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393B1 -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393B1
KR100431393B1 KR10-2001-0049376A KR20010049376A KR100431393B1 KR 100431393 B1 KR100431393 B1 KR 100431393B1 KR 20010049376 A KR20010049376 A KR 20010049376A KR 100431393 B1 KR100431393 B1 KR 100431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megranate
plum
skin
cosmetic composition
sebum secr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586A (ko
Inventor
이성일
김규식
박지은
이혜원
이영하
김한곤
강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1-004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39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는, 모공 수축에 의해 피지 분비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건조중량으로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10%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실 및 석류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모공을 수축시키고 피지 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지성 피부를 완화시키면서도 피부에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는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the Inhibition of Sebum Secretion Containing the Extracts of the Fruits of Prunus Mume and Punica Granatum}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지 분비를 억제하기 위한 화장료로서,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중 건조중량으로 0.01 내지 10%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가장 큰 기관인 피부는 전체 몸 부피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으면서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해 있어 다양한 외부 병원균 또는 자극 등으로부터 중요한 보호막의 역할을 하고 있다.
피부는 피부 표면의 상태에 따라 건성, 중성, 지성 또는 복합성 등의 여러 타입으로 분류되는데, 이것은 NMF(natural moisturing factor; 천연보습인자)와 피지(sebum)의 양에 의해서 결정된다. NMF와 피지의 양이 균형이 잘 이루어지면 피부는 촉촉함과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피지가 너무 많이 분비되면 지성 피부 또는 여드름 피부가 되기 쉽다. 지성 피부는 피부의 모공이 표면으로 나오게 되므로, 피부 표면에 많은 피지 분비와 함께 모공이 존재하여 얼굴이 지저분해보이고 화장이 쉽게 지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피지 분비로 인한 피부 불쾌감을 완화시켜주고 피부를 산뜻하게 해주며 피부자극을 감소시켜 주는 기능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게 되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화장료를 "수렴제"라고 한다. 수렴제는 피부 상태를 피아노를 조율하듯 원래의 모습에 가깝게 조정하고 청량감을 갖도록 하는데, 이는 일시적으로 피부 단백질을 끌어당겨 과잉의 피지나 땀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수렴제로서 먼저 많은 화학 수렴제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통상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대부분의 화학 수렴제가 인체에 많은 부작용을 유발하기 때문에 화장료로서의 그 이용에 큰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천연 수렴제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기 시작했다. 그러한 관심과 다양한 연구 끝에, 피지 과다 분비 억제 효능을 갖는 수렴 원료 중 천연물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류가 뛰어난 수렴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관해서는 이미 많은 발표가 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들 페놀성 화합물에 의한 피부 수렴 작용은 페놀성 화합물이 피부의 단백질들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페놀성 OH-기는 단백질의 표면과 상호작용하여 단백질들을 연결시키는 연결자로서 작용함으로써 단백질들을 끌어당긴다. 이러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피부는 당겨지는 수축감을느낄 수 있고 모공 수축과 함께 피지 분비가 감소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떠한 천연물로부터 상기와 같은 수렴 효과를 내는 원료를 어떠한 방식으로 얻는 것이 효과적인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것이 많지 않으며 아직도 미흡한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공을 수축시키고 피지 분비를 감소시키면서도 피부에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인체의 피부에 적용한 결과를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공 수축에 의해 피지 분비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건조중량으로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10%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연물은 그 기능이 무궁무진하며 많은 활성 성분을 가지고 있고, 독성이 거의 없으며, 자연친화적인 점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천연물들 중에서 피지 분비 억제 및 지성 피부 제어에 유용한 물질을 검색한 결과 석류와 매실이 수렴 활성이 뛰어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석류와 매실의 이러한 수렴 활성을 임상적으로 입증하기 위하여 석류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인간의 피부에 직접 도포한 후 수렴 효과를 알아본 결과 뚜렷한 지성 피부 개선 효과를 밝힐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매실 및/또는 석류(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인 경우에는 매실 대 석류의 건조 중량비 1:10 내지 10:1의 비율로 혼합한 후)에 추출용매로서 일반 정제수, 초순수 정제수,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에탄올,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및 함수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용매를 상기 매실 및 석류 혼합물 부피의 5 내지 15배 가한 후 추출한다. 추출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 내지 96℃에서 3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내지 37℃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그 건조중량으로서 전체 조성물 중 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는 상기 추출용매 중에서 초순수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 정제수는 제약, 화장품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로 서, 순도를 나타내는 용존 고형분이 1.0 내지 0.5ppm이고, 정제수 제조시 미립자 및 미생물의 제거를 위해 사용하는 필터의 사이즈가 0.2 내지 0.45㎛이며, pH는 약산으로부터 약알칼리까지 다양하다.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제조에 사용되는 초순수 정제수는 용존 고형분이 0.03ppm으로 순도가 매우 높고, 초순수 정제수 제조시 사용되는 필터의 사이즈는 0.001㎛로서 이를 이용하여 미생물이 99.99%제거된 것이며, pH는 중성이므로 피부에 좋다. 이와 같은 차이로 인해, 일반 정제수의 용도는 단순히 금속이온제거 또는 미생물 제균이지만, 초순수 정제수는 금속이온의 제거로 피부 자동산화 반응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금속 이온에 의한 단백질 뭉침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피부가 부드러워지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초순수 정제수는 환경 호르몬 및 페놀, 포름 알데히드, 메탄올 등의 용질, 그리고 미생물을 제거함으로써 피부 건강을 유지시키고, BOD, COD를 제거하여 오염된 불순물을 완전 제거함으로써 얻어진 순수한 물이다. 이러한 초순수 정제수를 화장료 제조에 이용하면 일반 정제수를 이용하는 것 보다 피부의 노화 방지와 건강한 피부의 유지에 더 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가 함유하는 석류는 학명이 푸니카 그라나툼(Punica Granatum)인 석류나무의 열매이며, 석류나무는 이란, 아프가니스탄, 히말라야 등의 페르시아 지방에 자생하였으나, 현재에는 아열대 및 열대 각지에 퍼져있다. 석류는 풍부한 비타민 B, C와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소량으로도 피부의 대사기능과 생리기능을 정상화시켜 비타민 결핍으로 인한 피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가 함유하는 매실은 학명이 프루누스 뭄(Prunus mume)인 매실나무의 열매이며, 약알칼리성 식품으로서 그 성분 중에는 특히, 구연산, 무기질 등의 유익한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인체의 혈액을 약알칼리성으로 만들고, 정혈작용, 강장작용, 보간작용, 피로회복, 노화방지, 살균작용 등을 한다. 과육부분이 전체의 85%이며, 주 성분은 탄수화물이고 당분 10%와 다량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다. 유기산은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구연산의 함량이 다른 과실에 비해 월등히 높다. 그 외에도 카데킨산, 펙틴, 탄닌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매실은 피부의 과도한 지방(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매실이 약알칼리성이어서 비누와 그 성질이 비슷하므로, 산성인 인간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매실은 강한 살균작용, 피로회복작용, 미용효과 등이 공동상승작용을 일으켜 여드름, 잡티 등의 피부 트러블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준다. 또한 피부의 윤기를 살려주고 종기를 없애고 염증을 다스리며, ATP 등의 인체 내의 에너지 물질들을 생성시키며 물속의 독을 없애준다. 또한 매실이 함유한 각종 유기산과 비타민이 혈액순환을 돕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줌으로써 피부를 탄력있고 촉촉하게 수분을 유지해 주며, 항균작용이 뛰어나 약산성 환경에서 잘 자라는 균들을 사멸시킴으로써 피부를 보호한다. 또한 늘어진 피부와 벌어진 모공을 조여줌으로써 피부를 탄력있게 만들어 준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1>
완전 건조시킨 매실 1kg을 정제수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0내지 96℃에서 3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내지 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매실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70℃로 감압 농축하여 건조중량으로 29g을 얻었다.
<실시예2>
추출용매로서 초순수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29g의 매실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3>
추출용매로서 함수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25g의 매실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4>
추출용매로서 함수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20g의 매실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5>
추출용매로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24g의 매실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6>
추출용매로서 함수 글리세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23g의 매실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7>
완전 건조시킨 석류 1kg을 정제수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내지 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석류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70℃로 감압 농축하여 건조중량으로 30g을 얻었다.
<실시예8>
추출용매로서 초순수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7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31g의 석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9>
추출용매로서 함수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7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28g의 석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10>
추출용매로서 함수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7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25g의 석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11>
추출용매로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7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26g의 석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12>
추출용매로서 함수 글리세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7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22g의 석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13>
완전 건조시킨 매실 및 석류의 혼합물(매실:석류 = 1:1) 1kg을 정제수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0내지 96℃에서 3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내지 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70℃로 감압 농축하여 건조중량으로 37g을 얻었다.
<실시예14>
추출용매로서 초순수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3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38g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매실:석류 = 1:1)을 얻었다.
<실시예15>
추출용매로서 함수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3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34g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매실:석류 = 1:1)을 얻었다.
<실시예16>
추출용매로서 함수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3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35g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매실:석류 = 1:1)을 얻었다.
<실시예17>
추출용매로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실시예13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30g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매실:석류 = 1:1)을 얻었다.
<실시예18>
추출용매로서 함수 글리세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3과 동일한 방법을 거쳐 건조중량 28g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매실:석류 = 1:1)을 얻었다.
실험예1. 피지 과다 분비 억제 시험(1)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18에 대하여 모공 수축으로 인한 피지 과다 분비 억제 효과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피부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은 폴리페놀과 결합하여 모공을 당겨 수축시킨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모공 수축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부를 대신할 단백질로 헤모글로빈을 사용하였다. 헤모글로빈은 뉴질랜드산 알비노 래빗(Albino Rabbit)의 혈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채취 후 50배의 정제수로 희석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헤모글로빈 용액 2.0ml와 농도별로 희석된 시료 2.0ml를 원심분리관 용기에 넣어 진탕 혼합한 후 3500rpm 조건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 후 상등액을 취해 57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피지 분비 억제 효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피지 분비 억제 효과(%)={1-(시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상기 실시예 1 내지 18에 대한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표1과 같다.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시료의 최종 농도(㎍/ml) 피지 분비 억제 효과(%)
실시예1 50 67
실시예2 50 79
실시예3 50 68
실시예4 50 69
실시예5 50 71
실시예6 50 70
실시예7 50 69
실시예8 50 82
실시예9 50 65
실시예10 50 63
실시예11 50 56
실시예12 50 61
실시예13 50 75
실시예14 50 97
실시예15 50 68
실시예16 50 65
실시예17 50 73
실시예18 50 7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2가 실시예1 및 실시예 3 내지 6의 경우보다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그리고 실시예8이 실시예7 및 실시예 9 내지 12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고, 또한 실시예14가 실시예13 및 실시예 15 내지 18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므로, 추출용매로서 초순수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매실 또는 석류 각각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12보다 매실과 석류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13 내지 18의 경우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보아, 매실과 석류를 함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매실 및 석류를 모두 함유하고 추출용매로서 초순수 정제수를 사용한 화장료(실시예14)가 피지 분비 억제 기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2. 피지 과다 분비 억제 시험(2)
본 발명자들은 피부를 대신할 단백질로서 알부민을 사용하여 피지 과다 분비 억제에 관해 시험하였다. 알부민은 sigma사로부터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알부민 용액을 0.3%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그 후 원심분리관 용기에 여러 농도의 시료(실시예 1 내지 18) 2ml와 상기 제조된 알부민 용액 2ml를 혼합하였다.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 방치한 후 6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은 각 천연 혼합물과 단백질과의 엉김에 의한 혼탁정도를 비교하는 것으로 흡광도의 값이 높을 수록 좋은 수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시료의 최종 농도(㎍/ml) 피지 분비 억제 효과(흡광도값)
실시예1 10 0.8245
실시예2 10 1.0978
실시예3 10 0.8152
실시예4 10 0.7932
실시예5 10 0.6541
실시예6 10 0.6921
실시예7 10 0.6771
실시예8 10 0.9237
실시예9 10 0.6251
실시예10 10 0.6932
실시예11 10 0.7521
실시예12 10 0.5439
실시예13 10 0.9513
실시예14 10 1.5035
실시예15 10 0.9213
실시예16 10 0.8734
실시예17 10 0.8392
실시예18 10 0.813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2에서도 실시예2가 실시예1 및 실시예 3 내지 6의 경우보다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그리고 실시예8이 실시예7 및 실시예 9 내지 12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고, 또한 실시예14가 실시예 13 및 실시예 15 내지 18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므로, 추출용매로서 초순수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매실 또는 석류 각각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12보다 매실과 석류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18의 경우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매실과 석류를 함께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험예1 및 실험예2를 통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입증된 초순수 증류수로 추출한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의 제형예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처방예1:화장수(스킨로션)>
No. 성분 제형예1 비교제형예1
1 실시예2의 매실 추출물 5.0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 글리콜 2.0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1.0 1.0
6 에탄올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제형예1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제수에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방부제를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 피마자유를 60℃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그 다음에 향료를 투입 교반하여 얻어진 용액을 정제수에 투입한다. 여기에 상기 실시예2로부터 얻어진 매실추출물,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및 색소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다음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시킨 후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1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2로부터 얻어진 매실 추출물을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형예1과 같다.
< 처방예2:화장수(스킨로션)>
No. 성분 제형예2 비교제형예2
1 실시예8의 석류 추출물 5.0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 글리콜 2.0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1.0 1.0
6 에탄올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제형예2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제수에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방부제를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 피마자유를 60℃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그 다음에 향료를 투입 교반하여 얻어진 용액을 정제수에 투입한다. 여기에 상기 실시예8로부터 얻어진 석류추출물,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및 색소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다음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시킨 후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2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8로부터 얻어진 석류 추출물을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형예2와 같다.
<처방예3: 화장수(스킨로션)>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에 관한 제형은 다음 표5과 같다.
No. 성분 제형예3 비교제형예3
1 실시예14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5.0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 글리콜 2.0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1.0 1.0
6 에탄올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제형예3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제수에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방부제를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 피마자유를 60℃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그 다음에 향료를 투입 교반하여 얻어진 용액을 정제수에 투입한다. 여기에 상기 실시예14로부터 얻어진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및 색소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다음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시킨 후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3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14로부터 얻어진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형예3과 같다.
<처방예4: 영양로숀>
화장료 중 영양로숀에 관한 제형은 다음 표 6와 같다.
No. 성분 제형예4 비교제형예4
1 실시예14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5.0 -
2 시토 스테롤 1.70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1.50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1.2 1.2
6 콜레스테롤 1.5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10.0 10.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1 산탄검 0.3 0.3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상기 제형예4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토 스테롤,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세라마이드, 세테아레스-4 및 콜레스테롤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상기 실시예14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디세틸포스페이트, 농글리세린 및 정제수와 혼합한 다음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시킨 후 선플라우어오일을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산탄검, 방부제 및 향료를 투입 및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4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14로부터 얻어진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형예4와 같다.
<처방예5: 영양크림>
화장료 중 영양크림에 관한 제형은 다음 표 7과 같다.
No. 성분 제형예5 비교제형예5
1 실시예14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5.0 -
2 시토 스테롤 4.0 4.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0 3.0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2.0 2.0
6 콜레스테롤 3.0 3.0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22.0 22.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11 트리에탄올아민 0.5 0.5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상기 제형예5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토 스테롤,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세라마이드, 세테아레스-4 및 콜레스테롤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상기 실시예14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디세틸포스페이트, 농글리세린 및 정제수와 혼합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시킨 후 선플라우어오일을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및 향료를 투입 및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5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14로부터 얻어진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형예5과 같다.
<처방예6: 맛사지 크림>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에 관한 제형은 다음 표 8과 같다.
No. 성분 제형예6 비교제형예6
1 실시예14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5.0 -
2 밀납 10.0 10.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0.8
5 유동파라핀 40.0 40.0
6 스쿠알란 5.0 5.0
7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8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2 0.2
9 글리세린 5.0 5.0
10 부틸렌글리콜 3.0 3.0
11 프로필렌글리콜 3.0 3.0
1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3 방부제 미량 미량
14 색소 미량 미량
15 향료 미량 미량
16 정제수 잔량 잔량
상기 제형예6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방부제 및 정제수를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밀납, 폴리솔베이트6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80 내지 85℃ 사이로 가열한 후 투입하여 유화한다. 유화가 종료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시킨 후 색소를 투입하고 45℃까지 냉각시킨다. 그 후 향료를 투입하고 35℃까지 냉각시킨 후 상기 실시예14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시킨 후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6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14로부터 얻어진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형예6와 같다.
<처방예7: 영양 에센스>
화장료 중 영양 에센스에 관한 제형은 다음 표 9와 같다.
No. 성분 제형예7 비교제형예7
1 실시예14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5.0 -
2 시토 스테롤 1.70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1.50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1.2 1.2
6 콜레스테롤 1.5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1 산탄검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상기 제형예7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토 스테롤,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세라마이드, 세테아레스-4 및 콜레스테롤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상기 실시예14의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 디세틸포스페이트, 농글리세린 및 정제수와 혼합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시킨 후 선플라우어오일을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다음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산탄검, 방부제 및 향료를 투입 및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7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14로부터 얻어진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형예7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형예1, 제형예2, 제형예3으로 제조된 화장수의 지성 피부 완화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1: 지성 피부 완화 시험
상기 제형예1 및 비교제형예1에 따라 제조된 각 화장수를 인간의 피부에 도포했을 때 지성 피부의 완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20 내지 55세의 여성층으로서 지성피부로 판별된 20명의 이마 왼쪽 부분에 제형예1의 화장수를, 그리고 이마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제형예1의 화장수를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피부 유분 측정기(Sebumeter SM 810)를 이용하여 피부의 피지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20℃, 상대습도 20%에서 이루어졌고, 측정결과는 다음의 표 10에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참고로 지성피부인 경우 측정값이 220이상이고, 정상피부인 경우에는 100-220사이이다.
기간 적용전 7일후 14일후 21일후 28일후
제형예1 240 230 221 220 215
비교제형예1 240 240 238 235 230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1의 화장수를 도포한 경우가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1의 화장수를 도포한 경우에 비해 현저히 피부 유분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매실추출물이 피지 과다 분비에 의한 지성피부에 유의한 완화 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시험예2: 지성 피부 완화 시험
상기 제형예2 및 비교제형예2에 따라 제조된 각 화장수를 인간의 피부에 도포했을 때 지성 피부의 완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20 내지 55세의 여성층으로서 지성피부로 판별된 20명의 이마 왼쪽 부분에 제형예2의 화장수를, 그리고 이마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제형예2의 화장수를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피부 유분 측정기(Sebumeter SM 810)를 이용하여 피부의 피지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20℃, 상대습도 20%에서 이루어졌고, 측정결과는 다음의 표 11에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참고로 지성피부인 경우 측정값이 220이상이고, 정상피부인 경우에는 100-220사이이다.
기간 적용전 7일후 14일후 21일후 28일후
제형예2 240 230 222 215 212
비교제형예2 240 240 238 235 230
상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2의 화장수를 도포한 경우가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2의 화장수를 도포한 경우에 비해 현저히 피부 유분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석류 추출물이 피지 과다 분비에 의한 지성피부에 유의한 완화 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시험예3: 지성 피부 완화 시험
상기 제형예3 및 비교제형예3에 따라 제조된 각 화장수를 인간의 피부에 도포했을 때 지성 피부의 완화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20 내지 55세의 여성층으로서 지성피부로 판별된 20명의 이마 왼쪽 부분에 제형예3의 화장수를, 그리고 이마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제형예3의 화장수를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피부 유분 측정기(Sebumeter SM 810)를 이용하여 피부의 피지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20℃, 상대습도 20%에서 이루어졌고, 측정결과는 다음의 표 8 및 도 1에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참고로 지성피부인 경우 측정값이 220이상이고, 정상피부인 경우에는 100-220사이이다.
기간 적용전 7일후 14일후 21일후 28일후
제형예3 245 237 229 218 198
비교제형예3 245 240 238 235 230
상기 표 12 및 하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3의 화장수를 도포한 경우가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3의 화장수를 도포한 경우에 비해 현저히 피부 유분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이 피지 과다 분비에 의한 지성피부의 완화 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매실 및 석류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모공을 수축시키고 피지 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지성 피부를 완화시키면서도 피부에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는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모공 수축에 의해 피지 분비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매실 및 석류의 추출물을 건조중량으로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10% 함유하며,
    상기 매실 및 석류의 추출물은 초순수 정제수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매실 대 석류의 중량비가 1:10 내지 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매실 및 석류를 5 내지 37℃의 용매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매실 및 석류에 용매를 가하여 50 내지 95℃에서 3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및 영양 에센스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49376A 2001-08-16 2001-08-16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1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376A KR100431393B1 (ko) 2001-08-16 2001-08-16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376A KR100431393B1 (ko) 2001-08-16 2001-08-16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86A KR20030015586A (ko) 2003-02-25
KR100431393B1 true KR100431393B1 (ko) 2004-05-14

Family

ID=2771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376A KR100431393B1 (ko) 2001-08-16 2001-08-16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227A (ko) * 2002-10-18 2004-04-29 추명호 가슴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FR2908045B1 (fr) * 2006-11-08 2009-01-09 Limousine D Applic Biolog Dite Utilisation anti-pelliculaire d'un principe actif riche en tannis hydrolysables
KR101290618B1 (ko) * 2011-04-05 2013-07-30 (주)아우딘퓨쳐스 갈아만든 과즙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920811A (zh) * 2012-12-03 2013-02-13 西南大学 一种防治大鲵烂腿病的中药制剂
CN113116788A (zh) * 2021-05-18 2021-07-16 湖州仁耀医疗用品开发有限公司 一种抑菌护肤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37A (ja) * 1992-05-20 1993-12-03 Tsuneo Nanba 抗酸化剤
JPH07196526A (ja) * 1994-01-11 1995-08-01 Takano Co Ltd コラゲナーゼ阻害剤
WO1996024327A1 (fr) * 1995-02-09 1996-08-15 Hanna, Claude Compositions a activite depigmentante ainsi que leurs applications
KR960030917A (ko) * 1995-02-06 1996-09-17 김성녕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JP2001002549A (ja) * 1999-06-16 2001-01-09 Noriko Takeda 化粧料
KR20020043339A (ko) * 2000-12-02 2002-06-10 이재민 매실의 다알코올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37A (ja) * 1992-05-20 1993-12-03 Tsuneo Nanba 抗酸化剤
JPH07196526A (ja) * 1994-01-11 1995-08-01 Takano Co Ltd コラゲナーゼ阻害剤
KR960030917A (ko) * 1995-02-06 1996-09-17 김성녕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WO1996024327A1 (fr) * 1995-02-09 1996-08-15 Hanna, Claude Compositions a activite depigmentante ainsi que leurs applications
JP2001002549A (ja) * 1999-06-16 2001-01-09 Noriko Takeda 化粧料
KR20020043339A (ko) * 2000-12-02 2002-06-10 이재민 매실의 다알코올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제628-629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86A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4115B1 (en) Antipruritic 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promoting wound healing
US5578312A (en) Skin care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oisture retention in skin
CN105616283A (zh) 一种植物精粹修护面霜
KR20200029981A (ko) 아토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20070095588A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150045049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2037869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CN109939193A (zh) 一种治疗皮肤湿疹的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KR100431393B1 (ko)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N112472629A (zh) 一种高良姜草果防晒乳液及其制备方法
KR100372360B1 (ko)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무취 마늘추출물 및/또는 가시오갈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111249A (ko) 치아시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150053308A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KR102071600B1 (ko) 민감성피부 및 피부트러블 개선용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
KR100451387B1 (ko) 피부 탄력 증가와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원지, 길경,병풀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 제조 방법
EP2467120B1 (de) Zusammensetzung zur reinigung und/oder pflege von haut mit einer ethanolisch-wässrigen hydrodispersiblen minzkomposition
KR100433055B1 (ko) 하눌타리의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058754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KR100675808B1 (ko) 헤나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파티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나노파티클의 제조방법
DE202006019185U1 (de) Feuchtigkeitsspendendes, wasserhaltiges Sanddorn-Hautpflegepräparat
KR20240069019A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