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367B1 - 신발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신발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367B1
KR100429367B1 KR10-2001-0048999A KR20010048999A KR100429367B1 KR 100429367 B1 KR100429367 B1 KR 100429367B1 KR 20010048999 A KR20010048999 A KR 20010048999A KR 100429367 B1 KR100429367 B1 KR 10042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point
weight
polyester yarn
shoes
interi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451A (ko
Inventor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정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호 filed Critical 정준호
Priority to KR10-2001-0048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3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내장재에 있어서, 융점 230℃인 폴리에스터사 10~20중량%와 융점 140~16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사 20~30중량% 및 마섬유 50~70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웹(web)을 만들고 이를 니들펀칭한 후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터사의 융점보다 10~15℃ 낮은 온도의 열풍기를 통과시키고 이를 카렌더 로울러 압착하여 부직포로 제조된 두께 4.5mm, 무게 900~1200g/m2의 신발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완충성과 통기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우수한 탈취성을 나나태는 신발용 내장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발용 내장재{Inner meterials for shoes}
본 발명은 탈취율(脫臭率)이 우수한 신발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구두나 운동화등 각종 신발류의 깔창이나 내피용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마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로된 신발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신발용 내장재는 완충, 탈취 및 흡습의 기능이 요구되는데 부직포는 이러한 기능을 부여하기에 적합하므로 신발류 내장재의 소재로서 널리 이용도고 있으며, 숯가루를 함유하는 부직포로된 신발용 안창도 제안된바 있다.
숯가루를 함유하는 부직포로된 신발용 내장재로 대표적인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그중 하나가 숯가루가 함유된 폴리에스터사와 직물용 폴리에스터사를 혼합하여 부직포로 만들어 준 것이 있다. 그러나 숯가루가 함유된 폴리에스터사는 섬유제조시 방사액에 함유된 숯가루로 인하여 실의 강도가 저하되게 되어 섬유가 쉽게 절단될 뿐아니라 숯가루의 표면이 방사액으로 피복되게 되어 탈취 및 흡습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숯가루의 표면에 섬유제조시 방사액이 피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부직포 제조공정에서 폴리에스터 섬유웹(web) 위에 숯가루나 숯가루와 마섬유 분말의 혼합물을 도포하고 이들이 도포된 웹을 여러매 적층시킨 후 열풍으로 숯가루와 섬유웹을 결착시켜서 제조된 부직포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49931호(2000. 8. 26)로 출원한바 있다. 이렇게 제조된 부직포는 부직포 내의 숯가루나 마섬유 분말이 섬유의 조직을 유지한 상태로 조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직포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며 숯가루와 섬유웹이 열풍으로 결착되게 되면서 숯가루의 탈취효과가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숯 및 마섬유는 모두 탈취성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숯가루는 부직포 제조시 일정량 이상, 즉 10중량% 이상은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분야에서는 신발 내장재의 탈취성능을 개선시켜 주기 위한 방법으로 숯가루를 첨가하는 방법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해 보았으나 아직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49931호를 더욱 개량한 신발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내장재로서 충분한 인장력을 구비하면서 우수한 통기성 및 완충성과 탈취효능을 갖는 부직포로 된 신발 내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는 융점이 다른 2종의 폴리에스터사와 정련한 마섬유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구성시킨 부직포가 충분한 인장력을 구비하면서 우수한 탈취성능을 나타내게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신발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섬유경 10~13 데니어(denier)이고 융점 230℃인 직물용 폴리에스터(polyester)사 10~20중량%와 섬유경 10~13 데니어이고 융점 140~16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로 제조한 폴리에스터사 20~30중량% 및 섬유장 2~3inch인 정련된 마섬유 50~70%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를 방적용 카드기(carding machine)을 사용하여 웹(web)을 만들고 이를 니들펀치 부직포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한 다음 저융점 폴리에스터사의 융점보다 약 10℃ 정도 낮은 온도의 열풍실 속으로 통과시킨 후 가압 카렌다(Calender) 로울러에 통과시켜 두께 4.5mm, 무게 900~1200g/m2의 부직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은 섬유의 조성과 열풍실의 적용온도를 제외하고는 부직포 제조업체에서 적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부직포 제조방법과 같다.
융점 140~16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는 주로 사출성형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합성수지의 일종이다.
본 발명에서 열풍실의 온도를 저융점 폴리에스터사의 융점보다 약 10℃ 정도 낮은 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이유는 섬유 상호간의 결착력을 조절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저융점 폴리에스터사의 융점과 같은 온도를 유지해주게 되면 대부분의 저융점 폴리에스터사가 용융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결착력은 커지나 통기성과 완충성이 떨어지게 되고 용융된 폴리에스터사가 마섬유의 표면에 피복되는 결과를 가져오게되므로 마섬유의 탈취 효능을 떨어트리게 된다.
또한 열풍실의 온도를 저융점 폴리에스터사의 융점보다 20℃ 이하로 낮게 유지시켜 주게 되면 저융점 폴리에스터사 표면에서 거의 용융현상이 일어나지 않게되어 섬유간의 결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부직포가 쉽게 풀리게 되므로 내장재로서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자는 반복시험을 통하여 열풍실의 온도를 저융점 폴리에스터사의 융점보다 10~15℃ 정도 낮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을 알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부직포로 된 신발용 내장재를 신발 바닥창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완충성과 내구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면섬유와 같은 섬유로 된 직물(Cloth)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직포에 부착시켜 준다.
이때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신발창에 접착제로 인한 피막층이 형성되게 되므로 완충성과 통기성 및 탈취효능을 떨어트리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부직포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직물을 부착시켜 줄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저융점의 폴리에스터사를 20~30중량% 함유하고 있고, 상기 저융점 폴리에서터사의 융점보다 약 10℃ 정도 낮은 열풍을 불어주게 되면 저융점 폴리에스터사 표면의 일부가 용융되면서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직물을 부착시켜 줄수 있으며 접착제로 인한 피막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통기성과 탈취효능을 그대로 유지시켜 줄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마섬유는 대마섬유, 저마섬유, 아마섬유 등이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융점 230℃의 폴리에스터사 15중량%와 융점 140℃의 폴리에스터사 25중량%와 섬유장 3inch의 정련한 마섬유 60중량%를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상기 섬유들은 섬유경 10 데니어의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섬유 혼합물을 방적용 카드기를 사용하여 웹(Web)을 만들고 이를 니들펀펀칭 한 다음 130℃의 열풍실 속으로 분당 8m의 속도로 20초간 통과시킨 후 카렌다 로울러에 통과시켜 두께 4.5mm 무게 1000g/m2인 본 발명의 신발내장재용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신발바닥창으로 이용하고자 할 때는 프레쓰(press) 금형을 이용하여 신발바닥창으로 성형한 후 그 표면에 130℃의 열풍을 불어주어 저융점 폴리에스터사의 표면 일부가 용융되게 한 후 면직물을 접착시켜 주면 신발바닥창용 내장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숯가루 5%를 함유시킨 부직포로된 신발용 내장재와 본 발명의 신발용 내장재의 탈취율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기재된 바와같다.
탈취율 시험 결과 비교
구분 본 발명 신발용 내장재 숯가루 5%를 함유한 신발용 내장재
시험시간 농도(ppm) 탈취율(%) 농도(ppm) 탈취율(%)
Blank 시료 시료 Blank 시료 시료
최초30분후60분후90분후 500490480470 500000 -100100100 500490480470 500272184175 -45.563.365.0
상기 표 1에서 본 발명 신발용 내장재는 실시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다.
상기 표 1은 가스 검지관 법에 의한 탈취율 시험 결과이다.
가스 검지관 법에 의한 탈취율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2개의 500ml 용기에 암모니아 수용액 1mg을 주입한 후 하나의 용기에는 10cm×10cm 크기의 시료를 투입한 다음 뚜껑을 덮고 다른 용기(Blank)는 뚜껑만 덮은채 방치시킨다.
최초에 각 용기중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30분후, 60분후, 90분후 용기중의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소실된 암모니아 가스의 량을 탈취율로 계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완충성과 통기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우수한 탈취성을 나나태는 신발용 내장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신발용 내장재에 있어서, 융점 230℃인 폴리에스터사 10~20중량%와 융점 140~16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사 20~30중량% 및 마섬유 50~70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웹(web)을 만들고 이를 니들펀칭한 후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터사의 융점보다 10~15℃ 낮은 온도의 열풍기를 통과시키고 이를 카렌더 로울러 압착하여 부직포로 제조된 두께 4.5mm, 무게 900~1200g/m2의 신발용 내장재.
KR10-2001-0048999A 2001-08-14 2001-08-14 신발용 내장재 KR10042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999A KR100429367B1 (ko) 2001-08-14 2001-08-14 신발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999A KR100429367B1 (ko) 2001-08-14 2001-08-14 신발용 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451A KR20030015451A (ko) 2003-02-25
KR100429367B1 true KR100429367B1 (ko) 2004-04-29

Family

ID=2771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999A KR100429367B1 (ko) 2001-08-14 2001-08-14 신발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767A (ko) * 2001-10-16 2003-04-23 주식회사 디쎄븐 방염성이 우수한 흡음재의 제조방법
KR20030068864A (ko) * 2002-02-18 2003-08-25 홍진평 모자성형용 원단의 제조 방법
KR100516078B1 (ko) * 2002-09-09 2005-09-22 (주)풍전티.티 종이 형태로 가공할수 있는 포의 제조방법
KR101151483B1 (ko) * 2009-09-02 2012-05-30 동해시 대마를 이용한 신발깔창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1153A (ja) * 1988-08-25 1990-03-01 Toyobo Co Ltd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4985279A (en) * 1989-07-26 1991-01-15 No-Muv Corporation, Inc. Process for preparing carpet underlay
KR960003183A (ko) * 1994-06-21 1996-01-26 가네꼬 히사시 가상 회로의 우선 순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H08291451A (ja) * 1995-04-19 1996-11-05 Unitika Ltd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16731A (ko) * 2000-08-26 2002-03-06 정준호 신발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1153A (ja) * 1988-08-25 1990-03-01 Toyobo Co Ltd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4985279A (en) * 1989-07-26 1991-01-15 No-Muv Corporation, Inc. Process for preparing carpet underlay
KR960003183A (ko) * 1994-06-21 1996-01-26 가네꼬 히사시 가상 회로의 우선 순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H08291451A (ja) * 1995-04-19 1996-11-05 Unitika Ltd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16731A (ko) * 2000-08-26 2002-03-06 정준호 신발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451A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8549A (en) Deodorizer footwear
US5928973A (en) Nonwoven needlepunch fabric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DK1029521T3 (da) Termoplastisk forbindingsmateriale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deraf
JP2002525444A (ja) 不織布
US457031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 soluble fabric for chemical laces
KR100429367B1 (ko) 신발용 내장재
US2437689A (en) Process for making needle felts
US2528129A (en) Textile product
CN105696192B (zh) 使用熔喷方式制备具有吸湿转移性不织布的方法
US3284872A (en) Method of making needled shoe stiffening material
US3394047A (en) Process of forming water-laid felts containing hollow-viscose, textile, and synthetic fibers
US2459803A (en) Feltlike products
US3126297A (en) Treatment of nonwoven fabric with
CN1332279A (zh) 一种可纺羽绒、羽丝混纺材料及其加工方法
ES2205562T3 (es) Material de refuerzo para calzado.
KR100358258B1 (ko) 신발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CN105696198B (zh) 使用纺粘方式制备具有吸湿转移性不织布的方法
GB698611A (en) Improvements in anti-friction materials or products
CN113789597A (zh) 一种吸湿透气化纤面料及其制备方法
US3326740A (en) Multi-directional strectchable nonwoven fabric
JP2004204406A (ja) ポリ乳酸短繊維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構造体
JP3076907B2 (ja) 抄紙機用の布
KR102191006B1 (ko)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112B1 (ko) 드라이어 시트(Dryer Sheet)용 장섬유 부직포및 그의 제조방법
KR940010900B1 (ko)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