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179B1 -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179B1
KR100430179B1 KR1020030046834A KR20030046834A KR100430179B1 KR 100430179 B1 KR100430179 B1 KR 100430179B1 KR 1020030046834 A KR1020030046834 A KR 1020030046834A KR 20030046834 A KR20030046834 A KR 20030046834A KR 100430179 B1 KR100430179 B1 KR 100430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union
transmitt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두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두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두원기술
Priority to KR1020030046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나합되어 내부에 유체의 통로가 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중공부내의 유체 누설을 기밀하게 차단하는 제1 패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로 전송기의 챔버내에 수집된 에어와 유체를 도입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에 형성된 유체 도입구에 일측이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타측이 전송기의 챔버에 나사결합되는 유니온과, 상기 유니온을 통해서 도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에 에어가 잔류할 경우에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에어배출구로부터 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에 에어가 잔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중공부내에 충전된 유체의 외부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에어배출구를 폐쇄시키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가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에어배출구로부터 떨어졌을 경우에 상기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에어배출구에 기밀하게 나합되는 메일 컨넥터와, 상기 가동체의 고장시에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에 잔류하는 에어의 외부배출을 단속하도록 상기 메일 컨넥터의 제2 유니온에 나합되어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동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송기 계통의 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전송기의 챔버내에 잔류하는 불필요한 에어를 안정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전송기의 챔버내에 잔류하는 불필요한 에어를 자동으로 배기하므로, 전송기 신호의 안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발전소나 산업플랜트의 제어 정밀도를 높이고 정지 사고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AIR AUTO PURGING APPARATUS FOR TRANSMITTER}
본 발명은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전소 혹은 일반 산업플랜트 공정계통의 공정변수인 유량,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송기 계통의 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전송기의 배관에 잔류하는 불필요한 에어를 안정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외부로 배기할 수 있는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발전소 혹은 일반 산업플랜트 공정계통의 공정변수인 유량, 압력 등을 자동 제어하기 위하여 가압 유체(예를 들면, 온수 또는 냉각수, 이하 유체라 한다)용 챔버에 연결하여 유량, 유체의 압력 등의 신호를 연속해서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제어기에 전달하여 공정 변수를 자동 제어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계동운전 정지후 계통내의 유체를 배수시켰을 경우, 계통을 재가동할려면, 계통내에 유체를 재충전함에 따라 배관내에 유입된 공기 혹은 운전중 발생한 용존기체의 생성 등으로 인해서 전송기의 측정 챔버(또는 중공부)내에 기체(공기 또는 기포)가 모이면 압축성인 기체로 인해 챔버내의 압력이 실제와 달리 심하게 변동되어 안정된 제어를 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불안정한 제어로 인해 발전소 혹은 일반 산업플랜트의 정지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전송기의 측정 챔버(또는 중공부)내에 잔류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밸브를 숙련공이 직접 현장에 가서 수동으로 개방하여 배기시키면서 유체를 충전시켜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운전중에 접근이 곤란한 고온지역 또는 고방사선 지역 등에는 배기가 불가능하여 발전소의 관련계통을 정지시킨 후, 계통을 점검하여야 하므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기 계통의 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전송기의 챔버내에 잔류하는 불필요한 에어를 안정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외부로 배기할 수 있는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송기 계통의 가동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발전소나 산업 플랜트의 공정을 더욱 정밀 제어할 수 있으며, 정지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나합되어 내부에 유체의 통로가 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중공부내의 유체 누설을 기밀하게 차단하는 제1 패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로 전송기의 챔버내에 수집된 에어와 유체를 도입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에 형성된 유체 도입구에 일측이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타측이 전송기의 챔버에 나사결합되는 유니온과, 상기 유니온을 통해서 도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에 에어가 잔류할 경우에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에어배출구로부터 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에 에어가 잔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중공부내에 충전된 유체의 외부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에어배출구를 폐쇄시키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가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에어배출구로부터 떨어졌을 경우에 상기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에어배출구에 기밀하게 나합되는 메일 컨넥터와, 상기 가동체의 고장시에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에 잔류하는 에어의 외부배출을 단속하도록 상기 메일 컨넥터의 제2 유니온에 나합되어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동밸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의해 내부의 에어를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의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의해 내부의 에어 배출을 차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의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의 가동체를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우징 102:상부하우징
102a:에어배출구 104:하부하우징
104a:유체 도입구 106:중공부
106a:테이퍼부 106b:축경부
110:제1 패킹부재 120:유니온
130:가동체 130a:플랜지부
130b:관통공 132:중공부
134:상부 덮개 134a:테이퍼부
136:하부 덮개 136a:테이퍼부
138:제2 패킹부재 140:메일 컨넥터
141:제1 유니온 142:튜브
143:제1 패럴 144:제2 패럴링
145:제1 유니온 캡 146:제2 유니온
147:제2 패럴링 148:제2 패럴
149:제2 유니온 캡 150:수동밸브
150a:핸들 150b:배출구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의해 내부의 에어를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의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의해 내부의 에어 배출을 차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의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의 가동체를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는 상부하우징(102)과 하부하우징(104)이 나합되어 내부에 에어와 유체의 통로가 되도록 중공부(106)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상부하우징(102)과 하부하우징(104)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중공부(106)내의 유체 누설을 기밀하게 차단하는 제1 패킹부재(110)와,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로 도시하지 않은 전송기의 챔버(부호 표시하지 않음)내에 수집된 에어와 유체를 도입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104)에 형성된 유체 도입구(104a)에 일측이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타측이 도시하지 않은 전송기의 챔버에 나사결합되는 유니온(120)과, 상기 유니온(120)을 통해서 도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에어가 잔류할 경우에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로부터 떨어지며,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에어가 잔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중공부(106)내에 충전된 유체의 외부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를 폐쇄시키는 가동체(130)와, 상기 가동체(130)가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로부터 떨어졌을 경우(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에어가 잔류할 경우)에 상기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에어배출구(102a)에 기밀하게 나합되는 메일 컨넥터(140)와, 상기 가동체(130)의 고장시에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의 외부배출을 단속하도록 상기 메일 컨넥터(140)의 제2 유니온(146)에 나합되어 배출구(150b)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동밸브(1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02)의 중공부(106)는 그 상부가 상기 가동체(130)의 상부 덮개(134)의 상부 외부면에 형성된 테이퍼부(134a)와 당접되어 상기 하우징(100)내의 중공부(106)에 도입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직경이 축경되는 축경부(106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하우징(104)의 중공부(106)는 그 하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에어가 잔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가동체(130)의 하부 덮개(136)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136a)와 당접되어안착되도록 하부로 내려감에 따라 직경이 축경되는 축경부(10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130)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도입된 에어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로부터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를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도입된 유체에 의해 밀려올려져서 상기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를 폐쇄하도록 내부에 중공부(132)를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덮개(134,136)와, 상기 상부 덮개(134)와 하부 덮개(136)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도입된 유체의 침투를 차단하는 제2 패킹부재(13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130)는 상부 덮개(134)와 하부 덮개(136)를 나합된 것을 예로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용접하거나 사출성형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가동체(130)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 내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하동되도록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플랜지부(130a,130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130a,130a)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를 상부로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30b,13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체(130)의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30a,130a)에 다수개의 관통공(130b,130b)을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를 상부(에어배출구(102a)쪽)로 통과시키도록 상기 플랜지부(130a,130a)의 외주면에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서 오목홈을 형성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메일 컨넥터(140)는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에 일측이 나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를 통과시키도록 관통공(141a)이 형성된 제1 유니온(141)과, 상기 제1 유니온(141)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내에 일측이 삽입된 튜브(142)와, 상기 튜브(142)내를 흐르는 에어 및 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유니온(141)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과 상기 튜브(142)의 외주면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설되는 제1 패럴(143) 및 제2 패럴링(144)과, 상기 제1 유니온(141)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과 상기 튜브(142)의 외주면 사이에 배설된 상기 제1 패럴(143) 및 제1 패럴링(144)을 축경시켜서 상기 튜브(142)를 기밀하게 파지하도록 상기 제1 유니온(141)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는 제1 유니온 캡(145)과, 상기 튜브(142)를 통과한 에어를 상기 수동밸브(150)의 배출구(150b)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동밸브(150)의 일측에 나합된 제2 유니온(146)과, 상기 제2 유니온(146)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내에 삽입된 상기 튜브(142)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유니온(146)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설되는 제2 패럴링(147) 및 제2 패럴(148)과, 상기 제2 유니온(146)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과 상기 튜브(142)의 외주면 사이에 배설된 상기 제2 패럴링(147) 및 제2 패럴(148)을 축경시켜서 상기 튜브(142)를 기밀하게 파지하도록 상기 제2 유니온(146)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는 제2 유니온 캡(14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킹부재(110,138)는 천연고무, 인조고무, 합성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O-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하부 덮개(136)에 형성된 수용홈(부호 표시하지 않음)내에 제2 패킹부재(138)를 재치시킨 다음, 상기 상부 덮개(134)와 하부 덮개(136)에 각각 형성된 나사부(부호 표시하지 않음)를 나합시켜서 내부에 중공부(132)가 형성된 가동체(130)를 조립한다.
다음에, 하부하우징(104)내에 형성된 수용홈내에 상기 가동체(130)를 넣은 다음, 상기 하부하우징(104)의 내측 상부면에 형성된 수용홈(부호 표시하지 않음)에 제1 패킹부재(110)를 재치시키고 나서 상기 상부하우징(102)과 하부하우징(104)을 나합시켜서 상기 상부하우징(102)과 하부하우징(104)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106)내에 가동체(130)를 상하동 가능하게 수용시킨다. 이 때, 상기 가동체(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 내주면과 미세한 간극을 두고 상하동되도록 플랜지부(130a,130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서 상기 가동체(130)가 좌우측으로 요동함이 없이 대체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하동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30a,130a)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를 에어배출구(102a)쪽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관통공(130b,130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가 상기 관통공(130b,130b)을 통해서 에어배출구(102a)쪽으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그 후, 상기 하우징(100)의 에어배출구(102a)를 통과한 중공부(106)내의 에어를 상기 메일 컨넥터(140) 및 수동밸브(150)의 배출구(150b)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02)의 에어배출구(102a)상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상기 메일 컨넥터(140)의 제1 유니온(141)을 나합시키고, 상기 메일 컨넥터(140)의 제2 유니온(146)에 수동밸브(150)를 나합시켜서 상기 메일 컨넥터(140)에 상기 수동밸브(15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104)의 유체도입구(104a)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유니온(120)의 일측을 나합시켜서 본 발명의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밸브를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밸브를 전송기의 챔버(도시하지 않음)에 수직이 되도록 상기 유니온(120)의 타측(하부측)을 전송기의 챔버에 나합시켜서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를 전송기의 챔버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동밸브(150)의 핸들(150a)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수동밸브(15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발전 설비의 구동 또는 발전 설비의 정지 후, 다시 유체를 전송기에 공급함에 따라 상기 챔버 네에 수집된 에어와 유체는 본 발명의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의 유체도입구(104a)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수집된다(도 2 참조).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수집된 에어와 유체가 수집되면, 에어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중공부(106)내에 에어체적이 증가하여 유체가 에어의 압력에 의해 아래로 눌리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가동체(130) 자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가동체(130)가 상부하우징(102)의 축경부(106a)로부터 떨어져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수집된 에어는 상기 가동체(130)의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30a,130a)의 관통공(130b,130b) 및 상기 플랜지부(130a,130a)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 사이의 미세 간극을 통해서 에어배출구(102a)를 향해서 화살표를 따라 상부로 올라가며, 상기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에 도달한 에어는 메일 컨넥터(140) 및 수동밸브(150)의 배출구(150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수집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체(130)가 유체에 의해 상부로 밀어올려져서 상기 가동체(13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134a)가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 상부에 형성된 축경부(106a)에 당접되면서 상기 에어배출구(102a)가 폐쇄되어 유체는 상기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 및 메일 컨넥터(140) 및 수동밸브(15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도 3 참조).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체(13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134a)가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 상부에 형성된 축경부(106a)에 당접되어 상기 에어배출구(102a)가 폐쇄된 상태에서 계통, 즉 전송기의 챔버내에 에어가 발생되면, 상기 에어가 유체와 함께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에 수집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106)내에 에어가 많아지면 유체가 에어의 압력에 의해 눌려서 아래로 내려감과 동시에 상기 가동체(130)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상기 가동체(13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134a)가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 상부에 형성된 축경부(106a)로부터 떨어져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수집된 기체가 상기 가동체(130)의 플랜지부(130a,130a)의 관통공(130b,130b), 에어배출구(102a), 메일 컨넥터(140) 및 수동밸브(15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가동체(130)의 동작불량으로 인해서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수집된 기체(공기)가 자동적으로 배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수동밸브(150)의 핸들(150a)을 조작하여 상기 수동밸브(150)의 배출구(150b)를 폐쇄 또는 개방시켜서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수집된 유체를 수동으로 배출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130)의 상부덮개(134)와 하부덮개(136) 사이에는 제2 패킹부재(13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에어와 함께 수집된 유체는 상기 가동체(130)내부로 침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하우징(102)과 하부하우징(104) 사이에는 제1 패킹부재(1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의 유체는 외부로 누출되지도 않는다.
또한, 상기 메일 컨넥터(140)의 상기 제1 및 제2 유니온(141,146)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내에 튜브(142)의 양단을 각각 삽입하여 상기 제1 유니온(141)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과 상기 튜브(142)의 일측(하부측) 외주면 사이에 제1 패럴(143) 및 제2 패럴링(144)을 순차적으로 배설하고, 상기 제1 유니온 캡(145)을 상기 제1 유니온(141)의 타측에 나사결합함에 따라 상기 제1 패럴(143) 및 제1 패럴링(144)을 축경시키면서 상기 튜브(142)의 일측(도면에서 하부쪽)을 견고하고 기밀하게 파지하고, 또 상기 제2 유니온(146)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과 상기 튜브(142)의 타측(상부측) 외주면 사이에 제2 패럴링(147) 및 제2 패럴(148)을 순차적으로 배설하고, 상기 제2 유니온 캡(149)을 상기 제2 유니온(146)의 타측에 나사결합함에 따라 상기 제2 패럴(148) 및 제2 패럴링(147)을 축경시키면서 상기 튜브(142)의 타측(도면에서 상부쪽)을 견고하고 기밀하게 파지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 유니온(141,146)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과 상기 튜브(142)의 양단측 외주면 사이에서 에어 및 유체가 누설되지도 않는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발전 설비의 전송기에 사용되는 에어 자동 배출장치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가정용 보일러, 산업용 보일러 등의 난방배관설비에 설치하면, 보일러 난방배관설비에 에어가 찰 경우에도 에어를 대기로 자동 배출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의하면,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나합되어 내부에 유체의 통로가 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중공부내의 유체 누설을 기밀하게 차단하는 제1 패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로 전송기의 챔버내에 수집된 에어와 유체를 도입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에 형성된 유체 도입구에 일측이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타측이 전송기의 챔버에 나사결합되는 유니온과, 상기 유니온을 통해서 도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에 에어가 잔류할 경우에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에어배출구로부터 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에 에어가 잔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중공부내에 충전된 유체의 외부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에어배출구를 폐쇄시키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가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에어배출구로 떨어졌을 경우에 상기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에어배출구에 기밀하게 나합되는 메일 컨넥터와, 상기 가동체의 고장시에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내에 잔류하는 에어의 외부배출을 단속하도록 상기 메일 컨넥터의 제2 유니온에 나합되어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동밸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송기 계통의 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전송기의 챔버내에 잔류하는 불필요한 에어를 안정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전송기의 챔버내에 잔류하는 불필요한 에어를 자동으로 배기하므로, 전송기 신호 안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발전소나 산업플랜트의 제어 정밀도를 높이고 정지 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부하우징(102)과 하부하우징(104)이 나합되어 내부에 유체의 통로가 되도록 중공부(106)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상부하우징(102)과 하부하우징(104)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중공부(106)내의 유체 누설을 기밀하게 차단하는 제1 패킹부재(110)와,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로 전송기의 챔버내에 수집된 에어와 유체를 도입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104)에 형성된 유체 도입구(104a)에 일측이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타측이 전송기의 챔버에 나사결합되는 유니온(120)과, 상기 유니온(120)을 통해서 도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에어가 잔류할 경우에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로부터 떨어지며,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에어가 잔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중공부(106)내에 충전된 유체의 외부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를 폐쇄시키는 가동체(130)와, 상기 가동체(130)가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로부터 떨어졌을 경우에 상기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에어배출구(102a)에 기밀하게 나합되는 메일 컨넥터(140)와, 상기 가동체(130)의 고장시에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의 외부배출을 단속하도록 상기 메일 컨넥터(140)의 제2 유니온(146)에 나합되어 배출구(150b)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동밸브(1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102)의 중공부(106)는 그 상부가 상기 가동체(130)의 상부 덮개(134)의 상부 외부면에 형성된 테이퍼부(134a)와 당접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도입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직경이 축경되는 축경부(106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104)의 중공부(106)는 그 하부가 전송기의 챔버내에 유체가 흐르지 않을 경우에 상기 가동체(130)의 하부 덮개(136)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136a)와 당접되어 안착되도록 하부로 내려감에 따라 직경이 축경되는 축경부(106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130)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도입된 에어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로부터 하강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를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도입된 유체에 의해 밀려올려져서 상기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를 폐쇄하도록 내부에 중공부(132)를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덮개(134,136)와, 상기 상부 덮개(134)와 하부 덮개(136)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도입된 유체의 침투를 차단하는 제2 패킹부재(138)로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130)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 내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하동되도록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플랜지부(130a,130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130a,130a)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를 상부로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30b,13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30a,130a)는 그 외주면에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를 에어배출구(102a)쪽으로 통과시키도록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서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컨넥터(140)는 상부하우징(102)에 형성된 에어배출구(102a)에 일측이 나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106)내에 잔류하는 에어를 통과시키도록 관통공(141a)이 형성된 제1 유니온(141)과, 상기 제1 유니온(141)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내에 일측이 삽입된 튜브(142)와, 상기 튜브(142)내를 흐르는 에어 및 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유니온(141)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과 상기 튜브(142)의 외주면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설되는 제1패럴(143) 및 제2 패럴링(144)과, 상기 제1 유니온(141)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과 상기 튜브(142)의 외주면 사이에 배설된 상기 제1 패럴(143) 및 제1 패럴링(144)을 축경시켜서 상기 튜브(142)를 기밀하게 파지하도록 상기 제1 유니온(141)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는 제1 유니온 캡(145)과, 상기 튜브(142)를 통과한 에어를 상기 수동밸브(150)의 배출구(150b)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동밸브(150)의 일측에 나합된 제2 유니온(146)과, 상기 제2 유니온(146)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내에 삽입된 상기 튜브(142)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유니온(146)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설되는 제2 패럴링(147) 및 제2 패럴(148)과, 상기 제2 유니온(146)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과 상기 튜브(142)의 외주면 사이에 배설된 상기 제2 패럴링(147) 및 제2 패럴(148)을 축경시켜서 상기 튜브(142)를 기밀하게 파지하도록 상기 제2 유니온(146)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는 제2 유니온 캡(149)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KR1020030046834A 2003-07-10 2003-07-10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KR10043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834A KR100430179B1 (ko) 2003-07-10 2003-07-10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834A KR100430179B1 (ko) 2003-07-10 2003-07-10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0179B1 true KR100430179B1 (ko) 2004-05-04

Family

ID=37335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834A KR100430179B1 (ko) 2003-07-10 2003-07-10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833B1 (ko) 2012-11-15 2013-09-13 김길현 휴대용 가스용기의 가스 포집 장치
KR101522612B1 (ko) * 2014-11-25 2015-06-02 민유정 휴대용 가스용기의 잔류가스 회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833B1 (ko) 2012-11-15 2013-09-13 김길현 휴대용 가스용기의 가스 포집 장치
KR101522612B1 (ko) * 2014-11-25 2015-06-02 민유정 휴대용 가스용기의 잔류가스 회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9143B (zh) 液體注射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554172B1 (ko) 배관 유체누출 감지 및 외부로의 누출 방지장치
KR20160143515A (ko) 유체기기
GB2538603A (en)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for waterworks
CN1187586C (zh) 拼合式歧管
CN110726071A (zh) 一种氢气瓶口组合阀
KR101377718B1 (ko) 가스 누출 검출장치
KR100430179B1 (ko) 전송기용 에어 자동 배출장치
CA2969119A1 (en) Fluid level verification apparatus
EP0029368B1 (en) Method of insertion or removal of a valve plug
EP3115309A1 (en) Chemical liquid storage bott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420362B1 (ko) 가스 누출 검출시스템
KR20060133572A (ko) 유체 계수 및 계수 일체형 집적 유닛
US2260936A (en) Gas absorbing system
KR20150025317A (ko) 가스 누출 안전점검 장치
KR101215383B1 (ko) 농도 센서용 밸브
RU2011104104A (ru) Авари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действия на утечку опасных хим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KR100600493B1 (ko) 가스누출확인장치
KR20020046221A (ko) 밸브 박스
IT201800003931A1 (it) Elemento di raccordo per bombole
KR20070109969A (ko) 가스누출식별기
US934037A (en) Valve-fitting for soda-water apparatus.
KR101622129B1 (ko) 충진밸브 어셈블리
CN218725042U (zh) 一种气密性检测装置
JP2006145277A (ja) ガス配管器具の交換方法及び流体連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