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233B1 - 고체 촬상 소자 및 이를 사용하는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고체 촬상 소자 및 이를 사용하는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233B1
KR100431233B1 KR1019960033319A KR19960033319A KR100431233B1 KR 100431233 B1 KR100431233 B1 KR 100431233B1 KR 1019960033319 A KR1019960033319 A KR 1019960033319A KR 19960033319 A KR19960033319 A KR 19960033319A KR 100431233 B1 KR100431233 B1 KR 100431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ckup
pixels
solid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156A (ko
Inventor
가즈야 요네모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1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1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storage means other than floating diff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06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고체 촬상 소자는 매트릭스로 배열되어 입사광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픽셀들; 한 열의 픽셀들이 공통 접속된 수직 신호 라인; 상기 수직 신호 라인에 대해 제공된 다수의 기억 수단; 상기 픽셀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상기 수직 신호 라인을 통해 판독하고 상기 다수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스위칭 수단; 서로 다른 축적 시간들을 갖는 다수의 행들; 및 다수의 수평 신호 라인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제2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체 촬상 소자 및 이를 사용하는 촬상 장치{Solid-State Image Pickup Element and Image Pickup Device Using Thi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고체 촬상 소자(solid-state image pickup element) 및 이를 사용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전자 변환에 의해 획득된 픽셀 정보를 픽셀 단위로 판독할 수 있는 X-Y 어드레스형 고체 촬상 소자 및 이를 사용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X-Y 어드레스형 고체 촬상 소자의 한 종류인 증폭형 고체 촬상 소자에서, 픽셀들 자체에 증폭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MOS 구조의 활성 장치 등(MOS 트랜지스터)이 사용되어 픽셀들을 형성한다. 증폭형 고체 촬상 소자의 종래 기술의 일례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다수의 픽셀 트랜지스터들(81)은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픽셀 트랜지스터들(81)의 게이트 전극들은 수직 선택 라인들(82)에 행 단위로 접속되며, 소스 전극들은 수직 신호 라인들(83)에 열 단위로 접속되고, 전원 전압 VD는 드레인 전극들에 인가된다. 수직 선택 라인들(82)은 수직 스캐너(84)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각각의 수직 신호 라인(83)은 동작 스위치인 NchMOS 트랜지스터(85)의 드레인 전극에 접속된다. MOS 트랜지스터(85)의 소스 전극은 부하 커패시터(86)의 한 단부에 접속되고, 또한 수평 스위치인 NchMOS 트랜지스터(87)의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며, 동작 펄스 Φ OP는 트랜지스터(87)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 부하 커패시터(86)의 다른 단부는 접지된다. MOS 트랜지스터(87)의 소스 전극은 수평 신호 라인(88)에 접속되고 게이트 전극은 수평 스캐닝 회로(89)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수평 신호 라인(88)의 한 단부는 출력 단자(90)에 접속된다.
상술된 구성의 증폭형 고체 촬상 소자에서, 입사 광은 광량에 대응하는 전하량의 신호 전하로 픽셀 트랜지스터들(81)에 의해 광전자적으로 변환된다. 입사광량에 대응하는 픽셀 트랜지스터들(81)로부터의 신호는 수직 신호 라인(83)을 경유하여 동작 스위치인 MOS 트랜지스터(85)를 통과하여, 부하 커패시터(86)에 유지된다. 이 유지된 신호는 수평 스캐닝 회로(89)에 의해 제어되는 수평 스위치인 MOS 트랜지스터(87)를 통해 출력되고, 수평 신호 라인(88)을 통과하여 출력 단자(90)을 통해 외부로 인도된다.
이러한 종류의 증폭형 고체 촬상 소자에서, 광전자 변환에 의해 각 픽셀에서 축적된 신호 전하에 대해 거의 선형인 출력 신호가 획득되고, 각 픽셀에서 축적될 수 있는 신호 전하 량에 의해 촬상 소자의 동적 범위가 결정된다. 도 9는 촬상 소자의 입사 광량과 출력 신호 레벨간의 관계를 도시한 입출력 특성 그래프이다. 이 입출력 특성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촬상 소자의 동적 범위는 픽셀의포화 신호 레벨과 잡음 레벨에 의해 결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증폭형 고체 촬상 소자에서, 각 픽셀에서 축적될 수 있는 신호 전하량이 픽셀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카메라 렌즈의 개구가 저휘도용으로 조정될 때, 고휘도 피사체의 피사체 신호들은 포화가 되고, 역으로, 카메라 개구가 고휘도 피사체용으로 조정될 때, 저휘도 피사체의 신호들은 잡음에 파묻히게 되어서 화상 인식 등에 필요한 동적 범위를 획득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사광량에 대한 출력 신호 레벨의 동적 범위를 비약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는 고체 촬상 소자 및 이를 이용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체 촬상 소자는 한 열의 픽셀들이 공통 접속된 각각의 수직 신호 라인에 대해 다수의 기억 수단이 제공되고, 서로 다른 축적 시간들을 갖는 다수의 행들의 픽셀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은 수직 신호 라인을 통해 다수의 제1 스위칭 수단에 의해 판독되고 다수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신호들은 판독되어 다수의 제2 스위칭 수단에 의해 다수의 수평 신호 라인들을 통해 출력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축적 시간들을 갖는 다수의 행들의 픽셀들을 기초로 다수의 출력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고체 촬상 소자가 사용되고, 이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출력 신호들이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동기화되고, 함께 가산되어, 영상 신호로서 출력된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매트릭스로 배열되어 입사광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픽셀들; 한 열의 픽셀들이 공통 접속된 수직 신호 라인; 상기 수직 신호 라인에 대해 제공된 다수의 기억 수단; 상기 픽셀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상기 수직 신호 라인을 통해 판독하고 다수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스위칭 수단; 서로 다른 축적 시간들을 갖는 다수의 행들; 및 다수의 수평 신호 라인들을 통해 다수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제2 스위치들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픽셀들의 축적 시간들이 전자 셔터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고체 촬상 소자를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영상 신호로서 초기에 스캔된 행들의 픽셀들의 축적 시간들은 후에 스캔된 행의 픽셀의 시간보다 더 짧게 설정된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축적 시간들을 갖는 다수의 행들의 픽셀들을 기초로 다수의 출력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다수의 출력 신호들을 동기화하고 함께 가산하며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동기화된 출력 신호들을 선형 또는 비선형 입출력 특성을 갖는 회로를 통과시킨 후에 이 동기화된 출력 신호들을 함께 가산하는 신호처리 회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촬상 소자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촬상 소자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클립핑 회로의 일례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클립핑 회로의 다른 일례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종래 기술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종래 기술의 일례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폭형 고체 촬상 소자
11 : 픽셀 트랜지스터
12 : 수직 선택 라인
13 : 수직 신호 라인
14 : 수직 스캐닝 회로
15 : 전자 셔터 스캐닝 회로
16, 17 : MOS 트랜지스터
18, 19 : 부하 커패시터
22, 23 : 수평 신호 라인
25, 26 : 출력 단자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소자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다수의 픽셀 트랜지스터들(11)(이 예에서는, NchMOS 트랜지스터들이 도시되어 있음)은 매트릭스로 배열되어 있고, 픽셀 트랜지스터들(11)의 게이트 전극들은 수직 선택 라인들(12)에 행 단위로 접속되고, 소스 전극들은 수직 신호 라인들(13)에 열 단위로 접속되고 전원 전압 VD은 드레인 전극들에 인가된다. 수직 선택 라인들(12)은 수직 스캐닝 회로(14) 및 전자 셔터 스캐닝 회로(15)의 출력 단자들에 접속된다.
수직 스캐닝 회로(14)는 시프트 레지스터 등으로 구성되며, 수직 스캐닝하면서 픽셀 정보를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판독하기 위해 수직 선택 라인들(12)에 수직 선택 펄스들을 ΦV(..., ΦVm, ..., ΦVp, ...)을 인가한다. 전자 셔터 스캐닝 회로(15)는 또한 유사하게 시프트 레지스터 등으로 구성되며, 픽셀들의 축적 시간들을 라인 단위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수직 신호 라인들(13) 각각은 동작 스위치들(제1 스위칭 수단)인 예를 들어 2개의 NchMOS 트랜지스터들(16, 17)의 드레인 전극들에 접속된다. 이 MOS 트랜지스터들(16, 17)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동작 펄스들 ΦOP1, ΦOP2가 게이트 전극들에 인가된다. MOS 트랜지스터들(16, 17)의 소스 전극들은 기억 수단인 2개의 부하 커패시터들(18, 19)의 제1 단부들에 접속되고, 또한 수평 스위치들(제2 스위칭 수단)인 2개의 NchMOS 트랜지스터들(20, 21)의 드레인 전극들에 접속된다. 부하 커패시터들(18, 19)의 제2 단부들은 모두 접지된다.
MOS 트랜지스터들(20, 21)의 소스 전극들은 수평 신호 라인들(22, 23)에 각각 접속되고, 게이트 전극들은 수평 스캐닝 회로(24)의 출력 단자에 공통 접속된다. 이 수평 스캐닝 회로(24)는 시프트 레지스터 등으로 구성되고 수평 스캐닝 펄스들 ΦH(..., ΦHn, ΦHn+1, ...)을 MOS 트랜지스터들(20, 21)의 게이트 전극들에 인가하여, MOS 트랜지스터들(20, 21)을 턴 온시킴으로써, 부하 커패시터들(18, 19)의 제1 단부들을 수평 신호 라인들(22, 23)에 접속시킨다. 수평 신호 라인들(22, 23)의 단부들은 출력 단자들(25, 26)에 각각 접속된다. 이렇게 증폭형 고체 촬상 소자(10)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술된 구성의 증폭형 고체 촬상 소자(10)의 동작에 대해 기술하겠다.
먼저, 수직 스캐닝 기간과 거의 동일한 시간 동안 축적한 행 ΦVm의 수직 선택 라인(12)의 픽셀 트랜지스터(11)의 신호는 특정 수평 블랭킹 기간 내에 수직 신호 라인(13)으로부터 동작 스위치인 MOS 트랜지스터(16)를 통해 판독되어, 신호 전압으로서 부하 커패시터(18)에 유지된다. 그 후, 판독이 완료된 행 ΦVm의 수직 선택 라인(12)의 픽셀 트랜지스터(11)에서 축적된 신호 전하가 리셋된다. 픽셀들의 축적 시간의 제어는 전자 셔터 스캐닝 회로(15)에 의해 실행된다.
다음, 동일한 수평 블랭킹 기간 내에 예를 들어 초기에 1/1000초 동안 한 번 판독 및 리셋된 행 ΦVp의 수직 선택 라인(12)의 픽셀 트랜지스터(11)의 신호는 수직 선택 라인(12)으로부터 MOS 트랜지스터(17)를 통해 부하 커패시터(19)로 판독되어 부하 커패시터(19)에 신호 전압으로서 유지된다. 그 후 판독이 완료된 행 ΦVp의 수직 선택 라인(12)의 픽셀 트랜지스터(11)에서 축적된 신호 전하는 리셋된다. 그 결과, 수직 스캐닝 기간이 1/60초라고 가정하면, 축적 시간이 각각 (1/60-1/1000)초 및 1/1000초인 신호들이 부하 커패시터들(18, 19)에 각각 유지된다. 이 신호들은 각각 신호 L 및 신호 S라고 한다.
부하 커패시터들(18, 19)에 유지된 신호들 L 및 S는 수평 스위치들인 MOS 트랜지스터들(20, 21)을 통해 수평 신호 라인들(22, 23)에 출력되고, 출력 단자들(25, 26)을 통과하여, 각각 출력 신호들 OUT1 및 OUT2로서 외부로 인도된다. 여기에서, 입사광량에 대한 출력 신호들 OUT1 및 OUT2의 신호 레벨들 간의 관계가 도 4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출력 신호 OUT1은 종래 기술의 예의 경우와 동일한 입사 광량 R1에서 포화되는 반면, 출력 신호 OUT2는 입사광량 R2가 제공될 때까지 포화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예를 들어 2개의 부하 커패시터들(18, 19)이 하나의 수직 신호 라인(13)에 대해 제공되는 구조를 적용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축적 시간들을 갖는 다수의 행들의 픽셀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은 수직 신호 라인(13)을 통해 MOS 트랜지스터들(16, 17)에 의해 판독되고, 부하 커패시터들(18, 19)에 기억되며, 부하 커패시터들(18, 19)에 기억된 신호들은 MOS 트랜지스터들(20, 21)에 의해 수평 신호 라인들(22, 23)을 통해 출력되어, 단일 고체 촬상 소자(10)로부터 동시에 서로 다른 축적 시간들을 갖는 출력 신호들 OUT1 및 OUT2가 획득된다. 그 결과, 종래 기술의 고체 촬상 소자에서는 픽셀들이 포화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획득될 수 없는 영상 신호가 다른 단자로부터 출력되고, 비록 개별의 단자들을 통해서이기는하지만, 광범위한 입사광량에 대한 콘트라스트를 갖는 신호가 획득된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2개의 부하 커패시터들(18, 19)이 각각의 수직 신호 라인(13)에 대해 제공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3개 이상의 부하 커패시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동작 스위치들 및 수평 스위치들을 동일한 수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고체 촬상 소자(10)에서, 출력 신호들 OUT1 및 OUT2로서, 서로 다른 행들의 픽셀들로부터의 신호들이 동시에 인도되는데, 이것은 디스플레이 또는 화상 프로세싱 등이 실행될 때 불편하다. 그러나,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는 이 문제점을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서는, 고체 촬상 소자(10)로부터 출력되고, 나중에 스캔되는 행의 픽셀 신호(도 1에서는, 출력 신호 OUT1)을, FIFO(First In First Out) N행 라인 메모리(31)를 통과시킴으로써, 출력 신호 OUT1과 동일한 행이고 출력 신호 OUT1 보다도 늦게 출력되는 출력 신호 OUT2에 정합하도록 상기 픽셀 신호의 타이밍이 조정(동기화)되어, 그 후 이 동기화된 출력 신호들 OUT1 및 OUT2가 가산기(32)에 의해 함께 가산되는 구조의 신호 처리 회로(30)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경우에, 라인 메모리(31)의 용량으로서, (m-p) 행들이면 충분하다. 이것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축적 시간이 짧은 행 ΦVp가 축적 시간이 긴 행 ΦVm 이전에 스캔되도록 설정되면 적은 메모리 용량만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행 ΦVp의 축적 시간이 행 ΦVp와 행ΦVm 간의 행 차이와 수평 스캐닝 기간의 곱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먼저 스캔된 행 ΦVp의 축적 시간이 짧게 설정되면, 행 ΦVp와 행 ΦVm 간의 행 차이가 작게 되고 그 결과 필요한 메모리 용량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에서, 나중에 스캔되는 행의 픽셀 신호인 신호 L(출력 신호 OUT1)을 라인 메모리(31)에 기억시키고 동일한 행의 픽셀 신호가 신호 S(출력 신호 OUT2)로서 다시 출력될 때, 신호 L 및 신호 S를 함께 가산하여 영상 신호로서 출력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출력 신호 레벨과 입사광량간의 관계가 구해진다. 그 결과, 도 4의 입출력 특성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감도가 입사광량 R1을 경계로 변경되고 관계가 비선형이더라도, 입사광에 대한 동적 범위는 비약적으로 확대된다.
이제, 임의의 종류의 고체 촬상 소자에서 픽셀들의 포화 신호 레벨들의 분산이 있기 때문에, 출력 신호 OUT1 및 출력 신호 OUT2가 단순히 함께 가산될 때, 도 4의 광량 범위 R1 내지 R2에서, 픽셀들의 포화 신호 레벨들의 분산은 영상에 그대로 나타난다. 즉, 광량 범위 R1 내지 R2에서 출력 신호 OUT1이 픽셀들의 포화 신호 레벨들의 분산이 되기 때문에, 가산 신호(OUT1+OUT2)는 출력 신호 OUT1을 구성하는 픽셀들의 포화 신호 레벨들의 분산, 즉, 고정 패턴 잡음에 출력 신호 OUT2가 중첩되는 매우 나쁜 S/N 비율을 갖는 신호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이 문제점을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도 5는 이 양호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부분들과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본 양호한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회로(30)에서, 상술된 픽셀 포화 신호 레벨 분산을 제거하기 위해, 클립핑 회로(33)가 고체 촬상 소자(10)의 출력 신호 OUT1의 출력 단자와 라인 메모리(31) 사이에 삽입되고, 또한 클립핑 회로(34)가 출력 신호 OUT2의 출력 단자와 가산기(32) 사이에 삽입된다.
여기서, 클립핑 회로들(33 및 34)은 상기 특정 고정 값 이상의 신호들을 고정 값으로 대체하는 회로들이고, 특정 고정 값은 픽셀들의 분산된 포화 신호 레벨들 중 최소 값 보다 더 낮게 설정된다. 이 예에서, 클립핑 회로(34)가 출력 신호 OUT2 측에 삽입되었지만, 도 4의 입출력 특성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 신호 OUT2가 입사광량 R2가 될 때까지는 포화 레벨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그 보다 큰 동적 범위가 필요하지 않을 때, 클립핑 회로(34)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에, 클립핑 회로들(33 및 34)의 입출력 특성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입출력 특성들을 갖는 클립핑 회로들(33 및 34)을 삽입함으로써, 출력 신호 OUT1이 픽셀의 포화 레벨에 도달하더라도, 픽셀의 포화 신호 레벨 보다 더 낮게 설정된 클립핑 레벨로 클립되기 때문에, 픽셀의 포화 신호 레벨의 분산, 즉, 고정 패턴 잡음의 영향이 없고, 그 결과 높은 S/N 비율을 갖는 영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선형 입출력 특성 대신 클립핑 회로(33)에 도 7에 도시된 비선형 입출력 특성들이 주어지면, 도 4의 입출력 특성의 입사광량 R1에서 부자연스런 단차 특성이 제거될 수 있고 입출력 특성이 완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자연스런 계조(natural gradation)를 갖는 영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촬상 소자에 있어서, 다수의 기억수단이 각각의 수직 신호 라인에 대해 제공되고 서로 다른 축적 시간들을 갖는 다수의 행들의 픽셀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이 수직 신호 라인을 통과하여 다수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고 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신호들이 다수의 수평 신호 라인들을 통해 출력되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픽셀들이 포화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획득되지 않은 영상 신호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입사광량들에 대하여 콘트라스트를 갖는 영상 신호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입사광량에 대한 출력 신호 레벨의 동적 범위를 비약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축적 시간들을 갖는 다수의 행들의 픽셀들을 기초로 다수의 출력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고체 촬상 소자가 사용되고 이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출력 신호들은 동기화되고, 함께 가산되어 영상 신호로서 출력되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행들의 픽셀들로부터의 신호들이 동시에 출력되지는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또는 화상 처리 등이 실행될 때에도 문제점들을 야기하지 않는 영상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입사광량에 대한 출력 신호 레벨의 동적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Claims (5)

  1. 매트릭스로 배열되어 입사광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픽셀들;
    상기 입사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 셔터 스캐닝 회로;
    한 열의 픽셀들이 공통 접속된 수직 신호 라인;
    상기 수직 신호 라인에 대해 제공된 다수의 기억 수단;
    상기 픽셀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상기 수직 신호 라인을 통해 판독하여 상기 다수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스위칭 수단;
    서로 다른 축적 시간들을 갖는 다수의 행들; 및
    다수의 수평 신호 라인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제2 스위치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축적 시간들은 상기 전자 셔터 스캐닝 회로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영상 신호로서 초기에 스캔된 행들의 픽셀들의 축적 시간들은 후에 스캔된 행의 픽셀의 축적 시간 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소자.
  4. 서로 다른 축적 시간들을 갖는 다수의 행들의 픽셀들을 기초로 다수의 출력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다수의 출력 신호들을 동기화하고 함께 가산하여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신호 처리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동기화된 출력 신호들을 선형 또는 비선형 입출력 특성을 갖는 회로를 통과시킨 후에 함께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19960033319A 1995-08-11 1996-08-10 고체 촬상 소자 및 이를 사용하는 촬상 장치 KR100431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05551 1995-08-11
JP20555195A JP3680366B2 (ja) 1995-08-11 1995-08-11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156A KR970014156A (ko) 1997-03-29
KR100431233B1 true KR100431233B1 (ko) 2004-07-27

Family

ID=1650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319A KR100431233B1 (ko) 1995-08-11 1996-08-10 고체 촬상 소자 및 이를 사용하는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80366B2 (ko)
KR (1) KR100431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957B1 (ko) * 2004-02-09 2008-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주변부의 밝기를 보상하는 고체 촬상 소자 및 그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2431B2 (ja) 1995-11-07 2007-08-22 カリフォルニ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高ダイナミックレンジのリニア出力を有する画像センサ
JP3657780B2 (ja) 1998-06-30 2005-06-08 株式会社東芝 撮像装置
US6486504B1 (en) * 1999-10-26 2002-11-26 Eastman Kodak Company CMOS image sensor with extended dynamic range
TW565684B (en) * 2001-02-14 2003-12-11 Honda Motor Co Ltd Welding state monitoring device
JP4268492B2 (ja) * 2003-10-02 2009-05-2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光検出装置
JP4485371B2 (ja) * 2005-01-06 2010-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CN1956490B (zh) * 2005-10-28 2012-06-20 索尼株式会社 固态成像器件、驱动固态成像器件的方法和成像设备
JP4609428B2 (ja) 2006-12-27 2011-01-12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2012222529A (ja) 2011-04-06 2012-11-12 Sony Corp 固体撮像素子および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957B1 (ko) * 2004-02-09 2008-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주변부의 밝기를 보상하는 고체 촬상 소자 및 그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156A (ko) 1997-03-29
JP3680366B2 (ja) 2005-08-10
JPH0955888A (ja) 1997-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9028B1 (en) Improved output circuit for charge transfer devices
US7623170B2 (en) Amplification type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mplification type image pickup apparatus
US7576788B2 (e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each having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an amplifier whose output is prevented from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level
KR100552946B1 (ko) 확장된 동적 범위의 이미지 센서 시스템
US6677993B1 (en) Solid state image sensor with fixed pattern noise reduction
KR100660193B1 (ko) 자기-보상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
KR101143094B1 (ko) 화상 감지기 및 카메라
US5953060A (en) Method for reducing fixed pattern noise in solid state imaging devices
KR100498222B1 (ko) 촬상장치
EP0892552A2 (en)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US20010010551A1 (en) Circuit, pixel,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fixed pattern noise in solid state imaging devices
US7256378B2 (en) Output-compensating device for image sensor
KR100246358B1 (ko) 전자셔터를 구비한 액티브 픽셀 센서
KR100431233B1 (ko) 고체 촬상 소자 및 이를 사용하는 촬상 장치
CN102656879A (zh) 摄像设备和图像传感器
JP2008035395A (ja) 固体撮像装置
KR100595801B1 (ko) 고체 촬상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카메라
US7236192B2 (en) Image-sensing device
US20070273780A9 (en) Image sensor and method
JP4404261B2 (ja) 固体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US6798452B1 (en) Amplifying solid-state imaging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physical quantity distribution sensing semiconductor device
JP3988756B2 (ja) 固体撮像素子
JP3624585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EP1460838A1 (en) Image sensing device, process for driving such a device an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in a such device
KR0170116B1 (ko) 1차원 전하결합소자센서를 이용한 영상데이타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