20070175550A1 (en)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cu-based amorphous alloy and high fusion point element and composite materials produced by the method
Xu et al. A novel technique for fabricating SMA/CFRP adaptive composites using ultrathin TiNi wires
KR20180006861A (ko) TiNiNb 합금 및 이를 이용한 이음부 고정용 열수축링
KR20060130324A (ko)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CN101805843B (zh) 一种NbTi/TiNi记忆合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666478B1 (ko) 저온 초소성 나노 결정립 티타늄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97189B1 (ko)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US7253219B2 (en) Functional composite material using shape memory allo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3838803B2 (ja) 複合高強度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25320B1 (ko) 금속복합재료의 제조방법
WO2003102256A1 (fr) Fil extremement fin en alliage a memoire de forme, materiau composite destine a la fabrication de ce fil et procede de production associe
KR100252277B1 (ko)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Mizuuchi et al. Processing and properties of TiNi shape memory fiber-reinforced 6061 aluminum matrix composite made by spark plasma sintering
Ruutopold et al. The role of interfaces in the application of rapidly solidified metal ribbons as reinforcements for composites
Xu et al. Effect of mechanical vibration, heat treatment and ternary addition on the hysteresis in shape memory alloys
KR100617244B1 (ko) 형상기억합금으로 강화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방법
CN113802072A (zh) 形变诱导锆基合金
KR100215003B1 (ko)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Mizuuchi The fabrication and thermomechanical behavior of Al and Ti SMA composites
KR100513584B1 (ko)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그네슘 복합재료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