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036B1 -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036B1
KR100431036B1 KR10-2000-0059841A KR20000059841A KR100431036B1 KR 100431036 B1 KR100431036 B1 KR 100431036B1 KR 20000059841 A KR20000059841 A KR 20000059841A KR 100431036 B1 KR100431036 B1 KR 10043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learning
course
use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709A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김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10-2000-005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036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036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학습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거나 오프라인을 통하여 사용자가 수강하려는 강좌에 대한 강의 코드를 인증받은 다음 CD와 같은 저장매체에 기록된 내용을 학습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CD 또는 DVD와 같은 매체를 플레이할 수 있는 재생 장치를 지닌 클라이언트(사용자)가 학습내용을 제공하는 학습 제공자 서버에 온라인 접속 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수강코드를 부여받아 유효한 기간 동안 강의를 개인용 재생장치를 통하여 수강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학습 진행을 학습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관리하여 주는 교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온라인 접속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인증을 통하여 학습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학습 제공자 서버로부터 효율적인 학습진행에 대한 관리를 지원 받아 사용자의 자율적인 학습을 고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통신 환경에 따른 교육방법을 고려함과 동시에 온라인 교육의 근본 취지인 정보의 공유와 시간과 공간의 제약성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Hybrid Education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학습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거나 오프라인을 통하여 사용자가 수강하려는 강좌에 대한 강의 코드를 인증받은 다음 CD와 같은 저장매체에 기록된 내용을 학습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CD 또는 DVD와 같은 매체를 플레이할 수 있는 재생 장치를 지닌 클라이언트(사용자)가 학습내용을 제공하는 학습 제공자 서버에 온라인 접속 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수강코드를 부여받아 유효한 기간 동안 강의를 개인용 재생장치를 통하여 수강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학습 진행을 학습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관리하여 주는 교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그 이용 연령층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컨텐츠를 보유한 인터넷 사업자들이 인터넷 쇼핑몰, 영화관, 음악 사이트, 인터넷 대학 등 인터넷 이용자들을 상대로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단점을 보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은 온라인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강의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오프라인이 지니기 힘든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 장점 등으로 인하여, 인터넷이 대중화되고 해당 인프라가 구축됨에 따라 다양한 교육 형태를 가져다 줄 것이다.
종래의 온라인 교육은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강의를 수강하기 위하여 특정 금액을 결제하고 난 뒤, 인터넷에 접속하여 강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시청하거나, 다운로드를 통하여 학습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사용자는 강의에 대한 상세한 설명, 예제 강의 등 여러 경로를 통하여 취득한 학습 내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강의를 수강할 지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온라인을 통한 실시간 학습의 경우에, 강의시간 동안 사용자는 모든 학습의 내용을 수강하여야 한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학습 시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효과적으로 학습 내용을 습득하기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감안하여 현재의 온라인 교육은 사용자가 해당 강의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가 적절한 시간에 수강하도록 한다.
온라인 교육은 오프라인이 지닌 시간, 공간의 제약성을 극복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빠르게 전달하는 것을 근본 취지로 한다. 기존의 온라인 교육은 사용자와 학습 내용 제공자 사이에 학습 진행을 관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는데,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 해당 강의에 대한 게시판, 채팅, 메일 등을 이용하여 강의자와 사용자간의 학습에 대한 의문 내용을 질의, 답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확인하여 강좌 인증서를 발급하는 방법을 통하여 온라인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려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 진행 관리 방식은 단순히 온라인 교육의 현장성과 인증 방법을 온라인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온라인 학습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려는 방편일 뿐, 근본적으로는 일정 금액에 대하여 단순히 오프라인 교육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학습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시험을 통하여 인증서를 발급하는 수준이다.
이렇게, 종래의 온라인 교육은 온라인 교육의 근본 취지를 살려 온라인 교육의 장점을 극대화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CD 또는 DVD와 같은 매체를 플레이할 수 있는 재생 장치를 지닌 클라이언트(사용자)에게 학습내용을 제공하는 학습 제공자 서버에 온라인 접속 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수강코드를 부여하여 유효한 기간 동안 강의를 개인용 재생장치를 통하여 수강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학습 진행을 학습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관리하여 주는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온라인 접속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인증을 통하여 학습 자료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학습 제공자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효율적인 학습진행에 대한 관리를 지원하여 사용자에게 자율적인 학습을 고취토록 하여 사용자의 통신 환경에 따른 교육방법을 고려함과 동시에 온라인 교육의 근본 취지인 정보의 공유와 시간과 공간의 제약성을 극복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
101 : 제어부
102 : 사용자 등록 모듈
103 : 강의 선택 모듈
104 : 수강료 산정/결재 모듈
105 : 수강 코드 발급 모듈
106 : 사용자 학습 관리 모듈
107 : 포인트 관리 모듈
108 : 외부 인터페이스
109 : 데이터 베이스부
110 :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111 : 강의 정보 데이터 베이스
112 : 수강료 정보 데이터 베이스
113 : 사용자 학습 정보 데이터 베이스
114 : 포인트 정보 데이터 베이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은 먼저 CD 또는 DVD와 같은 기록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장치를 지닌 단말기를 소유한 자에 한정한다. 또한, 사용자의 학습 환경을 크게 온라인에 지속적인 접속이 가능한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로 나누어 각각의 환경에 따라 수강코드 발급을 달리하는 교육방법을 제시한다.
사용자가 온라인에 지속적인 접속이 가능할 경우, 다수의 클라이언트와 접속 가능하며 데이터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과 CD, DVD 등의 매체 재생 장치를 이용하는 학습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학습을 위하여 사용자는 학습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등록 정보를 입력하고 고유코드를 할당받아 서비스 이용자격을 부여받은 뒤 자신이 원하는 각종 강좌에 대한 저장매체(강좌 내용에 따른 컨텐츠와 강의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된 CD, DVD 등)를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신청하여 제공받는다.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제공받은 저장매체를 통한 학습을 위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에 접속, 할당받은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서버에 로그인하면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은 로그인 된 사용자에게 학습내용을 안내하고 사용자는 안내되는 학습내용 가운데 자신이 지닌 저장매체에 해당하는 강좌에 따라 수강할 강의를 선택한다.
이어서,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강의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가 지불해야 할 금액을 산정하여 출력하고, 사용자는 산정된 금액을 지불할 방법을 선택한다.
선택된 지불방법에 의한 사용자의 결제가 이루어지면,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강의 수강 코드나 패치파일을 이메일,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측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전송된 수강 코드를 통하여 저장매체에 포함되어 있는 강의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특정 단말기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강의 허용코드 생성하여 강의 허용코드를 통하여 허용된 범위 내에서 학습을 진행한다.
사용자는 학습중 온라인을 통하여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과의 접속을 유지하여 학습 관리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고,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의 학습 진행을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사용자의 학습 진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여 추후 다른 강의를 수강할 경우 혜택을 부여한다.
한편, 사용자가 지속적인 온라인 환경이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는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운영자(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의 운영자)로부터 전화, 팩스 등을 통하여 이용자격을 부여받고 원하는 강좌에 대한 저장 매체를 신청하여 제공받는다.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제공받은 저장매체를 통한 학습을 위하여, 서비스 운영자에게 전화, 팩스 등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이 지닌 저장매체에 해당하는 강좌에 따라 수강할 강의를 신청하고, 해당 강의에 대한 대금 결제를 수행한다.
서비스 운영자는 사용자에게 강의 수강 코드나 패치파일을 파일우송, 전화, 팩스 이메일,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사용자측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전송된 수강 코드를 통하여 저장매체에 포함되어 있는 강의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특정 단말기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강의 허용코드 생성하여 강의 허용코드를 통하여 허용된 범위 내에서 학습을 진행한다.
사용자는 수시로 서비스 운영자로부터 부여받은 ID와 패스워드로 온라인을 통하여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과의 접속하여 학습 관리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고,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의 학습 진행을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사용자의 학습 진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여 추후 다른 강의를 수강할 경우 혜택을 부여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업자 측에는 다수의 클라이언트(401)와 통신망(300)을 통한 접속 가능하며 데이터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과,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을 운영하며 하이브리드 교육 서비스 사업을 수행하는 서비스 운영자(200)로 이루어지며, 사용자(400)측에는 CD, DVD 등을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403), 서비스 운영자(200)와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전화 또는 팩스 등의 통신 장치(402),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과 인터넷(300)을 통한 접속이 가능한 PC 등의 단말기(401)가 구비된다. 또한, 사업자(200)측으로부터 전송된 강의의 내용과 강의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된 CD, DVD 등의 저장매체(500)가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400)들과의 통신망(30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외부인터페이스(108)를 내장하고 있으며, 서버(100)내의 각 모듈(102~108)들의 상호 동작과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101)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등록 모듈(102)은 사용자(400)로부터 등록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부(109)에 저장하고, 등록된 사용자(400)에게 고유 코드(ID, 패스워드)를 할당하여 사용자격을 부여하며, 입력된 사용자 등록정보의 열람 또는 수정기능을 제공한다.
강의 선택 모듈(103)은 사용자(400)에게 제공되는 강의의 종류, 학습내용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400)로부터 강의 유형과 강의 기간을 선택, 입력받는다.
수강료 산정/결재 모듈(104)은 사용자(400)가 강의 선택 모듈(103)을 통하여 선택한 강의에 따른 수강료를 계산하고 결재 방법을 입력받는다.
수강코드 발급 모듈(105)은 사용자(400)가 결재한 강의에 대한 수강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강코드를 외부 인터페이스(108)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401)의 이메일 등으로 전송한다.
사용자 학습 관리 모듈(106)은 사용자(400)의 학습 진행 상황을 데이터 베이스부(109)에 저장하고 학습 진행 상황을 열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포인트 관리 모듈(107)은 사용자(400)의 학습 진행 상황에 따라 일정한 규칙에 의하여 포인트를 적립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부(109)는 사용자 등록 모듈(102)을 통하여 저장된 사용자(400)의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10)와, 사용자(400)에게 제공되는 강의 정보를 저장하는 강의 정보 데이터 베이스(111)와, 수강료 산정/결재 모듈(104)에서 산정된 사용자(400)의 수강료와 수강료 결재 내역을 저장하는 수강료 정보 데이터 베이스(112)와, 사용자 학습 관리 모듈(106)을 통하여 저장되는 사용자(400)의 학습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사용자 학습 정보 데이터 베이스(113)와, 포인트 관리 모듈(107)을 통하여 저장되는 사용자(400)의 포인트 정보를 저장하는 포인트 정보 데이터 베이스(114)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을 서비스 받을 사용자(400)는 CD 또는 DVD와 같은 기록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장치를 지닌 단말기(403)를 소유한 자에 한정한다. 또한, 도 3을 통하여 나타나듯이 사용자(400)의 학습 환경을 크게 온라인에 지속적인 접속이 가능한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로 나누어 각각의 환경에 따라 수강코드 발급을 달리하는 교육방법을 제시한다.
사용자(400)의 통신여건상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4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사용자 등록 모듈(102)을 통하여 자신의 등록 정보를 입력하고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으로부터 고유코드(회원 ID, 패스워드)를 할당받아 회원 자격을 획득한다. 사용자(400)가 기 등록자일 경우, 부여받은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학습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으로 로그인되어 사용자(400)의 등록 정보를 연람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회원 자격이 부여되면 사용자(400)는 자신이 원하는 강좌에 대한 저장매체를 온라인을 통하여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에 신청하여 제공받는다.
이때, 저장매체(500)는 강좌에 따른 세부 강의내용, 강좌와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 및 강의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CD, DVD 같은 저장매체(500)를 말하며 강의 구동 프로그램은, 암호화되어 있는 강의에 대해 사용자(400)가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으로부터 발급받은 수강코드(후에 설명)내용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403)에서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 허용코드를 생성하는 강의 코드 생성 프로그램과, 해당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 동작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400)는 제공받은 저장매체(500)를 통하여 학습을 수행하기 위하여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에 로그인하여 강의 선택 모듈(103)을 통하여 자신의 저장매체(500)에 따른 강좌를 선택한 뒤, 세부 강의를 선택한다.
강의가 선택되면 사용자(400)는 선택한 강의에 대한 강의 유형과 강의 기간을 선택한다.
이때, 강의 유형이란 선택된 강의의 강의, 휴식등의 시간 조절을 뜻하는 것으로, 사용자(400)가 자신의 학습여건을 고려하여 강의 시간과 휴식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 A가 전체 120분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60분 강의, 20분 휴식, 60분 휴식 등의 다양한 유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강의 기간은 주단위로 기본 일주에서 한달 단위와 영구기간 등으로 해당 강의의 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400)가 강의 유형, 즉 강의 시간과 휴식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전체 강의를 사용자(400)가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휴식시간에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다른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이어서, 사용자(400)는 수강료 선택/결재 모듈(104)을 통하여 앞서 선택한 강의에 따른 청구 금액을 제공받고 이에 따른 대금 결제 수단을 선택한다. 이때, 대금 결제 수단으로는 현금결제(이체, 선불카드, 신용카드, 지로)와 회원 포인트를 통한 결재 등이 사용자(400)에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인트 결제란 사용자(400)의 학습에 따라 포인트 관리 모듈(107)을 통하여 적립되어 포인터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400)의 포인트를 이용하여 강의를 수강하고자 할 경우에 해당 포인터를 사용하여 강의를 수강하는 것이다.
선택된 대금 결제 수단에 따라 사용자(400)의 결제가 이루어지면,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은 사용자(400)에게 수강코드를 발급한다.
이때, 수강코드는 강좌, 강의, 강의 유형, 강의 기간, 고유코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먼저 강좌코드를 부여하고(16 강좌일 때, o*O~o*f) 강좌에 따른 전체 강의에 순차적으로 고유번호를 부여한다(16강의일 때, o*O~o*f). 강의 유형에는 자율식, 문답식, 질의식, 강의시간대비 휴식시간 등을 구별하여 코드를부여하고(16 유형일 때, o*O~o*f), 강의 기간은 주 단위 즉, 1주에서 15주와 영구로 구별하여 코드를 부여하고(1주에서 15주까지 15코드에 영구기간까지 16개의 강의 기간일 때, o*O~o*f), 고유코드는 발급한 교안번호(예를 들어, 발매한 교안수 혹은 해당 강좌 수강코드 발급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발급된 수강코드는 온라인을 통하여 사용자측의 단말기(401)로 이메일,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며, 사용자(400)가 전송된 수강코드를 강의 구동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강의 구동 프로그램은 수강코드를 번역하여 사용자 매체 재생장치(403)의 하드웨어 정보와 융합하여 사용자(400)의 특정 단말 장치(403)에서만 강의의 수강이 가능하도록 강의 코드를 생성한다. 생성된 강의 코드는 사용자(400)의 학습 진척도를 저장하는 방법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강의 코드가 생성되면 사용자는 단말장치(403)를 통하여 해당 강의를 수강한다.
한편, 사용자(400)는 자신의 학습 진행 정도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자 학습 관리 모듈(106)을 통하여 사용자 학습 정보 데이터 베이스(113)와 연동하여 학습 진척도, 성취도 등과, 게시판, 온라인 시험(퀴즈, 인증 시험 등)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아 보다 적극적인 학습 의욕을 고취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은 사용자(400)의 학습 진행에 따른 회원 포인트를 적립시켜 관리하고 누적된 사용자의 포인트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사용자가 이후, 다른 강의를 수강하고자 할 경우에 수강료 대체 또는 할인 등의 소정의 혜택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400)의 누적 포인트가 10000점이고 포인트를 사용하여 수강할 수 있는 사용가능 포인트가 5000점 이상이며, A강의의 수강료가 6000원이면 사용자의 누적 포인트가 5000점을 초과하므로 포인트의 사용이 가능하며 A강의를 무료 수강하면 사용자의 잔여 누적 포인트는 4000점이 된다.
한편, 사용자(400)가 지속적인 온라인 환경이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는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운영자(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의 운영자)(200)로부터 전화, 팩스 등을 통하여 이용자격을 부여받고 원하는 강좌에 대한 저장 매체를 신청하여 제공받는다.
사용자(클라이언트)(400)가 제공받은 저장매체(500)를 통한 학습을 위하여, 서비스 운영자(200)에게 전화, 팩스 등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이 지닌 저장매체(500)에 해당하는 강좌에 따라 수강할 강의를 신청하고, 해당 강의에 대한 대금 결제를 온라인이 아닌 다른 수단(지로 입금, 포인트 결재 등)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결재가 완료되면, 서비스 운영자(200)는 사용자(400)에게 강의 수강 코드를 파일우송, 전화, 팩스 이메일,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사용자(400)측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사용자(400)는 전송된 수강 코드를 통하여 저장매체(500)에 포함되어 있는 강의 구동 프로그램의 강의 코드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의 특정단말기(403)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강의 허용코드 생성하여 강의 허용코드를 통하여 허용된 범위 내에서 학습을 진행한다.
사용자(400)는 수시로 서비스 운영자(500)로부터 부여받은 ID와 패스워드로 온라인을 통하여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과의 접속하여 사용자 학습 모듈(106)을 통하여 사용자 학습 정보 데이터 베이스(113)와 연동하여 학습 상황을 체크하고,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은 게시판, QA, 메일시험(퀴즈, 인증 시험 등)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400)의 학습에 부가적인 서비스를 수행한다.
한편,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학습 진행을 데이터 베이스부(109)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사용자(400)의 학습 진행에 따라 사용자(400)에게 앞서 설명한 온라인의 경우에서와 같이 가산점을 부여하여 추후 다른 강의를 수강할 경우 혜택을 부여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온라인접속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인증을 통하여 학습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효율적인 학습진행에 대한 관리를 지원 받아 사용자의 자율적인 학습을 고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통신 환경에 따른 교육방법을 고려함과 동시에 온라인 교육의 근본 취지인 정보의 공유와 시간과 공간의 제약성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3)

  1. 강좌별 강의용 컨텐츠와 강의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보유한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하며, 데이터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학습 제공자 서버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강의내용 중 수강을 원하는 강의내용에 대한 강의 유형과 강의 기간을 선택하여 입력받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강의 유형과 강의 기간에 수강을 할 수 있도록 수강코드를 발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으며, 암호화되어 있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강의 내용을 상기 전송된 수강코드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의 저장매체에서만 재생하도록 허가하는 강의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전송된 수강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강의 구동 프로그램이 상기 입력된 수강코드를 번역하여 상기 매체 재생장치에서만 상기 강의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강의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강의 코드에 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강의 내용을 상기 강의 유형에 따라 상기 강의 기간동안 재생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학습 진행상황을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된 클라이언트의 학습 진행상황과 학습 진행상황에 따른 통계자료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CD 또는 DV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진행상황과 통계자료 제공단계는 온라인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학습 시 또는 수시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를 통하여 재생되는 강의를 통한 상기 클라이언트의 학습 진행상황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의 포인트를 적립시켜 관리하고, 상기 적립된 클라이언트의 포인트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가 이후 다른 강의를 수강하고자 할 경우에 소정의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코드는,
    상기 강좌별로 코드를 부여한 학습분야 코드;
    상기 강좌에 소속된 상기 각 강의들에 순차적으로 코드를 부여한 강의 코드;
    상기 강의 유형에 따라 코드를 부여한 강의 유형코드;
    상기 강의 기간에 따라 코드를 부여한 강의 기간 코드;
    상기 수강코드 발급 순서 또는 상기 저장매체의 고유 번호에 부여된 고유코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유형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강의의 강의시간과 휴식시간을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00-0059841A 2000-10-11 2000-10-11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KR100431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841A KR100431036B1 (ko) 2000-10-11 2000-10-11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841A KR100431036B1 (ko) 2000-10-11 2000-10-11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709A KR20020028709A (ko) 2002-04-17
KR100431036B1 true KR100431036B1 (ko) 2004-05-10

Family

ID=1969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841A KR100431036B1 (ko) 2000-10-11 2000-10-11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736A (ko) * 2000-12-06 2002-06-19 스마트아이엔티 주식회사 교육용 터미널 장치 및 방법
KR20020046725A (ko) * 2000-12-15 2002-06-21 이정태 정보통신망에서의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66474A (ko) * 2001-02-12 2002-08-19 주식회사 한빛네트 인터넷과 씨디롬을 결합한 하이브리드방식 원격교육 방법
KR100455029B1 (ko) * 2001-09-25 2004-11-12 주식회사 아카넷티비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
CN112950136A (zh) * 2019-12-10 2021-06-11 上海众贯线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教育服务平台及教育福利管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436A (ko) * 1998-11-06 2000-06-05 박경화 랜덤 재생을 위한 식별 코드를 가지는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436A (ko) * 1998-11-06 2000-06-05 박경화 랜덤 재생을 위한 식별 코드를 가지는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709A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8368B1 (en) Managed access to information over data networks
US6178407B1 (en)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s supporting different categories of users
US20090291426A1 (en) Educational system for presenting one or more learning units to students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US20050130112A1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supporting on-line interaction with content, purchasing, and searching
CN109196818A (zh) 数字证书的生成、管理和跟踪
AU2003293029A1 (en) Hosted game development environment
US200200624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on of virtual events
US200201740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payments for educational content
KR20100101718A (ko) 메신저를 이용한 인터넷 학습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을 이용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0431036B1 (ko) 하이브리드 교육 방법
KR20150000262A (ko) 체험활동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035937A (zh) 授权共享网络教育系统
KR102163780B1 (ko) 교수자를 위한 영어 교육 플랫폼
KR101750172B1 (ko) 강의실 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RU2006123121A (ru) Способ тестирования и/или опроса удаленных пользователей
KR10059487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방법
KR20010074254A (ko) 가상체험 방식을 이용한 네트웍 장비의 온라인 교육방법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10076174A (ko) 장난감의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그 시스템
Mishra Mobile technologies in open schools
KR102453698B1 (ko) 마케팅 교육 플랫폼 시스템
JP2019207496A (ja) オンラインスクール提供装置、オンラインスクール提供方法、及びオンラインスクール提供プログラム
KR20020085358A (ko) 효율적 원격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19290A (ko) 개인화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상의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3026248A1 (en) Managed access to information over data networks
KR2002009680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