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291B1 -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291B1
KR100429291B1 KR10-2001-0019660A KR20010019660A KR100429291B1 KR 100429291 B1 KR100429291 B1 KR 100429291B1 KR 20010019660 A KR20010019660 A KR 20010019660A KR 100429291 B1 KR100429291 B1 KR 100429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ng
fee
usage fee
month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4233A (ko
Inventor
김연길
김찬겸
김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1-0019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2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7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금 처리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정 기일까지의 요금을 계산하여 정확한 요금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측면에 따르면, 온라인 시스템과 업무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 계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과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 및 업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정보 및 업무 명령에 상응하여 미수납된 사용 요금 계산을 상기 업무 시스템에 포함된 빌링 프로세스에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상기 사용 요금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업무 처리 명령에 상응하여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금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cessing a fe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온라인 시스템과 업무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기일까지의 사용자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대리점의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이동 통신 업체의 가입 해지일을 예로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01년 2월 1일부터 2001년 2월 28까지의 사용 요금은 빌링 프로세스에 의해 계산되어 각 지점 또는 대리점의 단말기에 표시되지만 2001년 3월 1일부터 2001년3월 7일까지의 사용 요금은 빌링 프로세스에 의해 계산되어지지 않는다.
상기 빌링 프로세스는 각종 사용 요금 또는 대금에 대한 청구서를 발행하는 메인 프레임으로서, 정기적으로 모든 사용자 또는 고객에 대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 요금 또는 사용자가 일정 기간마다 납부하여야 할 대금을 정산하여 청구할 금액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전기세, 수도세, 전화세와 같은 공과금 청구서, 상품 할부 대금 청구서, 이동 통신 이용료 청구서 및 신용카드 사용 대금 청구서는 모두 빌링 프로세스에 의해 발행된다.
상기 빌링 프로세스는 배치 프로세스에 의해 일련의 순위가 매겨진 업무을 그 순위에 의해 처리하는 데, 상기 예에서 2001년 3월 1일부터 2001년 3월 7일까지의 사용 요금은 해지 당일에 청구할 경우 배치 프로세스에 의해 후 순위에 배치된다. 그 결과 빌링 프로세스는 해지 당일 즉시 그 동안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계산되어지지 않은 당월의 현재일까지의 사용 요금은 관행적으로 이동 통신 가입시 받는 보증금에서 20% 정도를 감면하고 나머지를 이동 통신 가입 해지한 사용자에게 돌려주고 있다. 즉 보증금을 50,000원을 받은 경우 10,000원을 당월 현재일까지의 사용 요금로 대체하고 나머지 40,000원을 가입 해지한 사용자에게 돌려주게 된다. 이후, 일정 기간마다 이루어지는 빌링 작업을 통해 과오납된 보증금 또는 사용 요금을 사용자에게 환불하거나 또는 청구한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1a을 참고한다.
도 1a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사용자 가입 해지시 기존 요금 처리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2001년 2월 1일부터 2001년 2월 28일까지의 사용 요금 청구서를 2001년 3월 4일부터 2001년 3월 6일까지 작성하고 2001년 3월 10일에 발송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A가 2001년 3월 2일(이하 '해지일 1'이라 함), 사용자 B가 2001년 3월 7일(이하 '해지일 2'라 함) 그리고 사용자 C가 2001년 3월 12일(이하 '해지일 3'이라 함)에 이동 통신 가입을 해지한 것으로 가정하자.
사용자 A가 해지일 1에 이동 통신 가입을 해지할 경우에, 아직 청구서 작성 기간(2001년 3월 4일부터 2001년 3월 6일) 이전이므로, 사용자 A의 2001년 2월 1일부터 해지일 1까지의 이동 통신 사용 요금은 청구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처리 방법은 이동 통신 업체가 일정 비율의 금액을 제한 나머지 보증금을 사용자 A에게 되돌려주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해지 신청을 처리한 후, 청구서 작성기간에 정산하여 미납된 사용 요금을 추가로 청구하거나, 사용 요금보다 많이 수납하였을 경우에는 과납된 사용 요금을 되돌려주었다.
사용자 B가 해지일 2에 이동 통신 가입을 해지할 경우에, 아직 청구서 발송일(2001년 3월 10일) 이전이나, 전월 청구 요금 계산 이후이므로, 전월 사용 요금은 대리점의 온라인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청구는 가능하다. 그러나, 당월 사용 요금은 청구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이 경우에도 상기 이동 통신 업체는 일정 비율의 금액을 제한 보증금을 사용자 B에게 되돌려주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해지 신청을 처리한 후, 다음달 청구서 작성기간에 작성된 사용 요금 청구서-여기서, 상기 사용 요금 청구서는 당월 초일부터 해지시까지의 사용 요금에 대한 청구서임-를 통해 과오납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 요금을 조정한다.
사용자 C가 해지일 3에 이동 통신 가입을 해지하는 경우도 앞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당월 사용 요금은 청구할 수가 없으나, 전월 사용 요금은 대리점의 온라인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필요 없이 사용자 C에 이미 발송된 사용 요금 청구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당월 현재일까지의 사용 요금에 대해서 정확한 계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요금 청구 업체는 추가로 사용 요금 청구서를 발행하여야 하며, 해지한 사용자도 과오납된 사용 요금을 추가 납부 또는 환불 받는 조정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는 월정액의 산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월정액이란 가입비나 보증금과 같이 월마다 정기적으로 납부해야 되는 금액을 말한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1b를 참고한다.
도 1b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월정액 납부시 요금 처리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2001년 2월 1일부터 2001년 2월 28일까지의 사용 요금 청구서를 2001년 3월 4일부터 2001년 3월 6일까지 작성하고 2001년 3월 10일에 발송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D가 2001년 3월 2일(이하 '월정액 납부일'이라 함)에 월정액을 납부한 것으로 가정하자.
2001년 2월 1일부터 2001년 2월 28까지의 기간 동안 월정액을 납부한 경우 빌링 프로세스에 의해 계산되어 각 지점 또는 대리점의 단말기에 표시되지만 2001년 3월 1일부터 2001년 3월 7일까지의 기간 동안 월정액을 납부한 경우는 빌링 프로세스에 의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2001년 3월 2일에 월정액을 납부한 경우 월정액 납부일이 청구서 작성일인 2001년 3월 6일전임에도 불구하고 빌링 프로세스에 의해 계산되지 않아 청구서에 월정액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청구된다.
그 결과, 청구서를 받은 사용자는 똑같은 요금을 두 번 낼 위험이 있고, 이동 통신 업체는 똑같은 요금을 두 번 받아 다시 환불해 줘야 하기 때문에 업무에 혼선이 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요청할 경우에,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대리점의 온라인 단말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 하는데 있다.
도 1a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사용자 가입 해지시 기존 요금 처리 방법에 대한 예시도.
도 1b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월정액 납부시 기존 요금 처리 방법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요금 처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업무 처리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4는 빌링 프로세스의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 계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온라인 단말기의 업무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빌링된 청구 요금 정보를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 내용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청구 내역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
도 8은 수납 내역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
도 9는 수정된 과금 계정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단말기 110 : 온라인 시스템
115 : 고객 관리 프로세스 120 : 업무 시스템
122 : 배치 프로세스 124 : 빌링 프로세스
126 : 수납 프로세스 128 : 청구 프로세스
130 : 조정 내역 데이터베이스 131 : 청구 내역 데이터베이스
132 : 과금 계정 데이터베이스 133 : 수납 내역 데이터베이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측면에 따르면, 온라인 시스템과 업무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 계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과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 및 업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정보 및 업무 명령에 상응하여 미수납된 사용 요금 계산을 상기 업무 시스템에 포함된 빌링 프로세스에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상기 사용 요금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업무 처리 명령에 상응하여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금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이 완료되었으면,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전월 사용 요금의 수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월 사용 요금이 수납되지 않았으면, 빌링 작업이 완료된 전월 사용 요금을 추출하는 단계와, 당월 초일부터 당월 현재일까지의 당월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월 사용 요금과 상기 산출된 당월 사용 요금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이 완료되었으면,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전월 사용 요금의 수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월 사용 요금이 수납되었으면, 당월 초일부터 당월 현재일까지의 당월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전월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와, 당월 초일부터 특정 기일까지의 당월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전월 사용 요금과 상기 산출된 당월 사용 요금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빌링 프로세스는 상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청구할 일정 기간의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과금 계정 필드, 수납 일련 번호 필드, 수납 처리 일자 필드, 수납 방식 필드 등을 포함하는 수납 내역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특정 기일까지 미수납된 사용 요금 계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빌링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수단과, 온라인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 업무 명령 및 업무 처리 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상기 처리 요청 신호를 해석하여, 고객 정보 및 업무 명령에 따른 미수납된 사용 요금의 산출 요청 및 수신한 상기 업무 처리 명령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저장 수단 갱신 요청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처리 요청 발생 수단과, 상기 산출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빌링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저장 수단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고객 정보를 갱신하고, 업무 확인 신호을 발생하는 갱신 수단 및 산출된 상기 사용 요금 및 상기 업무 확인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온라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요금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빌링 수단은, 상기 미수납된 사용 요금의 산출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 완료 여부 확인 과정과, 상기 빌링 작업 완료 여부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전월 사용 요금의 수납 여부 확인 하는 과정 및 상기 빌링 작업 완료 여부 확인 결과 및 상기 수납 여부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빌링 프로세스가 청구 요금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특정 기일을 기준으로 미수납된 요금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앞으로 설명할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관련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동일성을 유지하는범위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요금 처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요금 처리 시스템은 온라인 단말기(100a 내지 100n. 이하 100으로 총칭함), 온라인 시스템(110), 업무 시스템(120) 및 복수의 데이터베이스(130 내지 133)로 구성되어 있다.
온라인 시스템(110)은 관련 대리점 또는 지점에서의 고객 관리 업무를 위해 관련 대리점 또는 지점의 온라인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온라인 시스템(110)은 업무 시스템(120)과 공유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130)에 상기 온라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고객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변경된 고객 정보를 업무 시스템(120)과 공유한다.
특히, 상기 온라인 시스템(110) 내에 포함된 고객 관리 프로세스(115)는 고객 정보를 변경하고 저장하는 작업 뿐만 아니라, 상기 온라인 단말기(100)에서 통신망을 통해 보내온 업무 명령 및 업무 처리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업무 시스템(120)은 상기 온라인 시스템(110)과 복수의 데이터베이스(130)를 공유하며, 이를 바탕으로 업무 시스템(120)내에 포함된 배치(Batch) 프로세스(122), 빌링(Billing) 프로세스(124), 수납 프로세스(126), 청구 프로세스(128)등이 각각의 배치 업무, 빌링 업무, 수납 업무, 청구 업무 등을 처리한다.
특히, 상기 업무 시스템(120)내에 포함된 배치 프로세스(122)는 처리해야 할업무의 순서를 정하여 배열-즉 순위를 매김-한 후, 상기 업무를 해당 프로세스에 할당한다.
복수의 데이터베이스(130)는 고객 관리 업무, 배치 업무, 빌링 업무, 수납 업무, 청구 업무 등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가 이용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일련의 정형화된 테이블로 구성된 데이터 항목들의 집합체로서, 그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재구성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시스템(110)과 시스템 자원을 공유하는 빌링 프로세스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반을 둔 이유는, 온라인 시스템(110) 및 빌링 프로세스에 의한 동시 제어 및 데이터의 일치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파일 기반 시스템의 빠른 처리속도는 기대할 수 없으나, 시스템 이상으로 인해 파일 정보가 서로 일치 하지 않는 경우를 피할 수 있으며, 파일 기반 시스템에 비해 필드 추가 및 속성 변경이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업무 처리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200에서, 온라인 시스템(110)이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고객 정보 및 업무 명령 등을 수신한다. 고객 정보란 고객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 정보로서, 고객을 특정할 수 있는정보를 말한다.
단계 220에서, 온라인 시스템(110)의 고객 관리 프로세스(115)가 수신된 고객 정보 및 업무 명령을 인식한 후 업무 시스템(120)에 포함된 빌링 프로세스(124)에 미수납 사용 요금 계산을 요구한다.
단계 240에서, 빌링 프로세스(124)는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계산한다.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단계 260에서, 빌링 프로세스(124)는 상기 사용 요금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 시스템(110)의 고객 관리 프로세스(115)에 전송한다.
단계 280에서, 고객 관리 프로세스(115)는 통신망을 통해 해당 단말기(100)에 상기 사용 요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300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 요금 내역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게 되고 사용 요금이 완납되어 업무가 가능하게 된 경우 업무 처리 명령을 온라인 시스템(110)에 보낸다. 구체적인 단말기(100)에서의 업무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단계 320에서,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업무 처리 명령이 수신될 경우 온라인 시스템(110)의 고객 관리 프로세스(115)는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한다. 예를 들어 업무 처리 명령이 해지 처리 명령인 경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 중 과금 계정 데이터베이스(132)의 가입자 활동 사유 필드는 '서비스 이용 고객'에서 '해지'로 상태가 변경된다. 또한, 수납 내역 데이터베이스(133)의 각 필드가 업무처리시를 기준으로 갱신되며, 다른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들도 업무처리시을 기준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빌링 프로세스(124)의 특정 기일까지 미수납된 사용 요금 계산 방법에 대해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빌링 프로세스의 특정 기일까지 미수납된 사용 요금 계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0에서, 수신된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과금 계정 데이터베이스(132)를 확인한다.
단계 410에서,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이 완료되었다면, 전월 사용 요금은 재빌링하지 않고 청구 내역 데이터 베이스(132)에 저장된 값을 이용한다. 따라서,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재빌링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 완료 여부 확인은, 1)당월 현재일이 청구서 작성 기간 이전일 경우에는 확인 과정 없이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2)당월 현재일이 청구서 작성 기간내인 경우에는 청구 내역 데이터베이스(131)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빌링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3)당월 현재일이 청구서 작성 기간 이후인 경우에는 빌링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 완료 여부 확인은 2)의 경우에 필요한다.
경우 2)에 있어서,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 완료 여부 확인 방법은,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청구서 일련 번호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경우 2)를 설명하기 위해,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 중 도 7에 도시된 청구 내역 데이터베이스(131)를 참조한다.
도 7은 청구 내역 데이터베이스(131)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청구 내역 데이터베이스(131)는 과금 계정, 청구서 일련 번호(705), 청구서 작업일(710), 청구서 발행일(715), 납기일(720), 전월 청구액(725), 전월 수납액(730), 전월 증액, 전월 청구서의 요금 조정액(735), 전월 미납액(740), 연체료 부과 대상 미납액(745), 연체료(750), 과금 계정별 현 청구 주기 미청구 금액(755), 총 청구 금액(760) 및 지불 방법에 대한 데이터 필드(765)등에 대한 복수의 필드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필드 중 중요한 필드만을 선별하여 설명한다.
청구서 일련 번호(705)는 현재까지 발행된 청구서의 일련 번호에 관한 필드이다.
청구서 작업일(710))은 청구서 작성일자에 관한 필드이다.
청구서 발행일(715))은 청구서 발행일자에 관한 필드이다.
납기일(720))은 청구 요금에 대한 납기 마감일에 관한 필드이다.
전월 청구액(725)은 전월 청구서의 총 청구 금액에 관한 필드로서, 양의 값 또는 음의 값을 갖는다.
전월 수납액(730)은 전월 총 청구 금액 중 청구 작업일까지의 수령액에 관한 필드이다.
전월 청구서의 요금 조정액(735)은 온라인에서 발생된 청구 금액에 관한 필드로서, 온라인으로 수납된 요금에 관한 필드이다.
전월 미납액(740)은 전월의 납기일이 지난 총 연체금액에 관한 필드로서, 양의 값 또는 음의 값을 갖는다.
연체료 부과 대상 미납액(745)은 전월 미납액 중 실제적으로 가산금을 부과할 금액에 관한 필드이다.
연체료(750)는 상기 연체료 부과 대상 미납액(745)에 부과된 연체료에 관한 필드이다.
과금 계정별 현 청구 주기 미청구 금액(755)은 청구서 작업일롸 청구서 발행일 사이에 축적된 청구 금액에 관한 필드로서, 당월 청구서에 포함되지 않은 당월 반영 대상인 청구 금액이다.
총 청구 금액(760)은 고객 또는 과금 계정별로 당월 청구할 총 금액, 즉 사용 요금에 관한 필드이다.
지불 방법에 대한 데이터 필드(765)는 고객의 지불 방법에 관한 복수의 필드이다.
다시 도 4를 설명하면,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 완료 여부 확인은 청구서 일련 번호(705)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청구서 일련 번호(705)는 최초 청구서 발행시에 기본값이 저장되고, 이후 청구서가 발행될 때마다 일정값씩 증가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청구서가 몇 번 발송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당월 청구서 빌링 작업이 완료되면, 청구서 일련 번호 필드값이 일정값씩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최초 가입일과 해지시을 이용하여, 청구서 발행 회수를 추출한 후, 상기 청구서 일련 번호(705)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420에서,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이 완료되었다면 수납 내역 데이터베이스(133)를 이용하여 전월 사용 요금이 수납되어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1에서, 사용자 C와 같이 당월 청구서 발행 후에 해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월 사용 요금을 수납했을 수 있으므로, 중복 청구를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수납 내역 데이터베이스(133)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수납여부를 확인한다.
도 8은 수납 내역 데이터베이스(133)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납 내역 데이터베이스(133)는 과금 계정, 수납 일련 번호(810), 수납 처리 일자(820), 수납 방식(830), 세부 수납 정보, 은행 코드, 신용카드 번호, 카드 승인 번호, 실제 고객 납부 금액 및 가입자 번호에 대한 복수의 필드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필드 중 중요한 필드만을 선별하여 설명한다.
수납 일련 번호(810)는 과금 계정별 수납을 식별하는 고유 번호에 관한 필드이다.
수납 처리 일자(820)는 청구서에 의해 고객이 실제 납부한 일자에 관한 필드이다.
수납 방식(830)은 고객이 청구 요금을 납부한 방식에 관한 필드로서, 신용카드, 현금, 계좌이체, 선불카드 등으로 기록된다.
다시 도 4를 설명하면, 단계 430에서,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당월 청구 금액이 수납되지 않았다면 빌링 프로세스(124)는 청구 내역 데이터베이스(131)를 이용하여 총 청구 금액(760)을 확인한다.
단계 440에서, 빌링 프로세스(124)는 당월 초일부터 당월 현재일까지 사용 요금과 확인된 전월 청구 금액(760)을 합산해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한다.
단계 450에서, 빌링 프로세스(124)는 수납 내역 데이터베이스(133) 확인 결과 수납이 되었다면 당월 초일부터 당월 현재일까지 사용 요금을 산출한다.
단계 460에서, 전월 사용 요금 청구서 작성 유무를 확인한 결과, 아직 사용 요금 청구서가 작성되지 않았다면, 빌링 프로세스(124)는 아직 미수납된 전월 초일부터 당월 현재일까지의 사용 요금을 산출한다. 이동 통신 업체를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전월 사용 요금 청구에 가장 기본이 되는 호 통화 기록은 월별로 구분되어 저장 장치에 기록된다. 따라서, 해지를 요청한 사용자의 전월 사용 요금은 전월 호 통화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당월 사용 요금은 당월 호 통화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단계 470에서, 단계 440 내지 단계 460의 처리 결과에 따라 미수납된 사용요금이 산출되면 빌링 프로세스(124)는 미수납된 사용 요금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 프로세스(11)의 고객 관리 프로세스(115)에 보내게 된다.
상기 고객 관리 프로세스(115)는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업무 명령이 입력된 대리점의 온라인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단말기(110)에서의 업무 처리에 대해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온라인 단말기의 업무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 대리점 또는 지점의 직원은 단말기(110)에 사용자의 고객 정보 및 업무 명령을 입력한다.
단계 520에서, 상기 단말기는 입력된 고객 정보 및 해지 명령을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시스템(110)에 전송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온라인 시스템(110)의 고객 관리 프로세스(115)는 빌링 프로세스(124)에 빌링을 요구하고, 빌링된 미수납 사용 요금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단계 530에서, 상기 미수납 청구 요금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100)는 상기 정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 화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은 빌링된 미수납 사용 요금 정보를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 내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고객 성명(610),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620), 전월 미수납 사용 요금(630), 당월부터 당월 현재일까지의 사용 요금(640), 총 미수납 사용 요금(650) 등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고객 성명(610)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620)는 업무 처리를 요청한 특정 고객에 대해 미수납 사용 요금 계산이 이루어 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월 미수납 사용 요금(630)과 당월부터 당월 현재일까지의 사용 요금(640)은 고객에게 상세한 미수납 사용 요금 계산 결과를 보여 주기 위해 사용된다.
총 미수납 사용 요금(650)은 전월 미수납 사용 요금(630)과 당월부터 당월 현재일까지의 사용 요금(640)을 더한 값으로서 고객이 지불해야 할 금액이다.
다시 도 5를 설명하면, 단계 540에서, 단말기(100)는 업무 처리 명령를 확인한다. 상기 대리점 또는 지점의 직원은 요금이 완납될 경우 단말기(100)에 업무 처리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단계 550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업무 처리 명령을 온라인 시스템(110)에 전송한다.
도 9는 수정된 과금 계정 데이터베이스(132)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과금 계정 데이터 베이스(132)란 빌링 관련 데이터 베이스로서, 과금 계정 필드(910), 가입자 활동 사유 필드(920)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과금 계정(910)은 당월 청구서에 관련된 과금 계정 번호에 관한 필드이다. 상기 과금 계정(910)은 프라이머리 키(Primary Key)에 해당하는 필드로서, 복수의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유일한 값을 갖는다.
가입자 활동 코드(920)는 현재 과금 계정의 상태 변화를 발생시킨 고객 관리 활동 코드에 관한 필드이다. 과금 계정이 생성될 때 기본 값이 할당되고, 과금 계정의 상태가 변경되는 시점에서 갱신된다. 과금 계정 상태는 서비스 이용 고객, 해지/해지 취소, 청구자 통합, 청구자 변경 및 이용정지/이용정지 해제를 포함한다.
실시예의 일 측면으로, 상술한 요금이 완납되고 고객으로부터 해지 신청이 있었다면, 온라인 시스템(110)의 고객 관리 프로세스(115)는 가입자 활동 사유의 필드를 "서비스 이용 고객"에서 "해지"로 변경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주로 해지 업무 처리시 사용 요금 처리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요금 처리 방법은 해지 업무 이외에도 사용 요금 청구서 발송 전 납부된 월정액등 이미 선 납부되어 당월 요금 청구서에 기재되지 않아야 할 사항에 대해서도 처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빌링 프로세스(124)가 실시간 요금을 빌링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월정액이 이미 선 납부된 경우 당월 요금 청구서에는 선 납부된 월정액에 대해서는 기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인 요금 계산 방법은 이동 통신 업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일 측면으로, 호텔에서 투숙객이 체크 아웃(Check Out)할 경우 전화 요금을 계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호텔 투숙객이 체크 아웃할 경우 전화 요금을 계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텔측에서는 정확한 요금 계산을 할 수가 없다. 따라서 호텔측은 관행적으로 투숙객이 전화를 사용한 횟수와 시간에 따라 일정액의 전화 요금을 받아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투숙객이 체크 아웃할 경우 호텔측은 전화국에 문의하여 정확한 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특정 기일까지의 요금에 대해서 정확한 계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요금 청구 업체는 과오납된 요금 또는 보증금 처리를 위해 이미 해지한 고객에게 재차 청구 또는 통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즉시 정산을 통해 과오납 요금의 추가 납부 또는 환불과 같은 요금 조정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월정액이 이미 납부된 경우, 요금 청구 업체가 상기 월정액에 대해 다시 청구하지 않으므로, 상기 요금 청구 업체 및 고객이 번거로운 요금 조정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어진다.

Claims (9)

  1. 삭제
  2. 온라인 시스템과 업무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고, 소정의 기간 단위로 사용자별 청구 요금을 계산하는 시스템에서 특정 기일까지 미수납된 사용 요금 계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과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 및 업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객 정보 및 업무 명령에 상응하여 미수납된 사용 요금 계산을 상기 업무 시스템에 포함된 빌링 프로세스에 요구하는 단계;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상기 사용 요금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업무 처리 명령에 상응하여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이 완료되었으면,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전월 사용 요금의 수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월 사용 요금이 수납되지 않았으면, 빌링 작업이 완료된 전월 사용 요금을 추출하는 단계;
    당월 초일부터 당월 현재일까지의 당월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월 사용 요금과 상기 산출된 당월 사용 요금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이 완료되었으면,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전월 사용 요금의 수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월 사용 요금이 수납되었으면, 당월 초일부터 당월 현재일까지의 당월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처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전월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당월 초일부터 당월 현재일까지의 당월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전월 사용 요금과 상기 산출된 당월 사용 요금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처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빌링 프로세스는 상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청구할 일정 기간의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프로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처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과금 계정 필드, 수납 일련 번호 필드, 수납 처리 일자 필드, 수납 방식 필드 등을 포함하는 수납 내역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처리 방법.
  8. 특정 기일까지 미수납된 사용 요금 계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빌링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수단;
    온라인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 업무 명령 및 업무 처리 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수신한 상기 처리 요청 신호를 해석하여, 고객 정보 및 업무 명령에 따른 미수납된 사용 요금의 산출 요청 및 수신한 상기 업무 처리 명령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저장 수단 갱신 요청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처리 요청 발생 수단;
    상기 산출 요청에 따라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특정 기일까지의 미수납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빌링 수단;
    상기 복수의 저장 수단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고객 정보를 갱신하고, 업무 확인 신호을 발생하는 갱신 수단; 및
    산출된 상기 사용 요금 및 상기 업무 확인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온라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을 포함하는 요금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빌링 수단은,
    전월 사용 요금에 대한 빌링 작업이 완료되었으면, 빌링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전월 사용 요금의 수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월 사용 요금이 수납되지 않았으면, 빌링 작업이 완료된 전월 사용 요금을 추출하고, 당월 초일부터 당월 현재일까지의 당월 사용 요금을 산출하여, 상기 추출된 전월 사용 요금과 상기 산출된 당월 사용 요금을 합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처리 시스템.
KR10-2001-0019660A 2001-04-12 2001-04-12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29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660A KR100429291B1 (ko) 2001-04-12 2001-04-12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660A KR100429291B1 (ko) 2001-04-12 2001-04-12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233A KR20010074233A (ko) 2001-08-04
KR100429291B1 true KR100429291B1 (ko) 2004-04-29

Family

ID=1970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660A KR100429291B1 (ko) 2001-04-12 2001-04-12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403B1 (ko) * 2007-05-21 2009-05-0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가입자 요금 청구 주기 동안 발생한 가입자의 변경된 과금정보 반영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105A (ko) * 2000-01-21 2000-05-06 김갑수 인터넷공과금시스템
KR20000063543A (ko) * 2000-01-07 2000-11-06 정용상 전자 빌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543A (ko) * 2000-01-07 2000-11-06 정용상 전자 빌링 시스템
KR20000024105A (ko) * 2000-01-21 2000-05-06 김갑수 인터넷공과금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233A (ko) 200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4447B2 (en) Transaction processing platform for facilitating electronic distribution of plural prepaid services
US5943657A (en) Communications pricing and charging maintenance sub-system and process
US63815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tandardizing and reconciling invoices from vendors
US7424455B2 (en) Method and systems for providing merchant services with right-time creation and updating of merchant accounts
US20040044601A1 (en) Batch type billing method and system by using dispersed processing
EP1361742B1 (en) Prepaid system and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EP1191776A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an access contract between a prepaid contract and a postpaid contract
EP0753179A1 (en) A data processing system for use in communications pricing and charging equipment and a production process therefor
KR100429291B1 (ko) 요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6668444B2 (ja) 賃貸料決済システム及び賃貸料決済方法
KR100685615B1 (ko) 포인트제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복지관리 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JP3193897B2 (ja) 電話料金の振分請求処理システム
KR100441440B1 (ko) 분산 처리를 이용한 배치형 빌링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597848A (zh) 数据业务结算方法及系统、存储介质、服务器
AU700455B2 (en) A data processing system for use in communications pricing and charging equipment and a production process therefor
KR20060038488A (ko) 서비스 이용요금의 주기별 결제시스템, 그 제어방법 및 그 결제시스템의 서비스프로바이더
KR20050066035A (ko) 이동전화 요금 할인 정책에 의한 이동전화 요금 환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240607A (zh) 中间业务收入计量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040023182A (ko) 신용카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방법
EP1703458A1 (en) A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2002099850A (ja) プリペイド入金処理システム
KR2003000867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요금 처리 방법
JP2003108779A (ja) 収納時即時精算受入方法、銀行システムおよび請求元システム
KR20030051483A (ko) 신용카드를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의 공항라운지이용승인/이용대금 정산시스템 및 그 방법
NZ523955A (en) Flexible consolidated billing and charges allocation for accounts processin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