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493B1 - 가스누출확인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누출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493B1
KR100600493B1 KR1020040055181A KR20040055181A KR100600493B1 KR 100600493 B1 KR100600493 B1 KR 100600493B1 KR 1020040055181 A KR1020040055181 A KR 1020040055181A KR 20040055181 A KR20040055181 A KR 20040055181A KR 100600493 B1 KR100600493 B1 KR 10060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gas
branch line
val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258A (ko
Inventor
조형길
Original Assignee
조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길 filed Critical 조형길
Priority to KR102004005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4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bubbles in a liquid pool
    • G01M3/0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bubbles in a liquid poo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8Detecting leaked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기기로 가스를 공급시키기 위한 가스배관상에 결합되어 연소기기 및 그 사이 가스배관상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스누출확인장치를 제공한다. 이 가스누출확인장치는 접속라인, 중간밸브, 제 1 라인, 제 2 라인, 챔버, 첵크밸브부재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첵크밸브부재에 의해 제 1 라인과 제 2 라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연소기기와 중간밸브 사이의 가스가 챔버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고, 가스누출을 확인할 때 첵크밸브부재를 작동시켜서 연소기기와 중간밸브 사이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가스누출확인장치{APPARATUS FOR CHECKING LEAKAGE OF GA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스누출확인장치 12 : 프레임
20 : 접속라인 22 : 제 1 단
24 : 제 2 단 28 : 중간밸브
30 : 첵크밸브부재 40 : 제 1 라인
42 : 제 1 분기라인 43 : 제 1 밀폐턱
44 : 제 2 분기라인 46 : 튜브
48 : (제 1 라인) 끝단 50 : 제 1 라인밸브
52 : 제 1 샤프트 53 : 걸림턱
54 : 제 2 플러그 56 : 점검핸들
58 : 제 1 스프링 60 : 너트
62 : 제 1 오링 64 : 제 2 오링
80 : 제 2 라인 82 : 제 3 분기라인
84 : 제 4 분기라인 88 : (제 2 라인) 끝단
90 : 제 2 라인밸브 92 : 제 2 샤프트
93 : 제 2 밀폐턱 94 : 제 2 플러그
96 : 제 2 스프링 100 : 제 3 오링
102 : 제 4 오링 104 : 첵킹판
110 : 챔버 120 : 액체
122 : (액체) 표면 124 : (가스) 기포
본 발명은 가스누출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가스누출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스배관상에 설치하여 가스의 누출을 수시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누출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스는 다른 연료에 비해 취급이 편리하고 청결하며 연소효율이 높은 점 등 여러가지 이점이 많기 때문에 화력발전·제강·제철·석유화학·합성화학·요업·도시가스·천연가스 등의 여러 분야에서 특히 많이 이용·취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는 부하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당한 용량의 가스탱크(가스홀더), 가반식 내압용기(봄베) 또는 저장통 등에 저장된 후, 각종 주철·강철 등의 가스배관에 의해 구성되는 배관망을 통해 이송된다. 이때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배관 및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기기는 가스의 누출을 수시로 점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
가스배관과 연소기기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97호 공고번호 제74-420호 "가스용량 표시 및 누설탐지 장치"는 가스배관상에 양측이 접속되는 파이프에 유입공을 통해 접속되는 실린더를 설치하고, 파이프의 양측에 조절구를 설치하여 양측 배관에서 가스누출이 발생되는 것을 전구의 점멸이나 부저의 신호음으로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84-0002800 "가스누출표시기"는 환류공간과 액체충진실 및 확산유입로를 구비하는 투명본체를 통해 가스봄베로부터 가스기구로 유입가스가 흐르도록 하므로써, 가스의 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3-15286 "가스 누출 검지기"는 중간밸브와 액체가 채워지는 투명체의 용기를 일체화하여 구성함으로써, 중간밸브가 설치되는 위치의 가스배관상에 연결하여 가스가 흐르는 동안 발생되는 기포를 통해 가스의 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제0363599호 "가스누출확인 차단기"는 핸드밸브(중간밸브)와 양쪽으로 나누어져 액체가 채워지는 투명체의 수주통을 일체로 구성하여 중간밸브를 열었을 때는 가스가 정상적으로 흐르도록 하고 중간밸브를 닫았을 때 가스가 수주통으로 흐르도록 하여 가스의 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수주통의 수위에 따라 가스차단 전자밸브를 작동시켜 가스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02467호 "가스누출 확인밸브"는 중간밸브와 투명한 재질의 수주통을 일체로 구성하고, 여기에 스프링을 내장하는 확인밸브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확인밸브를 작동시켜서 가스의 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가스의 누출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은 구성의 복잡함과 함께 미세한 가스의 누출을 확인할 수 있는 검출정도가 낮거나 가스의 역류에 대한 대책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97호 공고번호 제74-420호 "가스용량 표시 및 누설탐지 장치"는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높을 뿐만아니라 검출정도가 낮아 소량의 가스누출은 감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84-0002800 "가스누출표시기"는 가스의 누출을 시각적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으나,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우며,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가스가 역류되어 투명본체의 물이 가스봄베로 흘러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3-15286 "가스 누출 검지기", 특허 제0363599호 "가스누출확인 차단기" 및 실용신안등록 제0302467호 "가스누출 확인밸브"는 중간밸브와 투명한 용기(수주통)를 일체화하여 중간밸브부터 연소기기까지의 가스누출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점이 있으나, 이들 역시 가스의 역류에 대한 대책이 없어 가스의 역류시 용기의 물이 가스관으로 들어가고 용기의 파손시 역류가스의 누출로 인해 가스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스의 역류도 안정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스누출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스배관과 연소기기 사이에 위치되어 연소기기로의 가스공급을 조절하는 중간밸브, 액체를 수용한 챔버, 가스의 누출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밸브를 일체화한 가스누출확인장치를 개선하여 가스가 역류할 때에도 안정적으로 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스누출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연소기기로 가스를 공급시키기 위한 가스배관상에 결합되어 연소기기 및 그 사이 가스배관상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스누출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관상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제 1 단과 제 2 단을 갖는 접속라인과; 상기 제 1 단과 제 2 단 사이의 상기 접속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라인을 통해 흐르는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중간밸브와; 상기 중간밸브와 제 1 단 사이에서 상기 접속라인과 연통되어 연장되는 제 1 라인과; 상기 중간밸브와 제 2 단 사이에서 상기 접속라인 과 연통되어 연장되는 제 2 라인과; 내부에 정해진 높이로 액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 1 라인의 끝단이 상기 액체에 담기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 2 라인의 끝단이 상기 액체의 표면 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밀폐되고, 상기 제 1 라인을 통해 가스가 들어와 수용된 액체를 통해 기포가 발생되었을 때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챔버 및; 상기 제 1 라인과 제 2 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라인과 제 2 라인을 열고 닫는 첵크밸브부재를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첵크밸브부재에 의해 제 1 라인과 제 2 라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연소기기와 중간밸브 사이의 가스가 상기 챔버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고, 가스누출을 확인할 때 상기 첵크밸브부재를 작동시켜서 상기 연소기기와 중간밸브 사이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첵크밸브부재는 상기 제 1 라인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라인을 열고 닫는 제 1 라인밸브 및; 상기 제 2 라인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라인 밸브가 열렸을 때 상기 제 2 라인을 열고 상기 제 1 라인밸브가 닫혔을 때 상기 제 2 라인을 닫는 제 2 라인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연소기기로 가스를 공급시키기 위한 가스배관상에 결합되어 연소기기 및 그 사이 가스배관상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스누출확인장치에 있어서,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 및; 내부에 정해진 높이로 액체가 수용되어 가스가 들어와 수용된 액체를 통해 기포가 발생되었을 때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가스배관상 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제 1 단과 제 2 단을 갖는 접속라인이 형성되고, 외부에서 회전시켜서 상기 접속라인을 통해 흐르는 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단과 제 2 단 사이에 중간밸브가 결합되며, 상기 중간밸브와 제 1 단 사이에서 상기 접속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챔버로 연통되는 제 1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밸브와 제 2 단 사이에서 상기 접속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챔버로 연통되는 제 2 라인이 형성되며, 외부에서 작동시켜서 상기 제 1 라인을 열고 닫는 제 1 라인밸브가 상기 제 1 라인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라인밸브가 열였을 때 상기 제 2 라인을 열고 상기 제 1 라인밸브가 닫혔을 때 상기 제 2 라인을 닫는 제 2 라인밸브가 상기 제 2 라인상에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제 2 라인밸브에 의해 제 2 라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연소기기와 중간밸브 사이의 가스가 상기 챔버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고, 가스누출을 확인할 때 상기 제 1 라인밸브를 작동시켜서 상기 연소기기와 중간밸브 사이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라인은 상기 중간밸브와 제 1 단 사이에서 상기 접속라인과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 분기라인 및; 상기 제 1 분기라인과 연통되고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분기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라인은 상기 제 1 분기라인과 연통되고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 3 분기라인 및; 상기 제 3 분기라인과 연통되고 상기 중간밸브와 제 2 단 사이에서 상기 접속라인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제 4 분기라인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라인밸브는 상기 제 1 분기라인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라인밸브는 상기 제 3 분기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라인밸브가 열렸을 때 챔버로 부터 상기 제 4 분기라인으로 가스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제 1 라인밸브가 닫혔을 때 챔버로부터 상기 제 4 분기라인으로 가스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라인밸브는 상기 접속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1 분기라인으로 흐르는 가스가 흐르도록 상기 제 1 분기라인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열렸을 때 상기 접속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제 2 분기라인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분기라인의 후단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1 플러그와;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서 상기 제 1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샤프트를 상기 제 1 분기라인상에서 이동시켜 열리도록 하기 위한 점검핸들 및; 상기 제 1 분기라인상에서 상기 제 1 플러그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샤프트가 상기 접속라인으로 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제 1 샤프트가 닫히도록 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라인밸브는 상기 제 3 분기라인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끝단이 상기 제 1 샤프트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 샤프트가 열렸을 때 상기 제 1 분기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막고 상기 제 4 분기라인으로 가스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제 1 샤프트가 닫혔을 때 상기 제 4 분기라인을 차단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분기라인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 2 플러그 및; 상기 제 3 분기라인상에서 상기 제 2 샤프트와 제 2 플러그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샤프트가 상기 제 1 분기라인으로 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 2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분기라인상에는 상기 제 3 분기라인의 앞 단에 내측 전체둘레로 돌출되는 제 1 밀폐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분기라인상에는 상기 제 4 분기라인의 후단에 내측 전체둘레로 돌출되는 제 2 밀폐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샤프트는 상기 제 1 샤프트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밀폐턱에 밀착되어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1 샤프트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제 1 오링 및; 상기 제 2 분기라인의 후단에 위치되어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샤프트에 결합되는 제 2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샤프트는 상기 제 1 샤프트가 닫혔을 때 상기 제 2 밀폐턱에 밀착되어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2 샤프트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제 3 오링 및; 상기 제 3 분기라인의 후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분기라인과 제 3 분기라인이 밀폐되도록 상기 제 2 샤프트에 결합되는 제 4 오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10)는 접속라인(20), 중간밸브(28), 제 1 라인(40), 제 2 라인(80), 챔버(110) 및 첵크밸브부재(30)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가스렌지 등의 연소기기(도시 않음)로 가스를 공급시키기 위한 가스배관상에 결합되어 연소기기 및 그 사이 가스배관상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가스누출확인장치(10)에서 접속라인(20)은 가스배관상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제 1 단(22)과 제 2 단(24)을 갖는다. 이때 제 1 단(22)과 제 2 단(24)은 연결하고자 하는 가스배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가스배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니플(nipple), 스크류와 너트 및 퀵 커플링(quick coupling) 등의 연결방법을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 이다. 중간밸브(28)는 제 1 단(22)과 제 2 단(24) 사이의 접속라인(20)에 설치되어 접속라인(20)을 통해 흐르는 가스를 차단한다. 이와 같은 중간밸브(28)는 그 형태에 따라 콕형, 레버형 등 일반적인 가스배관에 적용되는 유량제어밸브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접속라인(20)에는 제 1 라인(40)과 제 2 라인(80)이 접속된다. 여기서 제 1 라인(40)은 중간밸브(28)와 제 1 단(22) 사이에서 접속라인(20)과 연통되어 연장되고, 제 2 라인(80)은 중간밸브(28)와 제 2 단(24) 사이에서 접속라인(20)과 연통되어 연장된다. 제 1 라인(40)과 제 2 라인(80)에는 첵크밸브부재(30)가 설치되어 가스가 제 2 라인(80)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막으면서 가스누출의 확인시 가스가 제 1 라인(40)으로 유입되어 제 2 라인(80)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와 같은 첵크밸브부재(30)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 변형예와 같이 각 라인(40, 80)에 각각 별개로 설치되는 제 1 라인밸브(50)와 제 2 라인밸브(9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2 라인밸브(90)는 제 1 라인 밸브(50)가 열렸을 때 제 2 라인(80)을 열고, 제 1 라인밸브(50)가 닫혔을 때 제 2 라인(80)을 닫는다.
접속라인(20)의 일측에는 챔버(110)가 설치되어 제 1 라인(40)과 제 2 라인(80)의 끝단이 내부에 연장되도록 하여 가스의 누출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챔버(110)는 내부에 정해진 높이로 액체(120)가 수용되고, 제 1 라인의 끝단(48)이 액체(1200에 담기도록 위치되며, 제 2 라인의 끝단(88)이 액체의 표면(122) 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밀폐되고, 제 1 라인(40)을 통 해 가스가 들어와 수용된 액체(120)를 통해 기포(124, 도 3b 및 도 5b 참조)가 발생되었을 때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챔버(110)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지만, 내부의 기포형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와 재질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챔버(110)내에 수용되는 액체(120)는 가장 용이하게 방부처리되고 색소를 혼합한 물 등 화기의 염려가 없고 가스의 흐름에 따라 기포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는 액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10)는 중간밸브(28)를 잠근상태에서 첵크밸브부재(30)를 작동시키므로써 연소기기와 중간밸브(28) 사이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누출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중간밸브(28)를 잠근상태에서 첵크밸브부재(30)를 작동시키면 제 1 라인(40)과 제 2 라인(80)은 열린 상태가 된다. 이때 접속라인(20)으로 흐르는 가스는 중간밸브(28)가 닫힌 상태이므로 제 1 라인(40)을 통해 챔버(110)로 유입되고, 연소기기와 중간밸브(28)사이의 가스는 제 2 라인(80)을 통해 챔버(110)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가스의 누출이 없을 경우 가스압력의 평형상태가 유지되어 액체(120)상에는 기포가 발생되지 않고, 중간밸브(28)와 연소기기 사이에서 가스의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 기포가 발생될 것이다. 그리고 첵크밸브부재(30)의 작동을 정지하면(닫으면), 제 1 라인(40)과 제 2 라인(80)은 닫혀서 제 1 라인(40)과 제 2 라인(80)으로는 가스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라인(40)과 제 2 라인(80)이 가스누출을 확인하지 않을 때 닫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특히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제 1 라인(40)과 제 2 라인(80)이 강제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가스압력에 의하지 않고, 밸브가 구조적으로 닫히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기술적 특징이다.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10)는 역류에 따른 가스의 누출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10)에 따르면, 챔버(110)가 파손되는 경우 연소기기와 중간밸브(28)사이에 잔존되어 있는 가스가 챔버(110)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챔버(110)가 파손된 상태에서 중간밸브(28)가 열려 있을 때에도 챔버(110)를 통해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위험이 없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10)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하나였던 챔버(120)내의 액체가 가스배관으로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 액체를 사용하여 가스의 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누출확인장치는 이동중, 사용시 가스압력의 급격한 변화, 부주의 또는 충격으로 인한 위치의 변동시 챔버의 액체가 가스배관으로 흐르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10)에 의하면, 각 라인(40, 80)을 차단하게 되므로 챔버의 액체가 가스배관으로 흐르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10)는 평상시에는 첵크밸브부재(30)에 의해 제 1 라인(40)과 제 2 라인(80)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연소기기와 중간밸브(28) 사이의 가스가 챔버(110)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고, 가스누출을 확인할 때 첵크밸브부재(30)를 작동시켜서 연소기기와 중간밸브(28) 사이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는 도시가스 배관, LPG, LNG, 계측기, 도시가스공급라인 및 각종 산업용으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a 내지 도 6c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c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가스누출확인장치의 구성 및 방법으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 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들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가스누출확인장치(10)는 정밀주조 등의 제조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12)상에 접속라인(20), 제 1 라인(40) 및 제 2 라인(80)을 형성하고, 중간밸브(80), 챔버(110), 첵크밸브부재(30)를 결합시켜서 이루어져 연소기기로 가스를 공급시키기 위한 가스배관상에 결합시켜서 연소기기 및 그 사이 가스배관상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12)은 주조법 등에 의해 제조된 미가공 프레임을 각종 기계가공 등의 2차가공을 통해 각 라인 및 요소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12)에는 가스배관상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제 1 단(22)과 제 2 단(24)을 갖는 접속라인(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에서 회전시켜서 접속라인(20)을 통해 흐르는 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제 1 단(22)과 제 2 단(24) 사이에 중간밸브(28)가 결합된다. 제 1 라인(40)은 중간밸브(28)와 제 1 단(22) 사이에서 접속라인(20)과 연통되어 챔버(110)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이 제 1 라인(40)은 도 3a 내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분기라인(42)과 제 2 분기라인(4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분기라인(42)은 중간밸브(28)와 제 1 단(22) 사이에서 접속라인(20)과 연통되고, 프레임(12)의 일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제 2 분기라인(44)은 제 1 분기라인(42)과 연통되고 챔버(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 2 라인(80)은 중간밸브(28)와 제 2 단(24) 사이에서 접속라인(20)과 연통되어 챔버(110)로 연통되는데, 이 제 2 라인(80)은 도 3a 내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 분기라인(82)과 제 4 분기라인(8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3 분기라인(82)은 제 1 분기라인(42)과 연통되고 챔버(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제 4 분기라인(84)은 제 3 분기라인(82)과 연통되고 중간밸브(28)와 제 2 단(24) 사이에서 접속라인(20)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1 분기라인(42)상에는 제 3 분기라인(82)의 앞단에 내측 전체둘레로 돌출되는 제 1 밀폐턱(43)이 형성되고, 제 3 분기라인(82)상에는 제 4 분기라인(84)의 후단에 내측 전체둘레로 돌출되는 제 2 밀폐턱(9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밀폐턱(43, 93)은 후술하는 제 1 라인밸브(50)와 제 2 라인밸브(90)에 의해서 제 1 라인(40)과 제 2 라인(80)이 효과 적으로 밀폐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1 라인(40)과 제 2 라인(80)에는 제 1 라인밸브(50)와 제 2 라인밸브(90)가 설치된다. 제 1 라인밸브(50)는 외부에서 작동시켜서 제 1 라인(40)을 열고 닫고, 제 2 라인밸브(90)는 제 1 라인밸브(50)가 열였을 때 제 2 라인(80)을 열고 제 1 라인밸브(50)가 닫혔을 때 제 2 라인(80)을 닫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라인밸브(50)는 제 1 분기라인(42)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라인밸브(90)는 제 3 분기라인(82)에 설치되어 제 1 라인밸브(50)가 열렸을 때 챔버(110)로부터 제 4 분기라인(84)으로 가스가 흐르도록 하고, 제 1 라인밸브(50)가 닫혔을 때 챔버(110)로부터 제 4 분기라인(84)으로 가스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1 라인밸브(50)는, 도 3a 내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샤프트(52), 제 1 플러그(54), 점검핸들(56), 제 1 스프링(58)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 1 샤프트(52)는 접속라인(20)으로부터 제 1 분기라인(42)으로 흐르는 가스가 흐르도록 제 1 분기라인(42)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열렸을 때 접속라인(20)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가 제 2 분기라인(44)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때 제 1 샤프트(52)는 제 1 오링(62) 및 제 2 오링(64)을 구비하여 접속라인(20)으로부터 흐르는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 2 분기라인(44)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 1 오링(62)은 제 1 샤프트(52)가 닫혔을 때 제 1 밀폐턱(43)에 밀착되어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제 1 샤프트(52)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오링(64)은 제 2 분기라인(44)의 후단에 위치되어 가 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제 1 샤프트(52)에 결합된다. 제 1 오링(62)과 제 2 오링(64)이 결합되어 제 1 분기라인(42)상에서 이동되는 제 1 샤프트(52)는 프레임(12)에 나사고정되는 제 1 플러그(54)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스프링(58)에 의해 항시 닫히며, 끝단에 결합되는 점검핸들(56)의 작동시 열리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스프링(58)은 제 1 분기라인(42)상에서 제 1 플러그(54)에 지지되어 제 1 샤프트(52)상에 결합되고, 제 1 샤프트(52)가 접속라인(20)으로 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하여 제 1 샤프트(52)가 평상시에는 항시 닫히도록 한다. 그리고 점검핸들(56)은 프레임(12)의 외부에서 제 1 샤프트(52)의 끝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60)에 의해 고정되어 사용자(또는 점검자)가 눌렀을 때 제 1 샤프트(52)를 제 1 분기라인(42)상에서 이동시켜 열리도록 한다.
한편 제 2 라인밸브(90)는, 도 3a 내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샤프트(92), 제 2 플러그(94), 제 2 스프링(96)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 2 샤프트(92)는 제 3 분기라인(82)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그 끝단이 제 1 샤프트(52)에 형성된 걸림턱(53)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 2 샤프트(92)는 제 1 샤프트(52)가 열렸을 때 제 1 분기라인(42)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막고, 제 4 분기라인(84)으로 가스가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샤프트(52)가 닫혔을 때 제 4 분기라인(84)을 차단하여 연소기기와 중간밸브(28)사이의 가스가 챔버(110)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 2 샤프트(92)는 제 3 오링(100) 및 제 4 오링(102)을 구비하여 가스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 3 오링(100)은 제 1 샤프트(52)가 닫혔을 때 제 2 밀폐턱(93)에 밀착되어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제 2 샤프트(92)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 4 오링(102)은 제 3 분기라인(82)의 후단에 위치되어 제 1 분기라인(42)과 제 3 분기라인(82)이 밀폐되도록 제 2 샤프트(82)에 결합된다. 제 3 오링(100)과 제 4 오링(102)이 결합되어 제 3 분기라인(82)상에서 이동되는 제 2 샤프트(92)는 프레임(12)에 나사고정되는 제 2 플러그(94)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스프링(96)에 의해 항시 닫히며, 점검핸들(56)의 작동시 열리는 제 1 샤프트(52)에 의해서 열리도록 구성된다. 제 2 플러그(94)는 챔버(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제 3 분기라인(82)의 후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스프링(96)은 제 3 분기라인(82)상에서 제 2 샤프트(92)와 제 2 플러그(94) 사이에 결합되어 제 2 샤프트(92)가 제 1 분기라인(42)으로 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10)는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12)상에 접속라인(20), 제 1 분기라인(42), 제 2 분기라인(44), 제 3 분기라인(82) 및 제 4 분기라인(84)을 형성하고, 중간밸브(80), 챔버(110), 제 1 라인밸브(50) 및 제 2 라인밸브(90)를 결합시켜 구성되므로써 연소기기로 가스를 공급시키기 위한 가스배관상에 결합시켜서 안정적으로 가스 및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면서 연소기기 및 그 사이 가스배관상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10)의 작용을 보면, 먼저 중간밸브(28)를 잠근상태에서 점검핸들(56)를 누르므로써 연소기기와 중간밸브(28) 사이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누 출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중간밸브(28)를 잠근상태에서 점검핸들(56)를 누르면 제 1 샤프트(52)가 제 1 분기라인(42)상에서 뒤로 당겨지고(도 3b 기준), 제 1 샤프트(52)가 당겨지면서 걸림턱(53)에 의해 제 2 샤프트(92)가 눌러져서 접속라인(20)의 전단, 제 1 분기라인(42), 제 2 분기라인(44), 챔버(110), 제 3 분기라인(82), 제 4 분기라인(84) 및 접속라인(20)의 후단이 열린 상태가 된다. 이때 접속라인(20)으로 흐르는 가스는 중간밸브(28)가 닫힌 상태이므로 제 1 분기라인(42), 제 2 분기라인(44) 및 튜브(46)를 통해 챔버(110)내의 액체(120)속으로 유입되고, 연소기기와 중간밸브(28)사이의 가스는 제 4 분기라인(84) 및 제 3 분기라인(82)을 통해 챔버(110)내의 액체 표면(122)상으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가스의 누출이 없을 경우 가스압력의 평형상태가 유지되어 액체(120)상에는 기포가 발생되지 않고, 중간밸브(28)와 연소기기 사이에서 가스의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 기포(124)가 발생될 것이다. 그리고 점검핸들(56)을 놓으면, 제 1 분기라인(42), 제 2 분기라인(44), 챔버(110), 제 3 분기라인(82) 및 제 4 분기라인(84)은, 도 3a와 같이 닫힌 상태가 되어 가스가 흐르지 않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들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 가스누출확인장치이지만, 제 3 분기라인(92) 이 제 1 분기라인(42)과 연통되어 있지 않고,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제 3 분기라인(92)상에 제 2 플러그(94)에 첵킹판(104)을 설치하여 구성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변형예는 가스압력에 의해서 첵킹판(104)이 상승 또는 하강하여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고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스누출확인장치(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가스의 역류를 강제적인 구조로 차단하지 않고 유입되는 가스와 역류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누출확인장치에 의하면, 가스누출을 확힌하기 위해 챔버로 연결되는 제 1 라인과 제 2 라인이 가스누출을 확인하지 않을 때 닫히도록 하므로, 가스 및 액체의 역류를 안정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어 도시가스 배관, LPG, LNG, 계측기, 도시가스공급라인 및 각종 산업용으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는 제 1 라인과 제 2 라인이 강제적으로 닫히도록 구성되므로 챔버가 파손되는 경우 연소기기와 중간밸브사이에 잔존되어 있는 가스가 챔버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챔버가 파손된 상태에서 중간밸브가 열려 있을 때에도 챔버를 통해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위험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는 챔버내의 액체가 가스배관으로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 액체를 사용하여 가스의 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누출확인장치는 이동중, 사용시 가스압력의 급격한 변화, 부주의 또는 충격으로 인한 위치의 변동시 챔버의 액체가 가스배관으로 흐르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확인장치에 의하면, 각 라인을 차단하게 되므로 챔버의 액체가 가스배관으로 흐르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6)

  1. 연소기기로 가스를 공급시키기 위한 가스배관상에 결합되어 연소기기 및 그 사이 가스배관상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스누출확인장치에 있어서,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 및;
    내부에 정해진 높이로 액체가 수용되어 가스가 들어와 수용된 액체를 통해 기포가 발생되었을 때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가스배관상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제 1 단과 제 2 단을 갖는 접속라인이 형성되고, 외부에서 회전시켜서 상기 접속라인을 통해 흐르는 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단과 제 2 단 사이에 중간밸브가 결합되며, 상기 중간밸브와 제 1 단 사이에서 상기 접속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챔버로 연통되는 제 1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밸브와 제 2 단 사이에서 상기 접속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챔버로 연통되는 제 2 라인이 형성되며, 외부에서 작동시켜서 상기 제 1 라인을 열고 닫는 제 1 라인밸브가 상기 제 1 라인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라인밸브가 열였을 때 상기 제 2 라인을 열고 상기 제 1 라인밸브가 닫혔을 때 상기 제 2 라인을 닫는 제 2 라인밸브가 상기 제 2 라인상에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제 2 라인밸브에 의해 제 2 라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연소기기와 중간밸브 사이의 가스가 상기 챔버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고, 가스누출을 확인할 때 상기 제 1 라인밸브를 작동시켜서 상기 연소기기와 중간밸브 사이의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확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인은 상기 중간밸브와 제 1 단 사이에서 상기 접속라인과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 분기라인 및;
    상기 제 1 분기라인과 연통되고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분기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라인은 상기 제 1 분기라인과 연통되고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 3 분기라인 및;
    상기 제 3 분기라인과 연통되고 상기 중간밸브와 제 2 단 사이에서 상기 접속라인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제 4 분기라인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라인밸브는 상기 제 1 분기라인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라인밸브는 상기 제 3 분기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라인밸브가 열렸을 때 챔버로부터 상기 제 4 분기라인으로 가스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제 1 라인밸브가 닫혔을 때 챔버로부터 상기 제 4 분기라인으로 가스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확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인밸브는 상기 접속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1 분기라인으로 흐르는 가스가 흐르도록 상기 제 1 분기라인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열렸을 때 상기 접속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제 2 분기라인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분기라인의 후단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1 플러그와;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서 상기 제 1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샤프트를 상기 제 1 분기라인상에서 이동시켜 열리도록 하기 위한 점검핸들 및;
    상기 제 1 분기라인상에서 상기 제 1 플러그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샤프트가 상기 접속라인으로 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제 1 샤프트가 닫히도록 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라인밸브는 상기 제 3 분기라인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끝단이 상기 제 1 샤프트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 샤프트가 열렸을 때 상기 제 1 분기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막고 상기 제 4 분기라인으로 가스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제 1 샤프트가 닫혔을 때 상기 제 4 분기라인을 차단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분기라인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 2 플러그 및;
    상기 제 3 분기라인상에서 상기 제 2 샤프트와 제 2 플러그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샤프트가 상기 제 1 분기라인으로 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확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기라인상에는 상기 제 3 분기라인의 앞단에 내측 전체둘레로 돌출되는 제 1 밀폐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분기라인상에는 상기 제 4 분기라인의 후단에 내측 전체둘레로 돌출되는 제 2 밀폐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샤프트는 상기 제 1 샤프트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밀폐턱에 밀착되어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1 샤프트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제 1 오링 및;
    상기 제 2 분기라인의 후단에 위치되어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샤프트에 결합되는 제 2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샤프트는 상기 제 1 샤프트가 닫혔을 때 상기 제 2 밀폐턱에 밀착되어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 2 샤프트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제 3 오링 및;
    상기 제 3 분기라인의 후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분기라인과 제 3 분기라인이 밀폐되도록 상기 제 2 샤프트에 결합되는 제 4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확인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40055181A 2004-07-15 2004-07-15 가스누출확인장치 KR10060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181A KR100600493B1 (ko) 2004-07-15 2004-07-15 가스누출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181A KR100600493B1 (ko) 2004-07-15 2004-07-15 가스누출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258A KR20060006258A (ko) 2006-01-19
KR100600493B1 true KR100600493B1 (ko) 2006-07-13

Family

ID=3711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181A KR100600493B1 (ko) 2004-07-15 2004-07-15 가스누출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4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166B1 (ko) 2006-07-21 2007-12-11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가스누출 확인용 안전 밸브
KR100922712B1 (ko) * 2008-06-25 2009-10-22 코스모가스텍(주) 버튼형 가스누출 확인밸브
KR20190020918A (ko) * 2017-08-22 2019-03-05 김상헌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3363A1 (en) * 2006-07-22 2008-01-31 Cosmogastech Co., Ltd A gas leak checking valve with button
KR100838260B1 (ko) * 2007-01-20 2008-06-17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가스 누출 확인 기능을 갖는 중간 차단밸브
KR101662613B1 (ko) * 2015-04-21 2016-10-06 주식회사 화성 가스누설 점검밸브가 구비된 가스배관 중간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166B1 (ko) 2006-07-21 2007-12-11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가스누출 확인용 안전 밸브
KR100922712B1 (ko) * 2008-06-25 2009-10-22 코스모가스텍(주) 버튼형 가스누출 확인밸브
KR20190020918A (ko) * 2017-08-22 2019-03-05 김상헌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102035532B1 (ko) * 2017-08-22 2019-10-23 주식회사 엔비엘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258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45257A (en) Gas meter change-over fitting
KR100600493B1 (ko) 가스누출확인장치
WO2006076074A3 (en) Fluid containment element leak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DK17788D0 (da) Laekdetektor for et fluidum
KR200430488Y1 (ko) 버튼형 가스누출 확인밸브
KR100785166B1 (ko) 가스누출 확인용 안전 밸브
US4077427A (en) Leak detector valve assembly
JP2001200943A (ja) ガス栓
KR101648429B1 (ko) 캠형식의 가스누설 점검밸브가 구비된 가스배관 중간밸브
KR100838260B1 (ko) 가스 누출 확인 기능을 갖는 중간 차단밸브
KR101477577B1 (ko) 배관 압력시험용 수압캡
KR20180000181U (ko) 볼 밸브의 차압식 누설 검사 장치
KR101873818B1 (ko) 가스 유출 감지장치
KR101662613B1 (ko) 가스누설 점검밸브가 구비된 가스배관 중간밸브
KR20070109969A (ko) 가스누출식별기
KR101648430B1 (ko) 압축실린더식 점검밸브가 구비된 가스배관 중간밸브
KR101238177B1 (ko) 일방향 개폐밸브
JP5827993B2 (ja) ブラインドフランジ型バルブを有するバルブ装置
KR102000185B1 (ko)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
JP5096879B2 (ja) 逆止弁の逆止性能点検方法とその装置
JP7215799B2 (ja) 検査用継手部材及び検査用継手部材を用いた配管の漏れ検査方法。
US20230313931A1 (en) Pressure Lock for Gas Leak Detection
WO2022048722A1 (en) Directional gas leak detector
KR101662620B1 (ko) 슬라이드식 점검밸브가 구비된 가스배관 중간밸브
KR200493227Y1 (ko) 볼밸브용 가스 누출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