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287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287B1
KR100429287B1 KR10-2002-0014240A KR20020014240A KR100429287B1 KR 100429287 B1 KR100429287 B1 KR 100429287B1 KR 20020014240 A KR20020014240 A KR 20020014240A KR 100429287 B1 KR100429287 B1 KR 100429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aterial
anchor bolt
concrete structure
support pieces
reinforc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762A (ko
Inventor
강명석
Original Assignee
강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석 filed Critical 강명석
Priority to KR10-2002-001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2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4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cover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결함 또는 하자 발생시 그 보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수 작업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고정력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누수 차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이음부(110)의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의 단부측에 상기 이음부(110)와 통하게 장착홈(120)이 각각 상호 대향 형성되고, 그 장착홈(120) 내부에는 측면부를 따라 다수의 홈(11)이 형성된 봉함재(1)가 에폭시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됨에 있어서, 상기 봉함재(1)의 일측면 양측으로 한 쌍의 보강돌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돌부(2)(2A)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31)(31A)과 그 수용홈(31)(31A)에 대해서 일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편(32)(32A)으로 구성된 한 쌍의 금속보강판(3)(3A)이 구비되며; 상기 금속보강판(3)(3A)은 지지편(32)(32A)이 상호 대향되게 하여 상기 지지편(32)(32A) 사이로 신축 유격(S)을 갖도록 보강돌부(2)(2A)의 외측에 삽입되고 앵커볼트(4) 및 너트(4A)의 체결에 의해 상기 보강돌부(2)(2A)를 갖는 봉함재(1)와 함께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분 흡수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상기 봉함재의 경화로 인해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상기 봉함재에 대한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보수 상태로 고정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expansion equipment for concrete structure}
본 고안은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결함 또는 하자 발생시 그 보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수 작업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고정력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누수 차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간에는 외부 온도에 의한 구조물 간의 신축 대응 및 누수 방지를 위해 신축이음장치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장시간 경과후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결함 또는 하자 발생시에는 별도 보수작업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보수작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를 따라 다수의 홈(130A)이 형성된 봉함재(130)가 구비되고,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 사이의 이음부(110)를 중심으로 한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 단부측 모서리 부분을 상기 봉함재(130)에 상응하는 폭 및 공간으로 상호 연이어 대향되게 절단하여 장착홈(12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봉함재(130)의 측면부에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시켜 상기 장착홈(120)의 내측면에 삽입 접착시키는 것에 의해 일련의 보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도 4는 종래 보수 작업의 다른 례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 단부측 모서리 부분을 절단하여 장착홈(120)을 형성한 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 사이의 공간부에는 조인트 필터(140)를, 상기 장착홈(120)에는 수팽창 지수제(42)를 충진시키는 것에 의해 그 보수 작업을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봉함재(130)와 수팽창 지수제(42)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수분흡수에 의한 경화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배부름 현상에 의해 봉함재(130) 및 수팽창 지수제(42)가 파손되거나 접착노화에 의해 고정력이 저하됨으로써 종국에는 상기 봉함재(130) 및 수팽창 지수제(42)가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의 이음부(110)로부터 이탈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결함 또는 하자 발생으로 인한 보수 작업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에 대한 고정력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보수 상태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또한 수분 침투가능 부위의 기밀에 의해 누수 차단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음부의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부측에 상기 이음부와 통하게 장착홈이 각각 상호 대향 형성되고, 그 장착홈 내부에는 측면부를 따라 다수의 홈이 형성된 봉함재가 에폭시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됨에 있어서, 상기 봉함재의 일측면 양측으로 한 쌍의 보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돌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과 그 수용홈에 대해서 일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편으로 구성된 한 쌍의 금속보강판이 구비되며; 상기 금속보강판은 지지편이 상호 대향되게 하여 상기 지지편 사이로 신축유격을 갖도록 보강돌부의 외측에 삽입되고 앵커볼트 및 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보강돌부를 갖는 봉함재와 함께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앵커볼트는, 단부측에 기밀러버를 구비하여 상기 기밀러버에 의해 앵커볼트 측으로 침투하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보강판과 앵커볼트의 체결부위는 수팽창 지수제로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의 일 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의 다른 례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봉함재
11: 홈 12:앵커볼트 관통공
13: 단턱홈 14:단턱돌부
2,2A: 보강돌부
20: 앵커볼트 관통공
3,3A: 금속보강판
31,31A: 수용홈 32,32A:지지편
33: 앵커볼트 관통공
4: 앵커볼트
41: 기밀러버 41A:앵커볼트 삽입공
42: 수팽창 지수제
4A: 너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에서와 같이 측면부를 따라 다수의 홈(11)이 형성된 봉함재(1)가 블록 식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봉함재(1)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봉함재(1)의 일측면(도면에서는 상면) 양측에 봉함재(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형상으로 된 한 쌍의 보강돌부 (2)(2A)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돌부(2)(2A)는 봉함재(1)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봉함재(1)는 블록식으로 다수 구비되어 엇물림식의 이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봉함재(1)의 일측단 하부측에는 단턱홈(13)이 형성되고, 이의 타측단에는 상기 단턱홈(13)에 상응하는 단턱돌부(14)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홈(13) 및 단턱돌부(14)에 의해 봉함재(1)의 블록 간에 이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돌부(2)(2A)의 외측에는 각각 한 쌍의 금속보강판(3)(3A)이 씌워지는 식으로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금속보강판(3)(3A)은 보강돌부(2)(2A)의 수용이 가능하게 상기 보강돌부(2)(2A)에 상응하는 공간으로 수용홈(31)(31A)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1)(31A)의 일측단 측방으로 지지편(32)(32A)이 연장 형성되는데, 이때 금속보강판(3)(3A)은 상기 지지편(32)(32A)이 서로 대향되게 보강돌부(2)(2A)의 외측에 삽입되며, 상기 금속보강판(3)(3A)의 지지편(32)(32A)은 상호 유격(S)을 갖는다.
이와함께 상기 봉함재(1)와 보강돌부(2)(2A) 및 금속보강판(3)(3A)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앵커볼트(4)의 박음에 의해 그 결합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금속보강판(3)(3A) 및 보강돌부(2)(2A)와 봉함재(1)에는 서로 일치되게 동일 축선을 이루는 앵커볼트 관통공(33)(20)(12)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 관통공(12)(20)(33)을 관통하는 앵커볼트(4)는 너트(4A)의 체결에 의해 보강돌부(2)(2A)에 대한 금속보강판(3)(3A)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분이 앵커볼트(4)를 타고 앵커볼트 관통공(12)(20)(33)을 통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앵커볼트(4)의 단부측에는 기밀러버(41)가 구비되고 상기 기밀러버(41)는 중앙부에 앵커볼트 삽입공(41A)을 형성하여 상기 앵커볼트 삽입공(41A)에 대한 앵커볼트(4)의 삽입에 의해 결합 및 구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 상기 앵커볼트(4)에 너트(4A)가 체결되는 그 체결부위를 수팽창 지수제로 밀봉시키는 것에 의해 앵커볼트(4)를 타고 앵커볼트 관통공(12)(20)(33)을 통해 누수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2 참조.)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수작업 과정 및 작용을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이음부(110)를 중심으로 한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 단부측 모서리 부분을 봉함재(1)에 상응하는 폭 및 공간으로 상호 연이어 대향되게 절단하여 장착홈(12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서로 동일 축선을 이루는 봉함재(1) 및 보강돌부(2)(2A), 금속보강판(3)(3A)의 앵커볼트 관통공(12)(20)(33)에 상응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 각각의 위치에 앵커볼트(4)를 박아 고정시킨다.
그 후, 기밀러버(41)에 형성된 앵커볼트 삽입공(41A)에 의해 상기 기밀러버(41)를 그 앵커볼트(4)에 끼워 조립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다시 상기 금속보강판(3)(3A)의 수용홈(31)(31A)에 의해 보강돌부(2)(2A)의 외측에 금속보강판 (3)(3A)이 끼워져 조립된 후, 그 조립된 봉함재(1) 및 보강돌부(2)(2A)와 금속보강판(3)(3A)에 각각 형성된 앵커볼트 관통공(12)(20)(33)에 의해 상기 봉함재(1) 및 보강돌부(2)(2A)와 금속보강판(3)(3A)이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에 고정된 앵커볼트(4)의 외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장착홈(120) 내부에 상기 조립체가 삽입 및 수용된다.
이때 , 다수의 홈(11)이 형성된 봉함재(1)의 측면부에는 에폭시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의 장착홈(120) 내측면에 접착 고정되고, 앵커볼트(4)에 대한 삽입으로 상기 봉함재(1) 및 보강돌부(2)(2A)와 금속보강판(3)(3A)의 앵커볼트 관통공(33)을 통해 관통 돌출된 상기 앵커볼트(4)에는 너트(4A)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일련의 이음부에 대한 보수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으로, 그 체결부는 수팽창 지수제(42)에 의해 밀봉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봉함재(1)가 에폭시 접착제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의 장착홈(120)의 내측면을 따라 접착 고정되고, 다시 금속보강판(3)(3A)을 이용한 앵커볼트(4)의 체결에 의해 상기 봉함재(1)가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에 재차 고정됨으로써 봉함재(1)를 보다 견고하게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의 이음부(110) 부분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 상기 봉함재(1)의 양측이 보강돌부(2)(2A)와 금속보강판(3)(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분 흡수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상기 봉함재(1)의 경화로 인해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보강판(3)(3A)의 지지편(32)(32A) 사이로 신축 유격(S)을 형성함으로써 그 경화에 따른 배부름 현상으로 봉함재(1)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폭시 접착제와 앵커볼트 및 금속보강판에 의한 이중의 고정 구조와 보강돌부 및 상기 금속보강판에 의한 지지 구조에 의해 수분 흡수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상기 봉함재의 경화로 인해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봉함재에 대한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보수 상태로 고정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기밀러버와 수팽창 지수제를 이용한 수분 침투가능 부위의 기밀에 의해 누수 차단 효율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Claims (3)

  1. 이음부 (110)의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의 단부측에 상기 이음부(110)와 통하게 장착홈(120)이 각각 상호 대향 형성되고, 그 장착홈(120) 내부에는 측면부를 따라 다수의 홈(11)이 형성된 봉함재(1)가 에폭시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됨에 있어서,
    상기 봉함재(1)의 일측면 양측으로 한 쌍의 보강돌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돌부(2)(2A)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31)(31A)과 그 수용홈(31)(31A)에 대해서 일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편(32)(32A)으로 구성된 한 쌍의 금속보강판(3)(3A)이 구비되며;
    상기 금속보강판(3)(3A)은 지지편(32)(32A)이 상호 대향되게 하여 상기 지지편(32)(32A) 사이로 신축 유격(S)을 갖도록 보강돌부(2)(2A)의 외측에 삽입되고 앵커볼트(4) 및 너트(4A)의 체결에 의해 상기 보강돌부(2)(2A)를 갖는 봉함재(1)와 함께 콘크리트 구조물(100)(100A)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4)는,
    단부측에 기밀러버(41)를 구비하여 상기 기밀러버(41)에 의해 앵커볼트(4) 측으로 침투하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보강판(3)(3A)과 앵커볼트(4)의 체결부위는 수팽창 지수제(42)로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KR10-2002-0014240A 2002-03-15 2002-03-15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KR100429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240A KR100429287B1 (ko) 2002-03-15 2002-03-15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240A KR100429287B1 (ko) 2002-03-15 2002-03-15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380U Division KR200262856Y1 (ko) 2001-10-31 2001-10-31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762A KR20030035762A (ko) 2003-05-09
KR100429287B1 true KR100429287B1 (ko) 2004-05-03

Family

ID=2957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240A KR100429287B1 (ko) 2002-03-15 2002-03-15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086B1 (ko) * 2007-01-22 2007-06-28 고삼석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101032455B1 (ko) * 2009-07-24 2011-05-03 김형진 수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1378972B1 (ko) * 2013-06-25 2014-04-04 (주)케이엘 콘크리트 구조물의 익스펜션 조인트 보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762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655B1 (ko) 브릿지 장치
JP3112401U (ja) 側溝改修用部材
KR10042928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KR20170119869A (ko) 신축조절장치를 구비한 교량의 보수방법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200262856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보수장치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0427908B1 (ko)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보수공법
JP2003328381A (ja) 可撓ゴム継手とその取付け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70022430A (ko) 모노셀 조인트 보수방법
CN108978595B (zh) 面板堆石坝周边缝底部止水修复结构及施工方法
KR101926103B1 (ko) 모노셀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방법
KR100519931B1 (ko) 혼성 신축이음구조
KR10099506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KR100544519B1 (ko) 농수로교 및 정수장 집수정의 수로용 콘크리트 구조물의이음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280748Y1 (ko)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장치
KR101234705B1 (ko) 핑거 조인트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의 상판 연결장치
KR200398418Y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5343262B2 (ja) 可撓止水継手の補修構造および補修方法
KR200418579Y1 (ko)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JPH02200926A (ja) 止水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KR100572677B1 (ko)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공법
KR100309450B1 (ko)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제조방법
KR100260716B1 (ko) 신축형 철도 교량 이음구 및 그를 이용한 철도 교량이음부의 시공방법
KR102567941B1 (ko) 수밀성의 누음 방지 구조를 갖는 방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7