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859B1 -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859B1
KR100429859B1 KR1019970019980A KR19970019980A KR100429859B1 KR 100429859 B1 KR100429859 B1 KR 100429859B1 KR 1019970019980 A KR1019970019980 A KR 1019970019980A KR 19970019980 A KR19970019980 A KR 19970019980A KR 100429859 B1 KR100429859 B1 KR 10042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er
position value
dividing
horizontal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261A (ko
Inventor
김효주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1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859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Abstract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부분 및 소수 부분들을 각각 영상의 소스 포맷에 상응하는 2 또는 4로 제산하는 단계와, 정수 부분을 2 또는 4로 제산한 값의 소수점 이하의 값을 소수 부분을 2 또는 4로 제산한 값과 가산하여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구하는 단계 및 정수 부분을 2 또는 4로 제산한 값의 정수 부분을 2와 승산하여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휘도 신호 기준의 확대 영역 시작(또는 끝) 정보를 이용하여 색차 신호의 기준의 확대 영역 시작(또는 끝) 정보를 간단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전자 줌 시스템의 영상 확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로부터 색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를 구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줌 기능은 캠코더에서는 원거리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자세히 관찰할 때 사용하며, 테이프나 레이져 디스크(LD),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Video CD)등을 이용한 영상 매체에 있어서는 이미 기록된 영상을 확대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확대하는 방법으로는 광학 렌즈에 의한 영상 확대 방식과 고 배율의 줌 효과를 얻기 위한 광학 렌즈와 연계하여 디지탈 영상에 보간 기법을 이용하는 전자적인 조작에 의한 디지탈 전자 줌 방식이 있다. 전자적 줌 방식은 선형 보간 방식으로 실현한다. 영상을 전자적으로 확대하는 방법은 다음의 두가지 단계로 나뉠 수 있다. 첫번째는, 확대하고자 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필요한 확대 영역을 제외한 확대 영역 밖의 영상을 제거하는 '영상 절단(Image Truncation)' 및 영상의 확장' 단계이고 두번째는 확장된 영상에 보간 기법을 적용하는 '영상의 보간' 단계이다. 본 발명은 첫번째 단계인 영상 절단 및 영상의 확장 단계에 국한한다.
도 1은 입력 영상에 대해 영상을 확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에서는, 다음 수학식 1∼4를 이용하여 수평 확대 영역 및 수직 확대 영역의 시작과 끝에 대한 정보들을 구하였다.
[수학식 1]
Figure kpo00001
[수학식 2]
Figure kpo00002
[수학식 3]
Figure kpo00003
[수학식 4]
Figure kpo00004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Width를 나타내는 W는 확대하고자 하는 원 영상의 수평 방향의 크기를 나타내고, 도 1에 도시된 Height를 나타내는 H는 확대하고자 하는 원 영상의 수직 방향의 크기를 각각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전자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입력 영상은 휘도 신호 및 색 신호가 서로 구분되어 입력되며, 확대 영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확대 영역의 시작 및 끝의 정보는 휘도 신호만을 고려한 것으로서 전자 줌을 위한 소스 포맷이 4:2:2 또는 4:1:1(Y, R-Y, B-Y)일 경우에는 전술한 수학식 1∼4들을 색차 신호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영상을 확장하는 방법은 입력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수학식 1∼4들을 이용하여 확대 영역을 결정한다. 확대 영역을 결정한 후, 수평 및 수직의 시작 및 끝 정보들을 메모리의 독출 어드레스에 반영하여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영상의 확대를 달성한다. 입력 영상이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로 구분되어 입력될 경우는 휘도 신호용 메모리 및 색차 신호용 메모리를 각각 준비해야 한다. 그러나, 입력 영상의 포맷이 4:1:1(Y:R-Y:B-Y)일 때, R-Y 또는 B-Y 신호의 정보량이 휘도 신호 정보량의 1/4밖에 되지 않으므로 수학식 1∼4들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 줌의 실현을 위한 전자 줌 시스템에 있어서, 휘도 신호 기준의 확장 영역 시작(또는 끝) 정보들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의 소스 포맷에 따라 색차 신호의 확장 영역 시작(또는 끝) 정보들을 산출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을 수행하는 확대 영역 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입력 영상에 대해 영상을 확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4:1:1의 소스 포맷의 휘도 및 색차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c)들은 시분할 되어 입력되는 색차 신호와 휘도 신호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들은 휘도 신호 수평 방향 영상 확대 시작값에 대한 색차 신호 수평 방향 영사 확대 시작값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확대 영역 결정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확대 영역 결정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확대 영역 결정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확대 영역 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8은 소스 포맷이 4:1:1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확대 영역 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9는 소스 포맷이 4:2:2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확대 영역 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전자 줌 시스템에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구분되어 입력되는 영상의 본 발명에 의한 확대 영역 결정 방법은, 상기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부분 및 소수 부분들을 각각 상기 영상의 소스 포맷에 상응하는 N(여기서, N은 정수)으로 제산하는 단계와, 상기 정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한 값의 소수점 이하의 값을 상기 소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한 값과 가산하여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한 값의 정수 부분을 M(여기서, M은 정수)과 승산하여 상기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전자 줌 시스템에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구분되어 입력되는 영상의 본 발명에 의한 확대 영역 결정 장치는, 상기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부분을 입력하여 N(여기서, N은 정수)으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 및 소수점 이하의 부분을 출력하는 제1제산 수단과, 상기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하는 제2제산 수단과, 상기 제1제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정수 부분을 M(여기서, M은 정수)과 승산하여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승산 수단 및 상기 제2제산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1제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수점 이하의 부분을 가산하여 상기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가산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전자 줌 시스템에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구분되어 입력되는 영상의 본 발명에 의한 확대 영역 결정 장치는, 상기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부분을 입력하여 2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인 제1정수와 소수 부분인 제1소수를 출력하는 제1제산수단과, 상기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입력하여 2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를 제2소수로서 출력하는 제2제산수단과, 상기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입력하여 4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인 제2정수와 소수 부분인 제3소수를 출력하는 제3제산수단과, 상기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입력하여 4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를 제4소수로서 출력하는 제4제산수단과, 입력한 상기 제1정수 및 상기 제2정수를 소스 포맷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선택수단과, 입력한 상기 제1소수 및 상기 제3소수를 상기 소스 포맷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선택수단과, 입력한 상기 제2소수 및 상기 제4소수를 상기 소스 포맷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3선택수단과, 상기 제1선택수단의 출력과 2를 승산하고, 승산된 결과를 상기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승산 수단 및 상기 제2선택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3선택수단의 출력을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상기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가산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4:1:1의 소스 포맷의 휘도 및 색차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c)들은 시분할 되어 입력되는 색차 신호와 휘도 신호의 타이밍도들로서, 도 3의 (a)는 클럭(CK)의 타이밍도를, 도 3의 (b)는 휘도 신호의 타이밍도들, 도 3의 (c)는 색차 신호의 타이밍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들은 휘도 신호 수평 방향 영상 확대 시작값에 대한 색차 신호 수평 방향 영사 확대 시작값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휘도 신호의 어드레스를, 도 4의 (b)는 색차 신호의 어드레스를 각각 나타내며, n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휘도 신호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소스 포맷이 4:1:1인 것으로 가정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신호 4샘플에 색차 신호 R-Y 및 B-Y가 각각 1개씩만 존재하며, 따라서 색차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크기도 휘도 신호의 1/4이면 된다. 일반적으로 색차 신호는 R-Y와 B-Y신호가 동일한 신호선(BUS)에 의해 전송되며, 시분할 방식에 의해 전송되므로, 색차 신호들(R-Y 및 B-Y)을 각각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는 별도로 준비할 필요없이 1개의 색차 신호 저장장소만 있으면 되며, 저장 장소의 크기는 휘도 신호 저장 장소 크기의 1/2이면 된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클럭에 응답하여 도 3의 (b)에 도시된 휘도 신호가 두개 입력될 때, 하나의 색차 신호(R-Y 또는 B-Y)가 입력된다.
도 4의 (a) 및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신호의 어드레스가 n일 때, 색차 신호는 휘도 신호 정보량의 1/2이므로 n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휘도 신호의 1/2인 n/2인 어드레스 위치에 색차 신호가 저장되어 있다. n∼n+3 위치의 휘도 신호와 n/2∼n/2+1의 색차 신호는 동일한 화소 정보군을 표현한다. 즉, n∼n+3위치 각각의 휘도 신호에 n/2 및 n/2+1 위치의 R-Y 및 B-Y의 색차 신호가 동일하게 합성되어 4샘플의 화소를 표현한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들에 도시된 예에서, 휘도 신호의 수평확장을 위한 값(Hstarty)값이 n+3일 때,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값(Hstartc)은 n/2+0.75이다.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 시작 값(Hstartc)이 전술한 바와 같이 산출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에서 색차 신호들(R-Y1, B-Y1 또는 R-Y2, B-Y2)는 각각 다른 위치(메모리의 메모리 어드레스 위치)를 보여주고 있지만, 영상 확대를 위한 보간 신호 처리의 관점에서는 R-Y 신호와 B-Y 신호는 휘도 신호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동일한 위상을 가진 신호로 해석한다. 따라서, 특정 전자 줌 배율에 있어서, 색차 신호에 대해 보간 신호 처리를 수행할 때, R-Y 신호를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값(Hstartc)의 기준으로 정의를 했으면, 임의의 어떤 줌 배율에 있어서도, 색차 신호는 항상 R-Y 신호가 수평 확장을 위한 기준 신호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B-Y 신호를 보간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수평 확장 신호의 기준으로 정의를 했으면, 임의의 어떤 값(Hstarty)에 대해서도 B-Y신호가 색차 신호 보간의 기준이 되는 값(Hstartc)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R-Y 신호를 보간 신호 처리의 기준으로 정의하여 설명하였다.
전술한 이유로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값(Hstarty)이 n+3일 때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값(Hstartc)은 n/2와 서브 픽셀 오프셋 0.75가 된다.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 값(n/2+0.75)에서 n/2는 메모리의 독출 어드레스로 반영이 되며, 서브 픽셀 값(0.75)은 색차 신호의 보간 계수를 발생하는데 반영된다. 서브 픽섹 값(0.75)은 R-Y 및 B-Y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을 소스 포맷에 따라 각기 다른 값으로 제산하는 단계(제10∼14단계) 및 제산된 결과를 소정수와 승산하여 색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부분을 구하는 단계(제16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은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또는 서브 픽셀부)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소스 포맷이 4:1:1인가 4:2:2인가를 판단한다(제10단계). 만일, 소스 포맷이 4:1:1일 경우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 및 소수 부분을 4로 제산한다(제12단계). 제12단계의 제산된 결과에서 소수점 이하값은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부분에 해당한다. 그러나, 소스 포맷이 4:2:2일 경우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 및 소수 부분을 2로 제산한다(제14단계). 마찬가지로, 제14단계의 제산된 결과에서 소수점 이하값은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에 해당한다. 제12 또는 제14단계에서,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을 4 또는 2로 제산하는 이유는 4:1:1 또는 4:2:2 소스 포맷에 있어서 색차 신호(R-Y 및 B-Y) 각각은 휘도 신호 정보량의 1/4 또는 1/2이기 때문이다.
제12단계 또는 제14단계의 4 또는 2로 제산된 값에서 정수 부분을 2로 승산하고, 승산된 결과를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구한다(제16단계). 이는 R-Y 신호를 저장한 메모리에 위치가 휘도 신호를 저장한 메모리에 위치의 절반이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확대 영역 결정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확대 영역 결정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제1 및 제2제산부들(20 및 22), 승산부(24) 및 가산부(26)으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제1제산부(2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부분을 입력하여 4 또는 2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을 승산부(24)로 출력하고, 소수 부분을 가산부(26)로 각각 출력한다. 제2제산부(22)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입력하여 4 또는 2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를 가산부(26)로 출력한다.
승산부(24)는 제1제산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정수 부분을 입력하여 2로 승산하고, 승산된 결과를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가산부(26)는 제2제산부(22)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제1제산부(20)로부터 출력되는 소수 부분과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으로서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확대 영역 결정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확대 영역 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제1, 2, 3 및 4제산부들(40, 42, 44 및 46), 제1, 2 및 3선택부들(50, 52 및 54), 승산부(60) 및 가산부(62)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제1제산부(4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입력하여 2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을 제1정수로서, 소수 부분을 제1소수로서 제1선택부(50) 및 제2선택부(52)로 각각 출력한다. 제2제산부(42)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입력하여 2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를 제3선택부(54)로 출력한다.
한편, 제3제산부(44)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입력하여 4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을 제2정수로서, 소수 부분을 제3소수로서 제1선택부(50) 및 제2선택부(52)로 각각 출력한다. 제4제산부(46)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입력하여 4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를 제3선택부(54)로 출력한다.
제1선택부(50)는 소스 포맷에 따라 발생되는 선택신호(S)에 응답하여 제1정수 또는 제2정수를 선택적으로 승산부(60)로 출력한다. 즉, 4:1:1 포맷일 경우 제2정수를 승산부(60)로 출력하고, 4:2:2 포맷일 경우 제1정수를 승산부(60)로 출력한다. 제2선택부(52)는 입력한 제1소수 및 제3소수를 선택신호(S)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가산부(62)로 출력한다. 즉, 4:1:1 포맷일 경우 제3소수를 가산부(62)로 출력하고, 4:2:2 포맷일 경우 제1소수를 가산부(62)로 출력한다. 제3선택부(54)는 입력한 제2소수 및 제4소수를 선택신호(S)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가산부(62)로 출력한다. 즉, 4:1:1 포맷일 경우 제4소수를 가산부(62)로 출력하고, 4:2:2 포맷일 경우 제2소수를 가산부(62)로 출력한다.
승산부(60)는 제1선택부(50)로부터 출력되는 제1정수 또는 제2정수를 소정수 '2'와 승산하고, 승산된 값을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가산부(62)는 제2선택부(52)로부터 출력되는 제1 또는 제3소수를 제3선택부(54)로부터 출력되는 제2 또는 제4소수와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으로서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제산부들(20, 22, 40, 42, 44 또는 46) 또는 승산부(60)는 제산기 또는 승산기가 아닌 쉬프트 레지스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제1제산부(20)는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수평 구동 펄스(HD:Horizontal Driving pulse)에 응답하여 ln2N(여기서, N은 2 또는 4) 만큼 쉬프팅하고, 쉬프팅된 값의 정수 부분은 승산부(24)으로 출력하고, 소수 부분은 가산부(26)로 출력한다. 또한, 제2제산부(22)는 입력한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수평 구동 펄스에 응답하여 ln2N만큼 쉬프팅하고, 쉬프팅된 값을 가산부(26)로 출력한다. 한편, 승산부(24)는 제1쉬프트 레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는 제1제산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정수 부분을 ln2M(여기서, M은 2) 만큼 쉬프팅하고, 쉬프팅된 결과를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제1, 2, 3, 4 또는 승산부(40, 42, 44, 46 또는 6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소스 포맷이 4:1:1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확대 영역 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제1플립플롭단(80), 제2플립플롭단(90) 및 제3플립플롭단(100)으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제1플립플롭단(80)은 제1O플립플롭(88), 제11플립플롭(86), ..., 제18플립플롭(84) 및 제19플립플롭(82)으로 구성되며, 제11플립플롭(86)∼제19플립플롭(82)들은 데이타 입력단자(D)를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Hstry)에서 10비트의 정수 부분(Hstryi<9:0>)중 최상위 8비트를 입력하고, 제10플립플롭(88)은 데이타 입력단자를 통해 "저"논리 레벨의 신호를 입력하며, 각 플립플롭은 클럭단자(CK)를 통해 입력되는 수평 구동 펄스(HD)에 응답하여 입력한 데이타를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Hstrci<8:0>)으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10비트 정수 부분중에서 최하위 2비트를 제외한 8비트가 제1플립플롭단(80)으로 입력되었으므로 이는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Hstryi<9:0>)을 '4'로 제산한 결과중 정수에 해당하는 부분을 얻는 효과를 가져오며, 제10플립플롭(88)에 "저"논리 레벨이 입력되므로 이는 4로 제산된 값을 '2'로 승산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결국, 제1플립플롭단(80)은 도 6에 도시된 제1제산부(20) 및 승산부(24)의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플립플롭단(90)은 제2O플립플롭(98), ..., 제25플립플롭(96), 제26플립플롭(94) 및 제27플립플롭(92)으로 구성되며, 제26플립플롭(94) 및 제27플립플롭(92)들은 데이타 입력단자(D)를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Hstry)에서 10비트의 정수 부분(Hstryi<9:0>)중 최하위 2비트를 입력하고, 제20플립플롭(98) ∼ 제25플립플롭(96)들은 데이타 입력단자(D)를 통해 "저"논리 레벨의 신호를 입력하며, 각 플립플롭은 클럭단자(CK)를 통해 입력되는 수평 구동 펄스(HD)에 응답하여 입력한 데이타를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4로 제산한 결과중 소수에 해당하는 부분을 출력한다.
도 8에 도시된 제3플립플롭단(100)은 제3O플립플롭(108), ..., 제35플립플롭(106), 제36플립플롭(104) 및 제37플립플롭(102)으로 구성되며, 제30플립플롭(108)∼제35플립플롭(106)들은 데이타 입력단자(D)를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Hstry)에서 8비트의 소수 부분(Hstrys<7:0>)중 최상위 6비트를 입력하고, 제36플립플롭(104) 및 제37플립플롭(102)은 데이타 입력단자(D)를 통해 "저"논리 레벨의 신호를 입력하며, 각 플립플롭은 클럭단자(CK)를 통해 입력되는 수평 구동 펄스(HD)에 응답하여 입력한 데이타를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4로 제산한 결과 값으로서 출력한다. 가산부(110)는 제2플립플롭단(90)으로부터 출력되는 8비트 데이타와 제3플립플롭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8비트 데이타를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Hstrcs<7:0>)으로서 출력한다. 결국, 제3플립플롭단(100)은 도 6에 도시된 제2제산부(22)의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소스 포맷이 4:2:2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확대 영역 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제1플립플롭단(140), 제2플립플롭단(150) 및 제3플립플롭단(160)으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제1플립플롭단(140)은 제1O플립플롭(148), 제11플립플롭(146), ..., 제18플립플롭(144) 및 제19플립플롭(142)으로 구성되며, 제11플립플롭(146)∼제19플립플롭(142)들은 데이타 입력단자(D)를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Hstry)에서 10비트의 정수 부분(Hstryi<9:0>)중 최상위 9비트를 입력하고, 제10플립플롭(148)은 데이타 입력단자를 통해 "저"논리레벨의 신호를 입력하며, 각 플립플롭은 클럭단자(CK)를 통해 입력되는 수평 구동 펄스(HD)에 응답하여 입력한 데이타를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Hstrci<9:0>)으로서 출력한다. 결국, 제1플립플롭단(140)은 도 6에 도시된 제1제산부(20) 및 승산부(24)의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플립플롭단(150)은 제2O플립플롭(158), ..., 제25플립플롭(156), 제26플립플롭(154) 및 제27플립플롭(152)으로 구성되며, 제27플립플롭(152)는 데이타 입력단자(D)를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Hstry)에서 10비트의 정수 부분(Hstryi<9:0>)중 최하위 비트를 입력하고, 제20플립플롭(158) ∼ 제26플립플롭(154)들은 데이타 입력단자(D)를 통해 "저"논리 레벨의 신호를 입력하며, 각 플립플롭은 클럭단자(CK)를 통해 입력되는 수평 구동 펄스(HD)에 응답하여 입력한 데이타를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2로 제산한 결과중 소수에 해당하는 부분을 출력한다.
도 9에 도시된 제3플립플롭단(160)은 제3O플립플롭(168), ..., 제35플립플롭(166), 제36플립플롭(164) 및 제37플립플롭(162)으로 구성되며, 제30플립플롭(168)∼제36플립플롭(164)들은 데이타 입력단자(D)를 통해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Hstry)에서 8비트의 소수 부분(Hstrys<7:0>)중 최상위 7비트를 입력하고, 제37플립플롭(162)은 데이타 입력단자(D)를 통해 "저"논리 레벨의 신호를 입력하며, 각 플립플롭은 클럭단자(CK)를 통해 입력되는 수평 구동 펄스(HD)에 응답하여 입력한 데이타를 휘도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2로 제산한 결과 값으로서 출력한다. 가산부(170)는 제2플립플롭단(150)으로부터 출력되는 8비트 데이타와 제3플립플롭단(160)으로부터 출력되는 8비트 데이타를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색차 수평 시작(또는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Hstrcs<7:0>)으로서 출력한다. 결국, 제3플립플롭단(160)은 도 6에 도시된 제2제산부(22)의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 및 장치는 휘도 신호 기준의 확대 영역 시작(또는 끝) 정보를 이용하여 색차 신호의 기준의 확대 영역 시작(또는 끝) 정보를 간단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전자 줌 시스템에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구분되어 입력되는 영상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휘도 수평 시작 위치값의 정수부분 및 소수 부분들을 각각 상기 영상의 소스 포맷에 상응하는 N(여기서, N은 정수)으로 제산하는 단계;
    상기 정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한 값의 소수점 이하의 값을 상기 소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한 값과 가산하여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색차 수평 시작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한 값의 정수 부분을 M(여기서, M은 정수)과 승산하여 상기 색차 수평 시작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포맷이 4:1:1인 경우, 상기 N은 4이고, 상기 M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소스 포맷이 4:2:2인 경우, 상기 N은 2이고, 상기 M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
  4. 전자 줌 시스템에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구분되어 입력되는 영상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휘도 수평 시작 위치값의 정수부분을 입력하여 N(여기서, N은 정수)으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 및 소수점 이하의 부분을 출력하는 제1제산 수단;
    상기 휘도 수평 시작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하는 제2제산 수단;
    상기 제1제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정수 부분을 M(여기서, M은 정수)과 승산하여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색차 수평 시작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승산 수단; 및
    상기 제2제산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1제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수점 이하의 부분을 가산하여 상기 색차 수평 시작 위치값의 소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가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소스 포맷이 4:1:1인 경우, 상기 N은 4이고, 상기 M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소스 포맷이 4:2:2인 경우, 상기 N 및 상기 M은 각각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산 수단은
    상기 휘도 수평 시작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수평 구동 펄스에 응답하여 ln2N 만큼 쉬프팅하고, 쉬프팅된 값의 정수 부분은 상기 승산수단으로 출력하고, 소수 부분은 상기 가산 수단으로 출력하는 제1쉬프트 레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산 수단은
    입력한 상기 휘도 수평 시작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상기 수평 구동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ln2N만큼 쉬프팅하고, 쉬프팅된 값을 상기 가산 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쉬프트 레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산수단은 상기 제1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정수 부분을 ln2M 만큼 쉬프팅하고, 쉬프팅된 결과를 상기 색차 수평 시작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제3쉬프트 레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10. 전자 줌 시스템에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구분되어 입력되는 영상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휘도 수평 시작 위치값의 정수부분을 입력하여 2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인 제1정수와 소수 부분인 제1소수를 출력하는 제1제산수단;
    상기 휘도 수평 시작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입력하여 2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를 제2소수로서 출력하는 제2제산수단;
    상기 휘도 수평 시작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입력하여 4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인 제2정수와 소수 부분인 제3소수를 출력하는 제3제산수단;
    상기 수평 시작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입력하여 4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를 제4소수로서 출력하는 제4제산수단;
    입력한 상기 제1정수 및 상기 제2정수를 소스 포맷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선택수단;
    입력한 상기 제1소수 및 상기 제3소수를 상기 소스 포맷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선택수단;
    입력한 상기 제2소수 및 상기 제4소수를 상기 소스 포맷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3선택수단;
    상기 제1선택수단의 출력과 2를 승산하고, 승산된 결과를 상기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색차 수평 시작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승산 수단; 및
    상기 제2선택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3선택수단의 출력을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상기 색차 수평 시작 위치값의 소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가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11. 전자 줌 시스템에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구분되어 입력되는 영상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휘도 수평 끝 위치값의 정수부분 및 소수 부분들을 각각 상기 영상의 소스 포맷에 상응하는 N(여기서, N은 정수)으로 제산하는 단계;
    상기 정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한 값의 소수점 이하의 값을 상기 소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한 값과 가산하여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색차 수평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한 값의 정수 부분을 M(여기서, M은 정수)과 승산하여 상기 색차 수평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포맷이 4:1:1인 경우, 상기 N은 4이고, 상기 M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소스 포맷이 4:2:2인 경우, 상기 N은 2이고, 상기 M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방법.
  14. 전자 줌 시스템에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구분되어 입력되는 영상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휘도 수평 끝 위치값의 정수부분을 입력하여 N(여기서, N은 정수)으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 및 소수점 이하의 부분을 출력하는 제1제산 수단;
    상기 휘도 수평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상기 N으로 제산하는 제2제산 수단;
    상기 제1제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정수 부분을 M(여기서, M은 정수)과 승산하여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색차 수평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승산 수단; 및
    상기 제2제산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1제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수점 이하의 부분을 가산하여 상기 색차 수평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가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소스 포맷이 4:1:1인 경우, 상기 N은 4이고, 상기 M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소스 포맷이 4:2:2인 경우, 상기 N 및 상기 M은 각각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산 수단은
    상기 휘도 수평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수평 구동 펄스에 응답하여 ln2N 만큼 쉬프팅하고, 쉬프팅된 값의 정수 부분은 상기 승산수단으로 출력하고, 소수 부분은 상기 가산 수단으로 출력하는 제1쉬프트 레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산 수단은
    입력한 상기 휘도 수평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상기 수평 구동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ln2N만큼 쉬프팅하고, 쉬프팅된 값을 상기 가산 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쉬프트 레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승산수단은 상기 제1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정수 부분을 ln2M 만큼 쉬프팅하고, 쉬프팅된 결과를 상기 색차 수평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제3쉬프트 레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20. 전자 줌 시스템에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구분되어 입력되는 영상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휘도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휘도 수평 끝 위치값의 정수부분을 입력하여 2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인 제1정수와 소수 부분인 제1소수를 출력하는 제1제산수단;
    상기 휘도 수평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입력하여 2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를 제2소수로서 출력하는 제2제산수단;
    상기 휘도 수평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을 입력하여 4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의 정수 부분인 제2정수와 소수 부분인 제3소수를 출력하는 제3제산수단;
    상기 수평 시작 위치값의 소수 부분을 입력하여 4로 제산하고, 제산된 결과를 제4소수로서 출력하는 제4제산수단;
    입력한 상기 제1정수 및 상기 제2정수를 소스 포맷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선택수단;
    입력한 상기 제1소수 및 상기 제3소수를 상기 소스 포맷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선택수단;
    입력한 상기 제2소수 및 상기 제4소수를 상기 소스 포맷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3선택수단;
    상기 제1선택수단의 출력과 2를 승산하고, 승산된 결과를 상기 색차 신호의 수평 확장을 위한 색차 수평 끝 위치값의 정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승산 수단; 및
    상기 제2선택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3선택수단의 출력을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상기 색차 수평 끝 위치값의 소수 부분으로서 출력하는 가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 장치.
KR1019970019980A 1997-05-22 1997-05-22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방법 및 장치 KR10042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980A KR100429859B1 (ko) 1997-05-22 1997-05-22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980A KR100429859B1 (ko) 1997-05-22 1997-05-22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261A KR19980084261A (ko) 1998-12-05
KR100429859B1 true KR100429859B1 (ko) 2004-06-16

Family

ID=3733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980A KR100429859B1 (ko) 1997-05-22 1997-05-22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8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377A (ko) * 1989-04-04 1990-11-16 쯔지 하루오 전자적으로 확대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
KR970004809A (ko) * 1995-06-30 1997-01-29 김주용 오차 판별 회로
KR970006604U (ko) * 1995-07-22 1997-02-21 허만섭 가스렌지의 배기닥트용 필터
KR100232274B1 (ko) * 1990-10-31 1999-12-01 다카노 야스아키 전자 줌 기능을 갖는 비디오 카메라의 디지탈 신호 처리용 집적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377A (ko) * 1989-04-04 1990-11-16 쯔지 하루오 전자적으로 확대 촬영 가능한 촬상 장치
KR100232274B1 (ko) * 1990-10-31 1999-12-01 다카노 야스아키 전자 줌 기능을 갖는 비디오 카메라의 디지탈 신호 처리용 집적 회로
KR970004809A (ko) * 1995-06-30 1997-01-29 김주용 오차 판별 회로
KR970006604U (ko) * 1995-07-22 1997-02-21 허만섭 가스렌지의 배기닥트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261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6110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950013445B1 (ko) 비디오 데이타 확장용 인터폴리에이터 장치
KR100429874B1 (ko) 파노라마/워터글라스 기능 구현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및그 방법
US6067124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JP200124514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1008037A (ja) 画素補間方法および回路
JPH04347969A (ja) 画素密度変換装置
EP1173029B1 (en) Color image pickup device
US20030190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izing a digital image
KR100429859B1 (ko) 전자 줌 시스템의 확대 영역 결정방법 및 장치
JPH10262266A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の方法、および信号処理システム
JP2732772B2 (ja) デジタル信号処理回路
KR20000051198A (ko) 범용 영상 포맷 변환 장치
US5177698A (en) Selectable power of two coefficient signal combining circuit
TWI288393B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output apparatus
US593708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349430B1 (ko) 보간 장치
JP2944284B2 (ja) 多画面表示装置
KR100220821B1 (ko) 전자 줌 영역 가변 장치
EP0810797B1 (en) Digital colour signal modulating apparatus
JPS63281587A (ja) 画像伸長用回路及び該回路を具える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19990072683A (ko) 디지털화상의확대축소방법및회로
JP6215861B2 (ja) 画像拡大装置および画像拡大方法
KR0157481B1 (ko) 와이드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직확대개선회로
KR100510460B1 (ko) 줌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